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69 | 1970 | 1971 | |
랑나르 프리슈 | 얀 틴베르헌 | 폴 새뮤얼슨 | 사이먼 쿠즈네츠 | |
<rowcolor=#cd9f51> 1972 | 1973 | 1974 | ||
존 힉스 | 케네스 애로우 | 바실리 레온티예프 | 군나르 뮈르달 | |
<rowcolor=#cd9f51> 1974 | 1975 | 1976 |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 찰링 코프만스 | 레오니트 칸토로비치 | 밀턴 프리드먼 | |
<rowcolor=#cd9f51> 1977 | 1978 | 1979 | ||
베르틸 올린 | 제임스 미드 | 허버트 사이먼 | 시어도어 슐츠 | |
<rowcolor=#cd9f51> 1979 | 1980 | 1981 | 1982 | |
아서 루이스 | 로런스 클라인 | 제임스 토빈 | 조지 스티글러 | |
<rowcolor=#cd9f51> 1983 | 1984 | 1985 | 1986 | |
제라르 드브뢰 | 리처드 스톤 | 프랑코 모딜리아니 | 제임스 뷰캐넌 | |
<rowcolor=#cd9f51> 1987 | 1988 | 1989 | 1990 | |
로버트 솔로우 | 모리스 알레 | 트뤼그베 호벨모 | 해리 마코위츠 | |
<rowcolor=#cd9f51> 1990 | 1991 | 1992 | ||
머턴 밀러 | 윌리엄 샤프 | 로널드 코즈 | 게리 베커 | |
<rowcolor=#cd9f51> 1993 | 1994 | |||
로버트 포겔 | 더글러스 노스 | 존 하사니 | 존 내시 | |
<rowcolor=#cd9f51> 1994 | 1995 | 1996 | ||
라인하르트 젤텐 | 로버트 루카스 주니어 | 제임스 멀리스 | 윌리엄 비크리 | |
<rowcolor=#cd9f51> 1997 | 1998 | 1999 | ||
로버트 머튼 | 마이런 숄즈 | 아마르티야 센 | 로버트 먼델 | |
<rowcolor=#cd9f51> 2000 | ||||
제임스 헤크먼 | 대니얼 맥패든 | |||
}}}}}}}}}
- [ 21세기 ]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3> 2001 || 2002 ||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노벨상 |
}}} | |||||
1. 개요
역대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일람. 수상자들의 정렬은 수상년도를 기준으로 오름차순.2024년 기준으로 총 56회에 걸쳐, 총 96명의 학자들에게 수상되었다.[1] 역사가 100년을 넘는 다른 5개(생리학-의학, 물리학, 화학, 문학, 평화) 부문 노벨상의 절반 정도인 노벨경제학상의 역사에 비하면 수상자가 상당히 많은 셈. 그만큼 공동 수상의 사례가 많음을 보여준다. 공동수상이 총 30회(2명 20회, 3명 10회)로 단독 수상 26회를 앞설 정도.
아시아인 수상자는 1998년 인도의 아마르티아 센이 받았으며, 이외 나머지 수상자의 국적은 주로 북미나 유럽으로 이루어져 있다.
2. 연도별 수상자
2.1. 1960년대
연도 | 수상자 | 국적 | 사유 |
1969 |
랑나르 프리슈 얀 틴베르헌[2] |
노르웨이 네덜란드 |
경제 과정의 분석을 위한 동적 모델의 개발과 적용 |
1970 | 폴 새뮤얼슨[3] | 미국 | 정적·동적 경제 이론의 개발과, 경제 분석 수준의 향상에 대한 업적 |
2.2. 1970년대
연도 | 수상자 | 국적 | 사유 |
1971 | 사이먼 쿠즈네츠 | 미국 | 경제 성장에 대한 그의 경험적 해석은 경제 및 사회 구조와 발전 과정에 대한 새롭고 심층적인 통찰력을 제공 |
1972 |
존 R. 힉스 케네스 J. 애로우 |
영국 미국 |
일반균형이론 및 후생이론에 대한 선구자적 공헌 |
1973 | 바실리 레온티예프 | 소련/ 미국 | 산업연관분석의 개발 및 주요 경제 문제에 대한 그 응용 |
1974 |
군나르 뮈르달 프리드리히 폰 하이에크 |
스웨덴 오스트리아/ 영국 |
화폐와 경기 변동 이론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와 경제, 사회, 제도 현상의 상호 의존성에 대한 통찰력 있는 분석 |
1975 |
레오니트 비탈리예비치 칸토로비치[4] 찰링 C. 코프만스 |
소련 네덜란드/ 미국 |
자원의 최적배분이론에 대한 공헌 |
1976 | 밀턴 프리드먼 | 미국 | 소비이론, 금융사, 금융 이론 분야에서의 실적 및 경기안정화정책의 복잡성에 관한 논증 |
1977 |
베르틸 올린 제임스 미드 |
스웨덴 영국 |
국제무역 및 국제자본이동 이론의 개척 |
1978 | 허버트 사이먼 | 미국 | 경제조직 내부에서의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선구자적 연구 |
1979 |
시어도어 슐츠 아서 루이스[5] |
미국 세인트루시아/ 영국 |
특히 개발도상국 문제의 고찰을 통한 경제발전론에서의 선구자적 연구 |
1980 | 로런스 클라인 | 미국 | 계량경제 모형의 개발 및 경기변동·경제정책 분석에 대한 그 응용 |
2.3. 1980년대
연도 | 수상자 | 국적 | 사유 |
1981 | 제임스 토빈[6] | 미국 | 금융시장과 지출결정·고용·생산·가격과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 |
1982 | 조지 스티글러 | 미국 | 산업구조, 시장의 기능, 정부규제의 원인과 효과에 대한 중대한 연구 |
1983 | 제라르 드브뢰 | 프랑스/ 미국 | 경제이론에 대한 새로운 분석 방법의 도입 및 일반균형이론의 철저한 개량 |
1984 | 리처드 스톤 | 영국 | 국민계정체계의 발전에 대한 핵심적 공헌과 그를 통한 실증적 경제분석의 기초 발전 |
1985 | 프랑코 모딜리아니 | 이탈리아/ 미국 | 저축과 금융시장에 대한 선구자적 분석 ( 모디글리아니-밀러 정리[7][8]) |
1986 | 제임스 뷰캐넌 | 미국 | 경제 및 공공선택에 관한 이론에의 계약적·헌법학적 기초 수립 |
1987 | 로버트 솔로우 | 미국 | 경제성장론에 대한 공헌 |
1988 | 모리스 알레 | 프랑스 | 시장이론 및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에 관한 이론에 대한 선구자적 공헌 |
1989 | 트뤼그베 호벨모 | 노르웨이 | 계량경제학의 확률론적 기초 설명 및 동조적 경제구조의 분석 |
1990 |
해리 마코위츠 머턴 밀러 윌리엄 샤프 |
미국 미국 미국 |
금융경제학 이론에 대한 선구자적 업적[9] |
2.4. 1990년대
연도 | 수상자 | 국적 | 사유 |
1991 | 로널드 H. 코즈 | 영국 | 경제의 제도적 구조와 기능에 대한 거래 비용과 재산권의 중요성을 발견하고 명확히 밝힘 |
1992 | 게리 베커 | 미국 | 미시경제적 분석의 영역을 비시장적 행동을 포함한 넓은 범위의 인간 행동과 상호작용으로 확장 |
1993 |
로버트 W. 포겔 더글러스 C. 노스 |
미국 미국 |
경제 이론과 정량적 방법을 적용하여 경제 및 제도 변화를 설명함으로써 경제사에 대한 연구를 새롭게 함 |
1994 |
존 C. 하사니 존 F. 내시 Jr. 라인하르트 젤텐 |
헝가리/
미국 미국 독일 |
비협조적 게임 이론의 균형에 대한 선구자적 분석 |
1995 | 로버트 E. 루카스 Jr. | 미국 | 합리적 기대 가설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거시경제 분석을 혁신하고 경제 정책에 대한 이해를 심화함 |
1996 |
제임스 멀리스 윌리엄 비크리 |
영국 캐나다/ 미국 |
비대칭정보하의 유인에 대한 경제이론의 근본적 공헌 |
1997 |
로버트 머튼 마이런 숄즈 |
미국 캐나다/ 미국 |
파생상품의 가치 결정에 대한 새로운 방법 개발[10] |
1998 | 아마르티야 센[11] | 인도 | 후생경제학에 대한 공헌 |
1999 | 로버트 먼델[12] | 캐나다 | 각기 다른 환율 체계 하에서의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분석 및 최적통화지역에 대한 분석 |
2000 | 제임스 헤크먼 | 미국 | 선택적 표본 분석에 대한 이론 및 방법론 개발 |
대니얼 맥패든 | 미국 | 이산적 선택의 분석에 대한 이론 및 방법론 개발 |
2.5. 2000년대
연도 | 수상자 | 국적 | 사유 |
2001 |
조지 애컬로프[13] 마이클 스펜스 조지프 스티글리츠 |
미국 미국 미국 |
비대칭정보 하의 시장에 대한 분석 |
2002 | 대니얼 카너먼 | 이스라엘/ 미국 | 심리학 연구로부터 경제 과학, 특히 불확실성 하에서의 인간의 판단과 의사결정에 대한 통합적인 통찰력을 가짐 |
버넌 스미스 | 미국 | 경험적 경제 분석, 특히 대안적 시장 메커니즘의 연구에서 도구로서 실험실 시험 설립 | |
2003 | 로버트 엥글 | 미국 | 시간에 따른 변동성에 관한 경제적 시계열분석의 방법론 개발( ARCH 모형) |
클라이브 그레인저 | 영국 | 공통추세에 관한 경제적 시계열분석의 방법론 개발(공적분, VECM 모형) | |
2004 |
핀 쉬들란 에드워드 프레스콧 |
노르웨이 미국 |
동적 거시경제학에 대한 공헌: 경제정책의 동태적 일관성 및 경기변동의 원인 |
2005 |
로버트 아우만 토머스 셸링 |
미국/
이스라엘 미국 |
게임 이론의 분석을 통해 갈등과 협력 행위에 관한 이해 증진 |
2006 | 에드먼드 펠프스 | 미국 | 거시경제정책에서의 시간 간 상충관계에 대한 분석 |
2007 |
레오니트 후르비치[14] 에릭 매스킨 로저 마이어슨 |
폴란드/
미국 미국 미국 |
제도설계이론의 기초 확립 |
2008 | 폴 크루그먼 | 미국 | 무역패턴과 경제활동의 위치에 관한 분석 |
2009 | 엘리너 오스트롬[15] | 미국 | 공공재에 관한 경제 거버넌스 분석 |
올리버 E. 윌리엄슨 | 미국 | 기업의 경계에 관한 경제 거버넌스 분석 | |
2010 |
피터 다이아몬드 데일 모텐슨 크리스토퍼 피사리데스 |
미국 미국 키프로스/ 영국 |
탐색 마찰이 존재하는 시장에 대한 분석 |
2.6. 2010년대
연도 | 수상자 | 국적 | 사유 |
2011 |
토머스 J. 사전트 크리스토퍼 A. 심스 |
미국 미국 |
거시경제에서의 원인과 결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2012 |
앨빈 로스[16] 로이드 섀플리[17][18] |
미국 미국 |
안정적 배분과 시장설계에 관한 이론 |
2013 |
유진 파마 라스 피터 핸슨 로버트 실러 |
미국 미국 미국 |
자산 가격에 대한 실증적 분석[19] |
2014 | 장 티롤 | 프랑스 | 기업의 시장지배력과 그 규제에 대한 분석[20] |
2015 | 앵거스 디턴[21] | 영국/ 미국 | 소비, 빈곤, 복지에 대한 분석 |
2016 |
올리버 하트 벵트 홀름스트룀 |
영국/
미국 핀란드 |
계약이론(contract theory)에 대한 공헌 |
2017 | 리처드 탈러[22] | 미국 | 행동경제학에 대한 공헌 |
2018 | 윌리엄 D. 노드하우스 | 미국 | 장기 거시경제 분석에 기후 변화를 융합시킨 공로 |
폴 M. 로머 | 미국 | 장기 거시경제 분석에 기술 혁신을 융합시킨 공로 | |
2019 |
아비지트 배너지[23][A] 에스테르 뒤플로[25][A] 마이클 크레이머 |
인도/
미국 프랑스/ 미국 미국 |
세계 빈곤 경감을 위한 이들의 실험적 접근 |
2020 |
폴 밀그럼[27] 로버트 B. 윌슨[28] |
미국 미국 |
경매 이론[29]의 개선과 새로운 경매 방식의 고안 |
2.7. 2020년대
연도 | 수상자 | 국적 | 사유 |
2021 | 데이비드 카드 | 캐나다 | 노동경제학에 대한 경험적 공헌 |
조슈아 D. 앵그리스트 휘도 W. 임번스 |
미국/
이스라엘 네덜란드/ 미국 |
인과관계 분석에 대한 방법론적 기여 | |
2022 |
벤 S. 버냉키[30] 더글러스 W. 다이아몬드[B] 필립 H. 디비그[B] |
미국 미국 미국 |
은행과 금융 위기에 대한 연구 |
2023 | 클로디아 골딘[33] | 미국 | 여성 노동 시장 성과에 대한 이해 증진 |
2024 |
다론 아제몰루[C] 사이먼 존슨 제임스 A. 로빈슨[C] |
튀르키예/
미국 영국/ 미국 영국/ 미국 |
제도가 어떻게 형성되고 번영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 |
[1]
단순 계산으로 쳐도 매년 평균 1.7명(사실상 2명)의 수상자가 나왔다는 뜻이다.
[2]
1973년
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인 니콜라스 틴베르헌의 형이다.
[3]
새뮤얼슨과 함께 교과서를 저술한 노드하우스 교수는 48년 뒤인 2018년에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다.
[4]
이 사람은
독소전쟁 중
레닌그라드 공방전 때 수송로를 총괄한 인물이기도 하다. 당시 소련의 수송로는 라도가 호수의 얼음 위를 지났는데, 칸토로비치는 최적화 이론을 바탕으로 수송로의 길이가 가장 짧으면서도 얼음이 가장 튼튼하게 유지될 수 있는 최적의 루트를 계산하였다. 이 공로로 칸토로비치는 레닌그라드 수호 훈장을 받았다.
[5]
흑인이다. 그것도 문학상, 평화상을 제외하면 역대 유일무이한 흑인 노벨상 수상 사례.
[6]
국제투기자본에 의한 금융 시장 교란을 방지하기 위해, 단기 외환 거래에 세금을 부과하는 일명 '
토빈세'를 제안한 인물이다.
[7]
경영학의
재무관리, 혹은 경제학의
조세론이나 공공경제학을 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들어봤을법한 MM이론이 바로 이것이다.
[8]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면서 채권과 주식 중 무엇을 선호하는지, 그리고 조세 부담 같은 외부적 요소가 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이다.
[9]
CAPM 등을 의미한다.
[10]
옵션의 가치를 결정하는 새로운 공식(블랙-숄즈 공식) 고안. 머튼은 이 공식에 배당 효과를 고려하여 공식을 한층 정밀하게 만들었다.
블랙-숄즈-머튼 모형이라고도 불린다. 피셔 블랙은 1995년도에 타계하여 노벨상을 수상하지 못하였지만 그의 공로는 숄즈와 머튼의 수상 발표 보도 자료에 잘 나타나 있다.
[11]
아시아인 최초의 경제학상 수상자
[12]
먼델-플레밍 모형이라고 불리는 개방 IS-LM 모형을 공동개발한 마커스 플레밍은 1976년에 이미 사망한 뒤였다.
[13]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이자
재무부 장관인
재닛 옐런의 남편
[14]
노벨상 최고령 수상자로 90세에 노벨상을 받았는데, 이는 유일한 90대 수상자이다. 수상 후 이듬해인 2008년에 사망
[15]
최초 여성 수상자. 그러나 오스트롬의 전공은 경제학이 아닌 정치학이며, 따라서 오스트롬은 엄연히 정치학자이다.
[16]
보통 경제학자로 소개되지만 실제 학위를 받은 분야는 '오퍼레이션 리서치'이다. 해당분야는 게임이론과 관련이 있다.
[17]
우리 은하의 중심의 위치를 밝혀낸 유명한 천문학자
할로 섀플리의 아들이다. 경제학자일뿐만 아니라 수학자이기도 하며 '게일-섀플리 알고리즘'으로 노벨상을 수상하게 된다. 또다른 수상자인 존 내쉬와의 인연이 깊다. 상을 수상한지 4년뒤인 2016년에 별세.
[18]
안정된 결혼 문제(SMP)
[19]
공동 수상한 것 치곤 업적이 영 딴 판인데, 파마는 주식시장은 사건만 터지면 재빠르게 반응하여 단기 예측은 매우 어렵다는 이론을, 실러는 단기가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예측가능하다는 이론을 펼쳤고, 핸슨은 적절한 통계를 이용해 이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20]
아마존닷컴,
구글,
페이스북 등 오늘날의 거대 (플랫폼) 테크 기업들의 시장에서의 행위를 설명하는 양면시장이론의 제창자이다.
[21]
디턴의 저서 'The Great Escape(한국 발간 제목 : '
위대한 탈출')'가 한경BP의 의도적인 왜곡 번역으로 논란과 화제가 되었다.
[22]
인간 행동의 비합리성을 다룬
넛지의 저자. 영화
빅쇼트에도 출연하여
CDO의 개념과 시장 참여자의 심리를 설명한다. 노벨상 수상금을 최대한 비합리적으로 쓰겠다고 밝햤다.
[23]
최초의 아시아인 수상자
아마르티야 센 이후 두번째 아시아계 수상자이지만 국적은 인도,미국 이중국적이다.
수상 강의
[A]
2015년에 결혼하여 이들은 서로 부부이다.
[25]
케네스 애로우(51세)이후 나타난 최연소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47세)
노벨 수상 연설.
[A]
[27]
공동 수상자인 윌슨 교수로부터 박사논문 지도를 받은 제자다. 전화를 무음으로 하는 바람에 전달받지 못해 이웃에 사는 윌슨 교수가 한밤중에 직접 집으로 찾아가 알려주었다.
#,
#2
[28]
인터뷰에서 자신은 경매를 한번도 참여하지 않았다고 말했는데, 곧바로 이베이에서 스키를 구매한 경험이 있었다며 정정했다.
#
[29]
이를 반영한 듯, 수상자 발표 현장에서 경매용 망치가 등장해서 눈길을 끌었다.
[30]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당시,
연방준비제도 의장이었다. 영화 <빅쇼트>에서는 리처드 탈러와 달리 직접 출연하진 않고, 중간중간 화면과 캐릭터의 언급으로 나온다.
[B]
뱅크런 현상을 설명하는
다이아몬드-디빅 모형 등 금융위기 관련 이론을 만들었다.
[B]
[33]
여성으로서는 3번째 수상자이며, 여성이 단독 수상한 경우로는 첫 사례다.
[C]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라는 저서가 유명하다.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