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11:46:20

𤰏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내 천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다른 한자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내 천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0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3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セン
일본어 훈독
かわ
-
표준 중국어
chuā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용례
2.1. 단어, 고사성어2.2. 지명
2.2.1. 국내
2.2.1.1. 행정구역2.2.1.2. 하천
2.2.2. 국외
2.3. 창작물2.4. 인명2.5. 역명2.6. 기타

[clearfix]

1. 개요

川은 '내 천'이라는 한자로, '시냇물', '강'을 뜻한다.
巛(내 천, 개미허리) 부수의 제부수 한자 중 하나이다. 시냇물이 흘러가는 모양을 형상화한 상형자로, (개미허리변[1]) : 유니코드 5DDB, 창힐수입법 VVV(女女女))이 川의 본래 형태였다.

한국에서는 (), 하천()보다 작은 규모를 뜻한다.

중국에서 川은 강을 뜻하며, 딱히 강의 규모를 지정하고 사용하지는 않는다. 쓰촨성의 약칭으로도 사용한다. 그 외에 川은 탕요리의 일종으로도 사용한다.[2]

일본에서는 주로 훈독하여 かわ라고 읽는데 한국과는 달리 모든 종류의 하천을 川이라고 한다. 즉 아마존 강처럼 큰 강이라도 일본에서는 이 한자로 표기한다.

가나문자 tsu( 히라가나 つ; 가타카나 ツ) 의 유래이다.

2. 용례

2.1. 단어, 고사성어

  • 가와사키병(川崎病)
  • 개천(-川)
    • 실개천(--川)
  • 건천(乾川)
  • 계천(溪川)
  • 사천음식(四川飮食)
    • 사행천(蛇行川)
  • 자생천(自生川)
  • 천렵(川獵)
  • 천변(川邊)
  • 하천(河川)

2.2. 지명

2.2.1. 국내

2.2.1.1. 행정구역
2.2.1.2. 하천

2.2.2. 국외

2.3. 창작물

2.4. 인명

2.5. 역명

역명에 川이 들어가는 철도역 (국내)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금천구청역(衿川區廳驛), 동두천역(東豆川驛), 동두천중앙역(東豆川中央驛)
동인천역(東仁川驛), 부천역(富川驛), 인천역(仁川驛), 녹천역(鹿川驛)
연천역(漣川驛)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도림천역(道林川驛), 양천구청역(陽川區廳驛)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과천역(果川驛), 정부과천청사역(政府果川廳舍驛)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마천역(馬川驛)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굴포천역(掘浦川驛), 부천종합운동장역(富川綜合運動場驛)
부천시청역(富川市廳驛)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 양천향교역(陽川鄕校驛)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강선 이천역(利川驛)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춘선 남춘천역(南春川驛), 춘천역(春川驛)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어천역(漁川驛), 오목천역(梧木川驛), 인천논현역(仁川論峴驛)
파일:Seohae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서해선 부천종합운동장역(富川綜合運動場驛), 신천역(新川驛)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신분당선 동천역(東川驛)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공항1터미널역(仁川空港1터미널驛), 인천공항2터미널역(仁川空港2터미널驛)
파일:Incheonmetro1_icon.svg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대입구역(仁川大入口驛), 인천시청역(仁川市廳驛), 인천터미널역(仁川터미널驛)
파일:Incheonmetro2_icon.svg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가좌역(仁川佳佐驛), 인천대공원역(仁川大公園), 인천시청역(仁川市廳驛)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대전 도시철도 1호선 갑천역(甲川驛)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좌천역(佐川驛)
파일:Busan2.sv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남천역(南川驛), 덕천역(德川驛)
파일:Busan3.svg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덕천역(德川驛)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 동해선 광역전철 좌천역(德川驛)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일반 철도역 경부선 세천역(細川驛), 심천역(深川驛), 옥천역(沃川驛)
경전선 북천역(北川驛), 횡천역(橫川驛)
장항선 대천역(大川驛), 광천역(廣川驛), 서천역(舒川驛), 웅천역(熊川驛)
중앙선 제천역(堤川驛), 영천역(永川驛), 북영천역(北永川驛)
전라선 여천역(麗川驛)
영동선 분천역(汾川驛)
충북선 달천역(達川驛), 보천역(甫川驛)
역명에 川이 들어가는 철도역 (북한)
강원선 문천역(文川驛), 락천역(落川川驛), 선천역(宣川驛)
금강산청년선 통천역(通川驛)
만포선 순천역((順川驛), 개천역(价川驛), 희천청년역(熙川靑年驛), 전천역(前川驛)
백두산청년선 대오천역(大五川驛)
평남선 갈천역(葛川驛)
평덕선 성천역(成川驛), 신성천역(新成川驛), 덕천역(德川驛), 남덕천역(南德川驛)
평의선 숙천역(肅川驛), 청천강역(淸川江驛), 선천역(宣川驛), 룡천역(龍川驛)
평라선 단천청년역(端川靑年), 순천역(順川驛), 신성천역(新成川驛)
신단천역(新端川驛), 명천역(明川驛)
평부선 금천역(金川驛)
청년이천선 이천청년역(伊川靑年驛)
황해청년선 묵천역(墨川驛)
역명에 川이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
파일:JRK-JF.svg 닛포 본선 카메가와역(亀川驛), 키타가와역(北川駅)
파일:JRS-K.svg 도산선 사카와역(佐川驛)
파일:JRC-CA.svg 도카이도 본선 후타가와역(二川驛)
파일:JRH-A.svg 세키호쿠 본선 카미카와역(上川驛)
파일:JRE_Wlogo.svg 신에츠 본선 마에카와역(前川駅)
파일:JRE_Wlogo.svg 야마가타선 나카가와역(中川駅), 미다레가와역(乱川駅)
파일:JRH-A.svg 우에츠 본선 이마가와역(今川驛)
파일:JRC-CF.svg 츄오 본선
TKJ 죠호쿠선
카치가와역(勝川駅)
파일:JRWsi-E.svg 키스키선 야카와역(八川駅)
파일:JRC-CE.svg 타케토요선 옷카와역(乙川駅)
다이테츠 이카와선 이카와역(井川駅)
파일:YHSub-B.svg 요코하마 지하철 블루라인 나카가와역(中川駅)
파일:Keio-KO.svg 케이오선 센가와역(仙川駅)
파일:Rintetsu_Wlogo.png 린테츠 임해본선 마에카와역(前川駅)
파일:KT-F.svg 킨테츠 미나미오사카선 이마가와역(今川駅)
파일:HK-blue.svg 한큐 이마즈선 니가와역(仁川駅)

2.6. 기타



[1] 부수로서의 명칭 [2] 끓는 물에 건더기를 넣어 데치는 식으로 만든 탕을 川汤이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