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02:04:11

Warhammer 40,000: Tacticus/팩션/오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Warhammer 40\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오크(Warhammer 40\
,
,
,
,
,


1. 개요2. 소속 캐릭터
2.1. 스놋플로거2.2. 기바스크랩즈2.3. 스내파레카2.4. 탱크스매샤2.5. 보스 걸고츠

1. 개요


Warhammer 40,000: Tacticus의 2번째 제노스 팩션인 오크다.

다른 팩션과 달리 오크는 서로 다른 두 하위세력으로 나뉘어있는데, 각각 바드 문즈 클란과 스네이크바이츠 클란이며 캠페인 이야기상 둘은 적대한다. 바드 문즈 클란의 기바스크랩즈, 스내파레카, 보스 걸고츠는 캠페인 필수 캐릭터이기도 하며 근접에 치중되어 있되 원거리 공격도 가능한 반면, 스네이크바이츠 클란의 스놋플로거 탱크스매샤는 근접에 특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캠페인 필수 캐릭터들은 대미지와 관통률이 너무 낮고 능력들이 하자가 있어서 캠페인 진행을 위해선 다른 캠페인 캐릭터들보다 더 높은 성장을 요구하는데, 다른 게임모드에서 활약하는 캐릭터가 아니다 보니 쓸모없는 캐릭터를 더 성장시켜야 한다는 불합리로 플레이어들을 고통스럽게 한다. 옥타리우스 캠페인 주역임에도 원작 출신 캐릭터가 없어서 애정으로 키우는 사람도 없다.

2. 소속 캐릭터

2.1. 스놋플로거


[ 배경 펼치기 ]
그럼벌 스놋플로거
Grumbal Snotflogga
오크가 부대의 그롯과 스노틀링을 통제하려면 오크 기준으로 무한한 인내심과 송곳처럼 내리찍는 눈길이 필요합니다. 물론 포악한 사냥용 스퀴그로 본보기를 보여주는 것도 나쁘지는 않죠.

캐릭터 장비

기본 능력치

공격 정보

능력 정보

파일:Warhammer40kTacticus_ability_getemruntz.png

가서 잡아와 런트
Get'em Runtz

액티브
능력 사용자 및 적 유닛과 모두 인접한 각 칸에 그롯 1마리 소환. 새롭게 스폰된 그롯은 즉시 적을 근접 공격할 수 있으나, 이 턴에 이동할 수 없음. 이 턴에 그롯의 공격을 받은 적 유닛은 도발당함.

그롯 스탯:
66 체력A★
33 대미지A★
{{{#!folding [ 자세히 ]


파일:Warhammer40kTacticus_ability_squighound.png

사냥개 스퀴그
Squig Hound

패시브
아군 그롯이 전투 피로 무시. 스놋플로거가 공격할 때마다 사냥개 스퀴그도 대상을 물어 추가로 2x 24-36 물리 대미지A★를 줌. 이후, 전장에 아군 그롯이 5마리 미만으로 남아 있다면 대상과 인접한 곳에 즉시 공격할 수 있는 그롯 소환.

그롯 스탯:
66 체력A★
33 대미지A★
{{{#!folding [ 자세히 ]

A: 능력 레벨에 따라 증가
: 희귀도에 따라 증가

특성 정보


택티쿠스 고유 캐릭터이며 그라바 스틱과 스퀴그 하운드를 장비한 스네이크바이츠 클란의 런트허드. 화이트 드워프에서 공개된 2009년 모형인데, 워기어와 자세만 같을 뿐 비스트 스나가가 입을 법한 복장으로 재창작되었다. 다만 런트허드 자체는 비스트 스나가가 아니다.

다수의 소환수를 다룰 수 있는 근접 딜러 캐릭터. 공격이 물리 유형이지만 대미지와 히트 수가 높은 편이어서 대부분의 탱커에게도 유의미한 피해를 주며 딜러에게는 패시브 없이도 처치할 정도의 강력한 피해를 준다. 거기에 탈압박의 육탄전으로 추가 히트가 발생할 수도 있다. 체력이 상당히 높은 편이고 방어력이 준수하며 비스트 처단자도 있어서 무척 튼튼하다. 능력들로 소환하는 그롯은 발사체 유형의 1 히트 근접 공격과 증식 능력을 가진 소환수인데, 대미지는 높은 편이지만 피해 유형이 워낙 안 좋아서 캐릭터들에게는 따가운 정도의 피해만 준다. 작은 체구 특성이 있어서 원거리 히트를 적게 받고 체력은 소환수치곤 높은 편이지만 방어력이 없어서 자잘한 공격에도 순식간에 없어진다. 능력치와 특성이 훌륭하고 능력도 뛰어나서 성장 우선순위가 오크 중에서 가장 높은 캐릭터다. 샐비지 런에서 나오는 금고를 부수면 스놋플로거 조각이 2개씩 나온다. 인도미투스 캠페인 진행 중에 받는 미션이 조각 40개를 주며 파워 레벨 14 달성 시 조각 20개를 획득한다. 옥타리우스 캠페인 보스 스테이지를 깰 때마다 나오는 기간제 미션에서도 징발 명령과 함께 조각 5개를 준다. 미해금 상태면 상점에서 블랙스톤으로 조각을 구매할 수 있는데, 조각 10개당 350 블랙스톤으로 상당히 비싼 편이다. 조각을 퍼주는 게 많고 샐비지 런에서 매일 4개씩 얻을 수 있으니 캠페인 필수 캐릭터가 아님에도 해금이 빠른 편이다.

액티브는 그롯 다수 소환. 스놋과 적 사이의 빈칸에 그롯을 소환하여 공격시킨다. 그롯이 공격한 적은 도발이 걸리는데, 하나의 적을 여러 그롯이 공격할 경우 마지막에 공격한 그롯에게만 도발이 걸린다. 최대 6마리 소환할 수 있으나 그럴 기회는 거의 없고, 보통 3마리 이상 소환하는 게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탱커 공격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그롯을 제아무리 많이 소환해봐야 스놋이 그냥 한 번 일반 공격하는 것이 피해를 더 많이 주므로, 피해량 위주로 생각하기보다는 소환 및 도발 효과를 가진 유틸리티 능력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그롯이 정리되지 않으면 다음 턴 탈압박의 육탄전이 확정 발동할 수도 있다는 점 역시 훌륭하다.

패시브는 그롯의 전투 피로를 비활성화하고 일반 공격에 추가 피해 및 조건부 그롯 소환. 히트당 대미지 기댓값이 일반 공격과 동일하므로 동급으로 성장시켜 놓았다면 일반 버프를 안 받는 추가 2 히트라고 보면 된다. 탈압박의 육탄전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롯 소환을 제외하고 봐도 꽤 강력하다. 그롯은 대상과 인접한 칸 중 선호도가 높은 칸에서 소환되며[1], 공격 우선순위를 따라 공격하므로 스놋과 다른 대상을 공격할 수도 있다. 상당한 피해를 주면서 소소한 소환수까지 나오므로 성장 우선순위가 높은 능력이다.
  • 원작 관련 (9판)
액티브 Get'em Runtz는 기원 불명. 여담으로 옦스가 가미되어 s를 z로 자주 치환하는 코덱스에서도 runt의 복수형은 runts로 표기된다. 패시브 Squig Hound은 워기어 중 하나로 인접한 그레친 인펀트리들이 덜 도망가게 해주는데, 택티쿠스에서와 달리 보조 무기가 아니라서 직접 공격하지는 않는다.

2.2. 기바스크랩즈


[ 배경 펼치기 ]
스페줄리스트 기바스크랩즈
Gibbascrapz, da Spezulist
소용돌이처럼 도는 파편과 걱정될 정도로 반짝이는 잡동사니로부터 형성된 커스텀 포스 필드는 비틀거리는 에너지 돔으로, 멕과 의식이 사라진 그 친구들을 공격으로부터 보호해주는 동시에 전장 속으로 한발 더 나아갈 수 있게 해줍니다.

캐릭터 장비

기본 능력치

공격 정보

능력 정보

파일:Warhammer40kTacticus_ability_grottank.png

그롯 탱크
Grot Tank

액티브
비어 있는 인접 칸에 그롯 탱크 지원 요청. 그롯 탱크는 첫 번째 턴에 이동할 수 없으나 사정거리 내에 있는 적을 즉시 공격 가능.

그롯 탱크 스탯:
70 체력A★(시작된 라운드마다 +10A★)
25 대미지A★
20 방어력A★
{{{#!folding [ 자세히 ]


파일:Warhammer40kTacticus_ability_kustomforcefield.png

커스텀 포스 필드
Kustom Force Field

패시브
인접한 모든 아군에게 +6 방어력A★.
{{{#!folding [ 자세히 ]

A: 능력 레벨에 따라 증가
: 희귀도에 따라 증가

특성 정보


택티쿠스 고유 캐릭터이며 기본 워기어를 장비한 빅 멕 위드 커스텀 포스 필드. 도색 배합은 바드 문즈 클란이고 캠페인에서도 다른 바드 문즈 클란 오크와 함께 움직이지만 클란 데칼은 없다. 빅 멕 위드 커스텀 포스 필드는 2006년 모형밖에 없는데, 해당 모형과는 아예 다르다고 봐도 될 정도의 재창작을 거쳤다.

오크의 소환사 겸 기술자. 게임 내에서 유일하게 기계가 아닌 기술자이며 따라서 자힐을 못하는 캐릭터다. 체력은 다소 낮은 편이지만 방어력이 유별나게 높다. 공격이 물리 유형이라 탱커 상대로는 힘을 못 쓰지만 딜러에게는 상당한 피해를 줄 수 있다. 대미지와 히트 수의 곱이 게임 내의 힐러 및 기술자를 통틀어 가장 높으며, 동급의 모든 기계 캐릭터를 풀피까지 회복시킬 수 있다. 옥타리우스 캠페인 필수 캐릭터이며 해당 캐릭터 중 성장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캐릭터인데, 기바가 좋아서가 아니라 나머지 둘이 너무 낮아서다. 나머지 필수 캐릭터들을 회복시켜 줄 수 있는 기술자이기도 하고 체력은 좀 낮아도 방어력이 높으니 관통률이 전체적으로 낮은 옥타리우스 NPC들 상대로 효과적이며, 대형 유닛 효과를 중첩해서 받고 있으면 꽤 튼튼하게 버텨준다. 첫 10회 징발 시 조각 30개를 고정적으로 받는다. 로그인 보너스로 조각을 획득할 수 있는데, 일주일마다 총 조각 6개씩 받는다. 해금에 총 40개가 필요하므로 2주가 지나기 전에 해금할 수 있다.

액티브로 소환하는 그롯 탱크는 강력한 단일 소환수다. 사거리 3의 3 히트 폭발 공격을 가할 수 있으며 대미지가 적당해서 탱커에겐 효과적이지 않아도 NPC나 딜러에게는 그럭저럭 괜찮은 피해를 준다. 체력과 방어력이 캐릭터에 비할 만큼 준수하고 탱킹 패시브까지 있어서 꽤 튼튼하다. 30% 이하의 관통률의 공격에는 대미지 감소 효과를 받는데, 수치가 케르투스의 패시브 수치와 동일하다. 효과를 받는 유형은 물리(1%), 라스[2](10%), 발사체(15%), 폭발(15%), 볼터(20%), 체인(20%), 펄스(20%), 화염(25%), 바이오(30%), 에너지(30%). 늦게 소환할수록 체력이 높아지지만 그걸 노리고 아끼기보다는 일찍 뽑아서 활약하는 게 이득이다. 그롯 탱크 자체가 1인분을 하는데 소환하고 나면 기바는 자기 턴에 공격하거나 아군을 계속 수리할 수 있으니 상당히 유용하다. 대신 여타 전투 피로 소환수와 달리 전투 피로를 무시할 방법이 야릭 패시브 밖에 없어서[3] 야릭 패시브가 이미 발동한 게 아니라면 언제든 도망가 버릴 수가 있다. 특히 스놋이 소환한 그롯들이 죽으면서 도망갈 위험이 큰데, 그롯 탱크는 가능하다면 기바 패시브 효과를 받는 칸을 선호하므로 되도록 그롯이 있는 칸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기바를 놔두는 것이 좋다.

패시브는 방어력 버프. 별도로 언급 안 된 모든 버프가 그렇듯이 자신은 효과를 받지 않지만, 기바는 이미 충분할 만큼 방어력이 높으므로 능력치로 이미 버프를 받은 상태라고 여겨도 된다. 캠페인에서는 다른 오크 캐릭터들이 방어력이 낮은 편이고 특히 스놋의 그롯들은 방어력이 없으므로 꽤 도움 된다. 특히 스내파 걸고츠는 어차피 대형 유닛 효과 주고받느라 서로 뭉쳐있는 편이 좋으므로 쓸 기회도 많은 능력이지만, 그게 끝이다. 기바 자체가 캠페인 외에서는 잘 쓰이지 않고, 대부분 캐릭터가 이미 자기 역할에 적당할 만큼 방어력을 가진 데다 관통률 계산식 때문에 과도한 방어력은 낭비가 되며, 뭉쳐있으면 손해 보기 쉬운 게임 특성상 대미지도 아니고 고작 방어력 때문에 뭉쳐있을 이유가 없다. 캠페인을 끝낸 후부터는 배지 여유가 되는 게 아니면 좀처럼 성장시키지 않는 능력이다.
  • 원작 관련 (9판)
액티브 Grot Tank는 포월제였다가 이제는 레전즈에 들어간 오크 탈것 모형이다. 택티쿠스의 그롯 탱크는 로킷 론차를 장비했는데, 무기 유형도 이를 따라 폭발 유형이다. 그롯 탱크가 가진 Ramshackle 능력은 원작에서는 위력(S)이 약한 공격은 피해(D)를 적게 받는 능력으로 택티쿠스에서도 무척 유사하게 구현되어 있다. 패시브 Kustom Force Field는 워기어 중 하나이며 인접한 아군 유닛에게 약한 인불을 준다. 인불이 택티쿠스에서는 보통 블록으로 치환되는 것과 달리 방어력을 올려주는데, 티구리우스 패시브와의 차별점을 위함인 듯하다.

2.3. 스내파레카


[ 배경 펼치기 ]
스내파레카
Snappawrecka
수술로 전투용 워커에 그롯을 이식하는 일에는 위험 부담이 따릅니다. 이 왜소한 미치광이들에게 과시할 힘이 생기면 자신에게 못되게 대했던 오크들을 해치기 때문이죠. 하지만 그 앞을 가로막는 적도 위험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캐릭터 장비

기본 능력치

공격 정보


능력 정보

파일:Warhammer40kTacticus_ability_rammingspeed.png

충각 속도
Ramming Speed

액티브
5칸 내에 있는 적을 들이받음. 대상은 4x 26-32 물리 대미지A★, 스내파레카는 2x 26-32 물리 대미지A★를 받음. 이때 스내파레카가 죽으면 폭발이 일어나면서 충각 속도의 대상에게 +50% 대미지를 줌. 스내파레카가 같은 턴에 아직 움직이지 않은 경우에만 사용 가능.
{{{#!folding [ 자세히 ]


파일:Warhammer40kTacticus_ability_kanopener.png

칸 따개
Kan Opener

패시브
칸 클라의 회전 톱날. 가장 단단한 장갑만 빼면 모두 절단 가능. 근접 공격 시 방어력 8A★ 무시, 영구적으로 대상의 방어력 4A★ 감소.
{{{#!folding [ 자세히 ]

A: 능력 레벨에 따라 증가
: 희귀도에 따라 증가

특성 정보


택티쿠스 고유 캐릭터이며 비그 슈타를 장비한 바드 문즈 클란의 킬라 칸. 2010년 화이트 드워프에서 공개된 모형.

사거리 범용성이 높은 딜러. 다만 범용성이 무색하게도 전체적인 공격 능력이 너무 떨어진다. 대미지와 관통률이 모두 낮아 동급의 캐릭터에게는 탱커인지 헷갈릴 수준의 피해를 주는 데에 그치지만, 다카로 히트 수가 받쳐줘서 방어력 낮은 NPC나 성장 격차가 나는 캐릭터 상대로는 꽤 괜찮은 수준의 피해를 준다. 물몸은 아니지만 방어력이 낮아 튼튼한 편은 아니다. 탱커는 아니지만 대형 유닛이라 주변 유닛을 지켜주기 좋으니 아군 한 명을 스내파 앞에 세워두면 든든하다. 특히 옥타리우스 캠페인의 이니시에이트는 액티브와 일반 공격 모두 비정상적으로 강력하므로 히트 수 감소 효과가 절실하다. 같은 대형 유닛인 걸고츠도 물몸이면서 대형 유닛이라서 서로 지켜줄 수 있으니 같이 붙어 다니는 것이 좋다. 참고로 대형 유닛 효과는 중첩되므로 두 명의 효과가 겹치는 칸에 아군을 놔두면 다히트 공격에 무척 잘 버틴다. 옥타리우스 캠페인 필수 캐릭터이며, 걸고츠보단 낫지만 전체적인 능력치가 너무 낮아서 쓰기가 힘들고 능력도 시원찮아서 캠페인에서 필요한 만큼만 키우고 버려지는 캐릭터다. 파워 레벨 10 달성 시 조각 20개를 획득하며, 인도미투스 캠페인 진행 중에 받는 미션이 조각 25개를 준다. 아레나 승리 보상으로 시즌마다 조각 13-17개를 획득할 수 있고 시즌 종료 시 순위에 따라 조각 1-10개를 획득할 수 있다. 아레나 보상을 꾸준히 획득하기만 하면 한 달 내외로 해금할 수 있다.

액티브는 자폭 돌진. 돌진해서 상당한 대미지를 주며 스내파도 대미지를 받는데, 이때 스내파가 죽으면 추가 대미지가 있다. 능력 설명은 오역으로 스내파가 죽으면 폭발이 일어나 충각 속도의 대미지가 증가한다는 것이 아니라, 스내파가 죽으며 발생하는 폭발 특성의 대미지가 능력 대상 한정으로 증가한다는 뜻이다. 사거리 5칸은 직선거리가 아니라 스내파가 이동해서 닿을 수 있는 거리를 의미하며, 따라서 절벽이나 철조망 등에 막힐 수 있다. 이동한 턴에는 사용할 수 없지만, 셀레스틴과 동일하게 이동 후 인접한 적에게는 사용할 수 있다. 물리 유형이라서 탱커들에겐 거의 피해를 줄 수 없지만, 딜러들에게는 반피 넘게 체력을 깎을 수 있고 거기에 스내파가 죽으면 상대 딜러가 풀피라도 한 방에 날려버릴 수 있다. 능력과 랭크를 동급으로 성장시켜 놓았다면 25% 정도 남았을 때 사용하면 스내파를 터뜨릴 수 있다. 사거리가 5칸이라 멀찍이 떨어져있는 상대 딜러 노리기도 쉽고 체력이 거의 다 떨어졌을 때 사용하면 동귀어진하며 주변에 폭발로 광역 피해도 줄 수 있는 일종의 비상버튼이지만, 스내파가 물몸이다보니 살아서 쓸 기회가 잘 없다. 캠페인에서는 자기 캐릭터가 죽으면 안 되므로 봉인기이며, 스내파 자체가 동급전에서 거의 채용되지도 않고 용도도 너무 제한적이라서 성장 우선순위는 바닥을 긴다.

패시브는 근접 공격 시 방어력 무시 및 감소 효과 적용. 공격 자체는 큰 폭으로 방어력을 무시하고 공격이 끝나고 그 절반만큼 감소시킨다. 수치 자체는 훌륭하지만 스내파의 근접 공격이 그다지 좋지 않은 점이 문제 된다. 다카 효과를 받은 원거리 공격이 5 히트인 것에 비해 근접 공격은 고작 2 히트라서 차이가 심하고, 관통률도 발사체 유형보다 크게 더 나을 것 없는 체인 유형이라 근접 공격 자체가 꽤 큰 손해가 되며 방어력 감소 효과까지 감안해야 간신히 그 손해를 메꾼다. 패시브까지 제대로 찍어줘야 근접 공격이 그나마 쓸만해진다는 뜻이다. 캠페인에서는 오크 캐릭터들이 죄다 히트 수가 많아서 방어력 감소 효과가 유용하며 엘리트 캠페인에서는 Mk X 그라비스를 가진 어그레서가 상당한 골칫거리가 되므로 제한적으로 성장시킨다.
  • 원작 관련 (9판)
액티브 Ramming Speed는 오크 공용 스트라터점으로, 탈것이 더 멀리 돌진하게 해주는 점과 돌진 시 피해를 준다는 점이 택티쿠스에 반영되어 있다. 패시브 Kan Opener는 기원 불명.

2.4. 탱크스매샤


[ 배경 펼치기 ]
올록 탱크스매샤
Olog Tanksmasha
자연은 스매샤 스퀴그에게 평생에 걸쳐 지속되는 뇌진탕을 주는 대신 뇌를 거의 없앴습니다. 가장 공격적인 놉만이 이 짐승들을 이끌어 금속과 뼈를 씹어먹는 전투력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캐릭터 장비

기본 능력치

공격 정보

능력 정보

파일:Warhammer40kTacticus_ability_unstoppablemomentum.png

멈출 수 없는 모멘텀
Unstoppable Momentum

액티브
6방향 중 하나로 돌진하면서 장애물이나 대형 유닛에 부딪힐 때까지 일직선으로 계속 이동. 돌진에 부딪힌 적은 1x 12-15 직접 대미지A★를 받으며, 출발 칸에서 적이 있는 곳까지 가로지른 칸당 1 대미지A★씩 증가. 영향을 받은 적은 뒤로 밀려나며 1라운드 동안 제압됨. 대형 유닛의 경우 제압되지 않고 1라운드 동안 기절함. 아군 유닛도 밀려나지만 대미지나 디버프를 받지 않음.
{{{#!folding [ 자세히 ]


파일:Warhammer40kTacticus_ability_smashaead.png

머리통 부수기
Smasha 'Ead

패시브
자신의 턴에 2칸 이상 이동한 경우, 탱크스매샤는 자신의 다음 턴 시작 전까지 일반 공격은 +6 대미지A★를 얻고, -25% 대미지A를 받음.
{{{#!folding [ 자세히 ]

A: 능력 레벨에 따라 증가
: 희귀도에 따라 증가

특성 정보


택티쿠스 고유 캐릭터이며 기본 워기어를 장비한 스네이크바이츠 클란의 노브 온 스마샤 스퀴그. 9판 코덱스 오크와 함께 나온 2021년 모형. 팔 부분과 스퀴그 머리 부분에 약간의 재창작을 거쳤다. 해당 모형은 현재는 스퀴그호그 보이즈와 함께 묶여 판매된다.

고기동 근접 딜러. 이동 4에 무정지가 있어서 비행이 없는 캐릭터 중에 엑시터 로와 함께 가장 높은 기동력을 가졌다. 대미지는 준수한 편이며 적출 유형의 적잖은 관통률 덕분에 탱커에게도 상당한 피해를 줄 수 있고 패시브와 탈압박의 육탄전이 발동하면 딜러를 한 방에 죽일 수도 있다. 체력은 준수하지만 방어력이 매우 낮으며 패시브를 꾸준히 발동시켜 주지 않으면 한순간에 죽을 수도 있다. 시원시원한 공격 동작에 전체적으로 무난한 캐릭터지만 캠페인을 제외한 게임모드에서는 활약할 만한 조합이 없으므로 성장 우선순위가 낮은 편이다. 실시간 아레나에서는 액티브로 강력한 변수를 지닌 근접 딜러로 쓰인다. 파워 레벨 15 달성 시 조각 20개를 획득한다. 미해금 상태면 상점에서 골드로 조각을 구매할 수 있는데, 조각 10개당 25000 골드로 상당히 비싼 편이다. 파워 레벨 30 이상이면 길드 상점에서도 조각을 구매할 수 있다.

액티브는 직선 돌진. 충돌한 적에게는 대형 유닛 여부에 따라 추가 디버프가 있다. 대형 유닛과 충돌하면 막히는데, 아군 대형 유닛에게도 막히며 이 경우에도 디버프는 가하지 않지만 오크 중에서만 해도 스내파 걸고츠 둘이나 대형 유닛이므로 위치를 미리 신경 써두는 것이 좋다. 돌진 거리마다 추가 대미지가 있어서 가능하다면 멀리서부터 돌진하는 것이 이득이지만, 추가 대미지 수치가 너무 낮은 편이니 큰 차이는 없다. 일반적인 이동과 달리 이 능력은 돌진하는 직선상의 칸마다 한 칸씩 이동하는 판정이라서, 돌진 중에 파워업 위로 지나가면 해당 파워업을 획득하고 점령칸은 점령하며, 집중감시가 있는 적 캐릭터의 사거리에 내에 들면 집중감시를 발동시킨다. 돌진 도중에 집중감시를 전부 맞아버리므로 디버프로 가하는 제압은 집중감시 제거용으로는 쓸 수 없다. 대미지 면에서는 3명 이상과 충돌해야 일반 공격하는 것보다 이득을 볼 수 있지만, 여러 명에게 낮은 피해를 주는 것보다 한 명에게 강한 피해를 주는 것이 더 나은 특성상 확실한 이득이라 보긴 어렵다. 따라서 추가 이동 및 디버프 효과까지 포함해서 유틸리티 능력에 더 가깝다고 봐야 한다. 좁은 맵에서는 다소 쓰기 힘들어지지만, 이동 후에도 쓸 수 있으므로 탱크스매샤의 기동성과 연계하면 여러 명에게 맞출 기회를 찾는 게 꽤 쉽다. 실시간 아레나에서는 파워업의 경우 근접 파워업을 먹고 나면 물몸 딜러들은 충돌마다 그대로 갈려 나가고 탱커들도 반피 정도 까이는 무시무시한 돌진기로 바뀐다. 탱크스매샤의 채용률이 낮다 보니 이런 잠재력을 모르는 플레이어들이 많아서 방심한 탓에 여럿 죽도록 기회를 주는 경우가 많다. 점령전에서도 점령칸의 적을 밀어내고 자기가 점령할 수 있으며, 특히 점령칸이 일렬로 있는 일부 맵의 경우 이 능력 한 번으로 여러 칸을 점령하는 게 가능하다. 아군을 밀어낼 수 있으므로 아군 소환수가 올라가 버려서 점령 못 하는 칸도 강제로 밀어내서 점령할 수가 있다. 대형 유닛에게는 적아 무관하게 막힌다는 점과 집중감시를 그대로 발동시킨다는 점을 기억하며 써야 하며, 이런 점에서 레바스가 적으로 나오면 무척 성가셔진다. 실시간 아레나가 아니면 일반 공격하는 것보다 분명하게 이득이다 싶은 상황은 좀처럼 없는 편이며 대미지 성장 수치가 별로라서 성장 우선순위가 낮은 능력이다.

패시브는 이동 시 대미지 증가 및 받는 대미지 감소. 조건부로 딜과 탱을 동시에 올려주는 강력한 능력이다. 철조망이나 참호 등의 대미지 배수 효과와는 합연산으로 적용된다. 불 효과로 받는 대미지는 자기 턴이 시작하고 받는 것이므로 대미지 감소가 적용되지 않는다. 2칸 이상 이동하기만 하면 적용되므로 조건이 매우 널널하며 눈 앞에 있는 적을 공격할 때도 적의 후방으로 먼저 움직여서 버프를 받을 수 있다. 떨어져 있는 적을 공격할 때는 AI가 자동으로 버프 받는 칸을 우선으로 위치 지정해 주지만, 인접한 적을 공격할 때는 그런 거 없이 그대로 공격해 버리므로 수동으로 2칸 먼저 움직여서 버프를 줘야 한다.
  • 원작 관련 (9판)
액티브 Unstoppable Momentum는 오크 공용 스트라터점으로, 노브 온 스마샤 스퀴그가 돌진 후 Smasha 'Ead로 적을 처치하면 또 돌진하게 해준다. 패시브 Smasha 'Ead는 돌진 후 적잖은 피해를 주는 능력.

2.5. 보스 걸고츠


[ 배경 펼치기 ]
걸고츠 불도자
Gulgortz Bulldoza
근육, 금속과 고약한 태도를 가진 거구이자 최전선에서 아군을 이끌어 유혈이 낭자한 적 진영을 가로지르는 워보스입니다. 문이 덜컥거릴 정도로 강력한 그의 구호는 동료들을 한층 더 폭력적으로 만들죠.

캐릭터 장비

기본 능력치

공격 정보


능력 정보

파일:Warhammer40kTacticus_ability_waaagh.png

와아아아!
Waaagh!

액티브
걸고츠 불도자와 이번 턴에 아직 움직이거나 행동하지 않은 3칸 내 모든 아군 캐릭터가 +1 이동으로 가장 가까이에 있는 적 유닛을 향해 가서 근접 공격, +8 대미지A★를 줌. 이 공격에서 오크 유닛도 +1 히트 확보. 이 턴에 행동 모두 소모.
{{{#!folding [ 자세히 ]


파일:Warhammer40kTacticus_ability_lightimup.png

집중 사격!
Light ’im up!

패시브
걸고츠 불도자 근접 공격 시 그롯 거너가 대상에게 추가로 3x 11-13 발사체 대미지A★를 줌. 대상을 처치하면 남은 그롯 거너 히트는 3칸 내에 있는 무작위 적에게 적용.
{{{#!folding [ 자세히 ]

A: 능력 레벨에 따라 증가
: 희귀도에 따라 증가

특성 정보


택티쿠스 고유 캐릭터이며 기본 워기어를 장비한 바드 문즈 클란의 워보스 인 메거 아머. 9판 코덱스 오크와 함께 나온 2021년 모형을 등짝의 보스폴이 없어진 것을 제외하면 거의 그대로 가져왔다.

전체적인 능력치가 무척 열악하다. 딜 능력은 히트 수가 높을 뿐 대미지와 관통률 모두 너무 낮아서 우스꽝스러운 수준이다. 패시브를 떼고 보면 캐릭터 상대로 대미지 기댓값은 벨라토르와 같은 정도. 체력은 준수하지만 방어력이 물몸 딜러 수준으로 낮아서 저관통 공격에도 체력이 훌렁훌렁 날아간다. 이니시에이트의 액티브 한 방에 펑 터져죽는 걸 보기 싫다면 같은 대형 유닛 스내파와 단짝처럼 붙어있어야 한다. 능력치도 별 볼 일 없는데 능력도 한심한 수준이라 성장 우선순위가 몹시 뒤처진다. 옥타리우스 캠페인 필수 캐릭터 중 하나인데, 보스 걸고츠를 얻기까지가 상당한 인고의 시간이다. 첫 10회 징발 시 조각 80개를 고정적으로 받으며 파워 레벨 11 달성 시 조각 20개를 획득하고, 인도미투스 캠페인 진행 중에 받는 미션이 조각 25개를 준다. 길드 상점에서 조각을 구매할 수 있으며 앞서 획득한 125개를 제외하고 해금에 필요한 남은 125개를 모으려면 13000 길드 크레딧 정도 필요하다. 길드 상점에서는 아르키마토스 엘드리온도 살 수 있어서 우선순위가 많이 밀리는 편이며, 운 좋게 고랭크 길드에 들어간 게 아니라면 몇 달 안에 셋 다 해금할 만큼 충분히 모으기는 힘들므로 해금이 느린 편이다.

액티브는 광역 버프. 범위가 3칸으로 매우 넓지만 버프 수치 자체가 낮고 영향받은 캐릭터들은 강제로 행동하는 상당한 불이익이 있다. 이 강제 공격은 대상을 자동으로 지정하는 일반 공격으로 취급되므로 크리드의 패시브 위치교환이나 캘란디스 예거의 패시브 반격을 발동시킨다. 걸고츠가 이동한 후에도 쓸 수 있으므로 이 능력을 쓸 때는 최대 7칸을 이동할 수가 있다. 근접 공격을 강제하므로 원거리 캐릭터에게는 부적절하고 강제 조종하는 AI가 똑똑한 편이 아니어서 좁은 지형에서는 옹기종기 모여서 아무것도 못 하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히트 수 증가는 공용 특성인 탈압박의 육탄전과 잘 어울리는 효과지만, 일반 공격에만 적용되며 능력 공격의 히트 수는 늘려주지 않는다. 걸고츠 본인부터가 근접 공격 후 능력 공격을 가한다는 점에서 꽤 아쉬운 부분. 시전하면 걸고츠 먼저 행동한 다음 나머지 아군은 배치 순서대로 행동하므로 이 부분을 잘 염두에 두면 서로 뒤엉킬 일 없도록 설계할 수가 있다. 그게 귀찮다면, 이미 이동한 아군은 영향 받지 않으므로 아군들부터 먼저 이동시켜 둔 다음 걸고츠 개인용 버프로 생각하고 쓰는 것도 좋다. 어쨌거나 능력 배지가 넘쳐나는 게 아니면 좀처럼 성장시킬 일 없는 능력이다.

패시브는 근접 공격 시 추가 공격. 걸고츠 자신의 액티브 효과를 받을 때, 악투스 패시브로 공격할 때나 최후의 복수가 발동할 때도 적용된다. 엄연히 별개의 공격으로 취급되므로 치명타 연쇄가 새로 발생할 수 있고 엑시터 로의 패시브도 2번 적용된다. 다카 효과를 안 받는 원거리 공격과는 히트 수와 대미지 기댓값이 같다. 대미지가 끔찍하리만치 낮아서 캐릭터 상대로는 물몸 딜러에게도 쥐꼬리만큼 깎인다. 일반 공격 대상과 다른 대상을 공격할 수도 있으므로 잡몹 정리에는 제한적으로 쓸만하지만, 캠페인 진행 중에는 괜히 앞에 나섰다가 캐릭터가 죽으면 안 되므로 근접이고 뭐고 기바 뒤에 숨어서 원거리 공격만 해야 한다. 그다지 특별한 것 없는 효과에 대미지 기댓값도 처참해서 성장 우선순위가 매우 낮은 능력이다.
  • 원작 관련 (9판)
액티브 Waaagh!는 오크의 상징이나 다름없는 WAAAGH!!, 오크 공용 능력으로 2 라운드에 걸쳐 탈것이 아닌[4] 대부분 오크 유닛의 돌진과 근접전 능력을 강화하고 인불을 부여한다. 패시브 Light ’im up!은 기원 불명.


[1] 고지대 등을 선호하고 철조망과 불 효과를 받는 칸 등은 기피하며, 다른 선호도가 같을 경우 대상으로부터 12시 방향부터 시계 방향의 칸 순서로 선호한다. [2] 중화기 제외. [3] 다른 소환사 캐릭터들은 자기 소환수의 전투 피로를 무시하게 할 방법이 자기 패시브나 특성으로 있다. [4] 탈것 전용 스피드 와!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