喪 잃을 상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口,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ソウ
|
||||||
일본어 훈독
|
も, うしな-う, ほろ-びる, ほろ-ぼす
|
||||||
丧
|
|||||||
표준 중국어
|
sāng, sà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喪의 획순
[clearfix]
1. 개요
喪은 '잃을 상'이라는 한자로, '잃다', '죽다', ' 상례(喪禮)'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잃다 | |
음 | 상 | ||
중국어 | 표준어 | sāng | <colbgcolor=#fff,#1f2023>sàng |
광동어 | song1 | song3 | |
객가어 | sông | song | |
민북어 | só̤ng | so̤̿ng | |
민동어 | sŏng | sáung | |
민남어 | song[文] / sng[白] | sòng | |
오어 | saan (T1) | saan (T2) | |
일본어 | 음독 | ソウ | |
훈독 | も, うしな-う, ほろ-びる, ほろ-ぼす | ||
베트남어 | tang | táng |
유니코드에는 U+55A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GRRV(土口口女)로 입력한다.
갑골문 | 금문 | 소전체 |
이 글자는 원래 다음자(多音字)로, '장례', '상'(喪)와 같은 뜻을 나타낼 때는 평성으로, '잃다', '죽다'와 같은 뜻을 나타낼 때는 거성으로 읽는다.
이체자로는 𬀷가 있는데, 특이하게도 해당 한자는 독자적인 훈음이 없이 傷(다칠 상), 喪(잃을 상), 壯(장할 장) 총 3개의 한자와 훈음을 공유하는 매우 독특한 한자이기도 하다.
3. 용례
3.1. 단어
- 경심상담( 驚 心喪 膽)
- 도령상 구방상( 都 令喪 九 方 相)
- 득상( 得喪)
- 모상( 耗喪)
- 상(喪)
- 거상( 居喪)
- 거애임상( 擧 哀 臨喪)
- 국상( 國喪)
- 기상( 己喪)
- 내간상( 內 艱喪)
- 내상( 內喪)
- 단상( 短喪)
- 당상( 當喪)
- 대상( 大喪/ 代喪)
- 도상( 悼喪)
- 면상( 免喪)
- 모상( 母喪)
- 모상( 冒喪)
- 몽상( 蒙喪)
- 문상( 問喪)
- 반상( 返喪)
- 발상( 發喪)
- 백일상( 百 日喪)
- 벌상( 伐喪)
- 변상( 變喪)
- 복상( 服喪)
- 본인상( 本 人喪)
- 부상( 父喪)
- 부상( 夫喪)
- 분상( 奔喪)
- 불승상( 不 勝喪)
- 삼년상( 三 年喪)
- 삼상( 三喪)
- 상가(喪 家)
- 상고(喪 故)
- 상구(喪 具)
- 상기(喪 期)
- 상란(喪 亂)
- 상례(喪 禮)
- 상립(喪 笠)
- 상망(喪 亡)
- 상문(喪 門)
- 상배(喪 配)
- 상백(喪 魄)
- 상변(喪 變)
- 상보(喪 報)
- 상복(喪 服)
- 상부(喪 夫)
- 상부(喪 父)
- 상비(喪 費)
- 상사(喪 事)
- 상선(喪 扇)
- 상수(喪 需)
- 상심(喪 心)
- 상여(喪 輿)
- 상여(喪 餘)
- 상용물(喪 用 物)
- 상우(喪 偶)
- 상유(喪 帷)
- 상인(喪 人)
- 상장(喪 杖)
- 상장(喪 葬)
- 상장(喪 章)
- 상제(喪 祭)
- 상제(喪 制)
- 상조(喪 助)
- 상주(喪 主)
- 상주(喪 酒)
- 상중(喪 中)
- 상채(喪 債)
- 상처(喪 妻)
- 상청(喪 廳)
- 상체(喪 遞)
- 상측(喪 側)
- 상탈(喪 頉)
- 상포(喪 布)
- 상혼(喪 婚/喪 魂)
- 소상( 小喪)
- 수상( 隨喪)
- 순상( 順喪)
- 심상( 心喪)
- 악상( 惡喪)
- 애상( 哀喪)
- 여상( 女喪)
- 연상( 連喪)
- 완상( 頑喪)
- 외간상( 外 艱喪)
- 외상( 外喪)
- 운상( 運喪)
- 재상( 在喪)
- 저상( 沮喪)
- 제상( 除喪)
- 조상( 弔喪)
- 종상( 終喪)
- 종신지상( 終 身 之喪)
- 주상( 主喪)
- 중상( 重喪)
- 집상( 執喪)
- 참상( 慘喪)
- 처상( 妻喪)
- 초상( 初喪)
- 출상( 出喪)
- 치상( 治喪)
- 친상( 親喪)
- 타상( 墮喪)
- 탁상( 椓喪)
- 탈상( 脫喪)
- 패상( 敗喪)
- 하상( 下喪)
- 해상( 解喪)
- 형제상( 兄 弟喪)
- 호상( 護喪)
- 호상( 好喪)
- 혼상( 婚喪)
- 상국(喪 國)
- 상기(喪 氣)
- 상성(喪 性)
- 상신(喪 神)
- 상실(喪 失)
- 기억상실( 記 憶喪 失)
- 상실감(喪 失 感)
- 상실자(喪 失 者)
- 상실증(喪 失 症)
- 시야상실( 視 野喪 失)
- 심신상실( 心 神喪 失)
- 심장기능상실( 心 臟 機 能喪 失)
- 자격상실( 資 格喪 失)
- 자아감상실( 自 我 感喪 失)
- 전자상실원자( 電 子喪 失 原 子)
- 상채(喪 彩)
- 이득비상( 以 得 裨喪)
- 전상( 全喪)
- 행상( 行喪)
- 휴상( 虧喪)
- 흥상( 興喪)
3.2. 고사성어/ 숙어
- 관혼상제( 冠 婚喪 祭)
- 낙담상혼( 落 膽喪 魂)
- 동패서상( 東 敗 西喪)
- 병풍상성( 病 風喪 性)
- 부재모상( 父 在 母喪)
- 삼상불문( 三喪 不 問)
- 상가지구(喪 家 之 狗)
- 상명(喪 明)
- 상혼낙담(喪 魂 落 膽)
- 수두상기( 垂 頭喪 氣)
- 완물상지( 玩 物喪 志)
- 완인상덕( 玩 人喪 德)
- 조상부모( 早喪 父 母)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 광해초상록( 光 海 初喪 錄)
- 상례보편(喪 禮 補 編)
- 상례비요(喪 禮 備 要)
- 상례의주(喪 禮 儀 注)
- 상제례초(喪 祭 禮 抄)
- 상제요록(喪 祭 要 錄)
- 상제집홀(喪 祭 輯 笏)
- 상제촉정례(喪 祭 燭 定 例)
- 의례상복편주소의( 儀 禮喪 服 篇 注 疏 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