牧 칠 목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牛,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ボク, モク
|
||||||
일본어 훈독
|
まき, か-う, つかさ, やしな-う
|
||||||
-
|
|||||||
표준 중국어
|
mù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牧은 '칠 목'이라는 한자로, '치다(가축을 기르다)', '다스리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치다 |
음 | 목 | |
중국어 | 표준어 | mù |
광동어 | muk6 | |
객가어 | mu̍k | |
민동어 | mŭk / muŏk[1] | |
민남어 | bo̍k | |
오어 | moq (T5) | |
일본어 | 음독 | ボク, モク |
훈독 |
まき, うまき, か-う, つかさ, むまき, やしな-う |
|
베트남어 | phó |
소의 모습을 본뜬 牛(소 우)와, 손으로 몽둥이를 들고 있는 모습을 본뜬 攴(칠 복)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방목해 놓은 소를 몰기 위해 회초리를 휘두르는 모습에서 '치다', '가축을 기르다'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등목( 滕牧)
- 마이마키 마이( 舞牧 麻 衣)
- 마키가미 코마키(牧 上 小牧)
- 마키노 유이(牧 野 由 依)
- 마키무라 토시사다(牧 村 利 貞)
- 마키세 유미(牧 瀬 裕 美)
- 마키시마 무기베(牧 島 麦 兵 衛)
- 마키 키요카(牧 清 香)
- 손목인( 孫牧 人)
- 와카야마 보쿠스이( 若 山 牧 水)
- 우시마키 주리( 牛牧 ジュリ)
- 종리목( 鍾 離牧)
- 코마키 미유( 小牧 未 侑)
- 코마키 미키히사( 小牧 幹 久)
- 쿠다마키 츠카사( 菅牧 典)
3.4. 지명
-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 面牧 洞)
- 대전광역시 중구 목동(牧 洞)
- 경기도 시흥시 목감동(牧 甘 洞)
-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 野牧 里)
-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목도리(牧 渡 里)
- 충청북도 충주시 목행동(牧 杏 洞)
-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목계리(牧 溪 里)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무장면 목우리(牧 牛 里)
-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목리(牧 里)
-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목서리(牧 西 里)
3.5. 철도역
3.6. 창작물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치료하다'라는 의미로 쓰일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