閪 잃을 서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門,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4획
|
||||
미배정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
|
||||||
일본어 훈독
|
-
|
||||||
𲈹 (⿵门西)
|
|||||||
표준 중국어
|
-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閪은 '잃을 서'라는 한자로, 한국어/ 광둥어에서만 쓰이는 글자이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95AA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ANMCW(日弓一金田)로 입력한다.門과 西가 합쳐진 글자이다(⿵門西).
광둥어에서도 이 글자를 쓴다. 다만 같은 글자를 쓰긴 해도 서로 그 사실을 인지했던 것 같진 않다. 조합 방법이 ⿵門西로 매우 간단하니 우연한 일치로 추정된다. 광둥, 주로 홍콩에서는 여성의 성기를 hai1라 하고 이를 종종 閪로 쓰곤 한다.[1] 이 '하이'의 어원 설은 하나로 통일되어 있지는 않은데 표준 중국어에서 동일한 의미를 지니는 屄에서 왔다는 설도 있고, 태국어 계열이라는 설도 있다.
한국 한자음 ' 서'는 교육용 한자 내의 한자도 12개나 될 정도로 매우 흔하게 쓰이는 반면, 이 글자는 오로지 '서실'이라는 드문 용례밖에 없기 때문에 한국어 IME 한자 변환에서 순서가 매우 뒤에 있다. '서'로 변환하면 온갖 희한한 글자를 다 제치고 15번째 페이지의 7번째에 閪가 위치해있다.
한국에서는 청불왕생가( 보현십원가 중 하나)에 '知良閪尸也'로 실린 예를 제외하면 모두 閪失로만 등장한다. 특이하게도 일본 측 자료인 世尊寺本字鏡, 天文本字鏡鈔에 이 글자의 풀이를 'ミヤコ'( 도시, 수도)로 싣고 있어 눈길을 끈다(大原 2014, 이건식 2019:18-19에서 재인용).[2][3] 해당 의미로부터 추측해볼 때 ' 서라벌'의 '서'를 西로 표기한 것일 가능성도 염두에 둘 수 있겠다. 이건식(2019)에서는 더 나아가 '서실' 역시 "복잡한 도시에서 잃어버리다"라는 의미일 것으로 추측하였다.
3. 용례
- 서실(閪 失): 잃어버리다. 이두에서 이 표현을 자주 사용했다. 대명률직해의 1.15에서는 # "遺失官物"(유실 관물)이 "官物乙 閪失爲在乙良"(관물을 서실하면)으로 옮겨진 바 있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오히려 ' 유실'( 遺 失)이 일반적이며[4] '서실'은 거의 쓰이지 않게 되었다.
- 광둥어에서 여성의 멸칭으로 자주 활용한다. 욕설/중화권 문서에는 臭閪(cau3 hai1, 차오하이)라는 표현이 실려있다. 뜻은 한자 그대로 '냄새나는 년'으로, 창녀와 유사한 의미로 쓰인다. 그밖에 영어 위키사전 문서를 보면 용법은 한국어 보지와 유사한 양상인 것 같다. 간혹 씨발, fuck 같은 용법으로도 쓰는 모양이다.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당시에는 여성운동의 일환으로 "自由閪"라는 구호가 나오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