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픈뮤직 11의 수록곡에 대한 내용은 烏(BEMANI 시리즈) 문서 참고하십시오.
烏 까마귀 오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火,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ウ, オ
|
||||||
일본어 훈독
|
いずく-んぞ, からす, くろ-い, なん-ぞ
|
||||||
乌
|
|||||||
표준 중국어
|
wū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
획순
|
[clearfix]
1. 개요
烏는 '까마귀 오'라는 한자로, ' 까마귀'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까마귀 |
음 | 오 | |
중국어 | 표준어 | wū |
광동어 | wu1 | |
객가어 | vû | |
민동어 | ŭ | |
민남어 | o͘ | |
오어 | u (T1) | |
일본어 | 음독 | ウ, オ |
훈독 | いずく-んぞ, からす, くろ-い, なん-ぞ | |
베트남어 | ô |
鳥(새 조)와 거의 비슷하게 생겼으나, 중간의 사각형 안에 획 하나가 없다. 까마귀는 전신이 온통 검은 깃털로 뒤덮여 있어 검은 눈의 위치가 잘 안 보이기 때문에, 鳥에서 눈을 나타내는 획 하나를 지워 버려 '눈이 없는 새'를 나타내고자 한 상형자이다. 이런 구별은 전서에 와서 생긴 것으로, 원래 금문에서는 주로 '큰 부리'를 강조한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烏의 한자음 '오'는 까마귀의 울음소리('까악')를 모방한 의성어이다. 烏의 상고음은 벡스터-사가르(Baxter-Sagart) 기준 *qˤa로 추정된다[1]. 똑같이 까마귀를 나타내는 한자인 鴉(갈까마귀 아)는 상고음을 *qˤra[2]로 추정한다.
까마귀는 몸이 검은색인 대표적인 동물이기 때문에, 烏 자는 '까마귀' 이외에 '검다'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오골계(烏骨鷄)나 오매(烏梅)가 이 글자를 쓴다. 객가어와 민남어를 비롯한 중국 일부 방언에서는 아예 '검다'를 나타내는 단어로 黑 대신 烏를 쓴다. 예를 들어, 天烏烏,欲落雨(하늘이 검어 비가 올 것 같다)[3].
부수의 원래 의미를 생각해 보면 鳥(새 조) 부수에 들어가는 게 바람직하겠으나, '鳥부 -1획' 따위의 표현을 쓰기는 곤란하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火(불 화) 부수로 분류하게 됐다.
이체자로 於(어조사 어)가 있었지만, 뜻이 완전히 분화되었다.
3. 용례
3.1. 단어
- 삼족오( 三 足烏)
- 오골계(烏 骨 鷄)
- 오매(烏 梅) - 매실을 훈연시켜 만든 한약재.
- 오석(烏石)
- 오작교(烏 鵲 橋)
- 오적어(烏 賊 魚) - 오징어의 한자식 표현
- 오죽헌(烏 竹 軒) - 율곡 이이의 생가
- 오환(烏 丸, 烏 桓)
- 우롱차(烏 龍 茶)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고오노( 孤烏 弩)
- 레이우지 우츠호( 霊烏 路 空)
- 사오( 沙烏)
- 아이신기오로 울히춘( 愛 新 覚 羅 烏 拉 熙 春)
- 야타가라스 코타로( 八 咫烏 鋼 太 郎)
- 연오랑( 延烏 郎)
- 오라나랍 여의(烏 拉 那 拉 如 懿)
- 오소도(烏 炤 度)
- 오이(烏 伊)
- 우로 타카코(烏 鷺 亨 子)
- 우카이 잇케이(烏 養 一 繋)
- 우카이 케이신(烏 養 繋 心)
- 이주오( 李 朱烏)
- 주우후테이 라덴( 儒烏 風 亭 らでん)
- 카라스마 렌야(烏 丸 蓮 耶)
- 카라스 타비토(烏 旅 人)
- 쿠로헤비(烏 蛇)
3.4. 지명
- 한국
- 경기도 오산시(烏 山 市)
- 평양시 중구 오탄동(烏 灘 洞)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오이도(烏 耳 島) - 이름과 달리 간척사업으로 인하여 1990년대 초중반 즈음부터 육지가 돼 버리고 말았다.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烏 川 邑) - 연오랑과 세오녀 설화와 연관된 지명이다.
- 중국
3.5. 창작물
4. 역명
역명에 烏가 들어가는 철도역 (국내) | |
수도권 전철 1호선 |
오산역(烏山驛) 오산대역(烏山大驛) |
수도권 전철 4호선 | 오이도역(烏耳島驛)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오이도역(烏耳島驛) |
역명에 烏가 들어가는 철도역 (북한) | |
강계선 | 오만동역(烏蔓洞驛) |
역명에 烏가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 | |
카라스야마선 | 카라스야마역(烏山驛) |
교토 지하철 카라스마선 교토 지하철 토자이선 |
카라스마오이케역(烏丸御池駅) |
요로 철도 요로선 | 카라스에역(烏江驛) |
케이오선 | 치토세카라스야마역(千歳烏山駅) |
킨테츠 나고야선 | 카스모리역(烏森驛) |
역명에 烏가 들어가는 철도역 (중화권) | |
타이중 첩운 녹선 | 우르역(烏日車站) |
일반 철도역 (대만) |
타이중선
우르역(烏日車站) 신우르역(新烏日車站) |
5. 유의자
- 鵶(까마귀 아)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여담
- 하이큐!!의 시즌1 14화에서 토코나미 고교 배구부 학생들이 대진표를 볼 때 한 학생이 烏野를 '토리노'라고 잘못 읽자 다른 학생이 면박을 주면서 ' 카라스노'라고 수정하는 장면이 나온다. 鳥(새 조)의 훈독이 とり(토리)이고 이와 비슷하게 생긴 烏의 훈독이 からす(카라스)인 데서 나온 해프닝. 그밖에 鳥丸( 토리마루)와 烏丸( 카라스마)도 자주 헷갈리는 패턴으로 일본 매체에 자주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