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30 12:30:25

국립광주박물관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555"
파일:국회휘장.svg 국회
국회박물관
파일:국가정보원 로고.svg 국가정보원
안보전시관
파일:정부상징.svg 기획재정부
한국조폐공사 화폐박물관
관세청 관세박물관
국세청 국립조세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과학관 대전(중앙) · 과천 · 서울(어린이) · 광주 · 대구 · 부산 · 원주(강원)2025년 예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과학관
우정사업본부 / 서울중앙우체국 우표박물관
우정사업본부 / 우정공무원교육원 우정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외교부
외교사료관
파일:정부상징.svg 통일부
국립6.25전쟁납북자기념관
파일:정부상징.svg 법무부
검찰청 검찰역사관 · 국가형사사법기록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방부
전쟁기념사업회 전쟁기념관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해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박물관
공군사관학교 공군박물관
육군부사관학교 국립전사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행정안전부
경찰청 경찰박물관
소방청 국립소방박물관2025년 예정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파일:정부상징.svg 국가보훈부
독립기념관 ·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 호남호국기념관
파일:정부상징.svg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국립한글박물관 · 국립한국문학관 ·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국립박물관 서울(중앙) · 춘천 · 청주 · 공주 · 부여 · 전주 · 익산 · 광주 · 나주 · 대구 · 경주 · 진주 · 김해 · 제주 · 충주2026년 예정
국립현대미술관 과천(본관) · 서울 · 덕수궁 · 청주 · 대전2026년 예정
국립민속박물관 서울(본관) · 파주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 · 국립무형유산원 ·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 충무공이순신기념관 · 세종대왕역사문화관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천연기념물센터
국립해양유산연구소 해양유물전시관(목포(본관) · 태안)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
국립중앙극장 공연예술박물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박물관
국민체육진흥공단 국립체육박물관2024년 예정
대한체육회 한국체육박물관
태권도진흥재단 국립태권도박물관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박물관
한국저작권위원회 국립저작권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농림축산식품부
국립농업박물관
한국마사회 말박물관
산림청 국립산악박물관
산림청 /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국립농업과학원 잠사곤충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보건복지부
국립소록도병원 한센병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여성가족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국립여성사전시관
파일:정부상징.svg 국토교통부
국립항공박물관 · 국토발전전시관
국토지리정보원 국립지도박물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박물관
한국철도공사 철도박물관
새만금개발청 국립새만금간척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해양수산부
국립해양박물관 · 국립인천해양박물관2024년 예정 · 국립해양과학관 · 국립해양수산박물관2026년 예정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씨큐리움
한국항로표지기술원 국립등대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환경부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 국립밀양기상과학관 · 국립충주기상과학관 · 국립대구기상과학관 · 국립전북기상과학관
파일:한국은행 심볼.svg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파일:국립박물관단지 흰색 심볼.svg 국립박물관단지
국가기록박물관 · 국립어린이박물관 · 국립도시건축박물관 · 국립디지털문화유산센터 · 국립디자인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정부대전청사 상설 및 특별전시관
발명인의 전당 · 조달전시관 · 정부조달상품문화전시장 · 통계전시관 · 숲사랑체험관 · 국가기록전시관 · 병무역사기록관 · 관세기록관 }}}}}}}}}

국립광주박물관
國立光州博物館 | Gwangju National Museum
[1]
파일:국립광주박물관 로고.svg 파일:국립광주박물관 로고(정부상징).svg
<colcolor=#fff> 로고[2] <colcolor=#fff> 정부상징
<colbgcolor=#4ebbaa> 종류 국립 박물관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110 ( 매곡동)
개관 1978년 12월 6일
연락처 062-570-7000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연혁3. 역대 관장
3.1. 관람객
4. 역대 로고5. 브랜드6. 시설7. 소장품
7.1. 주요 소장품
8. 전시
8.1. 역사문화실8.2. 아시아도자문화실8.3. 기획전시실
8.3.1. 기획전
8.4. 어린이박물관8.5. 야외전시
9. 도서실
9.1. 이용안내
10. 출판11. 학술대회12. 교통13. 주변14.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국립광주박물관.jpg
국립광주박물관 본관
국립광주박물관은 전라남도의 중요 문화재들과 신안 증도에서 신안선에 출토된 문화재를 관리·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국립 박물관이다. 광복 이후 우리 손으로 지은 첫번째 지방 국립박물관이기도 하다. 국립광주박물관은 1978년 12월 6일에 개관하였다.[3] 당시 유행이던 한옥 외형 건축양식으로 지어져 외양이 마치 청와대를 연상케 한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에 이어서 유물 양이나 규모로 볼 때 세번째로 큰 박물관이며, 전라도에 있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립박물관 에서도 제일 오래되었다.

2. 연혁

  • 1977년 6월 17일 박물관 착공
  • 1978년 12월 6일 박물관 개관
  • 1979년 10월 6일 영산강유역지표조사 실시
  • 1980년 6월 8일 광주 원효사 발굴조사
  • 1986년 4월 28일 전남지역 도요지 지표조사
  • 1995년 5월 25일 광주 신창동 유적 발굴조사
  • 1996년 2월 26일 수장고 신축 및 전시관 개보수 착공
  • 1998년 12월 15일 수장고 신축 및 전시관 개보수 준공
  • 2003년 7월 상설전시실 개편
  • 2003년 8월 6일 홈페이지 사이버 박물관 구축
  • 2005년 12월 20일 누리관 준공
  • 2006년 12월 6일 어린이 박물관 개관
  • 2006년 9월 1일 상설전시실 개편 (고분실 신설)
  • 2007년 1월 15일 ~ 4월 1일 여수 안도패총 발굴조사
  • 2008년 3월 25일 해남 만의총 발굴조사
  • 2008년 2월 18일 나주 장동리 수문패총 발굴조사
  • 2008년 2월 13일 화순 대곡리 청동유물 출토지 발굴조사[4]
  • 2008년 4월 17일 국립광주박물관 현판 제막
  • 2008년 10월 7일 해남 용두리고분 발굴조사
  • 2013년 4월 15일 광주 신창동 유적(528번지 일원) 발굴조사
  • 2014년 5월 26일 광주 신창동 유적(590번지 일원) 발굴조사
  • 2015년 3월 16일 광주 신창동 유적(590전 일원) 발굴조사
  • 2020년 5월 21일 가상현실 체험관 "700년의 시간여행 - 신안 도자기를 찾아서" 개관
  • 2020년 12월 18일 아시아도자문화실 개관
  • 2022년~2023년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 2023년 4월 도자문화관 착공
  • 2025년 도자문화관 개관[5]

3. 역대 관장

  • 초대 이을호 (1978~1989)
  • 2대 지건길 (1989~1994)
  • 3대 이건무 (1994~1998)
  • 4대 김성구 (1998~2002)
  • 5대 이원복 (2002~2007)
  • 6대 조현종[6] (2007~2009)
  • 7대 이원복 (2009~2011)
  • 8대 조현종 (2011~2016)
  • 9대 송의정 (2016~2018)
  • 10대 김승희 (2018~2020)
  • 11대 이수미 (2020~2023)
  • 12대 이애령 (2023~현재)

3.1. 관람객

4. 역대 로고

5. 브랜드

* 신안선 발굴로 인해 지어진 박물관답게 아시아도자문화가 브랜드이다.

6. 시설

7. 소장품

  • 1990년대까지는 신안선 유물과 나주 옹관묘 유물도 국립광주박물관에서 전시되었다. 현재는 신안선 유물은 브랜드 구축으로 1층에 아시아도자문화실에 전시되어 있다. [7] 국립나주박물관 개관 이후 박물관에 있던 유물이 옮겨갔다.

7.1. 주요 소장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국립광주박물관 소장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전시

공식 안내

한때 2층에 나한상, 법종, 사리장엄구와 같은 불교문화재, 유교문화재, 신안선 유물을 소재로 한 신안실, 특별전시실이 있었다. 2008년 재개관과 함께 국립박물관 브랜드 구축을 위한 로고 변경이 있었다. 2020년에는 1층에 아시아도자문화실을 신설했다.

8.1. 역사문화실

광주전남 역사를 다룬다. 1실은 선사~삼국, 2실은 남북국~조선 유물을 전시했다.

8.2. 아시아도자문화실

고려 시대 청자, 분청사기, 백자, 청화백자 등을 전시하고, 신안선에서 발견된 유물들을 전시했다. 전시실 마지막에는 본 박물관이 위치한 매곡동의 흙으로 만든 도자기를 두었다.

8.3. 기획전시실

2012년 말에는 광주 신창동 유적의 사적지정 20주년을 기념하여 신창동 유물, 고인돌 및 기증품들을 소재로 한 특별전시가 열렸었다. 2020년 12월 중순부터 2021년 1월 말까지 이어지는 '6인의 시선, 국립광주박물관 소장 명품 사진전'이 열렸다. 2층에 전시되었으나 브랜드 구축 이후 아시아도자문화실과 함께 1층에 위치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이 이곳에서 전시되는 경우가 있다.

8.3.1. 기획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립광주박물관/특별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4. 어린이박물관[9]

이곳에서 중앙홀에서 할 수 있는 여권을 발급받을 수 있다.

8.5. 야외전시

9. 도서실

  • 노트북이나 필기도구 이외에는 가방은 바깥에 두는 게 이용할 때 큰 단점이다.
  • 국립경주박물관 신라천년서고처럼 각종의 박물관 도록과 지역자료가 많다.
  • 책이 잘 정리되자 않아 책을 찾기가 어렵다.

9.1. 이용안내

  • 신정, 설날, 추석 제외하고는 일요일, 공휴일에는 휴무.
  • 10:00~11:30, 13:00~17:00

10. 출판

11. 학술대회

  • 전라도 천도 기념 학술대회
  • 신안선 학술대회
  • 아시아 도자

12. 교통

상대적으로 땅값이 싼 외진 곳에 자리잡고 있어 접근성이 떨어진다.[10] 이는 인근의 광주비엔날레전시관도 마찬가지로 겪는 문제다. 주차 공간이 넓고 호남고속도로에서 접근하기 편해 자동차를 이용하는 타지역 관광객에게는 안성맞춤이나, 광주광역시민에 대한 배려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 시내버스 배차간격은 대체로 2~30분이고, 체험학습이 많은 시기에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부모가 데려다 주는 경우가 많다.
그나마 시내버스를 이용해서 국립나주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보다 훨씬 낫다.[11]

12.1. 시내버스

광주송정역에서 송정33번보다 송정29번을 타는 것을 추천한다. 공항에서 오면 환승해야 한다. 유스퀘어에서 오면 문흥53번을 타거나 경신여고 정류장에서 환승하는 게 좋다.
국립광주박물관입구 (광주 4206/4454)
국립광주박물관 (광주 4199/4200)

13. 주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외공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여담



[1] 본 문서에 있는 내용은 국립광주박물관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고 공공누리 제1 유형에 따라 출처를 표기해 사용했다. [2] 2020년 12월 상설전시실을 개편하면서 새로 만든 로고로 정부상징과 병용하고 있다. [3] 2023년 45주년 개념 [4] 새롭게 청동검이 발견되었다. [5] 현재 도자문화관을 공사하고 있다. [6] 국립제주박물관 관장,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을 지냈다. 퇴임 이후 현 광주고고문물연구소 소장. 이곳에서 학예사로 근무할 당시 광주 신창동 유적을 발굴하였다. 저습지 유적을 발굴해야 해서 일본으로 갔다 오기도 했다. [7] 한때는 2층에 전시되어 있다가 국립중앙박물관, 대여전시로 목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 있었다. 브랜드 구축으로 소장되어있던 약 1만 7천여점의 신안선 유물이 광주박물관으로 이관되었다. [8] 출토 유물을 볼 수있다. [9] 현재는 리모델링중. [10] 국립전주박물관 전주역사박물관도 비슷하다. [11] 이 박물관은 그래도 광주송정역 광주공항에서 멀지만, 유스퀘어광주버스터미널에서 올려면 환승하거나 간격이 좀 걸리는 문흥 53을 잘 타면 4코스 이상 가면 도착한다. 자주 버스가 다니지 않고, 버스가 하나 밖에 없으며, 1시간 넘게 걸리는 시내와 멀리 떨어져 있는 면 소재지 내에 있는 두 박물관은 시내에서 1시간 넘게 멀리 떨어져 있고, 시내버스로 왔다 갔다 시간을 많이 걸려 이 박물관을 가려면 자가용을 추천한다. [12] 광주예술의 전당 안에 소재 [13] 해당 여권 소지시. 이 스탬프 문의는 박물관 학예연구실로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