稀 드물 희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禾,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고등학교
|
준3급
|
||||||
-
|
|||||||
일본어 음독
|
キ, ケ
|
||||||
일본어 훈독
|
うす-い, まれ
|
||||||
-
|
|||||||
표준 중국어
|
xī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稀는 '드물 희'라는 한자로, '드물다', '성기다', '묽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드물다 |
음 | 희 | |
중국어 | 표준어 | xī |
광동어 | hei1 | |
객가어 | hî | |
민북어 | hí | |
민동어 | hĭ | |
민남어 | hi | |
오어 | xi (T1) | |
일본어 | 음독 | キ, ケ |
훈독 | うす-い, まれ | |
베트남어 | thuế |
유니코드에는 U+7A00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HDKKB(竹木大大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禾(벼 화)와 소리를 나타내는 希(바랄 희)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일본에서 稀는 인명용 한자이며, 일상에서는 대부분 상용한자 希로 쓴다. 희소(希少), 희박(希薄), 희토류(希土類) 등.
3. 용례
3.1. 단어
- 고희연( 古稀 宴)
- 축고희( 祝 古稀)
- 희귀(稀 貴)
- 희년(稀 年)
- 희대(稀 代)
- 희모(稀 毛)
- 희미(稀 微)
- 희박(稀 薄)
- 희석(稀 釋)
- 희성(稀 姓)
- 희소(稀 少)
- 희옹옥(稀 翁 玉)
- 희토류 원소(稀 土 類 元 素)
- 희한(稀 罕)[1]
- 희활(稀 闊)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니이츠 미키나( 新 津 実稀 奈)
- 모리모토 히초리( 森 本 稀 哲)
- 미즈키 미리( 水稀 みり)
- 야나기 미키( 柳 美稀)
- 야마모토 미즈키( 山 本 瑞稀): 일본의 성우
- 야마자키 하루키( 山 崎 悠稀)
- 오우키 카나메( 凰稀 かなめ)
- 이노우에 미즈키( 井 上 瑞稀)
- 이마가와 슈키( 今 川 柊稀)
- 이타가키 유우키( 板 垣 優稀)
- 이희선( 李稀 善): 한국의 축구선수
- 장시저( 张稀 哲)
- 카야마 미츠키( 加 山 三稀)
- 키사키 텟타(稀 咲 鉄 太)
- 키스미 레이(稀 菫 レイ)
- 키시로 사쿠라코(稀 代 桜 子)
- 키신 사구메(稀 神 サグメ)
- 호마레 나오( 穂稀 なお)
3.4. 지명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㟓(산곁으로돌 기)
- 䤭/ 餙(꾸밀 식)
- 絺(가는칡베 치)
- 㛓(여자의자 치/희)
- 𢬾[⿰扌希](퍼질 포)
- 𢓬[⿰彳希](송사할 해, 비슷할 희)
- 脪(궂은살나올 흔)
- 𨿛[⿰隹希](꿩 희)[2]
- 桸(나무썩을/국자 희)
- 䮎(달리는모양 희)
- 豨/ 狶/ 𧳐[⿰豸希](돼지 희)
- 晞(마를 희)
- 鯑(말린청어알 희)
- 䛥(말소리 희)
- 浠(물이름 희)
- 䖷(바다독충 희)
- 睎(바라볼 희)
- 烯(불빛 희)
- 俙(비슷할 희)
- 琋(사람이름 희)
- 悕(원할 희)
- 𪖥[⿰鼻希](잠자는숨소리 희)
- 𧣩[⿰角希](좋은뿔 희)
- 唏(훌쩍훌쩍울 희)
- 𪌹[⿰麥希](치)
- 𧶖[⿰貝希](희)
- 𨡂[⿰酉希](희)
- 𱖱[⿰土希]
- 𫹇[⿰㣇希]
- 𮁻[⿰示希]
- 𮖆[⿰衤希]
- 𦖁[⿰耳希]
- 𩊽[⿰革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