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4:54:15

동구(인천광역시)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79c1>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중구*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동구*
파일:미추홀구 CI.svg
미추홀구
파일:연수구 CI.svg
연수구
파일:남동구 CI.svg
[[인천광역시청|
시청
]] 남동구
파일:부평구 CI.svg
부평구
파일:계양구 CI.svg
계양구
파일:서구(인천광역시) CI.svg
서구
자치군
파일:강화군 CI.svg
강화군
파일:옹진군(인천광역시) CI.svg
옹진군
* 2026년 7월 1일 중구· 동구 폐지 예정
** 2026년 7월 1일 제물포구· 영종구· 검단구 설치 예정
}}}}}}}}}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29331>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229331> 만석동 만석동
화수1·화평동 화평동
화수동
화수2동
송현동
송현1·2,3동
구청
송림동
금창동 금곡동 창영동
}}}}}}}}} ||
인천광역시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동구
東區
Dong-gu
}}}
<colbgcolor=#229331><colcolor=#fff> 구청 소재지 금곡로 67 (송림동)
광역자치단체 인천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11[1]
면적 7.2㎢
인구 58,456명[2]
인구 밀도 8,188.88명/㎢[3]
구청장
김찬진 (초선)
구의회
5석[4]

2석[5]

1석[6]
시의원
1석[7]
국회의원
허종식
상징 <colbgcolor=#229331><colcolor=#fff> 구화 철쭉
구목 소나무
구조 갈매기
지역번호 032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인구5. 지역 특징6. 교통
6.1. 도로교통6.2. 철도교통
7. 경제
7.1. 금융
8. 문화
8.1. 축제8.2. 음식8.3. 교육
8.3.1. 초등학교8.3.2. 중학교8.3.3. 고등학교8.3.4. 대학교
8.4. 의료기관
9. 정치10. 하위 행정구역11.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인천광역시 중서부에 위치한 구. 인구는 인천광역시 8개 구 중에서 가장 적고[8] 면적은 10개 구·군 중에 가장 작다.[9] 지리적으로 남쪽으로는 중구, 북쪽으로는 서구, 동쪽으로는 미추홀구, 서쪽으로는 황해와 접한다. 위치상 인천의 서쪽에 있는데도 동구라는 명칭이 붙은 이유는 중구 송학동에 있던 인천시청(현 중구청)의 동쪽에 있는 지역이었기 때문이다.(옛날 시청 동쪽에 있는 구)[10] 중구와의 경계선은 경인선이 가로지르고 있다.

2. 상징

인천광역시 동구의 상징
<colbgcolor=#fff>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상징 마크
빨간 '해' 떠오르는 태양을 표현한 것으로 정열적인 의지로 무한한 번영을 추구하는 동구를 상징하며, '구'는 인간존중을 추구하는 동구의 이상과 동구 주민의정을 입체적으로 표현, 흰색은 인천의 모태로서 동구와 주민의 순수성을 상징한다. '역동적인 팔'은 동구의 특성인 사랑과 화합을 표현하고 녹색은 구목인 소나무의 색을 사용하여 GREEN 동구 살기좋은 동구를 상징하고 있다.
파일:동구(인천광역시) BI.svg
도시 브랜드
민선 8기 도시 브랜드이다. 현재 사용중이다.
파일:동구(인천광역시) 캐릭터_동이.svg
캐릭터 '동이'
'동이'는 화도진을 지키는 수군을 모티브로 당당하고 활기차게 인천 동구를 지키고 있는 것을 표현하였다. 작지만 당찬 모습으로 도시의 크기는 작지만 유구한 역사와 희망찬 재도약이 있는 인천 동구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파일:external/www.kfoodtimes.com/356_502_444.png
동구청
파일:동구(인천직할시) 기(1991-1997).svg
1991년부터 1997년까지 사용한 구기

3. 역사

인천도호부(인천부) 다소면이었고, 개항장 지역과 가까웠기에 1914년 대개편때 부천군으로 넘어가지 않고 인천부에 남았다. 2017년 도원역 부근에서 미세한 행정구역 조정이 있었다. # 자세한 사항은 인천광역시/역사 항목으로.

4. 인구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인천광역시 동구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68년 1월 1일 인천시 구제 실시
북부출장소( 송월동 제외) + 동부출장소 → 인천시 동구 설치
1970년 173,286명
1975년 177,047명
1980년 162,487명
1985년 146,413명
1990년 124,276명
1995년 100,240명
2000년 72,989명
2005년 74,602명
2010년 79,663명
2015년 72,571명
2020년 62,542명
2024년 10월 58,45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0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송현1·2동 9,872명
화수2동 7,068명
송림1동 6,493명
만석동 6,428명
송림4동 6,054명
송림6동 5,776명
송림3·5동 5,620명
화수1·화평동 5,577명
송현3동 2,893명
금창동 2,274명
송림2동 1,427명
2023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 ||

===# 행정동별 인구 #===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만석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만석동(법정동) → 만석동(행정동)
1966년 16,373명
1970년 15,719명
1975년 17,024명
1980년 15,113명
1985년 13,097명
1990년 9,657명
1995년 7,682명
2000년 5,924명
2005년 8,739명
2010년 8,121명
2015년 7,911명
2020년 7,151명
2023년 12월 6,42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화수1·화평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화수동 → 화수1·2·3·송현4동 개편
화평동(법정동) → 화평동(행정동)
1966년 32,647명(화수1·2·3·송현4동 23,406명 + 화평동 9,241명)
1968년 7월 1일 화수1·2·3·송현4동 → 화수1·3동, 화수2·송현4동 분동
1970년 20,907명(화수1·3동 11,831명 + 화평동 9,076명)
1975년 20,890명(화수1·3동 11,596명 + 화평동 9,294명)
1977년 5월 10일 화수1·3동 → 화수1동 개칭
1980년 17,617명(화수1동 10,406명 + 화평동 7,211명)
1985년 14,715명(화수1동 8,248명 + 화평동 6,467명)
1990년 11,571명(화수1동 6,387명 + 화평동 5,184명)
1995년 9,107명(화수1동 5,360명 + 화평동 3,747명)
1998년 10월 27일 화수1동 + 화평동 → 화수1·화평동 합동
2000년 6,733명
2005년 8,149명
2010년 8,274명
2015년 7,276명
2020년 6,229명
2023년 12월 5,57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화수2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68년 7월 1일 화수1·2·3·송현4동 → 화수1·3동, 화수2·송현4동 분동
1970년 11,763명
1975년 10,211명
1977년 5월 10일 화수2·송현4동 → 화수2동 개칭
1980년 9,518명
1985년 8,905명
1990년 12,091명
1995년 12,975명
1998년 10월 27일 화수2동 + 송현2동 일부 → 화수2동 합동
2000년 12,021명
2005년 10,578명
2010년 10,187명
2015년 8,994명
2020년 7,855명
2023년 12월 7,06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송현1·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송현동 → 송현1동, 송현2동, 송현3동 분리
1966년 27,843명(송현1동 11,227명 + 송현2동 16,616명)
1970년 29,479명(송현1동 13,449명 + 송현2동 16,030명)
1975년 26,653명(송현1동 12,182명 + 송현2동 14,471명)
1980년 24,216명(송현1동 10,401명 + 송현2동 13,815명)
1985년 21,157명(송현1동 8,972명 + 송현2동 12,185명)
1990년 17,459명(송현1동 7,846명 + 송현2동 9,613명)
1995년 12,526명(송현1동 5,704명 + 송현2동 6,822명)
1998년 10월 27일 송현1동 + 송현2동 일부 → 송현1·2동 합동
2000년 3,645명
2005년 13,683명
2010년 13,053명
2015년 11,958명
2020년 10,704명
2023년 12월 9,87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송현3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송현동 → 송현1동, 송현2동, 송현3동 분리
1966년 14,044명
1970년 14,055명
1975년 14,607명
1980년 13,447명
1985년 10,610명
1990년 9,344명
1995년 8,862명
2000년 6,175명
2005년 5,438명
2010년 5,023명
2015년 4,423명
2020년 3,749명
2023년 12월 2,89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송림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송림동 → 송림1·2동, 송림3동, 송림4동 분리
1966년 19,405명
1970년 7월 1일 송림1·2동 → 송림1동, 송림2동 분동
1970년 11,016명
1975년 11,132명
1980년 10,105명
1985년 9,855명
1990년 8,225명
1995년 6,220명
2000년 4,569명
2005년 3,348명
2010년 3,316명
2015년 2,959명
2020년 1,686명
2023년 12월 6,49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송림2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70년 7월 1일 송림1·2동 → 송림1동, 송림2동 분동
1970년 9,407명
1975년 10,613명
1980년 9,942명
1985년 9,375명
1990년 7,724명
1995년 6,325명
2000년 5,168명
2005년 4,282명
2010년 4,159명
2015년 3,492명
2020년 3,005명
2023년 12월 1,42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송림3·5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송림동 → 송림1·2동, 송림3동, 송림4동 분리
1966년 21,365명
1968년 7월 1일 송림3동 → 송림3동부동, 송림3서부동 분동
1970년 24,104명(송림3서부동 11,479명 + 송림3동부동 12,625명)
1975년 24,384명(송림3서부동 12,047명 + 송림3동부동 12,337명)
1977년 5월 10일 송림3동부동 → 송림5동 개칭
송림3동서부동 → 송림3동 개칭
1980년 21,326명(송림3동 10,529명 + 송림5동 10,797명)
1985년 20,694명(송림3동 10,190명 + 송림5동 10,504명)
1990년 17,490명(송림3동 8,332명 + 송림5동 9,158명)
1995년 12,452명(송림3동 6,791명 + 송림5동 5,661명)
1998년 10월 27일 송림3동 + 송림5동 → 송림3·5동 합동
2000년 10,441명
2005년 9,042명
2010년 9,262명
2015년 9,299명
2020년 8,008명
2023년 12월 5,62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송림4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송림동 → 송림1·2동, 송림3동, 송림4동 분리
1966년 17,389명
1970년 7월 1일 송림4동송림4동, 궁현동 분동
1970년 11,138명
1975년 13,965명
1980년 14,000명
1985년 13,168명
1990년 10,469명
1995년 7,852명
2000년 5,790명
2005년 2,691명
2010년 5,885명
2015년 5,049명
2020년 4,301명
2023년 12월 6,05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송림6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70년 7월 1일 송림4동 → 송림4동, 궁현동 분동
1970년 11,859명
1975년 14,226명
1977년 5월 10일 궁현동 → 송림6동 개칭
1980년 14,974명
1985년 13,960명
1990년 11,123명
1995년 9,428명
2000년 7,010명
2005년 4,413명
2010년 8,161명
2015년 7,549명
2020년 6,761명
2023년 12월 5,77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금창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창영동(법정동) → 창영동(행정동)
금곡동 → 금곡1·2동 개편
1966년 13,846명(창영동 5,763명 + 금곡1·2동 8,083명)
1970년 13,839명(창영동 5,809명 + 금곡1·2동 8,030명)
1975년 13,293명(창영동 5,630명 + 금곡1·2동 7,663명)
1977년 5월 10일 금곡1·2동 → 금곡동 개칭
1980년 12,229명(창영동 5,320명 + 금곡동 6,909명)
1985년 10,877명(창영동 4,699명 + 금곡동 6,178명)
1985년 9월 19일 창영동 + 금곡동 → 금창동 합동
1990년 9,123명
1995년 6,811명
2000년 5,513명
2005년 4,239명
2010년 4,222명
2015년 3,661명
2020년 3,093명
2023년 12월 2,27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5. 지역 특징

6.25 전쟁 이후로 형성된 피란민촌이 주로 동구 지역에 있었다. 당시 중구는 인천의 중심 번화가였고, 고향에서 혈혈단신으로 내려온 많은 피난민들은 도심의 근교 지역이던 동구에 정착했다. 하지만 이북 사람들 특유의 억척스러움을 감출 수 없었는지 유독 동구 사람들이 억척스럽다는 인식이 강했다. 실제로 오늘날 인천지역에서 유지 소리를 듣고 있는 이들 내지는 그들의 가족 상당수가 이북 출신이며 그 중에서도 황해도 출신이 대부분이다. 민선 6·8기 인천광역시장 유정복이 동구 송림동에서 태어난 것도 부모님이 황해도에서 인천으로 이주해서 동구에 자리를 잡았기 때문이다.

인천에서 가장 가난한 지역이라는 상대적 이미지를 갖고 있는데 이는 수도국산 일대 달동네의 이미지[11]와 노후 한옥, 적산가옥이 많은 주거 형태 때문이다. 이런 낙후된 환경을 가진 동구 일대를 배경으로 한 문학 작품이 바로 괭이부리말 아이들이다. 특히 동인천역 북부의 중앙시장/양키시장(전통혼수거리)이 시장 형성 후 70여년이나 됐고 그마저도 퇴화되다 못해 폐장해도 될만큼 낙후한 지역이라 개발이 시급하다. 그러나 지역상권에서 생업을 영위하는 주민들의 대부분이 동인천역 일대에서 70년 넘게 터를 잡아 살아온 고령 주민들이라[12] 개발에 반대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 때문에 동인천역 주변 지역 개발 속도도 더뎠다. 아울러 동구에서 유일하게 철도 교통과 맞닿은 지역이 이렇다 보니 이런 이미지가 형성된 것이다.

다만 이것은 이미지상 그렇다는 것이고, 실제로는 2000년대 초반부터 동구 일대에서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이미지와는 상당히 다르다. 수도국산 일대의 달동네는 1990년대 후반부터 철거돼 3,000세대 이상의 솔빛마을 주공아파트 단지로 개발됐고 만석초등학교 일대나 화도진공원 인근의 주택가도 재개발이 진행돼 현재는 모두 웰카운티 아파트, 영풍아파트, 화도진그린빌 등 여러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송림4동 일대 재능대학교 인근의 지역도 재개발이 완료되어 동산휴먼시아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다.[13] 또한 중앙시장 건너편 송림초등학교 주변의 주택들이 대부분 철거되고 대단지 아파트인 동인천역 파크 푸르지오가 2022년 하반기에 들어서기도 했다.

인구 감소에 따른 주거 환경 개선 대책에 따라 동구에서도 지역난방을 도입하자는 움직임이 가시화되자 청라에너지, 인천종합에너지 양측의 협업으로 동구에도 지역난방을 들여올 가능성이 높은 우선순위 지역이기도 한다. 기존 중앙/개별난방을 하는 주거 시설들을 재건축, 재개발과 동시에 층간소음 방지용 내장재까지 겸비해서 새로이 신축하게 되면 보편적으로 지역난방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주어질 것도 보인다.

현재는 주거 환경이 꽤나 낙후돼있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는 상당한 잠재력을 지닌 도시라고도 볼 수 있다. 화수동과 송림동 일대의 낙후한 주택과 적산가옥은 물론 완공 후 30년을 훌쩍 넘긴 송현동 삼두1·2차아파트의 전면 재건축, 동부아파트와 솔빛마을 주공아파트의 리모델링까지 예상된다면 이 지역과 비슷하게 탈바꿈되고 인근 청라국제도시의 시즌2 형태로 개발되는 계획도 구상해볼 수 있다.

또한 저런 이미지 때문에 심하게 못사는 동네로 오해할 수 있지만 실제로 매우 가난한 동네는 아니다. 이는 현대제철(구 인천제철-INI스틸)과 HD현대인프라코어(구 대우중공업-두산인프라코어), 동국제강 등 대단위-대규모 제조업 공장이 북항 근처 송현동과 화수동에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들 기업이 모두 대기업이기 때문에 직원들에 대한 처우도 꽤 좋은 편이다. 장기 근속하는 근로자들이 많아 소득이 높은 근로자도 많아서 주민 소득 수준은 결코 낮은 편이 아니다.

프랜차이즈 면에서 인천의 다른 지역과 차별된 점이라면 송림동에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송림점이 있다는 정도. 인천 곳곳에 창고형 마트가 생기다보니 과거보다는 혼잡이 다소 덜해졌지만 요즘에도 주말이나 저녁에는 인천 전 지역에서 손님이 몰려오다보니 이 부근의 교통이 몹시 혼잡하다.

5.1. 개명 행정구역 개편 추진

인천시에서는 미추홀구의 도화2동, 도화3동과 숭의1·3동의 경인선 북쪽 지역을 동구에 합병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었으나, 해당지역 주민들에게 설문조사 한 결과 반대가 압도적으로 많아 결국 실행시키지는 못하고 있다.[14] 아마도 동구 하면 좀 못사는 동네라는 느낌이 있기 때문인 것 같다. 하지만, 최근에는 재개발 및 새 아파트 건설로 그런 이미지를 조금씩 떨쳐내고 있다. 미추홀구가 동구에 비해 상당히 넓은 것도 있기 때문에 구 경계를 조정할 계획은 얼마든지 있다.[15]

2012년에는 중구와 동구를 통합하는 계획이 나왔다. 기사 하지만 반대 의견이 많아, 통합이 이루어지는 길은 멀 것 같다. 기사 개칭 찬성론자들은 오히려 동구의 정체성에 맞는 이름을 가지고 있어야 동구가 주도하는 통합을 할 수 있다는 재반론을 제기하고 있다.

한편 인천 본토를 기준으로 가장 서쪽에 있다고 볼 수 있는 현재의 위치로는 동쪽에 위치한다고 보기 힘들기 때문에 동구의 명칭을 변경하자는 이야기가 나왔다. 이에 대해 유정복 인천시장이 직접 언급했다. 기사 2015년 12월 12일 인천 동구와 남구(현 미추홀구)가 명칭 교체를 추진하였다. 기사 동구는 주민들의 절대적 찬성으로 명칭 교체가 확정됐다.[16] 2016년 6월 주민 여론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 지역의 대표적 랜드마크인 화도진지를 강조한 '화도진구(花島鎭區)'로 변경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왔다.

파일:external/www.icdonggu.go.kr/visual_10.jpg

그리고 동구 설치 49년 6개월만인 2017년 7월 1일부터 구의 공식 명칭을 동구에서 화도진구로 개칭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중구의 내륙 지역과의 통합 논의가 진전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구의원들이 중구 본토와 동구가 통합해야 하는데 통합을 하면 명칭을 또 바꿀 것인지, 중구 본토 주민들이 화도진구라는 이름을 받아들일 것인지 문제를 제기했다. 결국 구의회의 동의를 얻지 못하고 흐지부지 되었다. 특히 동구는 일반구도 아닌 자치구라서 지방자치단체의 명칭을 변경하려면 해당 지자체의 조례 규칙이 아니라 대한민국 국회를 통해 법률을 고쳐야 한다.

2022년 8월 31일 유정복 시장이 발표한 인천광역시 행정체제 개편안에 따라 영종구가 2026년 이전에 분리되고, 중구의 내륙 지역은 동구와 통합하여 제물포구로 개편될 예정이다.

6. 교통

6.1. 도로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229331><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229331>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229331> <colbgcolor=#ffffff,#191919> 금곡로 · 금곡안로 · 금창로
동산로
만석로 · 만석부두로 · 만수로 · 물치로
박문로 · 방축로 · 배송로 · 백범로 · 보세로
새천년로 · 샛골로 · 석수로 · 솔빛로 · 송림로 · 송미로 · 송향로 · 송현공원로 · 송화로 · 수문통로 · 쌍우물로
안송로 · 어촌로 · 연송로 · 염전로 · 우각로 · 운교로 · 육송로 · 인중로
장고개로 · 재능로 · 제물량로 · 중앙로
참외전로
화도로 · 화도안로 · 화도진로 · 화수안로 · 화수부두로 · 화평로
인천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참고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구 한복판을 지하로 관통하지만 이용할 수는 없다

6.2. 철도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229331><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229331>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파일:Seoulmetro1_icon.svg 도원(159)
}}}}}}}}}

도원역은 동구 소재 유일의 철도역이다. 다만 역 위치가 행정구역상으로 매우 복잡한 위치에 있다. 동구와 중구, 미추홀구의 경계에 걸쳐 있는데 역무실과 서쪽 승강장(도원교 아래) 일부가 주소지상 동구 창영동에 있어서 동구 소재 역으로 분류되고 있다. 전체 승강장 중 절반에 해당하는 동쪽 승강장은 미추홀구 숭의동에 속하고 1번 출구에서 나와서 횡단보도만 건너면 중구 도원동에 속한다.

그러나 정작 동구 주민들은 철도 교통을 이용할 때 도원역보다 경인선 급행/특급 시종착역이자 동구-중구 경계에 있는 동인천역을 이용하거나[17] 급행열차가 정차하는 제물포역을 이용하기도 한다. 동인천역은 송현동, 화수동, 만석동 동부, 송림동 서부 주민들이 주로 이용하고 제물포역은 송림동 동부 주민들이 주로 이용한다. 아울러 만석동 주민들 중에는 인천역이 가까운 경우도 있어 인천역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서울로 향하는 이들은 대부분 급행/특급열차를 이용하는 편이기 때문에 버스를 통해 동인천역으로 향하는 경우가 많다.

7. 경제

HD현대인프라코어 본사 및 R&D센터, 현대제철 인천공장, 동국제강 인천공장, 인천산업용품유통센터 등이 펼쳐져 있어 인천의 산업기지 역할을 하는 곳이다. 구도심 이미지치고는 저 세 기업의 경제적 기반은 탄탄한 동네.

다만 상권 동인천역 상권이 쇠락하면서 특별히 중심 상권이라고 할 만한 곳이 없는 상태다. 아울러 2011년 이후부터 3대 대형마트의 일반 매장이 단 한 곳도 없는 것 역시 이 지역의 특징이다. 지금의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송림점이 원래는 마크로 인천점과 월마트 인천점을 거쳐 이마트 송림점으로 운영됐으나, 2011년 트레이더스 매장으로 전환됐다. 동구에서 일반 대형마트를 이용하려면 다른 구로 나가야 한다.[18]

7.1. 금융

인천 동구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인천우체국 (4)[21]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2)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시중은행
신한은행 (3) 우리은행 (1)
국민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중구농협 인천원예농협 인천옹진농협
새마을금고
송림새마을금고(2) 송화새마을금고(2) 평화새마을금고 화도진새마을금고
희망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송림신용협동조합 송림중앙신용협동조합 인천중부신용협동조합 대성신용협동조합
솔빛신용협동조합 송림송현신용협동조합 현대제철신용협동조합
두산인프로코어협동조합

8. 문화

8.1. 축제

1990년부터 '화도진축제' 라는 지역 축제가 열리고 있다. 처음에는 정월 대보름을 맞이해 2~3월에 열렸으나 축제를 열기에는 다소 날씨가 춥고 동구 구민의 날이 5월에 있는 만큼 이 시기로 축제 날짜를 옮기는 것이 맞다는 여론이 커지면서 2000년대부터 5월로 축제 날짜가 옮겨졌다.

과거에는 옛 화도진 군영을 복원한 화도진공원에서 무대를 설치하고 그 앞 도로를 통제하여 그곳에 여러 전시관, 음식점이 있었고 공원 안에서 체험부스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2013년 동인천역 북광장이 개방된 후에는 그곳에서 대부분의 행사를 진행한다. 물론 화도진공원에서도 여전히 일부 행사가 열리고 있다.

동구 만석동 쭈꾸미 거리에서도 주꾸미철 시기에 맞춰 축제도 했었었다

8.2. 음식

유명한 먹거리로는 세수대야 냉면으로 유명한 화평동 냉면이 있긴한데... 유명세와 달리 먹으러 오는 사람들은 외지인이 대부분이며 토박이들은 거의 찾지 않는다는 것.[23] 또한 특이한 점. 어째 과거보다는 맛이 많이 달라서 화학조미료를 많이 쓰는게 아닌가? 라는 소문이 현지 주민 사이에서 돌고 있다. 근처에 동인천역이 있고 냉면 골목 바로 앞이 경인선이라 철도 동호인들이 여기서 냉면을 먹기도 한다.

이 외에 동인천역 북광장 근처에 송현동 순대골목이 있고[24] 만석동 동일방직 공장 인근에 주꾸미거리가 있다. 순대골목은 동인천역 북부에서 접근이 편하지만 주꾸미거리는 대중교통으로 접근하기가 상당히 애매한 위치에 있다. 도시철도로 쭈꾸미거리를 찾으려면 오히려 인천역에서 오는 것이 더 가까울 정도. 만석동이 생각보다 넓어서이다

8.3. 교육

초등학교 8, 중학교 3, 고등학교 3, 대학교 1개가 존재한다.

8.3.1. 초등학교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 인천광역시 동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영화초등학교 인천동명초등학교 인천만석초등학교 인천서림초등학교
인천서흥초등학교 인천송림초등학교 인천송현초등학교 인천창영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오래 전부터 사람들이 많이 살았던 구도심 지역이기에 자치구의 좁은 면적 치고는 학교가 많은 편이다. 더구나 해방 전 일제강점기에 개교한 학교들이 대부분이며 그나마 관내 학교 중 역사가 가장 짧은 서흥초등학교도 개교연도가 1965년으로 2022년 기준 학교 역사가 50년을 훌쩍 넘겼다.

이 중 개신교 계열 미션스쿨인 영화초등학교는 국내 최초의 사립 초등기관이다. 구 교사는 인천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있다. 영화초등학교 바로 옆에 있는 창영초등학교는 인천 최초의 공립학교이자 인천지역 3.1 운동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 이 학교의 구 교사 역시 인천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학교 출신으로는 류현진이 있다.

특이점으로 이들 초등학교 중 서림초등학교, 서흥초등학교, 창영초등학교 등 무려 3곳에 야구부가 있다. 이들 학교를 졸업한 야구부 학생들은 보통 동산중학교나 재능중학교 야구부로 진학하고 또 이들 중에 다수는 같은 지역 학교인 동산고등학교 야구부로 진학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 학교를 졸업한 류현진(창영초-동산중-동산고), 최승준(서림초-동산중-동산고), 송지만· 송은범· 최지만(서흥초-동산중-동산고), 김택형(창영초-재능중-동산고) 등이 대표적 사례.

서흥초등학교는 야구부를 없애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야구부 폐지가 확실시된다는 OBS경인TV의 뉴스 기사에 따르면, 야구 시합을 할 학생의 인원수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2022년 들어서 창영초등학교를 송림동 금송재개발구역 내 학교 부지로 옮기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8.3.2. 중학교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 인천광역시 동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동산중학교 재능중학교 화도진중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2개의 남자 중학교와 1개의 남녀공학이 있으며 여자 중학교는 없다.

2021년부터 창영초가 금송지구로 이전하면 부지에 여중 신설을 추진 중이다. #

8.3.3. 고등학교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 인천광역시 동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동산고등학교 영화국제관광고등학교 재능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교육적인 면에선 인천 시내에선 최악으로, 동구 관내에 있는 고등학교가 그다지 좋은 환경에 있지 못한 것도 한 몫을 했다. 애초에 일반계 고등학교가 남녀 통틀어서 한 곳 뿐이다. 원래는 3개였지만 화수동에 있던 인천대건고등학교와 송림동에 있던 박문여자고등학교가 모두 연수구로 이사 갔기 때문에 동산고만 유일하게 남게 됐다.

동산고의 경우 인천의 야구 명문고이다. 인천에 있는 3개 고등학교 야구부[25] 중 유일한 사립고 야구부다. 류현진을 비롯해 수 많은 프로야구 선수들을 배출했다.[26]

본래 박문여자중/고등학교가 이곳에 있었다. 천주교 인천교구는 가톨릭계 사립학교인 박문여자중/고등학교를 송도국제도시로 옮기고 그 자리에 천주교 인천교구청을 중구 답동에서 이전시켰다. 그 결과 박문여중은 2014년 3월, 박문여고는 2015년 3월에 각각 송도 7공구(연세대학교 송도캠퍼스 부근)로 이전하였다.[27] 문제는 박문여중이 이전하면서 여학생이 갈 학교가 남녀공학인 화도진중학교밖에 없는 현상이 벌어졌다.[28] 실제로, 화도진중학교에 진학하는 학생들은 여학생의 비율이 높다.

또한 박문여고마저 이전하면서 동구 내에는 일반계 여고가 단 한 곳도 없게 되었다. 실제로 동구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계 여고생들의 소속 학교는 대부분 인일여고, 인성여고, 인화여고 등 중구와 미추홀구 일부 학교들이다. 동구 내에서 가장 인구가 많고 동인천역과 가까운 송현동(송현1·2동, 화수2동) 쪽 거주 학생은 인일여고나 인성여고, 제물포역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송림동(송림3·5동)쪽 거주 학생들은 인화여고를 선호하고 이쪽으로 진학하는 편.[29]

화도진중학교 다닌 여학생들 중에는 배다리 거리 인근에 있는 영화여자고등학교로 가는 경우도 많다. 현재는 영화국제관광고등학교 이다.

8.3.4. 대학교


제물포역 안내방송에서 학교총장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으나 어느새 안내방송의 성우가 말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8.4. 의료기관

코로나 시국에 거점병원으로 부각된 인천광역시의료원(304병상)이 송림4동 끄트머리에 있다. 사실 위치상으로는 동구라고 하기 민망한 위치. 그 외 종합병원으로는 인천백병원(202병상)이 있다.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구(인천광역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하위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79c1>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중구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동구
파일:미추홀구 CI.svg
미추홀구
파일:연수구 CI.svg
연수구
[[남동구/행정|파일:남동구 CI.svg
시청
남동구]]
파일:부평구 CI.svg
부평구
파일:계양구 CI.svg
계양구
파일:서구(인천광역시) CI.svg
서구
파일:강화군 CI.svg
강화군
파일:옹진군(인천광역시) CI.svg
옹진군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29331>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229331> 만석동 만석동
화수1·화평동 화평동
화수동
화수2동
송현동
송현1·2,3동
구청
송림동
금창동 금곡동 창영동
}}}}}}}}} ||
파일:인천동행정.jpg 파일:인천동법정.jpg
동구의 행정동 동구의 법정동
선거구는 22대 총선 기준으로 동구·미추홀구 갑(甲) 선거구에 속한다.

10.1. 만석동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6,295명.[P]

만석 비치타운 주공아파트(1,273세대), 동구보건소, 두산산업차량 본사 및 사업장, 동일방직 인천공장[31]이 있으며 소설 괭이부리말 아이들의 배경이 된 동네이다. 영종도 옆의 물치도도 행정구역상 동구 만석동에 해당한다.

10.2. 화수1·화평동, 화수2동

  • 화수1·화평동: 인구는 5,425명.[P] 舊 화수1동(花水1洞)과 화평동(花平洞)이 합쳐진 곳으로 관할 법정동은 화수동(일부)·화평동이다. 인천광역시교육청화도진도서관, 화도진공원, 화평동 냉면거리가 있다.
  • 화수2동: 관할 법정동은 송현동(일부)·화수동(일부)이다. 인구는 6,899명.[P] 동부센트레빌아파트(1,140세대), 미륭아파트(560세대), HD현대인프라코어 본사가 있다. 동부센트레빌, 삼두2차, 송현초 일대는 법정동 송현동에 속하며, 실제로 이쪽에 사는 사람들은 "송현동에 산다"고 하지 "화수동에 산다"고 하지 않는다. 가톨릭 성당 세부 관할 구역으로 봐도 이 지역은 화수동성당이 아닌 송현동성당 관할 구역이다. 학교는 만석초, 송현초, 화도진중이 있다. 화도진공원 옆 영풍아파트 자리에 천주교(가톨릭) 계열인 대건중/고교가 있었으나 중학교는 폐교, 고등학교는 연수구로 이전했다.

10.3. 송현1·2동, 송현3동

관할 법정동은 송현동(일부)이다.
  • 송현1·2동: 인구는 9,772명.[P] 동구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살며 동인천역 4번 출구 방향(북광장)에 위치하며 2000년대 초반 수도국산 일대와 그 아래 지역에 솔빛마을 주공아파트 1~2단지(3,451세대)가 조성됐는데 대형 아파트단지로는 동구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 송현3동: 인구는 2,780명.[P] 송현근린공원과 현대제철 본사 및 인천공장이 있다. 또한 동 행정복지센터가 송현1~2차아파트(900세대) 단지 내에 위치해 있다. 송현근린공원내에 달동네를 주제로 한 수도국산 달동네 박물관이 자리잡고 있다. 박물관 내부 사진 #1 #2 #3 #4 #5

10.4. 송림1동, 송림2동, 송림3·5동, 송림4동, 송림6동

관할 법정동은 송림동이다.

10.5. 금창동

관할 법정동은 금곡동·창영동이다. 인구는 2,206명.[P]

배다리 헌책방거리, 인천세무서가 있고, 영화나 드라마도 제법 이곳에서 많이 촬영했다.[43] 창영초등학교 옆에 VR체험관이 있어 VR체험도 가능하다. 학교는 영화초, 창영초, 영화국제관광고와 직업교육 위탁기관인 인천산업정보학교가 있다.

11. 출신 인물

아래 인물들은 전부 동산중- 동산고 테크를 탔다.
[1] 7개 법정동, 11개 행정동 [2]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 [3] 2024년 10월 기준 [4] 동구 가선거구 (만석동, 화수1·화평동, 화수2동, 송현1·2동): 유옥분, 최훈
동구 나선거구 (송현3동, 송림1동, 송림2동, 송림3·5동, 송림4동, 송림6동, 금창동): 원태근, 이영복
동구 비례대표: 오수연
[5] 동구 가선거구 (만석동, 화수1·화평동, 화수2동, 송현1·2동): 윤재실
동구 나선거구 (송현3동, 송림1동, 송림2동, 송림3·5동, 송림4동, 송림6동, 금창동): 장수진
[6] 동구 가선거구 (만석동, 화수1·화평동, 화수2동, 송현1·2동): 김종호 [7] 동구 선거구: 허식 (재선) [8] 농어촌 지역인 강화군보다 적다. [9] 그래도 기초자치단체중에 가장 작은 면적은 아닌데, 여기보다 더 작은 구로는 부산 중구가 있기 때문이다. 이쪽은 2.83㎢로, 인천 동구의 반 도 안될 뿐더러 웬만한 도시들의 동 지역보다도 작다. 부산에서 중구 다음으로 작은 부산 동구는 9.86㎢로 인천 동구보다 조금 더 큰 정도. [10] 동인천역도 이같은 작명 원리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다만 동인천역은 동구가 아닌 중구에 있다. [11] 수도국산 정상의 송현근린공원에 옛날 달동네 모습을 재현한 수도국산 달동네 박물관이 있다. 구 차원에서 "옛날 이 지역에 달동네가 유명했다"는 점을 들어 추억을 자극하는 관광코스로 밀고 있는 모양. [12] 동구 인구의 20% 이상은 만 65세 이상 노년층이다. 수도권에서도 손꼽히는 초고령 지역이다. [13] 임대아파트 비율이 어느정도 있긴 하지만 대부분이 분양형 아파트이며 고령층 인구가 많은 동구의 특성상 중대형 평수도 적지 않다. 그리고 여기도 수도권인데다 지하철까지 끼고 있어서 예상 외로 집값이 상당히 비싼 편이다. [14] 참고로 미추홀구청이 숭의동에 있지만, 그쪽은 숭의2동으로 대상지역이 아니었다. [15] 중구는 영종도 등 간척지로 인해 미추홀구보다 면적이 더 넓어졌다. [16] 인천 남구는 2018년 7월 1일부로 미추홀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7] 동인천역 4번 출구(동인천역 북광장)는 주소지가 동구 송현동이고 동구 전역에서 동인천역을 지나치는 버스 노선이 많아 이용하기 편리하다. [18] 이마트는 신포역 인근 이마트 동인천점이 가장 가깝고 홈플러스는 인천축구전용경기장 지하에 있는 홈플러스 인천숭의점이 가장 가깝다. 롯데마트는 연안부두 입구에 있던 항동점이 폐점되면서 다소 멀어졌는데 청라국제도시 중심에 있는 롯데마트 청라점이 동구에서 가장 가까운 점포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21] 인천중동우체국이 인천우체국 산하의 관할 우체국이라 전반적인 업무는 인천우체국에서 담당한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23] 이 점은 중구 신포시장의 닭강정 골목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대체 저 닭강정을 왜 줄서서 기다려서 먹는지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 신포동 주변에서 살아온 토박이들의 주된 반응. [24] 2011년 겨울 다큐멘터리 3일에서 순대골목의 3일을 취재해 방송한 바 있다. [25] 인천고등학교 야구부, 제물포고등학교 야구부, 동산고등학교 야구부 [26] 위재영, 송지만, 정민태, 송은범, 강귀태, 박경태, 최승준, 김기태, 이건욱 등. 자세한 내용은 동산고등학교 야구부문서를 참조하자. [27] 박문여중은 송도국제도시 이전과 동시에 남녀공학이 되어 박문중학교로 학교 명칭을 변경하였다. [28] 박문여중/고 교사와 미추홀구에 있는 인화여중/고, 선화여중은 불과 몇백미터만 떨어져 있어서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다. 실제로 구 박문여중/고 옆의 건물이 미추홀구에 있는 도화동 성당이다. [29] 비슷한 사례로 서울 중구 대구 남구가 있다. [P] 2024년 9월 주민등록인구통계 [31] 동일방직 똥물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P] [P] [P] [P] [P] [P] [P] [P] [P] [41] 정확한 이유와 어원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인천에서는 닭내장탕을 유독 '닭알탕'이라고 부른다. 아귀를 '물텀벙이'라고 부르는 것과 비슷한 이치. [P] [43] 드라마 도깨비와 영화 극한직업의 촬영 장소로 잘 알려져 있다. 그밖에 무법 변호사 인랑도 촬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