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4:56:07

DEAD AHEAD/무장 및 선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DEAD AHEAD
1. 개요2. 무장
2.1. 대공포
2.1.1. 소구경 대공포2.1.2. 중구경 대공포2.1.3. 대구경 대공포2.1.4. 양용포
2.2. 함포
2.2.1. 전함 주포
2.2.1.1. 406mm2.2.1.2. 381mm2.2.1.3. 356mm2.2.1.4. 305mm
2.2.2. 순양함 주포
2.2.2.1. 203mm
2.2.3. 부포
2.2.3.1. 152mm2.2.3.2. 127/130mm
2.3. 어뢰
2.3.1. 오리온2.3.2. 안타레스2.3.3. 하이드러스2.3.4. 우르사
2.4. 탐조등
3. 군함
3.1. 함종3.2. 함정
4. 방송
4.1. 함내 방송4.2. 격침 방송
4.2.1. 오리온4.2.2. 안타레스4.2.3. 하이드러스4.2.4. 우르사
4.3. 기타 방송

1. 개요

DEAD AHEAD에 출현하는 화포와 함정의 종류와 특징을 서술한다.

2. 무장

함정에 탑재되어 함정을 방어하고 적을 공격하는 무장 및 해당 무장들을 보조하는 보조무장에 대한 정보를 서술한다.

2.1. 대공포

항공기를 상대할때 사용하는 화기.

적함을 보면 이거 계속 쏴갈기는 트롤러들이 있다. 아군 사격은 덤. 이걸 쏘는 애들의 의도는 "최대한 높은 곳에 쏘면 적함에 어떻게든 닿아서 티끌만큼이지만 피해를 입혀 도움이 되겠지?"인데 현실은 단 1발 조차도 적함에게 닿지를 않고 오히려 "나 여기 있어요!" 라고 광고하는 꼴이 된다. 어차피 소구경이랑 중구경은 백날 쏴재껴봤자 갑판 돌아다니는 승조원 죽일 게 아니면 적함엔 1도 피해가 없으니 만약에 쏠거라면 대구경 대공포를 쏘는 게 낫다.

대공포 1문의 자체적인 성능은 팀에 상관없이 동일한 성능을 지니고 있다. 다만 탑재된 포의 수에 따라 발사속도는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소구경 대공포가 1정 탑재되었다면 발사속도는 450, 2정 탑재되었다면 900 이런 식이다.

모든 대공포는 플레이어를 무조건적으로 한방에 죽일 수 있다, 중구경 대공포 이상부터 어뢰정에게 피해과 적 차량에게 피해를 주는 것이 가능하며 대구경은 모든 함선에게 직접 피해를 주는 것이 가능하다.

2.1.1. 소구경 대공포

[clearfix] 단장 2연장 6연장
RPM 450 [1] 900 [2] 1800
피해량 25
파일:Orion-Emblem.png 오리온 함대
제식명
M.45 AA
단장 2연장
파일:AA L single onion.webp 파일:AA L double onion.png
파일:Antares_Emblem.png 안타레스 무적함대
제식명
Gun, XX[3], XLV[4]
단장 2연장
파일:Light_AA_Single.webp 파일:AA L double ants.webp
파일:HydrusIcon.webp 연방 해군
제식명
불명
2연장
파일:AA L double hydra.webp
파일:Ursa_Symbol-1.png 우르사 연방 해군
제식명
불명
2연장 6연장
파일:Light_AA_Double.webp 파일:Light_AA_Sextuple.webp
가장 흔히 보이지만 탄속과 데미지가 낮아 높은 요격률을 기대하긴 어렵다. 만약 자리가 있다면 차라리 중구경이나 대구경을 쓰자.

2.1.2. 중구경 대공포

[clearfix] 단장 2연장 3연장 4연장
RPM 150 175 [5] 350 [6]
피해량 50
파일:Orion-Emblem.png 오리온 함대
제식명
M.48 AA
단장 2연장 4연장
파일:Medium_AA_single.webp 파일:AA M double onion.webp 파일:Medium_AA_quad.webp
파일:Antares_Emblem.png 안타레스 무적함대
제식명
Gun, XXXVII[7], XLVII[8]
2연장 3연장
파일:Medium_AA_double.webp 파일:Medium_AA_Tripple.webp
파일:HydrusIcon.webp 연방 해군
제식명
불명
4연장
파일:AA M quad hydra.webp
파일:Ursa_Symbol-1.png 우르사 연방 해군
제식명
불명
2연장
파일:AA M double urs.webp
소구경보다는 탄속과 데미지가 높아 상당히 쓸만하다.
안타레스에는 오리온에 있는 4연장 중구경 대공포 대신 3연장 중구경 대공포가 존재한다.[9]

2.1.3. 대구경 대공포

[clearfix] 단장 2연장
RPM 40 80
피해량[10] 파트당[11] 50(항공기), 250(함선, 차량)
파일:Orion-Emblem.png 오리온 함대
제식명
M.46 AA
단장 2연장
파일:AA F single onion.webp 파일:Flack_AA_Double.webp
파일:Antares_Emblem.png 안타레스 무적함대
제식명
Gun, LXXXV[12], XLV[13]
단장 2연장
파일:Flak_AA_Single.webp 파일:AA F double ants.webp
파일:HydrusIcon.webp 연방 해군
제식명
90mm QL[14]
단장
파일:AA F single hydra.webp
파일:Ursa_Symbol-1.png 우르사 연방 해군
제식명
불명
단장 2연장
파일:AA F single urs.webp 파일:AA F double urs.webp
탄속이 매우 빠른데다 탄낙차도 적고, 근접 신관을 사용하기 때문에 명중까지는 아니여도 장거리에서도 충분히 타격을 줄 수 있다. 다만 이는 탄환이 멀리 날아갔을 때에만 해당 되므로 멀리 있는 적을 잡을 때만 사용하자.
대구경 대공포는 적 함선에게 데미지를 줄 수 있기 때문에 함포의 자리가 꽉찼다면 이걸 사용할 수 있다.[15] 탄낙차가 대함용 화포보다 훨씬 좋아 장거리 사격에 편리하다.
다만 왠만해서는 2연장을 쓰자. 단장은 1초에 한발 정도밖에 안나갈 정도로 연사력이 안좋아서 쓰다가 답답해 울화가 터진다.

2.1.4. 양용포

파일:Dual Purpose Gun.webp
장전시간 6.7초
피해량 1200
말이 대공포지 조종을 마우스로 하는거 뺴고는 사실상 127/130mm 함포랑 동일하다.[16]

2.2. 함포

파일:Cannon Aimpoint.webp
1인칭 조준시점
주로 함선을 상대할 때 사용하는[17] 화기.

모든 함포는 X키를 눌러 십자선(?)[18] 조준을 할 수 있으며 재장전 키는 별도로 존재하지 않으며 발포하면 자동으로 재장전이 이루어진다.

원래는 해당 함선에서 가장 강한 함포를 주포로 분류한다지만, 그건 구경이 정확한 기준없이 나라마다 다르게 찍어내는 현실에서나 할법한 발상이고, 여기서는 국가와 상관없이 통계적으로 전함 주포, 순양함 주포, 부포가 사용 거리측정기마다 그 기준이 절대적으로 나뉘어져서 해당 분류법이 사실상 무효하다.

2.2.1. 전함 주포

2.2.1.1. 406mm
파일:Antares_Emblem.png 오미크론
파일:Cannon_406mm A Omikron.webp
제식명 파일:Antares_Emblem.png Kannon CDVI, LI[19]
장전 속도 20초
발당 피해량 12000
함포 체력 20000
인게임에서 가장 구경이 큰 화포.

DEAD AHEAD의 모든 무기를 통틀어 가장 강력한 파괴 무기. 세 발이 모두 명중한다고 가정할 경우 평균 3만의 체력을 가진 구축함을 한 번에 바다 속으로 처박을 수 있다.
2.2.1.2. 381mm
파일:Orion-Emblem.png 벨트 파일:Antares_Emblem.png 타우
파일:Cannon_381mm O Belt.webp 파일:Cannon_381mm A Tau.webp
제식명 파일:Orion-Emblem.png M.50
파일:Antares_Emblem.png Kannon CCCLXXXI, XLVII[20]
장전 속도 20초
발당 피해량 9000
함포 체력 16000
406mm 다음으로 가장 강력한 화포이다. 주로 전함쪽에서 사용한다.
2.2.1.3. 356mm
파일:Orion-Emblem.png 메이사 파일:HydrusIcon.webp 드라코 파일:HydrusIcon.webp 시리우스
파일:Cannon_356mm O Meissa.webp 파일:Cannon_356mm H Draco.webp 파일:Cannon_356mm H Sirius.webp
제식명 파일:Orion-Emblem.png M.49
파일:HydrusIcon.webp 불명
장전 속도 20초
발당 피해량 8000
함포 체력 16000
주로 드래곤 컴팩트 진영의 전함, 순양전함에서 사용한다.
381mm 화포보다 약간 낮은 피해량을 가지고 있으나 381mm와 마찬가지로 장전은 똑같이 20초로 굼뜨니 항상 신중해야 한다.
2.2.1.4. 305mm
파일:Ursa_Symbol-1.png 메락
파일:Cannon_305mm U Merak 2.webp 파일:Cannon_305mm U Merak 3.webp
2연장 3연장
제식명 파일:Ursa_Symbol-1.png 불명
장전 속도 20초
발당 피해량 6000
함포 체력 16000
우르사 연방 해군의 전함 메락에서 주포탑으로 사용된다.
6000이라는 낮은 데미지에도 불구하고 많은 양을 탑재 할 수 있어 메락이 전열함식 전투에서 활약할수 있게 만드는 1등 공신이다.

2.2.2. 순양함 주포

2.2.2.1. 203mm
파일:Orion-Emblem.png 카파 파일:Antares_Emblem.png 러브럼
파일:Cannon_203mm O Kappa.webp 파일:Cannon_203mm A Rubrum.webp
제식명 파일:Orion-Emblem.png M.43
파일:Antares_Emblem.png Kannon CCIII, XXXVII[21]
장전속도 8.6초
발당 피해량 2500
함포 체력 12000
주로 중순양함에서 사용한다.
전함 주포와 비교하면 데미지가 약간 빈약하지만 장전속도가 빨라 수월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돌리는 느낌이나 소리는 부포와 전함 주포를 적절히 섞어 놓은 느낌이다.

2.2.3. 부포

2.2.3.1. 152mm
파일:Antares_Emblem.png 오럼 파일:Ursa_Symbol-1.png 일둔
파일:Cannon_152mm A Aurum.webp 파일:Cannon_152mm U Yилдun.webp
제식명 파일:Antares_Emblem.png 불명
파일:Ursa_Symbol-1.png 불명
장전 속도 6.7초
발당 피해량 2000
함포 체력 8000
솔티스 진영의 경순양함에서 주로 사용한다.
2.2.3.2. 127/130mm
파일:Orion-Emblem.png 오리온 함대 파일:Antares_Emblem.png 안타레스 무적함대 파일:HydrusIcon.webp 연방 해군 파일:Ursa_Symbol-1.png 우르사 연방 해군
파일:Cannon_127mm O single.webp 파일:Cannon_127mm O double.webp 파일:Cannon_127mm O tripple.webp 파일:Cannon_130mm A single.webp 파일:Cannon_130mm A double.webp 파일:Cannon_130mm A tripple.webp 파일:Cannon_127mm H double.webp 파일:Cannon_130mm U дouблe.webp
단장 2연장 3연장 단장 2연장 3연장 2연장 2연장
제식명 파일:Orion-Emblem.png M.44
파일:Antares_Emblem.png Kannon CXXX, XLII[22]
파일:HydrusIcon.webp 불명
파일:Ursa_Symbol-1.png 불명
장전속도 6.7초
발당 피해량 1500
함포 체력 8000
흔히 부포, 부함포하면 대부분 얘내들을 의미한다.
데미지가 매우 약하지만, 그렇다고 또 아주아주 약한건 아니여서 빠른 재장전 속도로 여럿이서 단합하여 도트딜을 넣으면 그 피해가 누적되어서 잘하면 중순양함, 전함은 물론 드레드노트까지도 잡는게 가능하다.
드래곤 컴팩트는 127mm, 솔티스는 이보다 티끌만큼 높은 130mm를 사용한다. 다만 둘다 데미지는 똑같다.
참고로 모든 127/130mm 함포들은 적함이나 적 탈것에 명중시 10% 확률로 화재를 일으킨다.

2.3. 어뢰

파일:Torpedo Aimpoint.webp
1인칭 조준시점
장전 속도 30초
발당 피해량 5000, 10000(항공어뢰)
근거리에서 함선을 상대할 때 사용하는 화기.

어뢰정, 구축함에 탑재된다.[23] 특히 우르사 연방 해군 소속 구축함은 어뢰 탑재량이 매우 뛰어난 편이다.[24]

Roblox Studio에서 제공한 부품들(블록, 쐐기, 구석 쐐기, 원통, 구)을 조합해 만든 군함, 함포와는 다르게 어뢰만 발사기와 어뢰 둘 다 따로 3D 모델을 가져와 사용하였다.

발사하면 어뢰가 어디로 날라가는지 보이는데 아군 어뢰는 초록색, 적군 어뢰는 빨간색으로 뜬다.

어뢰는 함교에 있는 회색 의자에 앉으면 조종할 수 있다. A와 D로 조준할 수 있다.

함포와 동일하게 발포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장전된다.[25]

바리에이션으로 항공어뢰가 존재하지만 해당 병기는 항공전력인 뇌격기에 장비되기 때문에 별도로 서술한다.

참고로 어뢰는 지면에 막히면 그대로 폭발하며, 같은 어뢰끼리도 피아관계와 상관없이 충돌판정이 존재하기 때문에 부딫히면 서로 폭발하지 않고 밀린다.[26]

2.3.1. 오리온

파일:Torpedo O double.webp
2연장
파일:Torpedo O quadruple Himalia.webp
4연장 히말리아
파일:Torpedo O quadruple Lambda.webp
4연장 람다

2.3.2. 안타레스

파일:Torpedo A tripple.webp
3연장
파일:Torpedo A quintuple.webp
5연장

2.3.3. 하이드러스

파일:Torpedo H quadruple.webp
4연장[27]

2.3.4. 우르사

파일:Torпeдo U дouблe.webp
2연장
파일:Тorпeдo U тrипплe.webp
3연장
파일:Torпeдo U quиnтuплe.webp
5연장

2.4. 탐조등

파일:DA spotlight.webp
모습[28]
야간전이 배경인 옐먼 해와 폭풍우가 몰아치는 천칭 양 맵에서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2px black; background: #ffffff"
F}}}키로 점등이 가능하며 그 이외의 맵에서는 점등이 불가능하므로 사실상 장식이다.
주 용도는 시야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적 함재기를 색적해내는데 쓰인다.[29]
파일:DA spotlight usage.webp
해당 탐조등이 내뿜는 빛의 진행경로에 물체가 닿으면 빛이 부딫혀 반사되는데, 해당 판정이 항공기를 대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위 사진과 같이 붉은 원으로 강조되며 일시적으로 그 형체가 발광한다.[30]
참고로 아군 함재기도 탐조등에 닿으면 발광하는데, 이러면 적에게 아군의 위치를 파는 행위이니 주의하자.

3. 군함

3.1. 함종

각 함종마다 장단점이 명확하며 그 역할이 제각각 다르다. 그리고 함종내에 하위 분류가 존재하기도 한다.

3.1.1. 구축함

DESTROYERDD
체력 30,000
속도 60 studs/s
장점 단점
전 함종 대비 기동력 1티어 빈약한 생존력
어뢰를 통한 강력한 근접전 성능 부실한 함포 화력
함포보다는 어뢰를 주력으로 운용하며, 도박수로 빠르게 적함에 근접하여 적함에 뇌격 및 견제를 가하는 함종이다. 그에따라 함포와 대공이 부실하고 대부분 상황에서 구축함이 선두로 나가기에 가장 먼저 격침되는 함선이기도 한다.
승조원들의 숙련도에 따라 기습을 통해 주력 함선에 괴멸적인 피해를 입히거나 다수의 함선과 함께 동귀어진하며 적에게 빅엿을 날릴 수도 있고, 1인분도 못한채 격침 되기도 하는 등 성능이 극과극으로 바뀐다.
빠르게 접근하여 적에게 치명상을 입히는 단검을 연상하면 쉽다.

3.1.2. 호위구축함

ESCORT DESTROYER
DESTROYER ESCORT
DE
현재 인게임에 등장하는 호위 구축함은 DREADNOUGHT 모드에서 소환되는 히말리아급 캐룰루스급에서 대공포만 비활성화 시킨 버전이 전부다.
이전 버전의 STRONGHOLD 모드에서 안타레스 무적함대 소속 비리디스급 호위구축함이라는 개별 함선이 등장했었다.[31]
이름만 다르지 구축함과 차별점이 사실상 없다.

3.1.3. 순양함

올라운더. 흔히 말하는 표준병기다.

구축함이 1선에서 활동한다면 순양함은 1.5선에서 활동한다.
3.1.3.1. 중순양함
HEAVY CRUISERCA
체력 70,000
속도 40 studs/s
장점 단점
상당한 화력 다소 굼뜬 이동
준수한 생존력
SKIRMISH 모드에서 가장 흔히보이는 3연장 203mm 함포를 장비한 함선이다. 인게임에서 가장 평범한 함정이다. 보통은 전함과 항공모함에게 우선순위가 밀리지만, 함재기를 다 소모한 항모를 대신해 공격에 나서거나 전함을 보조하거나 호위하는 등 밥값은 하는 녀석이다.
본래 경순양함/구축함 킬러로 설계된 함선들인지라 화력 만큼은 아랫급 함선들에 대해서 우위를 가지고 있으나, 근접한 구축함의 융단뇌격이나 경순양함의 함포난사를 무방비하게 다 쳐맞으면 허망하게 격침될수 있다는걸 주의하자. 결국에는 승조원의 숙련도에 따라서 혼자 전함을 격침하며 역전승을 할수도, 아니면 구축함에게 허망하게 격침될수도 있는 함선이다.
3.1.3.2. 경순양함
LIGHT CRUISERCL
체력 55,000
속도 50 studs/s
장점 단점
준수한 기동력 약한 화력
상당한 근접전 능력[32] 낮은 생존력
SKIRMISH, STRONGHOLD[33] 모드에서만 볼수있으며 중순양함에 비해 빠르지만 화력[34]과 체력이 낮다. 다만 후술하듯 안타레스와 우르사의 순양함은 어뢰 발사관을 보유하고 있다.
솔티스 진영의 경순양함들은 3연장 152mm 함포를 4~5기 정도를 장비하지만 오리온 함대 칼리스토급 경순양함은 127mm 3연장 함포 6기를 장비하여 근거리에서는 구축함과 경순양함, 심지어 중순양함에 운이 좋으면 전함까지 갈아버리는 모습이 심심찮게 목격된다. 우르사또한 152mm 3연장 5기와 6연장 소구경 대공포로 강력한 화력/방공능력을 자랑하지만 어째선지 다른 경순양함들 보다 활약이 적은편이다.
우르사 연방 해군 일둔급 경순양함의 경우 각 측면에 2연장 어뢰 발사관까지 장비하고 있으며, 안타레스 무적함대 오럼급 경순양함은 각 측면에 3연장 어뢰 발사관을 장비하고 있기에, 근접전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여준다.[35]
3.1.3.3. 방공순양함
ANTI-AIR CRUISERCLAA
체력 45,000
속도 40 studs/s
장점 단점
대공능력 1티어 양용포의 매우 저조한 장거리 대함 능력[36]
PHOENIX 모드에서만 나오는 중형항공모함 호위 함정이다. 방공만큼은 탁월하지만 함포 성능과 체력이 안좋아 무작정 나서면 금세 용궁행 티켓을 끊어버리니 주의하자.
보통은 중형항공모함을 향한 뇌격기의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말 그대로 프렌드 쉴드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가끔씩 공격을 위해 이걸 끌고 나가는 경우가 있는데, 아군 항공모함이 적의 함재기의 공격에 노출될수 있기에 권장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어차피 혼자 끌고 가봐야 항공기들의 다구리에 격침될뿐이다.[37]
양용포는 대함용, 대구경 대공포는 중장거리, 중구경 대공포는 아무때나, 소구경 대공포는 근접했을때 사용하는게 좋다.

3.1.4. 순양전함

BATTLECRUISERCC
체력 90,000
속도 35 studs/s
장점 단점
전함급 화력 1선에 나서기엔 애매한 생존력
화력 대비 수월한 기동 어뢰 회피 기동용으로는 약간 아쉬운 기동력
이름 그대로 전함과 순양함의 하이브리드[38]인지라 장단점이 별로 뚜렷하지 않고 성능이 이도저도 아니라 이게 뭔가 싶은 함종이지만 공격력과 기동력 모두 가지고 있다.[39]
현존하는 함선 중에는 연방 해군 시리우스급 순양전함이 유일하다.

3.1.5. 전함

BATTLESHIPBB
체력 100,000
속도 25 studs/s
장점 단점
최강의 화력과 생존력 느린 기동력 및 선회 반응 속도
넓은 피탄면적
인게임에서 드레드노트 다음으로 가장 강력한 함포와 높은 체력을 가진 함종이다. 한방만큼은 확실하며 적의 함포를 맞춘다면 바로 유폭 낼수도있고 드라코급 고속전함의 경우 주포를 죄다 전방에 끌어다 배치했기 때문에 주포 전탄 명중시 구축함을 일격사 할수도 있다.
그 대신 기동력이 쓰레기라 어뢰 회피 기동은 함장이 썩은물의 미친 센스로 적 구축함 위치만 보고 어뢰가 탐지되기도 전에 미리 피하지 않는 이상 불가능하다. 재수없으면 함재기들의 집중포화를 받고 격침당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때문에 1선에 나설경우 대 어뢰전에 취약한 느린 기동력을 커버해주기 위해 견제용으로 구축함과 같은 함선들을 호위함으로 운용하거나, 암초 또는 낮은 구조물을 방패삼아 적에게 어뢰각을 주지 않으며 우세한 대함 전력만을 이용해 상대하는 식의 플레이를 권장한다.
구축함이 초보자도 잡으면 어느정도 다룰수 있는 단검 정도라면 전함은 상당한 숙련도를 요하는 중량형 대검을 연상하면 쉽다.

3.1.6. 드레드노트

DREADNOUGHTBB[40]
체력 200.000
속도 25 studs/s
장점 단점
중형항공모함에 맞먹는 엄청난 맷집 느린 기동력 및 선회 반응 속도
무지성으로 때려박은 함포에 따른 엄청난 화력 넓은 피탐지 면적
낭만 넘치는 경적소리 넓은 함내 왕복거리[41]
DREADNOUGHT 모드에서만 등장하는 함선으로 거함거포주의의 절정을 찍은 현실의 야마토급 전함과 같은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에 해당한다. 그냥 비정상적으로 쎈 전함이다.

3.1.7. 항공모함

함재기들의 운용과 보급을 담당하며 원거리 공세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게 해주는 매우 중요한 함선이다.
3.1.7.1. 중형항공모함
FLEET CARRIERCV
체력 200,000
속도 25 studs/s
함장량 공격기 20기
급강하 폭격기 25기
뇌격기 35
전투기 20기
장점 단점
드레드노트에 맞먹는 엄청난 맷집 느린 기동력 및 선회 반응속도
100대에 달하는 무지막지한 함장량 매우 넓은 피탐지 면적
넓은 함선 내 왕복거리[42]
PHOENIX 모드에서만 볼수있는 함선이며 인게임에서 가장 큰 덩치를 자랑하는 함선이다. 하지만 그 크기를 죄다 함재기 적재 공간이 잡아먹는 만큼 함재기들이 사실상 주 공격 수단이다. 절대로 1선으로 몰고 나서면 안되며 그럴경우 넓은 피탐면적 때문에 금세 격침된다.[43]
3.1.7.2. 경항공모함
LIGHT CARRIERCVL
체력 60.000
속도 25 studs/s
함장량 공격기 3기
급강하 폭격기 5기
뇌격기 6기
전투기 5기
장점 단점
SKIRMISH 모드 내 유일함 함재기 소환 수단[44] 느린 기동력 및 선회 반응 속도
약간 아쉬운 함재기 적재량
전선에 나서기에는 애매한 체력
SKIRMISH STRONGHOLD 모드에서만 볼수있는 함선이며 다량의 함재기들을 적재하고있어 항공지원을 담당한다. 만약 함재기가 모두 소진되기 전에 경항공모함이 격침 달할 경우, 공격과 방어 두곳 모두 손실이 발생한다.[45] 그리고 피탐면적이 크기 때문에 1선으로 무작정 돌진하는 것부터가 자살행위다. 이점으로 인해 가장 늦게 격침당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다만 기동력이 조금 안좋을 뿐이지 경함공모함의 경우 대함전력 면에서는 거리 측정기도 있으며, 상갑판에 2연장 부포 2기에, 하갑판에 단장 부포 6문이 존재하기에 함장이 어느정도 위치 선점을 잘 해주면, 후방에서 포격 지원을 해줄 수 있어 공세를 조금 유리하게 이끌어나갈 수 있다.[46][47] 또한 항모를 전진시키면 그만큼 함재기들의 왕복거리가 줄어들어 적을 더 압박할 수 있기에 잘하면 꽤나 도움이 된다.[48] 다만 웬만한 후반부에 가서는 함재기들이 대공포와 전투기들에게 대부분 또는 전부 소진되어 라운드 시작 10분 내로는 함재기가 동이 난다.
STRONGHOLD 모드에서는 함선이라기보다는 비행기 스포너에 가까운 느낌이라서, 내구도가 무제한이며[49] 공격기와 급강하 폭격기를 무한정 적재하고있다.
3.1.7.3. 단층식 항공모함
LEVEL CARRIERCVLB
장단점을 구별할 필요가 없다.[50]
STRONGHOLD 모드에서만 볼수있는 함선이며 내구도와 함재기 적재량은 무제한이다. 경폭격기를 적재하고 있으며 60초마다 스폰이 가능하다. 경폭격기는 중순양함 이하급 함선을 전부 한방에 끝장낼수있는 폭장량을 자랑한다.[51]
현존하는 함선 중에는 안타레스 무적함대 사르가급 단층식 항공모함이 유일하다.

3.2. 함정

DEAD AHEAD 등장 함선
{{{#!folding [ 오리온 ] 항공모함 파일:Gliese-icon.png
글리제급
파일:Icon_Rigel.webp
리겔급
전함 파일:Icon_Belt.webp
벨트급
파일:Icon_Meissa.webp
메이사급
순양함 파일:Icon_Kappa.webp
카파급
파일:Icon_Callisto.webp
칼리스토급
파일:Icon_Galatea.webp
갈라테아급
구축함 파일:Icon_Himalia.webp
히말리아급
파일:Icon_Lambda.webp
람다급
포함 파일:Icon_Gunboat29.webp
포함
파일:Icon_Bullfrog.webp
불프로그급
}}} ||
{{{#!folding [ 안타레스 ] 항공모함 파일:Ikon_Skorpio.webp
스콜피오급
파일:Ikon_Skorpius.webp
스콜피우스급
전함 파일:Ikon_Omikron.webp
오미크론급
파일:Ikon_Tau.webp
타우급
순양함 파일:Ikon_Rubrum.webp
러브럼급
파일:Ikon_Aurum.webp
오럼급
파일:Ikon_Aurum Aer.webp
오럼 에어급
구축함 파일:Ikon_Kaerulus.webp
캐룰루스급
파일:Ikon_Purpura.webp
푸르푸라급
파일:Ikon_Viridis.webp
비리디스급
}}} ||
{{{#!folding [ 하이드러스 ] 전함 파일:Icon_Draco.webp
드라코급
순양전함 파일:Icon_Sirius.webp
시리우스급
구축함 파일:Icon_Procyon.webp
프로키온급
}}} ||
{{{#!folding [ 우르사 ] 전함 파일:Иcon_Merak.webp
메락급
순양함 파일:Иcon_Yилдun.webp
일둔급
구축함 파일:Иcon_Kochaб.webp
코카브급
}}} ||

위의 대공포와 함포들로 무장한 배이다. 해상 전투 게임이니만큼 함선은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3.2.1. 오리온 함대

파일:Orion-Emblem.png 오리온 함대 소속 함정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27408b><colcolor=#fff> 항공모함 중형항공모함 (CV) 글리제급
경항공모함 (CVL) 리겔급
호위항공모함(CVE) 하트샤급
드레드노트 드레드노트 벨트급
전함 전함 (BB) 메이사급
순양함 중순양함 (CA) 카파급
경순양함 (CL) 칼리스토급
방공순양함 (CLAA) 갈라테아급
구축함 구축함 (DD) 히말리아급
람다급
연안경비함정 포함(GB) 포함
방공함 불프로그급
어뢰정 (PT) 어뢰정
}}} ||

구축함, 경순양함들은 람다급 구축함 1번함 람다함을 제외하면 전부 목성 해왕성 위성들 이름으로 짓는다.
함선 접두어는 ORS.[52]
해군 군함들은 미국 해군 군함들에서 영감을 얻었다.
선체 재질은 밝은 회색 베이스에 짙은 회색 철판을 데크로 이용한다.
3.2.1.1. 항공모함
3.2.1.1.1. 글리제급 중형항공모함
파일:Top_down_of_Gliese.webp
글리제급 중형항공모함
GLIESE-CLASS FLEET CARRI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글리제급 중형항공모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1.2. 리겔급 경항공모함
파일:Rigel-Class.png
리겔급 경항공모함
RIGEL-CLASS LIGHT CARRI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겔급 경항공모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2. 전함
3.2.1.2.1. 벨트급 드레드노트
파일:Belt-Class1.png
벨트급 드레드노트
BELT-CLASS DREADNOUGH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벨트급 드레드노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2.2. 메이사급 전함
파일:Meissa-Class1.png
메이사급 전함
MEISSA-CLASS BATTLESHI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이사급 전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3. 순양함
3.2.1.3.1. 카파급 중순양함
파일:OrionCC.png
카파급 중순양함
KAPPA-CLASS HEAVY CRUIS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파급 중순양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3.2. 칼리스토급 경순양함
파일:Callisto_Bow_Portside.png
칼리스토급 경순양함
CALLISTO-CLASS LIGHT CRUIS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칼리스토급 경순양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3.3. 갈라테아급 방공순양함
파일:Galatea front.webp
갈라테아급 방공순양함
GALATEA-CLASS ANTI-AIR CRUIS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갈라테아급 방공순양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4. 구축함
3.2.1.4.1. 히말리아급 구축함
파일:Himalia bow-port.webp
히말리아급 구축함
HIMALIA-CLASS DESTROY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히말리아급 구축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4.2. 람다급 구축함
파일:Lambda bow-starboard.webp
람다급 구축함
LAMBDA-CLASS DESTROY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람다급 구축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5. 기타

3.2.2. 안타레스 무적함대

파일:Antares_Emblem.png 안타레스 무적함대 소속 함정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e09864><colcolor=#fff> 항공모함 중형항공모함 (KV) 스콜피오급
경항공모함 (KVL) 스콜피우스급
단층식 항공모함 (KVLL) 사르가급
호위항공모함 (KVE) 크런급
드레드노트 드레드노트 오미크론급
전함 전함(BB) 금성급, 팽급, 정체불명, 인터문대급, 타우급
모니터함 모니터함 키급
순양함 중순양함 (KA) 러브럼급
경순양함 (KL) 오럼급
방공순양함 (KLAA) 오럼 에어급
구축함 구축함(DD) 캐룰루스급
푸르푸라급
호위구축함 (DE) 비리디스급
상륙함 상륙함 구식 상륙함, 상륙함, 전차상륙함
상륙정 상륙정 상륙정
연안경비함정 포함 (GB) 포함, 전자가속포함
경비정 대공경비정
}}} ||
함선 접두어는 AIS.[53]
전함은 그리스 문자에서 이름을 따오며, 항공모함은 전갈자리와 그에 소속된 천체에서 이름을 따온다. 이외 함선들은 대부분 고대 리브라어에서 이름을 따왔다.
해군 군함들은 일본 제국 해군 군함들에서 영감을 얻었다.
선체 재질은 어두운 회색 베이스에 밝은 목재를 데크로 이용한다.
3.2.2.1. 항공모함
3.2.2.1.1. 스콜피오급 중형항공모함
파일:스콜피오급 중형항공모함.png
스콜피오급 중형항공모함
SKORPIO-KLASS FLEET KARRI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콜피오급 중형항공모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1.2. 스콜피우스급 경항공모함
파일:Skorpius bow-port.webp
스콜피우스급 경항공모함
SKORPIUS-KLASS LIGHT KARRI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콜피우스급 경항공모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1.3. 사르가급 단층식 항공모함
파일:New_Antares_Level_Carrier.png
사르가급 단층식 항공모함
SARGA-KLASS LEVEL KARRI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르가급 단층식 항공모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2. 전함
3.2.2.2.1. 오미크론급 드레드노트
파일:오미크론-뉴.png
오미크론급 드레드노트
OMIKRON-KLASS DREADNOUGH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미크론급 드레드노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2.2. 타우급 전함
파일:Tau_New.png
타우급 전함
TAU-KLASS BATTLESHI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타우급 전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3. 순양함
3.2.2.3.1. 러브럼급 중순양함
파일:AntaresCC.png
러브럼급 중순양함
RUBRUM-KLASS HEAVY KRUIS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러브럼급 중순양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3.2. 오럼급 경순양함
파일:아우럼급 경순양함.png
오럼급 경순양함
AURUM-KLASS LIGHT KRUIS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럼급 경순양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3.3. 오럼 에어급 방공순양함
파일:Aurum Aer bow-starboard.webp
오럼 에어급 방공 순양함
AURUM AER-KLASS ANTI-AIR KRUIS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럼 에어급 방공순양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4. 구축함
3.2.2.4.1. 캐룰루스급 구축함
파일:AntaresDD.png
캐룰루스급 구축함
KAERULUS-KLASS DESTROY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캐룰루스급 구축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4.2. 푸르푸라급 구축함
파일:Purpura bow-port.webp
푸르푸라급 구축함
PURPURA-KLASS DESTROY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푸르푸라급 구축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4.3. 비리디스급 호위구축함
파일:Viridis bow-starboard.webp
비리디스급 호위구축함
VIRIDIS-KLASS DESTROYER ESKOR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비리디스급 호위구축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5. 기타
  • 포함(Gunboat)
    파일:안타레스 제국 포함.png
  • 전차상륙정
    파일:안타레스 제국 전차상륙정.png
  • 구식상륙함
    파일:안타레스 제국 구형상륙함.png
  • 상륙함
    파일:안타레스 제국 상륙함.png [54][55]
  • 전차상륙함
    파일:안타레스 제국 전차상륙함.png

3.2.3. 하이드러스

파일:HydrusIcon.webp 연방 해군 소속 함정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670d0d><colcolor=#fff> 항공모함 경항공모함 (CVL) 민키르급
드레드노트 드레드노트 서펜스급
전함 전함 (BB) 드라코급
순양전함 순양전함 (CC) 시리우스급
구축함 구축함 (DD) 프로키온급
}}} ||

접두어는 HCS.[56]
전함을 제외한 다른 함선들은 모두 큰개자리 작은개자리에 소속된 천체들에서 따왔다.
해군 군함들은 영국 해군 프랑스 해군 군함들에서 영감을 얻었다.
선체 재질은 오리온 함대의 함선보다 밝은 은색 베이스에 짙은 회색 철판을 데크로 이용한다. 다만 프로키온급 구축함처럼 일부 함선은 안타레스 무적함대 함선처럼 목재를 데크로 이용하기도 한다.
3.2.3.1. 전함
3.2.3.1.1. 드라코급 전함
파일:Draco-class.png
드라코급 전함
DRACO-CLASS BATTLESHI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드라코급 전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3.2. 순양전함
3.2.3.2.1. 시리우스급 순양전함
파일:Sirius-class.png
시리우스급 순양전함
SIRIUS-CLASS BATTLECRUIS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리우스급 순양전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3.3. 구축함
3.2.3.3.1. 프로키온급 구축함
파일:Procyon bow.webp
프로키온급 구축함
PROCYON-CLASS DESTROY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키온급 구축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4. 우르사

파일:Ursa_Symbol-1.png 우르사 연방 해군 소속 함정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5F5F5F><colcolor=#fff> 항공모함 경항공모함 (CVЛ) 알리오스급
드레드노트 드레드노트 폴라리스급
전함 전함 (ББ) 메락급
순양함 경순양함 (CЛ) 일둔급
구축함 구축함 (ДД) 코카브급
}}} ||

함선 접두어는 ФUS.[57]
함명은 모두 큰곰자리 작은곰자리에 소속된 천체들에서 따왔다.
해군 군함들은 이탈리아 왕립 해군 군함들에서 영감을 얻었다.
선체 재질은 오리온 함대의 함선과 동일하게, 밝은 회색 베이스에 짙은 회색 철판을 데크로 이용한다. 다만 이탈리아 함선들을 모티브로 한 것을 반영한 것인지 선체에 식별용 적백 줄무늬가 있다.
3.2.4.1. 전함
3.2.4.1.1. 메락급 전함
파일:Merak-class.png
메락급 전함
Merak-Cлass Бaттлeshип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락급 전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4.2. 순양함
3.2.4.2.1. 일둔급 경순양함
파일:Yилдun бow.webp
일둔급 경순양함
Yилдun-Cлass Лигhт Cruиs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둔급 경순양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4.3. 구축함
3.2.4.3.1. 코카브급 구축함
파일:Kochaб бow.webp
코카브급 구축함
Kochaб-Cлass Дesтroy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코카브급 구축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5. 미등장 함선

=====# 키급 모니터함 #=====
파일:Khi-Class.jpg
키급 모니터함
KHI-KLASS MONITOR
<colbgcolor=#e09864> 함명 1번함 키(AIS KHI)
국가 파일:Antares_Emblem.png 안타레스 제국
유형 모니터함
취역연도 1931년
등장 모드 불명[58]
체력 불명
속도 불명
무장
주포 불명
안타레스 무적함대에서 운용하는 모니터함이다.

모티브는 불명.
=====# 민키르급 경항공모함 #=====
파일:NO IMAGE.png
민키르급 경항공모함
MINCHIR-CLASS LIGHT CARRIER
<colbgcolor=#07335a> 함명 민키르 (HCS MINCHIR)
국가 파일:HydrusIcon.webp 하이드러스 연방
취역연도 19??년
유형 경항공모함
등장 모드 SKIRMISH
체력 60,000
속도 25 studs/s
무장
함재기 불명
부포 불명
대공포 불명
연방 해군에서 운용하는 경항공모함이다.

모티브는 불명.

이전에 제작자가 DEAD AHEAD 인게임에 장난으로 추가하며 선보여진 함선. 현재는 미완성으로 보인다.
=====# 서펜스급 드레드노트 #=====
파일:Serpens-class.png
서펜스급 드레드노트
SERPENS-CLASS DREADNOUGHT
<colbgcolor=#07335a> 함명 서펜스 (HCS SERPENS)
국가 파일:HydrusIcon.webp 하이드러스 연방
취역연도 1951년
유형 드레드노트
등장 모드 DREADNOUGHT
체력 200,000
속도 25 studs/s
무장
주포 3연장 406mm 함포 3기 6문
부포 4연장 127mm 함포 2기 8문
대공포
3연장 중구경 대공포 6기 18문
연방 해군이 운용하는 드레드노트다.

모티브는 넬슨급 전함.

팬덤위키 및 공식 디스코드에서 공개된 드레드노트. 현재 완성된 2개의 모델링이 공개되었다.
=====# 알리오스급 경항공모함 #=====
파일:NO IMAGE.png
알리오스급 경항공모함
Aлиoth-cлass Лигht Carrиer
<colbgcolor=#5F5F5F> 함명 알리오스 (ФUS Aлиoth)
국가 파일:Ursa_Symbol-1.png 우르사 연방
취역 19??년
유형 경항공모함
등장 모드 SKIRMISH
체력 60,000
속도 25 studs/s
무장
함재기 불명
부포 불명
대공포 불명
우르사 연방 해군에서 운용하는 경항공모함이다.

모티브는 아퀼라.

이전에 제작자가 DEAD AHEAD 인게임에 장난으로 추가하며 선보여진 함선. 현재는 미완성으로 보인다.
=====# 폴라리스급 드레드노트 #=====
파일:Polaris-class.png
폴라리스급 드레드노트
Пoлarиs-Cлass Дreaдnouгhт
<colbgcolor=#5F5F5F> 함명 폴라리스 (ФUS Пoлarиs)
국가 파일:Ursa_Symbol-1.png 우르사 연방
취역 19??년
유형 드레드노트
등장 모드 DREADNOUGHT
체력 200,000
속도 25 studs/s
무장
주포 불명
부포 불명
대공포 불명
우르사 연방 해군이 운용하는 드레드노트다.

모티브는 프로젝트 페라티 전함.

팬덤위키 및 공식 디스코드에서 공개된 드레드노트. 현재 완성된 모델링이 공개되었다.
=====# ??? 잠수함 #=====
파일:우르사_연방군_잠수함.png
??? 잠수함
??? Suбmarиne
??? PODVODNAYA LODKA[59]
<colbgcolor=#5F5F5F> 함명 ???
국가 파일:Ursa_Symbol-1.png 우르사 연방
취역 19??년
유형 잠수함
등장 모드 CONVOY
체력 ???
속도 ???
무장
어뢰 ???
우르사 연방 해군이 운용하는 잠수함이다.

CONVOY 모드에 추가될 예정이었으나 DEAD AHEAD의 업데이트가 중단되면서 현재까지 공개된 것은 모델링 뿐이다.

4. 방송

4.1. 함내 방송

조종사가 되면 화면 우측에 모여있는 리스트를 클릭해 함내방송을 할 수 있다. 어느 진영이든 목소리는 똑같다.
군함 포착(WARSHIP SPOTTED)[60]
항공기 포착(AIRCRAFT SPOTTED)[61]
발포(FIRE)
사격중지(CEASEFIRE)
손상통제(DAMAGE CONTROL)[62]

다만 사격중지 방송은 사람들이 잘 안 듣는 편이다. 특히 비영어권 사용자들은 CEASEFIRE에서 FIRE만 듣고 계속 사격하는 경우도 있어서 대부분은 채팅으로 '그만 쏴라.(Stop Fire.)'라고 말하는 편이다.

4.2. 격침 방송

군함이 격침당하면 띠 소리와 함께 화면 좌측에서 '메시지 알림.(INBOUND MESSAGE)'과 문자가 뜨면서 모두에게 방송이 나오는데 진영마다 목소리가 다르다.

4.2.1. 오리온

오리온 구축함 격침(ORION DESTROYER SUNK)
오리온 호위구축함 격침(ORION DESTROYER-ESCORT SUNK)
오리온 순양함 격침(ORION CRUISER SUNK)
오리온 전함 격침(ORION BATTLESHIP SUNK)
오리온 항공모함 격침(ORION AIRCRAFT CARRIER SUNK)

음성 메세지 아나운서는 남성. 방금 담배피다 녹음한것 마냥 목소리가 중저음에 매우 걸걸하다.

4.2.2. 안타레스

안타레스 구축함 격침(ANTARES DESTROYER SUNK)
안타레스 호위구축함 격침(ANTARES DESTROYER-ESCORT SUNK)
안타레스 순양함 격침(ANTARES CRUISER SUNK)
안타레스 전함 격침(ANTARES BATTLESHIP SUNK)
안타레스 항공모함 격침(ANTARES AIRCRAFT CARRIER SUNK)

음성 메세지 아나운서는 남성.
다만 'ㄱ'과'ㅋ'사이의 중의적인 발음을 내는 철자 C를 모두 'ㅋ' 발음의 K로 통일해버리는 안타레스식 리브라어의 문법을 억양에도 반영한 것인지 거센소리계 음운의 악센트를 상당히 강하게 발음한다.

4.2.3. 하이드러스

하이드러스 구축함 격침(HYDRUS DESTROYER SUNK)
하이드러스 순양전함 격침(HYDRUS BATTLECRUISER SUNK)
하이드러스 전함 격침(HYDRUS BATTLESHIP SUNK)

음성 메세지 아나운서유일하게 여성.[63]
하이드러스 연방이 여성 인권이 포르마에서 가장 좋은 국가라는 점을 반영한 듯하다.

4.2.4. 우르사

우르사 구축함 격침(URSA DESTROYER SUNK)
우르사 순양함 격침(URSA CRUISER SUNK)
우르사 전함 격침(URSA BATTLESHIP SUNK)

음성 메세지 아나운서 남성.
다만 우르사식 리브라어가 표준 리브라어와 억양차이가 상당하다는 것을 반영한 것인지 발음이 상당히 들쭉날쭉하다.[64]

4.3. 기타 방송

구니 해 에서 눈보라가 몰아치거나 STRONGHOLD 모드에서 해상 지원이 도착했을 때와 오리온 공화국 요새탑이 파괴되면 똑같이 방송이 나오는데 요새탑 파괴의 경우 에서는 문자만 나오고 목소리는 안나온다.
눈보라 접근중.(SNOWSTORM INBOUND)
해상 지원 도착.(COASTAL SUPPORT INBOUND)
성우들이 누군지는 불명.


[1] 실제로는 분당 175발인건 안비밀 [2] 실제론 분당 450발인 건 안비밀 [3] 20 [4] 45 [5] 솔직히 2연장이면 분당 300발이 나가야 하는 거 아닌가? [6] 솔직히 4연장이면 분당 600발이 맞는 거 아닌가? [7] 37 [8] 47 [9] 최근 업데이트로 안타레스 3연장 중구경 대공포는 야마토에 덕지덕지 붙은 96식 25mm 고각기총과 유사한 디자인을 가진다. [10] 근접 신관을 사용하기 때문에 폭발 데미지가 들어간다. [11] 피격된 파트 갯수당 주는 피해량이 증가한다. 예를 들어 피격당한 비행기의 파트 수가 2개면 2배, 3개면 3배를 준다. [12] 85 [13] 45 [14] Quickload [15] 가끔씩 천칭 양 같은 맵에서 이거만 가지고 스폰에 짱박혀 있는 경항공모함이나 구축함을 잡는 변태들이 있다. [16] 실제로도 대함용으로 밖에 안 쓰인다(...) [17] 워낙 드문 일이지만 함포로 먼 거리에서 빠르게 날아다니는 비행기를 잡는(...) 변태들이 아주아주 가끔 보이기는 한다. [18] T자선에 가깝다. [19] 406, 51 [20] 381, 47 [21] 203, 37 [22] 130, 42 [23] 예외적으로 경순양함에 소량 탑재되기도 한다. [24] 우르사 연방 해군이 사용하는 코카브급 구축함의 어뢰 탑재량이 총 11문으로 인게임에서 가장 높다. [25] 재장전 소리도 전함 주포와 동일하다. [26] 이를 이용해 구축함이 자신의 어뢰를 통해 아군함을 적 어뢰 경로로부터 벗어나게 해주는 미친 캐리도 가끔 보인다. [27] 오리온의 히말리아급 구축함에서 사용하는 어뢰 발사관과 모델링이 똑같다. [28] 모든 진영이 같은 모델을 사용한다. [29] 아무 이유 없이 그냥 켜놓고 가지고 놀거나, 아니면 적 함선을 찾겠답시고 비추는 등, 함재기 색적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은 아군함의 위치를 파는 명백한 트롤링으로 votekick 사유에 해당한다. [30] 참고로 해당 발광 판정은 아군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닌 모든 플레이어를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쉽게 말하면 적 함재기를 비추어 발광시킬 경우 적 진영도 자신들의 함재기가 발광하는 것을 인지 할 수 있다. [31] 현재 STRONGHOLD 모드에 등장하는 안타레스 함선은 3척의 항공모함을 제외하고는 다 장식이다. 굳이 해당 모드에 맞는 역할을 가진 함선을 배치할 이유가 없는 것. [32] 안타레스, 우르사 한정 [33] 맵 배경에 장식으로만 나온다. [34] 인게임에선 전부 부포로 분류되어 있다. [35] 다만 애초에 적 구축함이 접근할 때 말고는 어뢰가 효과를 볼 정도로 함포 사격이 주력인 순양함이 적함과 근접할 일은 어쩌다 코너에서 마주치는 등의 상황이 전개되지 않는 이상 일어나지 않기에 차라리 그 자리에 함포를 장비하는게 나았을 거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잘 안 쓰인다(...) [36] 애초에 해당 함선이 등장하는 PHOENIX 모드에서는 함선간 포격전이 사실상 일어나지 않기에 크게 상관은 없다. [37] 어찌저찌 적 항모까지 닿아서 양용포로 데미지를 넣어도 항공폭탄보다 가성비가 딸리며 상대가 바보가 아닌 이상 양용포로 똑같이 반격해 올 것이며, 적 함재기들 입장에서도 항모와의 왕복거리가 짧기 때문에 공격 빈도가 엄청나게 높아지게 된다. 애꿎은 방패병 하나를 데스존으로 내모는 셈. [38] 무장 구성을 보면 사실상 전함에 가깝다. [39] 기존에 존재하던 함대 구성에서 중순양함을 대체하며 등장하는 함선이기 때문에 기동력은 좀 딸려도 화력은 전함급이라 이론상 전함을 1척 더 가지고 싸우는 것에 가깝다. [40] 초중전함으로 전함류에 속하기 때문에 함급 분류 기호가 전함과 동일하다. [41] 위아래로 넓은 항공모함이라 해도 될정도로 함교가 복잡하고 넓다(...) [42] 괜히 하는 소리가 아닌데, 적 함재기한테 집중공격을 받아 여기저기서 화재가 발생하면, 플레이어가 그 넓은 활주로를 소화기 들고 직접 뛰어다녀야(...)하는데 대공 사격을 위해 활주로 위해 플레이어들이 몇명 퍼져있으면 그나마 낫지만 그 넓은 활주로 위에 1~2명 밖에 없으면 손상 통제가 더디게 이루어져 아군들 속만 타들어간다. [43] 유저들 사이에서는 명백히 트롤링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이랬다가는 votekick은 확정이다. [44] 이거 하나만 가지고 가도 남은 단점들은 다 씹어먹는다. [45] 물론 초중반 한정이다. 함재기가 모두 전멸하면 그냥 추가 함포 싣고 다니는 덩치 큰 고철 밖에 안되기 때문에, 중후반에는 대부분 스폰지점에 그냥 버려진다.(...) [46] 물론 시작부터 성급하게 항공모함을 적진으로 꾸역꾸역 끌고가라는 뜻은 아니다. 라운드 초반에는 방공이 주가 되기 때문에 대공포 잡으러 오는거거나 불끄러 오는거라면 모를까 굳이 항공모함까지 와서 함포 쏘려는 사람은 사실상 없고, 안 그래도 큰 피탐지 면적 때문에 자칫하다 적의 표적이 되어 집중 포화를 받다가 느린 기동력 때문에 도망도 못 가보고 허망하게 격침될 수 있으니, 대강 라운드 중반 쯤에 적 전함이나 중순양함 같은 깡패들이 정리되면 그때가서 아군 포격 지원 해주러 슬슬 끌고 나가도 문제는 없다. [47] 그리고 그때쯤이면 격침된 함선 수만큼 아군에 인력이 어느 정도 남아돈다는 뜻인데, 대충 채팅에 항공모함 함포 잡아줄 사람 모집 공고하면 몇명쯤 넘어온다. [48] 중형항공모함이라면 모를까, 경항공모함을 끌고 전선에 합류하는 행위를 하면 그걸 갖다가 그냥 자살 및 트롤링이라면서 선동하는 사람이 가끔자주 있는데, 대충 다른 팀원들 어떻게 설득해보고 안될거 같으면 그냥 도로 제자리에 갖다가 놓자. votekick 당하는 것보단 낫다. [49] 추정 [50] 유일하게 등장하는 STRONGHOLD에서는 스폰에 정박만 되어있다. [51] 항공폭탄을 총 4개 떨구는데, 하나당 데미지가 15,000이니 전탄 명중한다는 가정하에 함선 체력이 60,000 이하인 함선은 그대로 용궁행이다. [52] ORION REPUBLIC SHIP [53] ANTARES IMPERIAL SHIP [54] 해당 상륙정에는 아라비아 숫자가 새겨져 있는데, 설정상 안타레스 제국은 로마 숫자를 사용하는 국가이다(...) [55] ATOLL 모드가 리메이크되면서 현재는 설정에 맞게 로마 숫자가 새겨져있다. [56] HYDRUS COMMONWEALTH SHIP [57] Фeдeraтиon Ursa Shип [58] SIEGE 모드에 등장할 것으로 추측. [59] Подводная лодка [60] 실제 방송에서는 '적함 포착.(ENEMY WARSHIP SPOTTED.)'이라고 말한다. [61] 실제 방송에서는 '적기 포착.(ENEMY AIRCRAFT SPOTTED.)'이라고 말한다. [62] 실제 방송에서는 '손상통제. 손상통제. 화재진압.(DAMAGE CONTROL. DAMAGE CONTROL. EXTINGUISH THE FIRE.)'라고 말한다. [63] SUNK 를 SUCK 로 발음한다고 오해하기 쉽다 [64] 한국어로 비유하자면 거의 조선족이 더빙한 것보다도 더 심한 수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