갖은자에 대한 내용은 貳 문서 참고하십시오.
숫자 한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零/ 〇( 영) | 一( 일) | 二( 이) | 三( 삼) | 四( 사) |
零 | 壹 | 貳 | 參 | 肆 | |
五( 오) | 六( 육) | 七( 칠) | 八( 팔) | 九( 구) | |
伍 | 陸 | 漆 | 捌 | 玖 | |
十( 십) | 廿( 이십) | 卅( 삼십) | 卌( 사십) | 百( 백) | |
拾 | 念 | - | - | 佰 | |
皕1( 이백) | 千( 천) | 萬( 만) | 億( 억) | 兆( 조) | |
- | 仟 | - | - | - | |
京( 경) | 垓( 해) | 秭( 자) | 穰( 양) | 溝( 구) | |
- | - | - | - | - | |
澗( 간) | 正( 정) | 載( 재) | 極( 극)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二 두 이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二,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2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ニ, ジ
|
||||||
일본어 훈독
|
ふた, ふた-つ, ふう
|
||||||
-
|
|||||||
표준 중국어
|
èr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二의 필순
[clearfix]
1. 개요
두 이- 두, 둘째
- 두 번
- 버금(으뜸의 바로 아래)
- 두 가지 마음
- 둘로 하다
숫자 2와 그 서수를 나타내는 한자이다.
2. 특징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두 |
음 | 이 | |
중국어 | 표준어 | èr |
광동어 | ji6 | |
객가어 | ngi | |
민북어 | nī | |
민동어 | nê | |
민남어 | lī[1] / jī[2] | |
오어 | hher(T3)[文] / nyi(T3)[白] | |
일본어 | 음독 | ニ, ジ |
훈독 | ふた, ふた-つ, ふう | |
베트남어 | nhị |
유니코드에는 U+4E8C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ㄦˋ로, 창힐수입법으로는 MM(一一)으로 입력한다.
가로 선을 두 개 그어서 만든 지사자이다. 三까지는 이러한 법칙을 따르고, 四 또한 옛날에는 亖로 썼기 때문에 이러한 법칙을 따랐다.
이체자로는 貳, 贰[5], 弍, 弐, 𠄠 [6], 𠄞[7] 등이 있다. 貳는 갖은자인데, 이런 복잡한 한자가 二의 갖은자가 된 이유는 관공서나 공식 문서 등지에서 二의 중간에 획을 하나 더 그어서 三 등으로 조작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함이다.[8] 이런 표기는 과거에 자주 등장했지만 오늘날에는 대부분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를 하므로 거의 볼 일이 없다. 더군다나 한자를 거의 쓰지 않는 한국의 경우에는 더더욱. 다만 아예 안 쓰이는 것은 아니고 여전히 가끔씩 쓰이긴 한다.
또한 二는 강희자전에서 7번째로 분류된 부수이다. 二를 부수로 삼는 한자는 29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어에서는 ニ와의 혼동에 주의해야 한다. 폰트 크기는 ニ가 더 작지만, 손으로 쓰여진 경우에는 발음도 /ni/로 동일해서 문맥으로 구분해야 한다. ニ가 단독으로 쓰일 일은 거의 없으니[9], 앞뒤 문자가 가타카나면 ニ일 것이라는 말.
중국어로는 '얼'이라고 발음하지만 '알'이라고도 발음하는데 알은 북방쪽 사람들, 얼은 대만이나 남방쪽 사람들이 주로 발음한다. 알이 사투리에 가깝지만 워낙 많은 사람들이 써서 점점 사투리에서 표준어로 변하고 있다. 흔히 1234 할때 이얼싼쓰 라고 하지만 이알싼쓰라고 해도 상관없다.
3. 용례
3.1. 단어
- 고이병 (高二病)
- 대이병 (大二病)
- 십이지 (十二支)
- 십이지장 (十二指腸)
- 이등병 (二等兵)
- 이분법 (二分法)
- 이산화 탄소 (二酸化炭素)
- 이원 (二元)
- 이원론 (二元論)
- 이원적 (二元的)
- 이원집정부제(二元執政府制)
- 이원화 (二元化)
- 이중성 (二重性)
- 이지선다 (二枝選多)
- 이진법 (二進法)
- 이차 (二次)
- 이차가해 (二次加害)
- 이차부등식 (二次不等式)
- 이차방정식 (二次方程式)
- 이차식 (二次式)
- 이차적 (二次的)
- 이차함수 (二次函數)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나카노 니노( 中 野 二 乃)
- 니마이야 오에츠(二 枚 屋 王 悦)
- 니조인노 사누키(二 条 院 讃 岐)
- 니주나나멘 센주무카데(二 十 七 面 千 手 百 足)
- 니카이도 미사토(二 階 堂 三 郷)
- 니카이도 베니마루(二 階 堂 紅 丸)
- 니카이도 쇼헤이(二 階 堂 将 平)
- 미야미즈 후타바( 宮 水 二 葉)
- 쇼다 니렌게키( 庄 田 二 連 撃)
- 손불이( 孫 不二)
- 우타카네 요츠코( 一二 三 四 五)
- 이상이( 李 相二)
- 토고 히후미( 東 郷 一二 三)
- 후타츠이와 마미조(二ッ 岩マミゾウ)
- 혼죠 니아( 本 条 二 亜)
- 후지 슈스케( 不二 周 助)
- 후타쿠치 켄지(二 口 堅 治)
3.4. 지명
3.5. 기타
- 고이병( 高二 病)
- 대이병( 大二 病)
- 이검(二 檢): '이등병 신체검사'의 준말
- 이대남(二 代 男)
- 이대녀(二 代 女)
- 이번남(二 番 男)
- 이번녀(二 番 女)
- 이차 가해(二 次 加 害)
- 중이병( 中二 病)
4. 유의자
5.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 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 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1]
타이베이 등
[2]
가오슝 등
[文]
문독
[白]
백독
[5]
貳의
간화자
[6]
뭐가 차이인지 모르겠다면 위의 획과 아래의 획의 길이 비율을 비교해보자.
[7]
이것은 二와 형상이 완벽하게 같지만 유니코드 상으로는 분리되어 있다. 왜냐하면 上의 고자(古字)가 𠄞였기 때문에 어원론적으로 다른 글자로 취급받아 분리된 것이다. 반대로 下의 고자인 𠄟도 있다.
[8]
참고로 一과 三의 갖은자는 각각 壹, 參이다.
[9]
몇 안 되는 경우가 '
이로하니호헤토(イロハニホヘト)' 순으로 장조/단조 조성을 붙인 경우. 'ニ長調'는 D major로 한국어로는 라장조에 해당한다. 구글에서도 '二長調'로 잘못 입력한 경우를 많이 찾을 수 있고 아마존 같은 데서도 상품명을 아예 후자로 잘못 입력한 경우가 있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