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2 13:47:58

이달(조선)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435, #836d49 20%, #836d49 80%, #4d4435)"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36d49><tablebgcolor=#836d49> 파일:허난설헌 수결.svg 허난설헌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836d49><colcolor=#000> 소속 <colbgcolor=#fff,#1f2023> 허씨 5문장 · 동인 · 이달의 문화인물
가족 아버지 허엽 · 이복 오빠 허성 · 동복 오빠 허봉 · 동복 동생 허균
이복 언니의 남편 우성전 · 남편 김성립 · 장남 김희윤
남편 김성립의 이종사촌 신흠
관련 인물 스승 ( 이달)
작품 내 등장인물 ( 신선)
주군 ( 선조)
관련 장소 허난설헌 일가의 생가와 외갓집 강릉 · 허난설헌의 친가 한양 건천동
허난설헌 일가의 묘소 용인시 · 허난설헌의 묘소 광주시
관련 사건 임진왜란, 정유재란
작품 난설헌시집 · 규원가 · 그 외 작품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생애 · 창작물
평가 논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허난설헌 수결.svg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97455, #c3d89d 23%, #c3d89d 77%, #697455)"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3d89d><tablebgcolor=#c3d89d> 파일:허균 수결.svg 허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3d89d><colcolor=#000> 소속 <colbgcolor=#fff,#1f2023> 허씨 5문장 · 북인 · 선무원종공신 · 이달의 문화인물
가족 아버지 허엽 · 이복 형 허성 · 동복 형 허봉 · 동복 누나 허난설헌
이복 누나의 남편 우성전 · 동복 누나 허난설헌의 남편 김성립 · 조카 김희윤
매형 김성립의 이종사촌 신흠 · 딸 소훈 허씨의 남편 폐세자 이지
관련 인물 스승 ( 이달 · 사명당 · 류성룡)
제자 ( 서양갑 · 이식 · 기준격)
친구 ( 강변칠우 · 이매창 · 박엽 · 류몽인)
존경하는 인물 ( 정도전 · 이순신)
본이 되는 인물 ( 방회 · 이지)
작품 내 등장인물 ( 이달 · 홍길동)
주군 ( 선조 · 광해군)
관련 장소 허균 일가의 생가와 외갓집 강릉 · 허균의 친가 한양 건천동
허균 일가의 묘소 용인시 · 허난설헌의 묘소 광주시
친구 강변칠우의 거주지 여주시 · 이매창과 교류한 장소 부안군
관련 사건 임진왜란, 정유재란 · 계축옥사
작품 홍길동전 · 도문대작 · 그 외 작품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노비 · 특징 · 생애 · 창작물
평가 평가 · 사상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허균 수결.svg }}}

}}}}}}}}} ||

이달
李達 | Lee Dal
파일:손곡 이달의 시비.jpg
이달의 시비[1]
<colbgcolor=#31353e><colcolor=#fff> 출생 1539년 ( 중종 34년)
조선 결성현 대동촌
(現 대한민국 홍성군 결성면 대동촌)
사망 1612년 ( 광해군 4년) (향년 73세)
조선 평안도 평양부 여관
(現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평양시 여관 터)
학력 송나라 시 독학
정사룡의 문하
박순의 문하
중국어, 외교 수학[2]
직업 시인, 관료, 외교관[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1353e><colcolor=#fff> 본관 홍주(洪州)
최종 관등 접반사 종사관(接伴使 從事官)
익지(益之)
손곡(蓀谷), 서담(西潭), 동리(東里)
종교 유교 (성리학)
붕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4]
작품 《손곡집(蓀谷集)》
《서담집(西潭集)》[5]
부모 부: 이수함(李秀咸)
모: 홍주의 관기
배우자 이선(李選)의 첩[6]
자녀 사생아: 이재영(李再榮) (1553~1623)[7]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개요2. 가족3. 생애
3.1. 생애 초기3.2. 허엽 일가와의 인연3.3. 짧은 벼슬 생활3.4. 아내와 사별3.5. 최후
4. 작품5. 기타6.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시인, 관료, 외교관, 그리고 허균 허난설헌, 유형, 그리고 이정의 스승이다.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시인 중 한 명으로 유명하지만 정작 생전에 직접 시집을 간행하진 않았으며, 제자 허균과 제자 유형이 이달의 시를 모아서 간행한 시집 《손곡집》과 《서담집》이 전해진다.

2. 가족

손곡 이달은 홍주인(洪州人) 13세손 부정(副正) 이수함(李秀咸)의 서자이다. 1614년(광해군 6년) 이수광(李脺光)이 편찬한 우리나라의 최초의 문화 백과사전인 《지봉유설(芝峯類說)》 권 9 문장부(文章部 2) 시평(詩評)에 의하면 "이달(李達)은 홍주인(洪州人)이다. 부정(副正) 이수함(李秀咸)이 고을의 기녀(妓女)를 축첩(畜妾)하여 낳은 사람."이라고 한다.

1618년 손곡 이달의 제자 허균은 <손곡산인전>을 지으면서 쌍매당(䉶梅堂) 이첨(李詹)의 후손이라고 한다. 《고려사(高麗史)》 권 117 열전 권 30 제신(諸臣)에 기재된 이첨의 관향(貫鄕)에 관한 서술 및 《태종실록(太宗實錄)》 권 9 태종(太宗) 5년(1405년) 음력 3월 20일 기사에 수록된 이첨의 졸기(卒記)에 따르면 이첨은 홍주인(洪州人)이라고 한다.

3. 생애

3.1. 생애 초기

손곡 이달의 고향 홍성에는 그와 관련된 자료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1696년(숙종 22)에 편찬한 옛 결성현지 고적조에. "대동촌은 결성현 동쪽 25리에 있는데, 문인 이달이 태어났다"는 기록이 있다. 홍성문화원에 의하면 이달이 태어날 때 "3일 동안 월산의 풀이 다 말랐다"고 한다. 그러나 이달은 이수함의 적자가 아니고 이수함과 홍주 관기의 아들이라서, 출세를 할 수 없었다고 한다. # #

그러나 어렸을 때부터 시에 재능을 보이면서 송나라 시를 배웠으며 이후 스승 정사룡과 박순에게 당나라 시를 배웠다. 정사룡의 문하에서 두보(杜甫)의 시, 박순의 문하에서 이백(李白), 왕유(王維), 맹호연(孟浩然)의 시를 배웠다.

3.2. 허엽 일가와의 인연

허엽의 아들 허봉과 친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허봉의 소개로 허난설헌 허균을 만나서 시를 가르쳤다.

특히 허균은 스승 이달이 죽기 전까지 교류를 계속 한 것으로 보이는데, 1610년 시점 허균이 가르침을 부탁하면서 이달에게 한정록서(閑情錄序), 박씨산장(朴氏山庄), 왕총이기(王塚二紀), 십이론(十二論), 이절도뢰(李節度誄), 관묘비(關廟碑), 남궁생전(南宮生傳), 대힐자(對詰者)와 북귀부(北歸賦), 훼벽사(毁壁辭) 등 직접 쓴 저서를 보낸 적이 있으며, 이달이 허균의 시들을 읽고 교정을 봐준 적이 많았다고 한다. #

3.3. 짧은 벼슬 생활

서자로 태어났기 때문에 문과에 응시할 수 없었지만 조정이 그의 재능을 높이 사서 "중국어와 이문에 관한 일"을 하는 벼슬인 한리학관 명나라 사신이 조선을 방문했을 때 접빈사의 종사관으로 일 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후 벼슬을 버리고 떠나서 남은 여생을 시인으로서 살았다.

이에 대해 주변 지인들은 이달의 이런 삶을 부러워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달의 친한 친구 노수신(盧守愼, 1515~1590)은 이달에게 자신이 “벼슬하는 것을 두려워하면서도 끝내 그만두지 못하고 고통스러운 생활을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

3.4. 아내와 사별

이름 불명의 아내가 있었는데 허균이 《학산초담》을 쓴 1593년 시점 병에 걸려 죽었다. 학산초담에는 이달이 아내의 죽음을 슬퍼하면서 쓴 시 〈도망(悼亡)[8]〉이 남아 있다. ( #1, #2)
羅幃香盡鏡生塵 (깁 방장엔 향내 가시고 거울엔 먼지)
門掩桃花寂寞春 (닫힌 문엔 복사꽃만 쓸쓸한 봄날)
依舊小樓明月在 (작은 누각엔 옛날처럼 달은 밝은데)
不知誰是捲簾人 (발 걷고 달 즐길 이 그 누구런가)
— 도망(悼亡)

허경진의 허균평전 227쪽에 의하면 이달에게 이조판서 이선(李選)의 첩과 정을 통해서 낳은 아이가 있는데, 허균의 친구 이재영(李再榮, 1553~1623)이다. 이선의 첩이 위의 1593년 시점 죽은 아내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이재영은 사실상 양반 가문의 서자와 다른 양반 가문의 판서의 첩과 정을 통해서 얻은 자식이므로 서자이자 사생아였던 것으로 보인다.

3.5. 최후

아내가 죽은 이후 죽을 때까지 평양부의 여관에서 얹혀살다가 돌연사했다.

현재 이달의 묘는 전해지지 않으며, 이달이 죽은 평양부 여관 터 근처에 무덤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충청남도 홍성읍 홍성군청 앞과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손곡리 손곡초등학교 입구에 그의 시비(時碑)가 세워져있다. # 홍성군 구황면 황곡리 하대마을 생가터에 안내판이 있으며, 하대마을 입구에는 한국 문인 협회 홍성군 지부와 홍주 이씨 종친회가 세운 시비(時碑)가 있다.

4. 작품

작품으로 《손곡집(蓀谷集)》과 《서담집(西潭集)》이 있다. 손곡집은 제자 허균이 간행했으며 서담집은 이달의 제자 유형이 간행했다.

허균에 의하면 원래 이달 본인이 생전 직접 저술한 시가 수천 개였지만, 모두 흩어져서 남아있는 것이 없어서 제자 허균이 스승의 시를 전하지 못하는 것을 안타까워했다. 그래서 허균은 평소에 외웠던 스승의 시 2백 여 수와 상사(上舍) 홍유형(洪有炯)의 집에서 130 여 수를 얻은 후 이재영의 도움을 받아서 시를 합해서 분류한 다음 여섯 권의 시집을 간행했는데 이 여섯 권이 현재 《손곡집》으로 전해진다. #

5. 기타

  • 제자 허균이 스승 이달을 주인공으로 한 한문 소설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을 지은 적이 있다. 이달이 작품 내 등장인물로 등장하며, 작가의 시점으로 주인공 이달의 생애를 관찰하며 묘사했다. #1, 2

6. 대중매체

  • 1993년과 1994년 사이 방영된 초롱이의 옛날여행 한국 위인전 홍길동전과 허균에서 이달이 서자 출신이라서 양반 대접을 못 받아서 서럽게 우는 모습을 묘사했다. #
  • 2000년 KBS 드라마 《 천둥소리》에서는 배우 정동환이 연기하였다.
  • 2018년 2월 1일 출판된 만화 Who? 한국사 신사임당 허난설헌에서 허균과 허난설헌의 동봉 형제 허봉의 소개로 허균과 허난설헌에게 시를 가르치는 모습을 묘사했다.


[1] 현재 이달의 무덤이 존재하지 않으며, 대신 충청남도와 강원도에 이달의 시비가 세워졌다. [2] 한리학관과 종사관이 되기 위해서 관련 지식을 공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한리학관과 명나라 사신을 맞이한 종사관으로 일한 적이 있지만 오래 하진 않았고 이후 나머지 여생을 시인으로서 보냈다. [4] 조정에서 벼슬을 한 적은 있지만 딱히 붕당에 속하진 않았다. [5] 이달의 친구 최경창의 외당질 유형이 엮었지만 현재 이수광이 쓴 서문만 전해진다. [6] 이선과 이혼한 이후 배우자가 된 것이 아니므로 사실상 불륜 관계였던 것으로 보인다. [7] 판서 이선의 서자로 알려져 있지만 허경진의 허균평전 227쪽에 의하면 이달이 이선의 첩과 정을 통해서 낳았다고 한다. [8] 죽음을 애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