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8 23:42:54

박부양

조선귀족
朝鮮貴族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8px -3px -11px"
수작 공작
-
후작
박영효 · 윤택영 · 이재각 · 이재완 · 이해승 · 이해창
백작
민영린 · 이완용 · 이지용[1]
자작
고영희 · 권중현 · 김성근 · 김윤식 · 민병석 · 민영규 · 민영소 · 민영휘 · 박제순 · 송병준 · 윤덕영 · 이근명 · 이근택 · 이기용 · 이병무 · 이완용[2] · 이용직 · 이재곤 · 이하영 · 임선준 · 조민희[3] · 조중응
남작
김가진[4] · 김병익 · 김사철 · 김사준 · 김영철 · 김종한 · 김춘희 · 김학진 · 남정철 · 민상호 · 민영기 · 민종묵 · 민형식 · 박기양 · 박용대 · 박제빈 · 성기운 · 윤웅렬 · 이건하 · 이근상 · 이근호 · 이봉의 · 이용원 · 이용태 · 이윤용 · 이재극 · 이정로 · 이종건 · 이주영 · 이항구[5] · 장석주 · 정낙용 · 정한조 · 조동윤 · 조동희[6] · 조희연 · 최석민 · 한창수
습작 공작
-
후작
박찬범 · 윤의섭 · 이달용 · 이덕용 · 이덕주 · 이병길
백작
고중덕 · 고흥겸 · 송종헌 · 이영주
자작
고희경 · 권태환 · 김호규 · 민병삼 · 민충식 · 민형식 · 민홍기 · 박부양 · 윤강로 · 이규원 · 이종승 · 이창훈 · 이충세 · 이택주 · 이해국 · 이홍묵 · 임낙호 · 임선재ㆍ조대호 · 조용호 · 조원흥 · 조중수
남작
김교신 · 김덕한 · 김세현 · 김석기 · 김영수 · 김용국 · 김정록 · 남장희 · 민건식 · 민규현 · 민병억 · 민영욱 · 민철훈 · 민태곤 · 민태윤 · 박경원 · 박서양 · 박승원 · 박정서 · 성일용 · 성주경 · 윤치호 · 이강식 · 이경우 · 이규환 · 이기원 · 이능세 · 이동훈 · 이범팔 · 이병옥 · 이병주 · 이완종 · 이원호 · 이인용 · 이장훈 · 이중환 · 이창수 · 이풍한 · 이홍재 · 장인원 · 정두화 · 정주영 · 정천모 · 조원세 · 조중구 · 조중헌 · 최정원 · 한상기 · 한상억
승작 백작 → 후작
이완용
자작 → 백작
고희경 · 송병준
[1] 1912년 도박죄로 구속되어 일시적으로 예우 정지.
}}}}}}}}} ||
<colbgcolor=#b0313f><colcolor=#c0c0c0> 조선귀족 자작
박부양
朴富陽
파일:박부양.png
출생 1905년 6월 7일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사망 1974년 4월 20일 (향년 68세)
본관 반남 박씨
가족 아버지 박제순
장남 박승유
학력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졸업)
약력 조선귀족 자작
비고 친일파 708인 명단 등재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등재
친일인명사전 등재

1. 개요2. 생애3. 가족 관계4. 기타

[clearfix]

1. 개요

일제강점기 친일반민족행위자이자 관료. 을사오적, 경술국적에 포함된 매국노 박제순의 아들이다.

2. 생애

1905년 6월 7일 한성부(現 서울특별시)에서 을사오적이자 경술국적 박제순의 아들로 태어났다. 11세가 되던 1916년 박제순이 사망하자 자작 작위를 물려받았으며 1923년에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25년까지 한성은행 대주주였다. 1925년 종5위, 1932년 정5위를 거쳐 1937년 종4위에 올라 전라북도 임실군수와 금산군수를 지냈다. 1943년 정4위에 올라 해방 때까지 경기도 안성군수로 재직했다.

그는 젊은 시절부터 많은 부를 누리며 생활했으며 20살이던 1925년에는 당시엔 드물던 오토바이를 타다가 2번이나 사고를 내 신문에 기사가 나기도 했다.
청년 자작이 봉변
자동자전거를 타고 가는 길에 떠러저 욕보고 경관 주의까지

동소문안 혜화동 륙십삼번디 박부양이라는 청년 자작은 재작일 오후 네시경에 자기의 친구 리모(李某)와 함께 '오트바이'를 운뎐하야가지고 총독부병원 문전을 통과할 때에 마츰 그 병원 안으로 나오던 평산목장 마차와 충돌되야 운뎐하던 박씨는 땅우로 떠러저 바리고 운전수 업는 '오트바이'만이 굴러나가다가 고양군 숭인면 돈암리 리원희의 처 곽씨와 충돌되야 곽씨는 외인편 다리에 일개월 동안 전치할만한 큰 중상을 당하엿다는데 박 자작은 동대문서로부터 주의를 밧고 방면되엿다더라. (동아일보 1925년 5월 19일자)
자작 탄 자동자전거와 충돌
량편 모다 부상

지난 십사일 오후 두시 사십분 경에 시내 광화문통 경찰강습소 압헤서 시내 혜화동 일백륙십삼번디 박부양 자작과 김성긔 두 사람의 탄 자동자전거와 시내 태평통 석탄상 고용인 리홍창의 탄 자뎐거와 충돌되야 자전거 뒤 박휘가 파손되고 리홍창은 이마와 입에 타박상을 밧고 일시는 혼수상태에 빠젓슴으로 직시 서린동 지성윤병원에서 응급치료를 한 후 세부란쓰병원에 입원케 하얏는데 약 일주일간의 치료를 요한다하며 전긔 박부양 자와 김성긔도 각각 경상을 당하앗다더라 (동아일보 1925년 12월 17일)

1937년 동요회[1]에서 이사를 맡았다. 당연히 해방 이후, 1949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의해 조사를 받았지만 반민특위의 와해 이후 풀려났다. 1974년 4월 20일 사망했다.

3. 가족 관계

4. 기타

박완서의 작품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 언급되는 자작 영감이 이 인물이다.

[1] 친일단체. 조선귀족들의 모임이다. [2] 조선 후기의 관리이다. [3]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친일 행위에 죄책감을 느껴 독립운동가로 전향했는데 일본군 출신이라는 사실을 역이용하여 일본군에 침투하는 공작활동을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