兔 토끼 토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儿,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미배정[1]
|
|||||||
兎
|
|||||||
일본어 음독
|
ト
|
||||||
일본어 훈독
|
うさぎ
|
||||||
-
|
|||||||
표준 중국어
|
tù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兔는 '토끼 토'라는 한자로, 동물의 일종 ' 토끼'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154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UI(弓山戈)로 입력한다.토끼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아래의 점은 토끼의 짧은 꼬리, 윗부분은 토끼의 큰 귀다. 정자는 兔이지만 완성형 코드에는 속자인 兎(U+514E, KS: 0xF7CD)만 할당되어 있어 일부 구형 시스템에서는 글자가 깨져 나올 수 있다. Windows 한국어 입력기에 내장된 한자 입력기에서도 兎만이 바로 변환 가능하고, 兔를 입력하려면 확장 한자 옵션을 켜 줘야 한다. 한국어문회의 한자급수시험에선 兔는 준3급, 兎를 준특급에 따로 배정했고,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도 표제어의 한자 표기에 兎가 아닌 兔를 사용하고, 대법원의 한자/인명용 한자표에서도 兎를 兔의 속자로서 '허용'하여 공식적으로는 정자인 兔의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兎를, 중국에서는 兔를 표준 자형으로 정했다.
설문해자에서는 寃(원통할 원), 逸(편안할 일) 등 이 글자에서 파생된 5글자들을 묶어서 한 부수로 만들었지만 강희자전에서는 이 부수를 없애고 모두 다른 부수들에 귀속시켰다.
免(면할 면)과는 매우 비슷하게 생겼지만, 이는 소전에서부터고 금문까지는 모양이 달랐다. 토끼 머리랑 모자 쓴 사람 머리 차이.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 견분장방획토( 見 奔 獐 放 獲兔)
- 견토방구( 見兔 放 狗)
- 견토지쟁( 犬兔 之 爭)
- 교토삼굴( 狡兎 三 窟)
- 교토사주구팽( 狡兔 死 走 狗 烹)
- 귀모토각( 龜 毛兔 角)
- 금오옥토( 金 烏 玉兔)
- 수주대토( 守 株 待兔)
- 연목토이( 鳶 目兔 耳)
- 오비토주( 烏 飛兔 走)
- 오토( 烏兔)
- 주장낙토( 走 獐 落兔)
- 축미지구불고토( 逐 麋 之 狗 不 顧兔)
- 탈토지세( 脫兔 之 勢)
- 토각귀모(兔 角 龜 毛)
- 토라치리(兔 羅 雉 罹)
- 토사구팽(兔 死 狗 烹)
- 토사호비(兔 死 狐 悲)
- 토영삼굴(兔 營 三 窟)
- 토원책(兔 園 冊)[2]
- 호사토읍( 狐 死兔 泣)
3.3. 인명
- 니토 센리( 新兎 千 里)
- 메우 메우( 芽兎 めう)
- 모치즈키 교쿠토( 望 月 玉兎)
- 아카마 유토( 赤 間 遊兎)
- 우도 부키코(兎 洞 武 器 子)
- 우츠리기 가이스케(兎 吊 木 垓 輔)
- 이루마 미우( 入 間 美兎)
- 이루마 쥬토( 入 間 銃兎)
- 츠키노 미토( 月ノ 美兎)
- 츠키시로 유키토 ( 月 城 雪兎)
- 카미시로 유우토( 神 代 優兎)
- 키류 센토( 桐 生 戦兎)
- 토야마(兎 山)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免(면할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