최근 수정 시각 : 2024-09-25 18:59:46

모화역

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모화역
(폐역)
다른 문자 표기
동해선 모화
Mohwa
毛火 / [ruby(毛火, ruby=モファ)]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산업로 1882 (모화리)
관리역 등급
폐역
( 울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동해선 1937년 5월 1일 ~
2021년 12월 28일
철도거리표
부산진 방면[[호계역|호 계]]
← 7.2 ㎞
동해선
모 화
(폐역)
효자 방면[[입실역|입 실]]
3.9 ㎞ →
파일:attachment/모화역/Mohwa.jpg
모화역사 (1978년 준공)

1. 개요2. 역사3. 주변 교통4. 기타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동해선 철도역,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산업로 1882 (모화리) 소재.

'모화'(毛火)는 승려가 되기 위해 불국사로 가는 사람들이 이곳에서 머리를 깎고, 깎은 머리를 불태우는 것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는 불국사, 석굴암이 세워진 이후에 끼워 맞춘 것이다. #

2. 역사

우연히도 김동리의 소설 무녀도의 여자 주인공인 모화와 이름이 똑같다. 실제로도 김동리 경주시 출신이고 소설 무녀도의 배경도 이 일대다.

1937년 배치간이역으로 개업 후 1951년 4월 12일 잠깐 보통역으로 승격하기도 했으나 이용객 감소로 인해 1972년 7월 20일 무배치간이역으로 떨어졌다가 다시 이용객 증가로 1978년 11월 25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가[1] 또 이용객이 줄어들어서 2004년 12월 10일 무배치간이역으로 떨어졌다.

2007년 6월 1일 여객취급이 중단된 이후 역 건물은 민간 회사에 임대되었다.

그러나 2018년 3월 즈음 임대기간이 끝나 다시 휑해진 상태이다. 그나마 남아 있던 역명판과 입간판마저 철거하였다. 하지만 옆에 같이 있던 부동산은 그대로 영업 중이다.

파일:20200221_163509.jpg
바로 앞쪽 유휴부지에 세워진 <울산~포항 복선전철 제2공구 건설공사>라는 표지판을 달고 있는 현장사무소. 이 곳은 2009년 경 세워진 동해선 신선 건설현장사무소이다.

옆동네 입실역 외동신호장으로 이름을 바꿔 재개업했다. 외동역은 경주까지 전철 연장이 정치권에서 꾸준히 논의되고 있고 동해선 이설 선로가 읍내 근처를 지나가기 때문에 여객취급을 할 가능성이 있지만 모화역은 동해선의 이설 선로가 현 위치와 거리가 먼 산 쪽으로 지나가기 때문에 부활의 가능성도 없다.

2022년 4월 30일 기준, 역이 폐역되었음에도 역사는 남아 있고 임대되었던 시절 역사 입구가 그대로 남아 있다.

3. 주변 교통

남쪽으로 울산광역시와의 경계가 있고 인근에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종점이 있다.[2] 경주 버스인 600번과 울산 버스 112번, 402번, 412번, 482번, 712번과 환승을 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서 서울-부산 시내버스 여행을 당일치기로 할 수 있다.

4. 기타

2007년 여객취급이 중단된 이후 도로변은 평소 방치된 채 관리가 되지 않아 폐타이어와 폐자재도 쌓여있어서 지저분한 곳인데 2019년 7월 30일때, 역 앞 도로변에 '게릴라 가든'으로 조성하였다. 출처 2021년 12월 28일 태화강역- 포항역 동해선 복선전철화가 완료되어 이설되면서 폐지되었다.

5. 둘러보기

동해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여객영업 X
}}}}}}}}}



[1] 보통역으로 승격되기 한 달 전인 1978년 10월 21일 현재 역사가 준공되었다. [2] 경상북도 울산광역시 간 도 경계를 넘지만 시계외요금은 없다. 실질적으로 시계를 넘어도 구간이 얼마 없어 요금받기도 애매해서로 추정된다. 그에 반면 1127번, 1137번, 1147번은 양산 웅상과 부산까지 넘나 들기에 추가요금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