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00:19:08

더 가디언

Guardian(일간지)에서 넘어옴

영국 자유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영국의 자유주의 정당
파일:자유민주당(영국) 로고.svg 파일:북아일랜드 동맹당 로고.svg
에드 데이비 나오미 롱 }}}
{{{#!wiki style="margin: -21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집권내각 캐머런 연립내각 ( 닉 클레그 참여)
과거 정당 자유당(영국) · 휘그당
기타&지역 정당 스코틀랜드 자유민주당 · 웨일스 자유민주당 · 자유당(1989)
사상 자유주의 · 사회자유주의( 새자유주의) · 고전적 자유주의( 글래드스턴 자유주의 · 맨체스터 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 휘그주의) · 보수자유주의( 근력 자유주의) · 급진주의 · 자유사회주의 · 자유보수주의 · 자유주의 페미니즘 · 자유제국주의 · 자유국제주의 · 진보주의 · 녹색자유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총리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 로버트 월폴 · 헨리 존 템플 · 존 러셀 ·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주요 정치인 패디 애쉬다운 · 찰스 케네디 · 닉 클레그 · 조 스윈슨 · 빈스 케이블 · 멘지스 캠벨 · 팀 패런
사상가 데이비드 흄 · 존 로크 · 토머스 홉스 · 애덤 스미스 · 데이비드 리카도 · 제임스 밀 · 제러미 벤담 · 존 스튜어트 밀 · 허버트 스펜서 · 이사야 벌린 · 토머스 페인 · 존 메이너드 케인스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 매튜 아놀드 · 토머스 힐 그린
언론 더 가디언 · 인디펜던트 · 파이낸셜 타임스 · 이코노미스트
관련 주제 중도주의 ( 중도우파 ~ 중도좌파) · 군주국의 공화주의 (일부)*
영국 정치 관련 문서 (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특히 좌파 자유주의~진보주의 내지 자유주의 엘리트들 사이에서 지지를 받는 경우가 꽤 있으나, 전부는 아니다.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분파 }}}}}}}}}}}}
파일:더 가디언 로고.svg
<colbgcolor=#052963><colcolor=#ffffff> 정식명칭 가디언 미디어 그룹
영문명칭 The Guardian Media Group
설립일 1821년 12월 15일 ([age(1821-12-15)]주년)
업종명 신문 및 도서잡지의 발행과 판매, 외부간행물의 인쇄업
상장유무 상장기업
기업규모 대기업
정치성향 중도좌파, 진보주의, 공화주의[1]
본사 소재지 Kings Place, 90 York Way, London N1 9GU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
2.1. 초기2.2. 현재 상황
3. 정치 성향4. 문화 비평5. 판도라 프로젝트6. 대학 평가7. 여담
7.1. 한국 관련 보도
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영국 일간지. 영국의 정론지 중 구독자가 가장 많은 신문 중 하나로 대표적인 진보주의 성향 언론이다.

2. 역사

2.1. 초기

잉글랜드 북부 맨체스터를 기반으로 1821년 맨체스터 가디언( 주간지)으로 발행되다가 후에 전국지로 발전하며 1959년 가디언으로 이름을 바꿨다. 주말판은 옵저버로 별도의 신문이었지만 1993년 가디언이 인수한 후 자매지가 되었다.

2.2. 현재 상황

영국의 정론지 중에선 대표적인 신문사 중 하나로 대기업급임에도 한동안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편집권 독립을 위해 대형 미디어 기업 휘하로 들어가는 것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확히는 가디언 미디어 그룹(Guardian Media Group)을 구성하고 있지만, 원래는 스콧 재단(Scott Trust)이라는 비영리재단이 경영을 담당했고, 2008년에 유한회사로 전환했지만 여전히 스콧 재단에서 관리한다. 그리고 두 번째 이유는 다른 영미권 언론사들은 대부분 채택하는 페이월[2]이 없어서다. 누구나 볼 수 있는 저널리즘을 표방하는지라 이렇다. 이 페이월 차단 덕택에 한국의 외산발 보도 출처의 상당한 포션을 차지하고 있다.[3]

적자가 얼마나 심각했냐 하면, 2017년 4월 마감된 회계연도에서 Guardian Media Group은 4470만 파운드, 즉 655억 원 가량의 적자를 냈다. 그 직전 회계연도의 적자는 1007억 원이었다. 결국 재정 부담을 견디지 못하고 2018년 1월 15일, The Guardian[4]이 기존의 베를리너 판형에서 타블로이드 판형으로 전환되었다. 이와 함께 로고도 교체되었는데, 어째서인지 좌파 성향을 그대로 드러내던 기존 로고와 다르게 고전적인 이미지를 풍기는 묵직한 로고가 되었다. NYT 기사 로고. 이미 영국에서는 The Times와 The Independent[5] 등도 브로드시트에서 타블로이드로 판형을 변경하였다. 여러가지 이유를 들고 있지만, 역시 공통된 제1원인은 적자.

사실 영국도 더 선이나 데일리 미러, 데일리 메일같은 같은 찌라시들이나 잘 팔리지, 더 타임즈 같은 정론지들은 대체로 판매부수가 후달리기 때문에 광고로 근근히 버티는데, 그 중에서도 가디언은 유독 돈 없기론 예전부터 유명했다. 그것 때문에 애드블록을 가동한 채로 들어가면 저널리즘은 공짜가 아닙니다라면서 애드블록 꺼 달라고 눈물의 읍소를 해대고, 로그인 안 한 상태로 들어가면 웬만한 기사마다 말미에 가디언 구독좀 해달라는 읍소가 뜬다.(...) 가디언의 별명 중 하나인 The Grauniad(흔히 Graun이라고 줄임)이 나온 이유도 돈 문제인데, 왜 이렇게 됐냐면 예전부터 원체 돈이 없다보니 활자 검수작업이 상대적으로 미비했고, 심심하면 오타가 나서 별명마저 가디언의 애너그램인 Graun이 된 것.[6] 요즘은 가디언 멤버십 프로그램이라 해서 지면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심층기사나 (영국에 사는 경우) 가디언에서 주최하는 토론회 등에 참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유료 멤버십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 신청하면 멤버 카드와 함께 에코백 하나, 그리고 편집장의 편지를 보내주는데 해외라도 무조건 보내준다.

참고로 우파 성향의 타임즈는 루퍼트 머독 뉴스코프 소유고, 데일리 텔레그래프는 영국 재벌 바클레이 형제[7] 소유. 서열 4위의 메이저 신문사인 인디펜던트는 러시아 재벌에게 팔렸다가 아예 종이신문 발행을 중단하고 지금은 온라인 사업에만 집중하고 있다.

가디언도 독자 생존을 위해서 온라인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는데, 덕분에 2012년 홈페이지는 세계에서 방문자 수가 세번째로 많은 언론사 사이트가 되었다. 위키릭스가 공개한 문서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정리해서 올린 게 성공한 듯. 노동당 지지 성향의 영국인들로부터 큰 지지를 받고 있는 언론사 중 하나다. 대한민국 내에서는 축구 관련 보도들과 유명 기자들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한국 선수들의 이적 소식과 정보를 빠르게 전달한 대표적인 언론사 중 하나로 유명하다. 정치나 문화적인 부분에서도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이 있다.

3. 정치 성향

노동당 친화적이다. 그래서인지 2004년 조지 W. 부시 재선 발표 당시, 타블로이드판인 G2의 표지를 아래와 같이 만든 것이 꽤 유명하다.

파일:external/waterink.net/2008-11-0820041104-g2.jpg
오, 신이시여. (Oh, God.)

이쪽은 별로 유명하지는 않은데, 2008년 버락 오바마 당선시에도 이와 비슷하게 표지를 디자인했다. 당연히 의미는 완벽히 딴판이지만.

파일:external/waterink.net/2008-11-0820081106g2580-226x300.jpg
와우! (Wow!)

또한, 이 신문은 NSA 기밀자료 폭로사건을 터뜨린 신문으로 유명하다. 이후에도 파나마 페이퍼즈 폭로를 주도한다던가, 탐사보도에 대해선 상당히 강하다.

왕실유지론이 절대다수인 영국에서 왕실폐지론을 주장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사실 영국 내에서도 진보주의 엘리트들이나 샴페인 사회주의자들 사이에서는 왕실폐지론이 주류다.

4. 문화 비평

미국의 진보 매체이자 세계적 권위지인 뉴욕타임스의 비평이 미국 문화계에서 발휘하는 영향력이 압도적인 것처럼, 영국의 진보적 권위지인 가디언 또한 영국 문화계에서 발휘하는 영향력이 막강하다. 영화, TV, 음악, 미술, 출판, 공연은 물론이고, 심지어 게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적 장르에 대한 전방위적 비평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가디언의 일련의 문화 비평 보도는 영국 내에서 대단한 권위를 갖고 있다.

가디언이 한가지 흥미로운 점은 영국 내 언론 보도 행태에 대한 '미디어 비평'도 꾸준히 하고 있다는 것. 수준도 상당히 높고, 내용도 대단히 신랄해서, 언론학 전공자들 중에서도 가디언의 미디어 비평에 대해 학술적으로 연구하는 사람이 많다.

5. 판도라 프로젝트

원문
원문 2

Pandora Project. BBC와 더 가디언이 주도한 다국적 부정부패 및 비리 폭로 프로젝트. 117개국 600명의 기자들이 전세계 지도자, 재벌들의 조세회피, 돈세탁, 부패를 밝혀냈다.

네티즌들은 폭로 범위가 너무 넓어서 내부고발자들이 감당할 수 있을지 걱정하고 있다.

6. 대학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Guardian University Guid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여담

여담으로 UK 앱스토어에는 아이패드용 가디언이 존재한다. 아이패드 잡지 중에서도 수준급의 인터페이스와 퀄리티를 자랑한다. 또한 사전 기능과 동영상 기능까지 제공하므로 여타 신문에 비해 고유의 장점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가디언과 옵저버를 동시에 구독하거나 어느 하나만 구독할 수도 있다. 물론 동시구독이 훨씬 저렴하다. 앞서 말했듯 온라인 서비스에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

별난 디자인 원칙이 있었던 신문이기도한데 다름 아닌 본문의 상단 첫줄은 전 지면에 걸쳐 일정한 선상에 놓여야 한다는 것. 그래서 제목글자 수가 적을 경우 이해할 수 없는 여백이 나타난다는 것. 굵은 가로 경계선을 쓰던 특징도 있었다. 물론 이래저래 변화한 이후로 디자인은 달라졌지만, 변화가 무척 적었던 특징 중 하나였다.

2023년에는 잡지 설립자들이 노예제도와 연루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져 160억원 규모의 배상을 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기사

7.1. 한국 관련 보도

  • 2022년 5월 10일 윤석열 20대 대통령의 청와대 무속 논란에 대해 다루었다. 관련기사 영국의 대표적인 진보 언론 답게 보수주의 성향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하여 논조가 부정적이다.

8. 둘러보기

역대 퓰리처상 시상식
파일:PulitzerPrizes.png
공공서비스 부문
2013년 2014년 2015년
선 센티널 워싱턴 포스트, 더 가디언 US 포스트 앤드 커리어

[1] 본래도 공화주의에 더 가까운 경향이있지만 적극적이지 않았는데 찰스 3세 즉위 이후 완전히 공화주의로 입장을 굳혔다. [2] Paywall. 유료 구독자가 아니면 기사 열람을 차단하는 시스템. [3] 심지어 거의 번역만 해서 가져다 놓은 수준인 국제 기사도 수두룩하다. [4] 자매지가 아닌 본지. [5] 여기는 아예 2016년 종이 신문을 접었다. [6] 참고로 위를 다시 읽어보자. 활자 배치오류다. 예전부터 돈 없기는 매한가지였다는 소리. [7] 바클레이 은행과는 관계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