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6:29:25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마을버스(부산)에서 넘어옴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부산광역시 마을버스/목록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부울경의 대중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0f0f0,#2d2f34>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울산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남
항공 김해국제공항 울산공항 사천공항
가덕도신공항1
철도 역 목록 역 목록 역 목록
동남권 광역전철
도로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교통카드
티머니 · 캐시비( 마이비 · 하나로카드) · 김해그린카드 · 센스패스
환승할인
동남권 · 창원-김해 · 창원-함안 · 거창-합천
1: 미개통 / †: 단종 / ‡: 단종 및 통용중지
}}}}}}}}} ||

{{{#!wiki style="margin: -10px 0" <tablebordercolor=#6ebf46>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노선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007F; font-size: 13px;"
강서구 금정구 기장군 남구
동구 동래구 부산진구 북구
사상구 사하구 서구 수영구
연제구 영도구 중구 해운대구
파일:20231015IMG_0506.jpg 파일:1000033824.jpg
부산의 일반적인 마을버스[1] 부산 마을버스 노선 중 유일하게 대형 저상버스를 운행하는 두 노선 중 하나인 강서20의 운행 모습[2]

1. 개요2. 역사3. 도색4. 특징5. 문제점
5.1. 공차회송과 차고지문제5.2. 차량관리5.3. BIS 연동5.4. 파행운행 또는 노선휴업
6. 요금 및 교통카드7. 노선 목록8. 업체 목록
8.1. 폐업 또는 사명변경이 된 업체
8.1.1. 폐업한 업체8.1.2. 사명이 변경된 업체
9. 마을버스 노선조정

1. 개요

부산광역시의 15개 자치구 기장군에서 관리하며, 부산광역시, 창원시 진해구,[3] 김해시,[4] 울산광역시 울주군[5] 일대를 운행하는 마을버스의 총칭.

현재 총 60개 업체, 143개 노선, 581대의 차량(예비차 포함)이 운행되고 있다.

사실상 부산에서 지선버스 역할을 맡고 있다.

한정면허 마을버스 업체가 있다. 국제여객터미널 일대를 순환운행하는 하버트란스가 그 예.

2. 역사

부산에 마을버스가 처음 유상운송 공동 사용 허가를 받은건 1972년의 일로 전국 최초이다. 이후 1979년 자가용 자동차 유상 허가를 얻어 마을버스가 운행하게 되며 이 또한 전국 최초이다. 서울특별시의 경우에는 유상운송 공동 사용 허가를 받은게 부산에는 이미 마을버스가 운행하고 있던 1981년, 그리고 자가용 자동차 유상 허가를 받은 게 1986년이다. 즉 마을버스에 한해서는 오히려 서울특별시 콩라인.[6]

부산시 마을버스의 최초 노선은 선동~시립공원묘지입구[7]의 노선이었으며, 현재의 금정2-1번과 유사하다.
이후 동년 5월에 혈청소마을[8], 1980년에 구덕꽃마을~공설운동장[9] 구간의 꽃마을버스[10], 1981년에 낙농마을~대연동 낙농마을버스[11], 1983년에 감천고개~감천화력발전소 구간의 마을버스[12], 1985년에 감천고개~대학병원 구간의 아미동새마을버스[13] 이 외 1980년대에 개통되었으나 정확한 일자가 불명한 용호농장~대연동 용호농장버스[14], 안창마을~범내골교차로 구간의 안창마을버스[15], 수정아파트~부산진역 구간의 수정마을버스[16], 보수아파트~보수사거리 보수마을버스[17]등 시내버스가 접근하기 힘든 고지대를 중심으로 여러 마을버스 노선이 연이어 개통되어 현재까지 운행을 하고있다.

당시의 이름은 새마을버스였고 무려 자가용면허로 운행했다. 지금과 같은 체계가 정립된 건 1991년 1월 1일.[18]

본래는 노선번호가 없었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기에 이르러 서서히 노선번호를 갖추게 되어 지금에 이르며 혈청소마을버스만 유일하게 시내버스로 전환이 되어 현재까지 운행되고 있다.

3. 도색

도색은 새마을버스 시기에는 노선별로 제각각이었다. 1991년에 마을버스로 체계가 개편된 이후에는 부산 일반버스 구도색과 동일한 도색을 사용했다. 이후 1990년대 중,후반부터 부산 시내버스 구도색을 살짝 변형한 윗부분 라인이 노란색 도색이었다.[19] 도색을 사용하다가 2000년 즈음 빨간색, 파란색의 도색을 사용했고[20] 이 도색은 2024년 노후화된 강서구 마을버스[21]들을 대차하며 전부 사라졌다. 2011년 연말부터 바뀌기 시작하여 아래는 진한 초록이고 윗부분은 연두색이다. 그 사이로는 흰색 파도를 넣어 구별하였지만 민원으로 인해 흰색파도 부분이 제거된체로 출고된다.[22] 영세한 업체의 경우 초록색 부분까지 제거하여 완전히 연두색으로 출고되는데, 부산시에 문의 결과 역시나 업체의 재정 문제라고... 2019년 이후로는 영세업체 관계 없이 모두 연두색 단색 도색으로 출고되고 있다. 일부 업체들은 패턴 없이 위는 연두색, 아래는 녹색으로 출고하기도 하는데 완전 단색도색보다는 낫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4. 특징

  • 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는 기본적으로 서울특별시와 매우 유사하며 산지와 오지, 골목길이 많고 난개발의 대명사격 도시이기 때문에 타 도시에 비해 마을버스가 상당히 활성화되어 있다.
  • 지선버스와 G도색을 공용하는 서울특별시와 달리 마을버스 전용 도색이 있으며 노선명 표시방식이나 행선판 디스플레이 형식이 규격화되어 있는 것은 아니나 비교적 통일된 형식을 쓰고 있다.[23] 대학교에 출입하는 마을버스의 경우에는 대학교 로고가 붙은 고유도색을 쓰기도 한다.[24] 그리고 기장군청에서 별도로 운행하는 기장군버스[25]는 빨간색 도색이며, 강서구청에서 별도로 운행하는 다람쥐 버스는[26] 몬드리안 그림 도색[27]에 노란색 다람쥐가 있는 버스이다.
  • 노선 길이가 짧은 노선도 많지만 매우 긴 노선 또한 많이 있으며, 특히 강서구 기장군은 면적이 매우 넓기 때문에 이 곳을 경유하는 마을버스의 경우 어지간한 마을버스 노선이 시내버스 노선을 뺨칠 만큼 길다. 환승할인제는 다른 자치단체에 비해 늦게 실시했다. 동남권 통합 요금 참조. 또한 기장3번은 울산광역시 서생면을 경유하며 강서1번은 창원시 진해구, 강서2번은 김해시 부원역까지 부산광역시 밖에서도 일부 운행한다.
  • 시내버스 지원운행이 거의 없을정도로 노선망이 거미줄처럼 되어있을 정도에다 마을버스 노선망 하나는 전국에서 고양시 마을버스와 탑을 이룰 정도다.
  • 부산의 마을버스 업체는 운용차량이 예비차 포함 7대 이상만 되면 설립허가가 된다. 하지만 부산마을버스조합이 있기에 실제 신규법인이 생겨나는것 보다는 기존 업체들이 사세가 커졌다 싶으면 친인척를 사장으로 세우고, 업체를 분리하는게 허다하다.[28] 그 외에도 모 업체에서 계열분리하여 독립하는경우도 존재한다.[29]
  • 대부분의 계열사는 2000년대 중반 들어 생겼다. 예외적으로 성진버스와 부경버스, 연산버스와 대호교통은 계열관계의 역사가 타 업체에 비해 긴 편이다.[30] 이러한 결과 운용차량이 10대 미만의 업체가 대부분이다. 제일 운용하는 차량이 많은 업체는 대일교통(23대)[31], 그 다음이 녹산버스(21대)[32] 3위로 삼진운수, 성신여객, 태영교통, 기장교통[33](17대)이 뒤를 잇는다.
  • 마을버스 업체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업체는 성진버스로 80년대 새마을버스 시절부터 운행하던 회사이다. 이외에는 부영버스와 금정버스도 새마을버스 시절부터 운행해서 역사가 긴 편이다.
  • 마을버스 노선 중 가장 많은 대수가 운행하는 노선은 성진버스 금정6번과 태영교통의 사상6번(각각 12대+예비1대)이다.
  • 면허의 경우 1996년 번호판 개정 이전에는 부산 5 자 96XX, 97XX를 사용했고 번호판 개정 이후에는 부산 70 아 10XX ~ 16XX, 37XX후반부의 면허를 사용한다.[34] 16XX는 부산시티투어 노선, 국제여객터미널 순환버스에서도 사용하고 있으며, 과거 김해공항리무진에서 사용한 적도 있었다.[35] 37XX는 타바라 면허도 사용 하고있다.
  • 부산시의 교통정책에 의해 강서구와 기장군의 마을버스는 수익금 공동관리제(통합관리제)를 시행하며, 나머지 자치구는 민영제로 운영된다. 하지만 차량총량제(운행 차량대수의 동결)로 순수증차가 제한되어 있어 특정 노선을 증차시키려면 자사 노선을 감차해서 투입하거나 타 업체에서 차량을 양수받아야 한다.[36] 물론 차량을 양도한 업체의 노선은 필연적으로 감차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다만 한정면허 버스는 차량총량제의 적용을 받지 않기 때문에 순수증차가 가능하다.
    • 마을버스도 차량총량제로 묶인 이유는 무료환승으로 인한 요금 금액, 적자 손실을 부산시 예산으로 보전해 주는데 특정 업체가 임의로 증차하면 손실 보전 보조금 예산이 늘어난다. 증차하는 업체는 보조금을 더 얻는데, 증차 못 하는 업체는 보조금이 그대로이거나 더 줄어드는 형평성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 무료 환승 보전금은 시내버스, 지하철으로 환승에 대해 건당 집계해서 100% 보전받으나, 무료환승제 시행으로 생긴 환승 적자 손실 보조금은 100% 지원이 아니라 매년 예산 편성될때 마다 다르다. 20~30% 수준이다. 즉, 환승으로 100만원 손해보면 끽해야 20~30만원 밖에 못 받는 셈이다. 이러니 마을버스도 차량총량제가 생길 수 밖에 없다.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와 달리 교통카드 단말기는 이비카드의 것이 아닌 삼원FA의 3G 단말기를 이용하였다가[37] 2016년 2월부터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에 사용하는 신형 단말기로 교체되었다. 동시에 안내방송도 시내버스와 동일한 형태로 변경되었다.[38]
  • 2015년 7월 부터 기장군 마을버스 노선에 시내버스랑 똑같은 LED 행선판이 장착되기 시작하였다. 형태는 양산시 시내버스에서 사용중인 LED 행선판과 동일하다. 다른 지역의 마을버스 또한 2017년 10월 말부터 북구를 시작으로 LED 행선판을 장착하기 시작했고, 현재는 전차량 장착되어있다.[39]
  • 중형급의 차량이 투입되는 노선은 서구 5, 부산진 8번과 같이 셔틀버스의 성격이 강한 일부 노선들을 제외하면, 더 작은 크기의 차량이 운행되는 노선보다 대체적으로 긴 경향이 있다. 당장 부산 마을버스 중에서 노선이 가장 긴 편에 속하는 기장 3번과 강서 7-2번도 전 차량이 중형차량이다.

5. 문제점

5.1. 공차회송과 차고지문제

타 지역의 마을버스 대부분이 그렇지만, 거의 대부분의 노선이 차고지에서 공차회송한 후 운행을 시작한다. 즉, 차고지가 기점인 노선이 매우 드물다.[40]

공차거리가 짧으면 다행이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머나먼 길을 달려와서 운행을 해야 하는 경우도 심심찮게 있다. 차고지가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신지교통의 경우 차고지가 기점인 부산진 17과는 달리, 강서2번의 경우 고속도로까지 타고 약 14km를 달려 강서구청역까지 가야 한다.[41]

차고지가 강서구청역 옆의 구포대교 밑에 있는 지사교통의 경우도 마찬가지.[42] 동래5번의 경우도 고속도로타고 약 12km를 달려 동래역까지 가야 한다. 세성교통의 경우 서구3번 이외에도 해운대구 쪽에 공영주차장을 별도로 임차해서 공차거리를 줄였지만, 2015년에 삼강버스라는 계열사로 분리했다. 성진버스의 경우 주력노선인 금정6번의 경우 운행 노선 중간에 차고지가 있으며[43] 해운대3번의 경우 기점이 센텀여객 차고지라 센텀여객 외를 제외한 성진버스 는 재송동에서 금사동까지 공차거리가 있다. 그래도 이정도면 많이 짧은 수준. 차고지가 기점인 기장 8번, 기장 8-1번, 기장 11번과 달리 기장 57번은 기장읍에서 동해선 좌천역까지 약 9km를 공차회송 해야된다.

일부 영세한 업체의 경우 자사 소유의 고정된 차고지가 없어서 공영주차장, 공영차고지 등을 임차해서 쓰는 경우도 많다. 이런 업체의 경우 일정기간 사용료를 내고 임대 계약을 맺는데[44] 이 때 계약을 갱신하지 않으면 얄짤없이 주차장, 차고지 사무실을 비워 줘야 한다. 이게 원활히 이뤄지지 않으면 몇 년 단위로 차고지를 이리저리 옮겨다니는 일도 생긴다. 공차거리와 더불어 근무여건 악화, 정비 소홀 등 승객 안전과 연관될 수 있는 문제이니만큼 이 부분에 대해서는 개선이 필요한 부분. 다만 시내버스 계열의 업체는 차고지를 시내버스와 같이 쓰고 있으므로 이런 문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물론 시내버스 계열 업체의 노선이라도 공차거리가 존재하는 노선도 많다.

5.2. 차량관리

위에 언급하였던 차고지 문제로 인해 차량정비가 소홀한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노선특성상 험난한 도로를 운행해야하는데 정비가 제대로 되지 않아 브레이크가 파열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였다.

5.3. BIS 연동

최근 새로 부착한 버스 도착안내에 마을 이라는 이름이 따로 있는데, 마을버스도착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것이며, 2016년 6월19일 부로 일부노선들에 한해 도착안내가 시행중이고, 6월 30일부로 대다수의 노선으로 확대되었다. 7월중으로 전 노선에 대해서 시행 될 것으로 보였으나 2017년 해를 넘기기까지 전 노선 확대는 감감 무소식이다. 그런데 정류장이 다르다. 근데 구 이름은 어떻게 쓰지

2016년 연초에 BIS 연동을 위해 시내버스와 동일한 제품의 단말기로 교체하였고(다만 하차단말기는 1개만 달려 있다), 7월경부터 BIS에 의한 배차관리가 실시되었다. 일부 정류장의 도착 안내기에서는 마을버스도 안내하고 있지만 아직은 대부분 안내되지 않고 있다. 네이버 지도와 다음지도가 일부 노선을 제외한 대부분의 노선에 한해 BIS 연동을 시작하였다. 다만 BIS연동을 한 노선이라고 해도 도착시간이 비정상적으로 나오거나 바로 옆에 유턴해서 오는 버스가 있는데 40분으로 표기된다거나 제대로 연동이 안되는 버스가 있으니 유의하자. 이 경우 어느 지점을 넘어가면 갑자기 신호가 다시 잡혀 텔레포트 되거나 아니면 오류인 상태로 방치되다가 언젠가 고쳐지거나 둘 중 하나다(...)

마을버스 노선의 경우에는 지선노선이 존재하거나 특정시간대에만 운행하는 노선이 있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반영이 되어있지 않고 본 노선만 반영이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도착시간 안내가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2023년 7월에 기장군 버스가 카카오 맵에 실시간 등록이 완료 되어 가지 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에 실시간 안내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다. 다만, 기장군 버스는 첫 막차 제공은 하지 않고 있다.

5.4. 파행운행 또는 노선휴업

준공영제 시행으로 시에서 지원을 받는 시내버스와 다르게 마을버스는 영세한 업체가 많다보니 적자를 이유로 임의감차, 임의면허말소, 파행운행 또는 1년 이상 장기휴업하는 노선이 있다.

구청에 허가를 받지않고 임의감차나 파행운행을 할 경우 구청에서 경고장을 보내지만, 이를 무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 강서9번: 이용승객이 없다는 이유로 시기미상 파행운행을 하고 있다.
  • 남구2번 이기대지선: 이용승객이 없다는 이유로 2020년 1월 1일부터 운행을 하지 않고 있다.
  • 동래1-1번: 적자를 이유로 2022년 12월 21일부터 2024년 12월 20일까지 휴업한다.
  • 동래7-1번: 적자를 이유로 2021년 10월 16일부터 2024년 10월 15일까지 휴업한다.
  • 동래10번: 적자를 이유로 2024년 9월 1일부터 2025년 9월 1일까지 휴업한다.
  • 북구7-2번: 적자를 이유로 2023년 1월부터 파행운행을 하다가 시기미상 부터 2024년 11월 30일까지 휴업한다.
  • 사상8번: 적자를 이유로 2023년 7월 16일부터 시기미상 까지 휴업한다.
  • 사하3-1번 주말노선: 이용승객이 없다는 이유로 2021년 1월 9일부터 파행운행 하고 있다.

6. 요금 및 교통카드

부산광역시 마을버스조합 사이트 중 요금 페이지
마을버스는 운행거리 및 지역 특성의 차이로 인해 요금이 구ㆍ군별로 상이하며, 같은 구역 내라도 일부 노선은 다른 운임이 적용되기도 한다.

- 2008년 7월 2일부터 시내버스, 도시철도와 환승제도 실시
- 2015년 7월 1일부터 시내버스, 도시철도 환승요금 200원 폐지[45]

모든 마을버스 노선은 탑승 후 70분 이내 하차 시 환승처리가 되며 초과시에는 환승처리가 되지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 70분을 초과하여 하차태그를 하면 "하차입니다"가 아닌 "감사합니다"나 "반갑습니다" 멘트가 나오며 요금이 이중으로 빠져나간다.[46] 이런 경우 승무원은 요금을 환불해 주지 않기 때문에 캐시비( 이즐)에 전화해서 요금 환불을 받아야 한다.[47] 이는 부산뿐만 아니라 전국의 모든 마을버스 노선들이 동일한 특징이다. 때문에 마을버스 노선을 70분 가량을 타고가야 하는 일이 생긴다면 그냥 타 노선 환승을 포기하고 하차태그를 하지 말거나 승차 시에 카드태그시간을 정확히 계산하여 70분이 초과하기 전에 미리 하차태그를 해야 한다.[48] 관련 내용

특히 운행거리가 긴 편인 강서구 대부분의 마을버스 노선이나 강서구 다람쥐버스나 기장3번, 기장8번, 사상6번 등등의 노선을 이용할 때는 주의해야 한다.

이런 체계를 고치려고 해도 전국의 모든 지자체 소속 마을버스 공통이라 쉽지 않으며 국토교통부까지 올라가야 하는 사안이라 지자체나 단말기 업체가 독자적으로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사실 마을버스가 장거리를 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기도 하고..

7. 노선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광역시 마을버스/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업체 목록

※ 부산시마을버스조합 비회원사들은 시내버스 회사로써 마을버스 운행을 직영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물론 시내버스업체 계열사이면서도 마을버스조합에 가입한 경우도 있다.
※ 공동배차 노선은 번호 뒤에 †표시를 붙였다.
※ 사무소 소재지 주소의 회색 글씨는 마을버스운송조합에 등록된 사무소 소재지(정확하게는 면허지)이다.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운송 조합 조합원 목록
업체명 사무소 소재지 운용대수 운영노선
감만버스 남구 양지골로 37 (감만동 239-6) 7대 남구6번
강서교통 강서구 대저1동 2330-1 9대 강서 1†, 강서 7, 강서 12†
광안교통 수영구 망미번영로 105 (망미동 271-3) 10대 수영 2, 수영 2-1
구덕교통 사하구 을숙도대로709번길 8 (구평동 112-28) 8대 사하 9, 서구 1
금정버스 동래구 금정마을로 4 (온천동 1723-6) 7대 금정5, 금정 5-1, 동래 3
기장교통 기장군 기장읍 대청로13번길 65 (대라리 1041) 17대[49] 기장 1[한정],기장 57[한정], 기장 8†, 기장 9, 기장 10[한정],기장 11
녹산버스 창원시 진해구 남의로 155 (두동 1088-27)[53] 21대 강서1†, 강서8, 강서 9, 강서 9-1,강서 16, 강서 20, 강서 21†, 강서22
당리교통 강서구 새진목길 46-11 (명지동 3174-27) 8대 사하 2, 사하 2-1, 사하 2-2
대영버스 금정구 장전로 13 (장전동 680-36)[54] 8대 금정 7
대용여객 남구 용호동 산196-4[55] 8대 남구2
대일교통 강서구 대저1동 2330-1 23대[56] 강서 1-1[한정], 강서 3, 강서 6-1[한정], 강서 7-1[한정] 강서 11, 강서 12-1[한정], 강서 13
대일버스 영도구 일산봉로 33(청학동 77-39) 12대 영도 5, 영도 7
대저여객 강서구 대저1동 2330-1 9대 강서 5, 강서 12†, 강서 14, 강서 21†
대호교통 강서구 제도로 593 (강동동 3553-15) 8대 강서 15, 강서 19
동서교통 사상구 가야대로 331 (주례동 1233-6) 8대 사상 5, 사상 5-1, 사상 5-2
동아버스 사하구 을숙도대로709번길 8 (구평동 112-28) 9대 사하 10, 서구 5
동주교통 사상구 동주로 28 (주례동 620-2) 7대 사상 3, 사상 3-1
동진써비스 사하구 다대로 722 (다대동 1548-9) 9대 사하 15
범양버스 남구 못골번영로71번길 38 (대연동 1555) 7대 남구 1
범우교통 부산진구 양성로 44 (양정동 458-52) 14대 부산진 1, 부산진 2, 부산진 12
부경버스 사상구 새벽시장로 64번길 50, 1층 (감전동) 11대 사상6†
부민교통 남구 동명로 195 (용호동)[61] 10대 남구 8, 남구 9
부영교통 남구 천제등로 55-1 (대연동 893-10)[62] 7대 남구 3
산성버스 금정구 산성로 530-1 (금성동 928-5) 7대 금정 1
삼강버스 해운대구 청사포로 155 (중동 509-4) 11대 기장 6, 해운대 2, 해운대 7, 해운대 10
삼경여객 사하구 옥천로 119 (감천동 10-10) 8대 사하 1-1†, 서구 2, 서구 2-2†
삼안교통 동구 안창로 83 (범일동 산65-293) 8대 동구 1, 동구 1-1
삼진교통 북구 만덕동 775-9 10대 북구 2, 북구 8, 북구 8-1, 북구 8-2, 북구 9
성신여객 동래구 명서로 114 (명장동 506-5) 16대 동래 1, 동래 7
성우교통 사상구 감전천로 96(학장동) 7대 사상 2, 사상 2-1
성진버스 금정구 금사로 121 (금사동 34-2) 15대 금정6, 해운대3†
세성교통 서구 해돋이로 382 (서대신동2가 558-1) 8대 부산진 13, 서구 3, 서구 3-1
세성서비스 동래구 온천천로531번길 35 (안락동 167-11) 7대 동래 2
센텀여객 해운대구 재송2로74번길 28(재송동 1160-2) 8대 해운대 3†, 해운대 3-1, 해운대 3-2
수정여객 동구 수정공원로12번길 1 (수정동 1166-5) 7대 동구 2
신라교통 사상구 백양대로659번길 10-19 (괘법동 226-10) 14대 사상 1-1, 사하 3, 사하 3-2, 남구5
신아교통 동래구 쇠미로17번길 16 (사직동 981-124) 7대 동래 8
신지교통 부산진구 성지곡로 59-1 (초읍동 363-2) 7대 강서 2, 부산진 17
연산버스 연제구 대리로6번길 100-1 (연산동 684-39) 7대 연제 6, 연제 7
연제교통 연제구 황령산로 506 (연산동 산182) 7대 연제 1, 연제 3
영도여객 영도구 청학동 48-226 7대 영도 1, 영도 2
용진교통 금정구 수내1길 21 (두구동 478-2) 9대 금정 2-1, 금정 2-2, 기장 2-3
우성버스 사하구 감천로 143 (감천동 42-3)[63] 10대 사하 1, 사하 1-1†, 서구 2-2†
중구버스 금정구 금사로 121 (금사동 34-2) 7대 중구 1
지사버스 동래구 쇠미로129번길 58(온천동 1647) 10대 강서 7-2, 동래 5
차성교통 기장군 기장읍 대청로13번길 65 (대라리 1041) 9대 기장 2, 기장 3, 기장 8†, 기장8-1
창신교통 동래구 명서로114번길 6 (명장동 506-25) 10대 동래 6, 동래 6-1
태성여객 연제구 봉수로 138 (연산동 2039)
금정구 노포동 75-3
12대 금정 3, 금정 3-1, 연제 2
태영교통 사상구 새벽시장로 64번길 50, 1층 (감전동) 17대 사상 6†, 사상 8, 사상 8-1
하나교통 사하구 하신중앙로 100 (신평동 370-28) 11대 사상 7, 사하 3-1, 사하 5
한국교통 부산진구 양지로8번길 14 (양정동 363-61) 9대 부산진 7, 부산진 8, 부산진 11
화린교통 사하구 감천항로405번길 70 (구평동 484-7) 8대 사하14
시내버스 업체 계열 마을버스 업체 목록
업체명 사무소 소재지 운용대수 운영노선
(주)서호 동래구 사직북로5번길 49 (사직동 89-1) 7대 동래 10, 북구 3†
대도공영 부산진구 가야대로 494 (개금동 163-8) 13대 부산진 6, 부산진 6-1, 부산진 9
대명교통 부산진구 진사로 78-11 (개금동 783) 11대 부산진 10, 부산진 10-1
동원교통 사하구 다대로 722 (다대동 1548-8)[64] 10대 사하 6, 사하 8
삼진마을버스 북구 효열로 282 (금곡동 53-5) 9대 북구 3†, 북구 7-2
삼진운수써비스 북구 효열로 282 (금곡동 53-5) 7대 북구7
태진버스 북구 시랑로185번길 66 (구포동 857-1) 13대 북구 1-1, 북구 6
한창버스 연제구 월드컵대로 420 (연제공용차고지) (거제동 1517) 7대 부산진 15

8.1. 폐업 또는 사명변경이 된 업체

부산은 타 지역에 비해 유난히 버스 회사의 인수 합병 사례가 많은 편이다.

2005~2006년 즈음하여 마을버스 또한 시에서 관리 하기 시작하였고, 관리체계화 되면서 마을버스 업체 설립, 유지에 최소 인가대수를 7대로 정립되어, 소수차량만 운용하던 업체들은 빠르게 통폐합되었다.

8.1.1. 폐업한 업체

차순은 행정구획별로 정리한다.
업체명 노선
가덕버스 강서구 1번
강동교통 강서구 2번
덕두교통 강서구 3번
남성교통 강서구 6번, 8번, 17번
신호교통 강서구 9번
강서버스 강서구 3-1번, 11번
서남버스 강서구 12번
하신교통 강서구 14번
태화교통 강서구 10번, 16번
금성버스 금정구 1번
선두교통 금정구 2번
오륜버스 > 회동버스 금정구 5번
동남버스 남구 1번
동래교통 동래구 2번
삼동여객 동래구 7번
전포버스 부산진구 12번
남부운수 사하구 14번, 사상구 7번
신익교통 사하구 9번
우주교통 사하구 13번[65]
씨케이버스 연제구 3번, 9번
조양버스 > 신성여객 영도구 5번, 6번, 7번
중앙버스 중구1번

8.1.2. 사명이 변경된 업체

사명이 변경된 업체
황성교통 > 경마여객 > 강서교통
작지버스 > 대저여객
미성교통 > 신지교통
삼보교통 > 삼안교통, 삼경버스
선동버스 > 태성여객
일신마을버스 > 센텀여객
일용버스 > 차성교통
일회버스 > 기장교통
화명교통 > 삼진교통, 삼진운수
만우버스 > 성우교통
주례교통 > 동주교통
범양교통 > 범우교통
대용운수 > 대용여객

9. 마을버스 노선조정



[1] 사진 속 노선은 청학2동 일대를 운행하는 영도7번 마을버스 [2] 다른 하나는 부산진6번, 중형 저상버스들은 부산진10-1번, 북구3번, 북구7번, 사상6번이 있다. 그리고 북구3번 북구7번부산 구·군 마을버스 최초로 일렉시티 타운의 도입이다. [3] 녹산, 명지일대에서 진해구 용원일대까지 가는 마을버스가 많다. 이쪽은 과거 자연부락 시절엔 부산보단 진해쪽으로 가서 장을 봐오거나 했을 정도로 진해와 관련이 깊었으며 거리상으로도 부산시내보다는 진해시가지가 더 가깝다. 하지만 녹산, 명지일대에 대규모의 택지지구가 조성되면서 현재는 오히려 진해주민들이 명지, 녹산쪽으로 와서 마트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진해방향으로는 시외버스만 다니기 때문에 특별한 일이 없다면 녹산, 명지 주민들이 굳이 진해로 갈 이유가 없다. [4] 강서구. 이쪽 일대가 행정구역이 좀 복잡해서 생긴일이다. 원래 강서구는 김해소속이었는데 부산으로 소속이 변경될때 미세구역조정을 하지 않아 발생했다. 몇정거장 안갔는데 부산에서 김해를 거쳐 다시 부산으로 오는 경험을 해 볼 수 있다. 현재 강서구 내부만 다니는 마을버스는 부산 버스 강서8번(명호고~한양수자인)과 부산 버스 강서22번(명지환승센터~평강농협) 밖에 없다. 두 노선 모두 2024년 6월 29일에 신설되었으며, 그 전까지는 강서구 내부만 운행하는 노선이 강서15-1번과 강서20-1번밖에 없었다. [5] 부산 버스 기장3, 울주 서생일대까지 연결된다. 참고로 이 마을버스는 어지간한 시내버스보다도 긴 거리를 운행하며 유일하게 울산까지 가는 부산시 면허 버스이다. [6] 또한 의외로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데 좌석버스 또한 부산이 서울보다 2년 정도 먼저 운행했다. 당시 이름은 시내직행버스. [7] 현재 범어사역 [8] 9번 [9] 현재 구덕운동장 [10] 서구1번 [11] 남구1번 [12] 사하1번 [13] 서구2번 [14] 남구2번 [15] 동구1번 [16] 동구2번 [17] 중구1번 [18] 이는 부산뿐만이 아니라 서울, 인천 등 당시 마을버스를 운행하던 대부분의 지역에서 이렇게 시행했다. 참고로 인천은 부산보다 조금 늦게 영업용 면허를 받았고, 서울은 1996년에야 마을버스도 영업용 번호판을 달게 된다. [19] 해당 기사에 따르면 1997년부터인듯 하다. 참고로 강서구에 운행했던 일부 무냉방 에어로시티, 냉방초기형 BS106의 경우 윗부분이 아닌 아래부분에 노란색을 입힌 차량이 대부분이으며, 신차로 출고된 차량은 앞 뒷부분 천장이나 뒷부분 노란색에 평행사변형이 끊겨 있는 등 시내버스와 다른점이 있었다. [20] 자일대우버스 차량은 운전석 부분과 앞문, 전면 아래부분의 파랑색을 흰색으로 칠해 포인트를 줬지만, 현대자동차 기아 차량은 밋밋한 빨강/파랑 투톤 이었다. 물론 업체에 따라 바뀌기도 했다. [21] 전국 최후의 영업용 BS090 팬더미디이다. [22] 무속적이다(...)라는 민원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사실 재정 문제가 가장 큰데, 일단 색상이 하나 늘어나 비용이 더 들고 어려운 무늬는 거기에 추가적인 비용이 더 든다고 한다. 시내버스 업체 계열사이거나 자체적으로 어느정도 규모를 갖춘 회사면 문제될 게 없지만, 영세한 업체에게는 이 또한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는 부분. 하지만 민원 내용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다. [23] 카운티, 레스타 준중형버스 차량의 행선판 형식과 에어로타운, 그린시티 중형버스 차량의 행선판 형식이 약간 다르다. [24] 대표적으로 부산대학교를 경유하는 금정7번, 동아대학교를 경유하는 사하 10번, 서구 5번, 동의대학교를 경유하는 부산진구 6번 부산진구 6-1번등의 노선이 있다. [25] 기장1번, 기장10번, 57번 [26] 강서 1-1번, 강서 6-1번, 강서 7-1번, 강서 12-1번 [27] 2023년도에 강서구청 외벽을 몬드리안 그림으로 도색했는데 그에 맞춰 도색한 것 [28] 범양교통-범우교통, 신아교통-지사교통, 성신여객-창신교통, 연산버스-대호교통-화린교통, 삼안교통-삼경여객, 구덕교통-동아버스, 세성교통-세성서비스등이 해당된다. [29] 성우교통-하나교통, 세성교통-삼강버스가 해당된다. 사실 삼강버스는 과거부터 존재하던 회사였으나 2000년대 중반에 세성교통에 통합되고 이후 세성교통에서 기존 삼강버스 경영진이 구. 삼강버스 노선을 가지고 다시 분리독립을 하면서 삼강버스가 부활한 것이다. [30] 90년대 후반, 성진버스가 동성여객 계열에서 갈라져 나오면서 부경버스를 인수해 계열관계가 성립되었으며, 대호교통은 설립때부터 연산버스 사업자가 1995년에 강서 마을버스 운행 목적으로 설립한 업체이다. [31] 한정면허가 10대 포함. [32] 심지어 운용 차량 중 절반 정도가 중형 차량이며, 대형차량은 무려 7대가 운행 중이다. 그 사이에 있는 저상버스 몇 대는 덤. [33] 한정면허 6대 포함 [34] 시내버스와는 다르게 한 업체에 여러 번호대의 면허가 공존한다. [35] 현재는 부산71자 60XX로 변경. [36] 타 업체에서 차량을 양수받아 증차시킨 사례로는 태성여객, 화린교통, 대명여객, 지사버스 등이 있다. [37] 시내버스 업체에서 운행했던 마을버스에는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에서 사용했던 이비카드의 단말기를 사용 하였다. [38] 물론 단말기 교체이전에도 시내버스랑 동일한 형태의 안내방송을 사용한 곳이 있다. [39] 부산진구, 해운대구와 같이 세 자리 구 명칭은 각각 진구, 해운으로 두 자리로 줄여서 송출한다. [40] 아주 없지는 않다. 금정1번 (산성공해마을), 기장2-3번(범어사차고지), 기장2번, 기장3번, 기장8번, 기장8-1번, 기장9번, 기장11번 (기장차고지), 동구1번, 동구1-1번(안창마을), 동래1번(명장2치안센터) , 동래3번(금정산약수터), 부산진10-1번(개금아파트), 부산진17번(초읍대진아파트), 북구3번(금곡차고지(서호 제외)), 연제1번(물만골), 해운대3번(센텀여객만 해당,글로리아파트), 해운대3-1번(글로리아파트), 강서13번 등 [41] 초읍동~당감동~백양터널~ 중앙고속도로를 타고 가거나, 초읍동~사직동~만덕터널~ 남해고속도로를 타고 간다. [42] 이 곳에 경마여객, 대일교통, 대저여객 등 강서구 연고 마을버스 업체의 차고지로 쓰고 있다. 2014년 상반기까지는 대저역 고가 밑에 있었으나 이전하였다. [43] 거리상으로도 거의 중간지점에 위치해있다. [44] 주차장뿐만 아니라 업체 사무실, 간이 정비시설도 같이 들여 놓는다. [45] 다만 수단간 차액은 지불한다. [46] 70분이 지나 하차태그를 하면 새로운 결제가 되는 시스템이다. [47] 당연히 하차 태그를 못해서 환승을 못해서 이중으로 돈이 나간 경우는 환불 대상이 아니다. [48] 이러한 경우 뒷차 환승대기시간에서 손해를 보기 때문에 환승할 노선의 배차간격이 긴데 환승대기시간이 1시간이 아니라면 그냥 환승을 포기하는 편이 낫다. [49] 6대는 한정면허. [한정] [한정] [한정] [53] 본점 주소는 사상구 새벽시장로 64번길 50, 1층 (주례동) [54] 본점 주소는 금정구 금단로 160, 203호 (남산동, 덕성빌라) [55] 본점 주소는 남구 백운포로 38 (용호동) [56] 10대는 한정면허 [한정] [한정] [한정] [한정] [61] 본점 주소도 같은 주소에 동부상가 105호라고 적혀 있음. [62] 부영카 정비 내에 있음. [63] 본점 주소는 사하구 을숙도대로709번길 8 (구평동) [64] 본점 주소는 연제구 월드컵대로 420 (거제동) [65] 대티고개~승학초교~괴정사거리~국제아파트간 노선이었으며, 사하구 14번에 통폐합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