隱 숨을 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阜, 1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7획
|
||||
고등학교
|
4급
|
||||||
隠
|
|||||||
일본어 음독
|
イン, オン
|
||||||
일본어 훈독
|
かく-す, かく-れる, こも-る
|
||||||
隐
|
|||||||
표준 중국어
|
yǐ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隱은 '숨을 은'이라는 한자로, '숨다', '은밀(隱密)하다'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96A0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NLBMP(弓中月一心)로 입력한다.뜻을 나타내는 阜(언덕 부)와 소리를 나타내는 㥯(삼갈 은)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체자로 한글 ㄴ과 닮은꼴 문자인 乚과 𠃊이 있다.
3. 용례
3.1. 단어
- 가은( 歌隱/ 稼隱/ 嘉隱)
- 간은( 間隱)
- 검은고( 黔隱 扣)
- 경은( 景隱/ 耕隱)
- 고은( 孤隱/ 皐隱)
- 고은당( 高隱 堂)
- 기은( 欺隱/ 耆隱)
- ㄴ댄(隱 大隱)
- 대은( 大隱)
- 매은( 梅隱)
- 목은( 牧隱)
- 삼은( 三隱)
- 어은( 漁隱)
- 용은( 慵隱)
- 은간(隱 奸)
- 은객(隱 客)
- 은갱(隱 坑)
- 은거(隱 居)
- 은닉(隱 匿)
- 은대(隱 對)
- 은둔(隱 遁/隱 遯)
- 은미(隱 微)
- 은밀(隱 密)
- 은신(隱 身)
- 은어(隱 語)
- 은연(隱 然)
- 은유(隱 喩)
- 은은(隱隱)
- 은익(隱 匿)
- 은인(隱 人/隱 忍)
- 은자(隱 者/隱 疵)
- 은퇴(隱 退)
- 은폐(隱 蔽)
- 인댄( 引 大隱)
- 천은( 天隱)
- 측은( 惻隱)
- 한새( 大隱 鳥)
3.2. 고사성어/ 숙어
- 고려삼은( 高 麗 三隱)
- 여말삼은( 麗 末 三隱)
- 은거방언(隱 居 放 言)
- 은공좌전(隱 公 左 傳)
- 은악양선(隱 惡 揚 善)
- 은연지중(隱 然 之 中)
- 은인자중(隱 忍 自 重)
- 은지상급(隱 志 相 及)
- 자위부은( 子 爲 父隱)
- 장두은미( 藏 頭隱 尾)
- 측은지심( 惻隱 之 心)
- 화중은일( 花 中隱 逸)
3.3. 인명
- 내은이( 內隱 伊)
- 노은공( 魯隱 公)
- 마타라 오키나( 摩 多 羅 隠 岐 奈)
- 사루가쿠레 사스케( 猿隠 佐 助)
- 은월(隐 月)
- 이누가미교부 다누키(隠 神 刑 部 狸)
- 이누가미 코하치(隠 神 鼓 八 千)
- 이상은( 李 商隱): 당나라의 재상
- 이상은( 李 尙隱): 당나라의 시인
- 점창어은( 點 蒼 漁隱)
- 츠츠카쿠시 츠쿠시( 筒隠 つくし)
- 츠츠카쿠시 츠키코( 筒隠 月 子)
- 카쿠레미노 마기레(隠 蓑 マギレ)
- 카쿠레미노 스데(隠 蓑 既)
- 카쿠레미노 스미(隠 蓑 済)
- 카쿠시다테 야쿠스케(隠 舘 厄 介)
- 키리가쿠레 사이지( 霧隠 才 次)
- 키리가쿠레 쿠로우도( 霧隠 蔵 人)
- 하가쿠레 야스히로( 葉隠 康 比 呂)
- 하가쿠레 토오루( 葉隠 透)
- 하가쿠레 히로코( 葉隠 浩 子)
3.4. 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古隱 里)
- 경기도 광주시 포은대로( 圃隱 大 路)
- 경기도 시흥시 대은로( 大隱 路)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隱 縣 面)
- 경상북도 구미시 경은로( 耕隱 路)
- 고은( 古隱)
- 대전광역시 유성구 어은로( 魚隱 路)
- 서울특별시 관악구 복은길( 福隱길)
- 서울특별시 마포구 포은로 圃隱 路)
- 울산광역시 남구 은월로(隱 月 路)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선은본길( 仙隱 本길)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고은두산로( 高隱 斗 山 路)
3.5. 창작물
- 교은집( 郊隱 集)
- 나은집( 懶隱 集)
- 농은유고( 農隱 遺 稿)
- 눌은집( 訥隱 集)
- 덕은유고( 德隱 遺 稿)
- 만은집( 漫隱 集)
- 망우급석탄회은몽예남계유사( 忘 憂 及 石 灘 晦隱 夢 囈 南 溪 遺 事)
- 송은실기( 松隱 實 記)
- 속은집( 俗隱 集)
- 야은( 冶隱)
- 야은일고( 野隱 逸 稿)
- 어은보( 漁隱 譜)
- 은궤집(隱 几 集)
- 은사가(隱 士 歌)
- 임호은전( 林 虎隱 傳)
- 표은집( 瓢隱 集)
- 향은집( 薌隱 集)
- 회은집( 晦隱 集)
- 封隠文様
3.6. 일본어
- 음독
- 훈독
3.7. 기타
4. 유의자
- 囥(숨을 강/항)
- 弆(감출 거)
- 𢋝[⿸廆木](숨을 게)
- 匿(숨길 닉)
- 韜(감출 도)
- 遁(숨을 둔)
- 密(빽빽할 밀)[1]
- 㫘(숨을 밀)
- 祕(숨길 비)
- 䨾/ 陫(숨을 비)
- 廋(숨길 수)
- 揞(숨길 암)
- 闇(숨을 암)
- 掩(가릴 엄)
- 㥷(숨을 예)
- 韞(감출 온)
- 藏(감출 장)
- 𢼕[⿰氐攵]/ 𢺾[⿰氐支](숨을 저)
- 竄(숨을 찬)
- 蟄(숨을 칩)
- 躱(감출 타)
- 趓(숨을 타)
- 蔽(덮을 폐)
- 宲(감출 포)
- 匸(감출 혜)
- 諱(숨길/꺼릴 휘)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𨆲[⿰𧾷㥯](기댈 온)
- 𡁋[⿰口㥯](작은입 온)
- 穩(편안할 온)
- 濦(강이름 은)
- 懚(기댈 은)
- 㒚(기댈 은, 안온할 온)
- 䌥(꿰맬 은)
- 𤢦[⿰犭㥯](당나귀 은)
- 檼(마룻대/도지개 은)
- 嶾(산높을 은)
- 𨏈[⿰車㥯](수레소리 은)
- 㡥/ 𧞎[⿰衤㥯](쌀 은)
- 𢷍[⿰扌㥯](쪼갤 은)
- 䭡(초대할 은/안)
- 𭨄[⿰日㥯]
- 𭩑[⿰月㥯]
- 𥖵[⿰石㥯]
- 𲁼[⿰言㥯]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㶏(강이름 은)
- 䨸(구름모양 은)
- 蘟(나물이름 은)
- 癮(두드러기 은)
- 櫽(바로잡을 은)
- 𡾯[⿱山隱](산높을 은)[2]
- 𨏱[⿰車隱](수레소리 은)
- 讔/ 𧮐[⿱隱言](수수께끼 은)
- 㦩(슬퍼할 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