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22:31:28

허난설헌

허초희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435, #836d49 20%, #836d49 80%, #4d4435)"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36d49><tablebgcolor=#836d49> 파일:허난설헌 수결.svg 허난설헌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836d49><colcolor=#000> 소속 <colbgcolor=#fff,#1f2023> 허씨 5문장 · 동인 · 이달의 문화인물
가족 아버지 허엽 · 이복 오빠 허성 · 동복 오빠 허봉 · 동복 동생 허균
이복 언니의 남편 우성전 · 남편 김성립 · 장남 김희윤
남편 김성립의 이종사촌 신흠
관련 인물 스승 ( 이달)
작품 내 등장인물 ( 신선)
주군 ( 선조)
관련 장소 허난설헌 일가의 생가와 외갓집 강릉 · 허난설헌의 친가 한양 건천동
허난설헌 일가의 묘소 용인시 · 허난설헌의 묘소 광주시
관련 사건 임진왜란, 정유재란
작품 난설헌시집 · 규원가 · 그 외 작품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생애 · 창작물
평가 논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허난설헌 수결.svg }}}

}}}}}}}}} ||
허난설헌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97455, #c3d89d 23%, #c3d89d 77%, #697455)"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3d89d><tablebgcolor=#c3d89d> 파일:허균 수결.svg 허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3d89d><colcolor=#000> 소속 <colbgcolor=#fff,#1f2023> 허씨 5문장 · 북인 · 선무원종공신 · 이달의 문화인물
가족 아버지 허엽 · 이복 형 허성 · 동복 형 허봉 · 동복 누나 허난설헌
이복 누나의 남편 우성전 · 동복 누나 허난설헌의 남편 김성립 · 조카 김희윤
매형 김성립의 이종사촌 신흠 · 딸 소훈 허씨의 남편 폐세자 이지
관련 인물 스승 ( 이달 · 사명당 · 류성룡)
제자 ( 서양갑 · 이식 · 기준격)
친구 ( 강변칠우 · 이매창 · 박엽 · 류몽인)
존경하는 인물 ( 정도전 · 이순신)
본이 되는 인물 ( 방회 · 이지)
작품 내 등장인물 ( 이달 · 홍길동)
주군 ( 선조 · 광해군)
관련 장소 허균 일가의 생가와 외갓집 강릉 · 허균의 친가 한양 건천동
허균 일가의 묘소 용인시 · 허난설헌의 묘소 광주시
친구 강변칠우의 거주지 여주시 · 이매창과 교류한 장소 부안군
관련 사건 임진왜란, 정유재란 · 계축옥사
작품 홍길동전 · 도문대작 · 그 외 작품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노비 · 특징 · 생애 · 창작물
평가 평가 · 사상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허균 수결.svg }}}

}}}}}}}}} ||

허씨 5문장
허엽 허성 허봉 허난설헌 허균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white><tablebgcolor=#fff,#1f2023> 파일:문화부 심볼.svg 이달의 문화인물
(1998-200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8년
1월
신윤복
2월
안향
3월
이상화
4월
석주명
5월
이익
6월
송흥록
7월
조철호
8월
윤봉춘
9월
한성준
10월
정태진
11월
최제우
12월
이순신
1999년
1월
이중섭
2월
혜초
3월
유형원
4월
최한기
5월
김창숙
6월
권율
7월
맹사성
8월
황현
9월
김시습
10월
최세진
11월
정부인 안동 장씨
12월
이승훈
2000년
1월
남궁억
2월
나혜석
3월
김육
4월
서경덕
5월
진감국사(혜소)
6월
하규일
7월
정인보
8월
김좌진
9월
김수영
10월
류희
11월
김창하
12월
장승업
2001년
1월
김부식
2월
최용신
3월
강항
4월
함석헌
5월
지눌
6월
이병기
7월
이현보
8월
오세창
9월
허균 · 허난설헌
10월
설총
11월
의천
12월
송만갑
2002년
1월
정약종
2월
김환기
3월
이상재
4월
박두성
5월
박수근
6월
조지훈
7월
성삼문
8월
박효관
9월
김병연
10월
신숙주
11월
김승호
12월
손진태
2003년
1월
안확
2월
양주동
3월
이동백
4월
양팽손
5월
정지용
6월
정몽주
7월
김장생
8월
박세당
9월
유정
10월
월명
11월
이인성
12월
유길준
2004년
1월
조희룡
2월
신흠
3월
이항로
4월
이경석
5월
의상
6월
백광홍
7월
이첨
8월
김창조
9월
조헌
10월
최항
11월
장욱진
12월
박두진
2005년
1월
정정열
2월
이예
3월
강경애
4월
신동엽
5월
임윤지당
6월
김종직
7월
강정일당
8월
이규보
9월
나철
10월
이승휴
11월
효명세자
12월
최북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이달의 문화인물(1990-1997) }}}}}}}}}
허초희
許楚姬| Heo Chohui
파일:허난설헌 표준영정.jpg
허난설헌 표준영정[1]
출생 1563년
(명종 18년, 음력 1563년)
조선 강원도 강릉대도호부 허엽 별장
(現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초당동 475-3)[2]
사망 1589년 5월 3일
(선조 22년, 음력 1589년 3월 19일)
(향년 26세)[3]
조선 한성부
(現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병사 ( 요절)[4]
묘소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지월리 산29-5
학력 한문학 수학
손곡 이달의 문하 (1574 - 1577)[5]
직업 시인, 화가, 문장가
서명
파일:허난설헌 수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본관 양천(陽川)[6]
국적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공훈 없음
최종
관등
정부인
(貞夫人)
초희(楚姬)
이명 옥혜(玉惠), 허매씨
경번(景樊)
난설헌(蘭雪軒), 난설재(蘭雪齋)
종교 유교 (성리학), 도교[7]
붕당 [[동인(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5B; font-size: .8em"[8]
작품 《난설시한(蘭雪詩翰)》
난설헌집(蘭雪軒集)》
《앙간비금도(仰看飛禽圖)》
《묵조도(墨鳥圖)》
《작약도(芍藥圖)》
부모 부 - 허엽(許曄, 1517 ~ 1580)
전모[9] - 한이정(韓二貞, 1515 ~ ?)[10][11]
친모 - 강릉 김씨 김광철(金光轍)의 딸
형제
자매
이복 언니 - 허묵석(許墨石, 1544 ~ ?)[12]
이복 언니 - 허대정(許大貞, 1546 ~ ?)[13][14]
이복 오빠 - 허성(許筬, 1548 ~ 1612)
친오빠 - 허봉(許篈, 1551 1588)
친남동생 - 허균(許筠, 1569 ~ 1618)
배우자 김성립(金誠立, 1562 ~ 1592)
자녀 장녀 : 김씨(? ~ 1579)
장남 : 김희윤(金喜胤, ? ~ 1582)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언어별 명칭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36d49> 한국어 허초희
영어 Heo Chohui
이탈리아어 Hŏ Ch'ohŭi
러시아어 Хо чхохый
중국어 許楚姬
일본어 きょ そき
ホ・チョヒ
}}}}}}}}} ||
1. 개요2. 이름
2.1. 경번2.2. 허매씨
3. 생애4. 논란5. 작품6. 기타7. 대중매체에서8. 관련 다큐9. 관련 단체1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조선 시인, 화가, 문장가, 정부인[15]. 본명은 허초희(許楚姬)이며, 허옥혜(許玉惠)로도 전한다. 호는 난설헌(蘭雪軒)[16], 자는 경번(景樊), 본관은 양천(陽川). 허엽의 딸, 허성의 이복 여동생이자 허봉의 동복 여동생, 허균의 동복 누나.

한국사에서 최초로 문집을 간행한 여성 시인인데 허난설헌의 친필 글씨가 있는 '유선사(遊仙詞)'가 양천 허씨 문중이 소장한 <양천허씨 5문장가의 묵적>에서 나오고, <광한전백옥루상량문(廣寒殿白玉樓上樑文)>로 어렸을 때부터 유명했으며 허난설헌/작품의 허엽의 12대 종손이 소장한 앙간비금도로 보았을 때 문장과 그림에 재능이 뛰어났다고 평가할 수 있다.

2. 이름

2.1. 경번

청(淸) 나라 선비 우통(尤侗)의 자는 전성(展成)이고 호는 회암(悔庵)인데 장주(長洲) 사람이다. 외국 죽지사(外國竹枝詞) 백여 편을 만들어서 각각 그 나라의 풍속을 말하고 또 각주(脚注)를 달았다. 시험삼아 조선(朝鮮)을 읊은 것을 본다면 모두 네 수(首)인데, 풍문(風聞)을 거두어 모은 것으로 잘못된 것이 많다. 이제 모두 여기에 기록한다. 중국에서 최근의 것이 이와 같으니, 그 나머지 시대가 먼 것은 미루어 알 수 있다...

“그 나라에 8도(道)가 있고 양화도는 한강(漢江) 가에 있으며, 규수 허경번(許景樊)은 뒤에 여도사가 되었는데 일찍이 광한궁 백옥루(白玉樓)의 상량문을 지었다.”했다. 그러나 별안간 살구꽃이 붉다는 말은 어찌 두서(頭緖) 없는 것이 아니랴. 그리고 팔도 가요(八道歌謠)의 문구는 너무 무미(無味)하고 양화도는 한강의 중간에 위치하여 몇 굽이가 되므로 그냥 강가라 할 수 없으며, 난설헌(蘭雪軒) 허씨(許氏)를 허경번이라 한 것은 매우 옳지 않고 그가 여도사가 되었다는 말도 전여성(田汝成)의《광여기(廣輿記)》에 나오는 말을 따른 것이다.《광여기》에, “허씨의 남편 김성립(金誠立)이 왜란(倭亂)에 순절(殉節)하자 허씨가 여도사가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니 이는 근거 없는 말이다. 어떤 사람이 이 같은 말을 만들어내서 중국 사람을 속인 것일까. 그리고 중국의 기록에서 허난설헌과 허경번을 두 사람으로 나누고 있으니 더욱 가소롭다. 부인이 글에 능하고 재주가 많은 때문에 이 같은 욕이 미치는가. 매우 개탄(慨嘆)할 만하다.
ㅡ 《청장관전서》 제53권 #
듣건대 경번은 스스로 지은 호가 아니고 부박한 사람들이 기롱하는 뜻으로 붙인 것이라 한다... 중국의 책에는 허경번과 허난설헌(許蘭雪軒)을 다른 사람이라 했고, 또 ‘그의 남편이 왜적의 난에 절조를 지키다가 죽자 허씨는 여자 도사가 되어 일생을 마쳤다.’ 했으니, 와전됨이 너무 심하다.
ㅡ 《청장관전서》 제63권 #
이덕무에 의하면 허난설헌의 자 "경번"은 스스로 지은 호가 아니라 천박하고 경솔한 사람들이 조롱하려고 부른 명칭이라 한다. 즉 허난설헌 본인이 직접 부른 자는 아닌 것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당시 중국인들이 허난설헌을 부를 때 허경번이라 부르는 등 중국인들 사이에서 허난설헌의 이름이 허경번 혹은 여도사로 전해졌다.

그러나 동시대 인물이자 허난설헌의 남동생인 허균의 말에 의하면 생전에 경번으로 불린 것은 사실로 보인다. 아래는 허균의 성소부부고에서 나온 기록이다.
난설헌(蘭雪軒)의 이름은 초희(楚姬)이고 자는 경번(景樊)이니, 초당(草堂) 엽(曄)의 딸이며 서당(西堂) 김성립(金誠立)의 아내이다.
ㅡ 《성소부부고》 제26권 / 부록 학산초담 #
그리고 경번의 의미는 임상원 (任相元, 1638~1697)의 저서 <교거쇄편>에서 밝혀졌다.
난설헌은 『태평광기(太平廣記)』를 즐겨 읽었다. 그 긴 이야기를 다 외웠으며, 중국 초나라 번희樊姬를 사모했기 때문에 호까지도 경번(景樊)이라고 지었다.
ㅡ 《교거쇄편》 제1권 [출처1]

2.2. 허매씨

《해동역사》 제49권에서 허난설헌의 시를 소개하면서 허난설헌을 "허매씨"라고 불렀다. #

3.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허난설헌/생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허난설헌/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작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허난설헌/작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기타

  • 허난설헌의 생가는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데 남동생 허균은 임진왜란 때 강릉으로 피난 가 있으면서 <학산초담(鶴山樵談)>에 “강릉은 산과 물이 아름답고 정기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 정기를 받았던 누나의 재능이 뛰어났었던 거라고 생각한다”고 썼다. 재미있게도 신사임당 이이 두 모자도 허난설헌과 같은 강릉 출신이다. 실제로 오죽헌과 허난설헌 생가 터는 멀리 떨어져있지 않다. 다만 허균과 허난설헌의 동복 형제 허봉이 율곡 이이를 탄핵하다가 유배를 당하는 등 정치적인 문제가 엮여서 가문 간 관계는 좋지 않았다. 참고로 이곳은 나중에 다른 집안에서 건물을 헐고 새로 다시 집을 지었기 때문에 허난설헌 생가터라는 이름으로 문화재 등록이 되어있다. 강릉에는 허균과 허난설헌을 기리는 기념 공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바로 그 근처에 초당 두부마을이 조성되어 있다.

7. 대중매체에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허난설헌/창작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관련 다큐

  • 2007년 12월 8일 KBS에서 허난설헌에 대한 다큐멘터리 "한국사전 23회 – 왜 조선에서 여자로 태어났을까, 허난설헌"을 방영했다.

  • 2020년 11월 27일, 2020년 12월 19일, 2021년 1월 12일 [토크멘터리 역사]에서 허난설헌의 일생과 작품을 다루었다. # # #

9. 관련 단체

  • 양천허씨대종회 #
  • (사)교산·난설헌선양회 #
  • 강릉시여성단체협의회 #

10. 관련 문서



[1] 손연칠 화백의 1997년작 표준영정으로,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2] 허난설헌의 가족의 외갓집 애일당터에서 거리가 떨어진 허엽의 가옥에서 태어났다. 당시 허엽의 본가는 서울 건천동에 있었으며 강릉의 집은 별장이었다. [3] 남동생 허균과는 달리 출생 날짜가 정확하지 않다. [4] 정확한 사인은 없지만 가족의 죽음으로 인한 충격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5] 정황상 허균이 이달의 가르침을 받은 1574년부터 시집을 간 1577년까지 같이 문하로 들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6] 21대손.( 족보) [7] 시에 신선이 언급되는 등 도교가 허난설헌의 작품세계에 영향을 주었다. [8] 친아버지 허엽이 동인의 영수이며 동생 허균이 동인의 대북이지만 본인은 붕당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었다. [9] 아버지의 전처를 이르는 말. [10] 임영대군의 외증손녀. [11] 왕실 족보인 선원록에 이름이 나와 있다. 한이정 [12] 왕실 족보인 선원록에 이름이 나와 있다. 허묵석 [13] 왕실 족보인 선원록에 이름이 나와 있다. 허대정 [14] 우성전의 처이다. [15] 정·종2품의 위호(位號). 남편 김성립이 이조참판에 추증되면서 사후 정부인(貞夫人)으로 추증되었다. [16] 난설화라고도 알려져 있으나 현재 대중적으로는 허난설헌으로 굳어진 상태. [출처1] 허미자 지음, 허난설헌 308쪽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