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귀족 朝鮮貴族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8px -3px -11px" |
수작 | 공작 |
- | ||
후작 | ||
박영효 · 윤택영 · 이재각 · 이재완 · 이해승 · 이해창 | ||
백작 | ||
|
||
자작 | ||
고영희 ·
권중현 ·
김성근 · |
||
남작 | ||
김가진[4] · 김병익 ·
김사철 · |
||
거부
|
김석진 · 민영달 · 유길준 · 윤용구 · 조경호 · 조정구 · 한규설 · 홍순형 | |
습작 | 공작 | |
- | ||
후작 | ||
박찬범 · 윤의섭 · 이달용 · 이덕용 · 이덕주 · 이병길 | ||
백작 | ||
고중덕 · 고흥겸 · 송종헌 · 이영주 | ||
자작 | ||
고희경 · 권태환 · 김호규 · 민병삼 · 민충식 · 민형식 · 민홍기 · 박부양 · 윤강로 · 이규원 · 이종승 · 이창훈 · 이충세 · 이택주 · 이해국 · 이홍묵 · 임낙호 · 임선재ㆍ조대호 · 조용호 · 조원흥 · 조중수 | ||
남작 | ||
김교신 · 김덕한 · 김세현 · 김석기 · 김영수 · 김용국 ·
김정록 · 남장희 · 민건식 · 민규현 · 민병억 · 민영욱 · 민철훈 · |
||
승작 | 백작 → 후작 | |
이완용 | ||
자작 → 백작 | ||
고희경 · 송병준 | ||
[1] 1912년 도박죄로 구속되어 일시적으로 예우 정지. |
조선귀족 남작
김사철 金思轍 |
|
<colbgcolor=#b0313f><colcolor=#c0c0c0> 자 / 호 | 자유(子由) / 유당(由堂) |
출생 | 1847년 8월 21일 ( 헌종 13) |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
|
사망 | 1935년 2월 17일 (향년 87세) |
본관 | 연안 김씨[1] |
가족 |
아버지 김봉수, 어머니
문의 박씨 남동생 3명 |
경력 |
주차미국전권대신 참무관 외무참의 영남좌우도 암행어사 형조 참판 병조 참판 이조 참판 |
종교 | 유교 ( 성리학) |
비고 |
친일파 708인 명단 등재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등재 친일인명사전 등재 |
[clearfix]
1. 개요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2. 생애
1847년 한성부(現 서울특별시)에서 아버지 김봉수(金鳳秀)와 어머니 문의 박씨(文義 朴氏) 박재희(朴載熙)의 딸 사이의 4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족숙 김관수(金觀秀)에 입양되었다.1878년( 고종 15) 정시(庭試) 문과에 을과 2위로 급제한 뒤 # 1882년 홍문관 응교, 1883년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의 주사에 임명되었다. 이후 용강현령, 부교리 등을 거쳐 1888년 주차미국전권대신 참무관, 1890년 외무참의 및 영남좌우도 암행어사를 지냈다. 1893년 주차일본판리대신으로 일본 동경에 다녀왔으며, 성균관 대사성, 형조 참판, 한성부 좌윤, 형조 참판을 거치고, 1894년 병조 참판, 이조 참판, 동지중추원사 등을 지냈다.
대한제국 시기에 궁내부에서 고종 황제를 보좌했다. 1900년 궁내부 특진관, 1903년 장례원경, 1904년 의정부 찬정, 1905년 비서감경, 태의원경, 1906년 가례도감 제조, 궁내부 특진관, 중추원 찬의, 1907년 궁내부 특진관, 전선사 제조, 규장각 제학 등을 역임했다.
1910년 한일합병 직후 「조선귀족령」에 의거하여 일본정부로부터 조선귀족 남작의 작위와 함께 2만 5000원의 은사공채를 받았다. 1912년 8월 '귀족의 작위와 은사금을 받은 자로서 한일관계에 특히 공적이 현저한 자'로 인정되어 일본정부로부터 한국병합기념장을 받았다. 1935년 2월 17일 사망할 때까지 조선귀족의 작위가 유지되었으며, 사망 직후 일본정부에 의해 특지로써 위1급이 추승되어 종3위에 서위되었다.
[1]
내자시윤공파-송원종중 23세 사(思) 항렬. 본생가는 직강공파 평택종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