漁 고기잡을 어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水, 1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4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ギョ, リョウ
|
||||||
일본어 훈독
|
あさ-る, いさ-り, すなど-る
|
||||||
渔
|
|||||||
표준 중국어
|
yú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漁는 '고기잡을 어'라는 한자로, '물고기를 잡다', '낚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고기잡다 |
음 | 어 | |
중국어 | 표준어 | yú |
광동어 | jyu4 | |
객가어 | ǹg | |
민북어 | ngṳ̂ | |
민동어 | ngṳ̀ | |
민남어 |
gû[文] / hî[白]가오슝 등, hû[白]타이베이 등 |
|
오어 | hhy (T3) | |
일본어 | 음독 | ギョ, リョウ |
훈독 | あさ-る, いさ-り, すなど-る | |
베트남어 | ngư |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魚(물고기 어)가 합쳐진 회의자이자 형성자이다. 이체자로 오른쪽에 攵(칠 복)이 붙은 䰻가 있다. 갑골문의 형태를 보면 물고기를 낚싯대로 낚는 모양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바로 이 형태를 반영한 것. 현재 널리 쓰이는 漁의 기원이 되는 형태로 옆에 水가 붙은 형태도 있는데 이는 물고기를 물 밖으로 낚아올리는 것을 의미한다.
본래는 魚가 물고기 외에도 고기를 잡는 행위를 뜻했다가 나중에 고기를 잡는 행위라는 뜻이 이 글자로 분리되었다.
3. 용례
3.1. 단어
- 거어( 鉅漁)
- 금어( 禁漁)
- 난호어목지( 蘭 湖漁 牧 志)
- 낭태어( 浪 太漁)
- 대어( 大漁)
- 동어( 桐漁)
- 몽어정( 夢漁 亭)
- 밀어( 密漁)
- 반어( 半漁)
- 방두어( 枋 頭漁)
- 불어( 不漁)
- 서어( 西漁/ 鋤漁)
- 수어( 狩漁)
- 어가(漁 家/漁 歌)
- 어계(漁 溪)
- 어구(漁 具)
- 어구(漁 區)
- 어기(漁 期)
- 어기(漁 基/漁 磯)
- 어농(漁 農)
- 어랑타령(漁 郞 打 令)
- 어렵(漁 獵)
- 어로(漁 撈)
- 어로과(漁 撈 科)
- 어로권(漁 撈 權)
- 어로기(漁 撈 期)
- 어로반(漁 撈 班)
- 어로법(漁 撈 法)
- 어로선(漁 撈 船)
- 어로시대(漁 撈 時 代)
- 어로업(漁 撈 業)
- 어로장(漁 撈 場)
- 어망(漁 網)
- 어맹(漁 氓)
- 어목(漁 牧)
- 어민(漁 民)
- 어법(漁 法)
- 어부(漁 父)
- 어부(漁 夫)
- 어사(漁 師)
- 어색(漁 色)
- 어선(漁 船)
- 어성(漁 城)
- 어세(漁 稅)
- 어소(漁 所)
- 어수(漁 叟)
- 어수(漁 隧)
- 어업(漁 業)
- 구획어업( 區 劃漁 業)
- 근해어업( 近 海漁 業)
- 나잠어업( 裸 潛漁 業)
- 내수면어업( 內 水 面漁 業)
- 담수어업( 淡 水漁 業)
- 면허어업( 免 許漁 業)
- 모선식어업( 母 船 式漁 業)
- 반어업( 半漁 業)
- 북양어업( 北 洋漁 業)
- 신고어업( 申 告漁 業)
- 심해어업( 深 海漁 業)
- 어업관리단(漁 業 管 理 團)
- 어업권(漁 業 權)
- 어업기상(漁 業 氣 象)
- 어업등(漁 業 燈)
- 어업료(漁 業 料)
- 어업면허(漁 業 免 許)
- 어업무선(漁 業 無 線)
- 어업세(漁 業 稅)
- 어업자(漁 業 者)
- 어업자생(漁 業 資 生)
- 어업자원(漁 業 資 源)
- 어업정책(漁 業 政 策)
- 어업조약(漁 業 條 約)
- 어업조정(漁 業 調 整)
- 어업조합(漁 業 組 合)
- 연안어업( 沿 岸漁 業)
- 연해어업( 沿 海漁 業)
- 원양어업( 遠 洋漁 業)
- 원해어업( 遠 海漁 業)
- 입회어업( 入 會漁 業)
- 자본가적어업( 資 本 家 的漁 業)
- 잠수어업( 潛 水漁 業)
- 정치어업( 定 置漁 業)
- 천해어업( 淺 海漁 業)
- 하천어업( 河 川漁 業)
- 허가어업( 許 可漁 業)
- 어염세(漁 鹽 稅)
- 어옹(漁 翁)
- 어은(漁 隱)
- 어장(漁 場)
- 어장(漁 帳)
- 어적(漁 笛)
- 어전(漁 箭)
- 어전(漁 筌)
- 어정(漁 艇)
- 어정과(漁 政 課)
- 어조(漁 條)
- 어종(漁 䑸)
- 어채선(漁 採 船)
- 어초(漁 樵/漁 礁)
- 어촌(漁 村)
- 어탈(漁 奪)
- 어한(漁 漢)
- 어한기(漁 閑 期/漁 閒 期)
- 어항(漁 港)
- 어호(漁 戶)
- 어홍(漁 篊)
- 어화(漁 火)
- 어황(漁 況)
- 어회(漁 會)
- 어획(漁 獲)
- 영어( 營漁)
- 원소풍중단, 어가월하문( 猿 嘯 風 中 斷, 漁 歌 月 下 聞)
- 입어( 入漁)
- 전어( 佃漁)
- 초어( 樵漁)
- 출어( 出漁)
- 침어( 侵漁)
- 통어장정( 通漁 章 程)
- 퇴어( 退漁)
- 풍어( 豊漁)
- 휴어( 休漁)
- 흉어( 凶漁)
3.2. 고사성어/ 숙어
- 갈택이어( 竭 澤 而漁)
- 어망홍리(漁 網 鴻 離)
- 어부지리(漁 夫 之 利/漁 父 之 利)
- 어부지용(漁 夫 之 勇)
- 어옹지리(漁 翁 之 利)
- 어인득리(漁 人 得 利)
- 어인지공(漁 人 之 功)
- 어인지리(漁 人 之 利)
- 어초한화(漁 焦 閑 話)
- 어형어제(漁 兄漁 弟)
3.3. 인명
3.4. 지명
-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어은리(漁 隱 里)
-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면 법동어구로( 法 東漁 區 路)
- 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우포유어농로( 牛 浦 遊漁 農 路)
- 어랑역(漁 郞 驛)
- 인천광역시 동구 어촌로(漁 村 路)
- 전라남도 여수시 어항단지로(漁 港 團 地 路)
-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삼계면 어은리(漁 隱 里)
- 충청북도 영동군 매곡면 어촌리(漁 村 里)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𣩕[⿰歺魚](문드러질 소)
- 𨢭[⿰酉魚](연유 소)
- 䐳/ 䁩/ 𩥭[⿰馬魚](고리눈말 어)
- 䗨(빈대좀 어)
- 䲆(소)
- 𠽐[⿰口魚]
- 𡐚[⿰土魚]
- 𢐗[⿰弓魚]
- 𡠵[⿰女魚]
- 𱜊[⿰山魚]
- 𢠐[⿰忄魚]
- 𢳶[⿰扌魚]
- 𣊘[⿰日魚]
- 龽
- 𮃣[⿰禾魚]
- 𨫷[⿰金魚]
- 𱆏[⿰鬲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