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12 22:43:48

해운대구/교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해운대구
1. 개관2. 철도
2.1. 관내 철도 목록
3. 도로4. 버스교통5. 항구.어항

1. 개관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00a775><tablewidth=10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a775><colcolor=#fff> A APEC로
구남로 · 기장해안로
대천로 · 동백로
마린시티1로 · 마린시티2로 · 마린시티3로
반송로 · 반송순환로 · 반여로
삼어로 · 석대로 · 석대천로 · 선수촌로 · 세실로 · 센텀1로 · 센텀2로 · 센텀3로 · 센텀4로 · 센텀5로 · 센텀6로 · 센텀7로 · 센텀동로 · 센텀서로 · 센텀중앙로 · 송정1로 · 송정2로 · 송정광어골로 · 송정강변로 · 송정중앙로 · 송정해변로 · 신반송로
아랫반송로 · 양운로 · 우동1로 · 우동2로 · 우동3로 · 윗반송로
장산로 · 재반로 · 재송1로 · 재송2로 · 좌동로 · 좌동순환로 · 중동1로 · 중동2로
청사포로
해운대해변로
부산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해운대구 교통에 대해 정리한 문서.

2. 철도

서울특별시 등의 타지에서 철도를 이용하여 이 지역으로 여행을 오는 경우, 부산역까지 가서 도시철도로 환승하지 말고 경부선 구포역에서 하차하여 근처에 있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구포역으로 가서 지하철을 타는 것이 나을 수 있다. 순수 도시철도 이동 소요 시간 자체는 큰 차이가 없지만, 철도편으로 구포역에서 부산역까지 내려가는 시간이 절약되므로 이득이다. 다만 그 시간 차이는 많이 크지는 않고 오히려 구포역에 정차하는 편성 자체가 많지 않으므로[1] 괜히 열차 편성에 맞추겠다고 일정을 조정하다가 결과적으로 더 손해를 볼 수도 있다.

의외로 새마을호가 1994년 7월 15일부터 서울역 발착으로 옛 동해남부선 해운대역까지 운행했었다. 시내 교통이 좋지 않았던 당시[2] 구포역 옛 동해남부선 해운대역만을 오가는 동서통근열차 새마을호 고정 승객도 상당수 있었다. 그 비싼 요금을 내고 말이다. 택시 기본 요금이 2,000원 정도 했는데 새마을호가 8,300원이었다. 지금은 무궁화호로 바뀌었으나 서울발 ITX-새마을이 하루에 한 번 왕복으로 운행 중이다.

타 지역으로부터의 접근성은 남부나 북부나 그다지 좋지 않았다. 위성 사진에서도 볼 수 있듯 시가지로 들어설 수 있는 루트가 좁기 때문이다. 그나마 서쪽에 있는 센텀시티 쪽은 좀 나았지만 이쪽도 기본적으로 수영강을 건너야 하기 때문에 불편한 편이었다. 이렇듯 199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매우 열악하던 교통 사정이 2000년대 이후에 남부는 그나마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개통과 해운대로의 확장, 광안대교의 개통 등으로 인해 많이 좋아졌다. 북부(반송·반여)는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의 개통으로 숨통이 트였지만 여전히 교통 정체는 심각하다.

해운대는 대중교통 이용 권장 차원에서 일부러 주차 요금을 비싸게 받고 주차장도 많지 않으므로, 자가용을 가지고 오면 주차 요금이 매우 비쌀 것이다. 공영주차장의 경우 하루 주차가 8,000원이고 기본 요금이 60분에 3,000원인데, 사설주차장으로 가면 반나절 놀고 왔더니 3~4만 원을 내야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자가용을 이용하지 않는다면, 울산, 경주 등 경상도 동부 지역이 아닌 경우 타 지역으로 가기가 매우 불편하다. 서울 가는 것을 예로 들면, 주로 고속열차나 비행기를 이용하는데 해운대에서 부산역이나 김해공항까지 매우 오래 걸린다. 신해운대역에서 동대구역으로 가는 무궁화호가 있으니 동대구역에 가서 고속열차로 갈아타면 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 무궁화호는 울산 - 경주 - 영천을 거쳐서 빙빙 돌아가기 때문에 2시간이 넘게 걸린다.[3] 그나마 신해운대역에서 동대구역까지 1시간 반에 갈 수 있는 ITX-새마을은 하루에 한 번밖에 없다. 이러한 불편은 지리적인 요인의 영향이 크다. 해운대구 자체가 부산의 동쪽에 치우쳐 있고 해운대구의 동쪽은 바다밖에 없으므로, 부산역이나 김해공항 등 타 지역으로 나갈 수 있는 관문까지 가려면 무조건 시내를 뚫고 서쪽으로 가야 하기 때문이다.

해운대구에 있는 철도역으로는 동해선 신해운대역[4]· 송정역· 센텀역· 재송역 등이 있으며 2016년 12월 30일 동해선 광역전철 부전역~ 일광역 구간이 개통하면서 부산 시내 및 기장 방면으로 이동하기가 수월해졌다.

2.1. 관내 철도 목록

3. 도로

현재 해운대 시내와 송정동 일대의 도로는 출퇴근 시간대와 주말에 정체가 심각한 상황이다. 이 일대는 지금도 계속 개발되고 있는데 도로는 부지가 없다 보니 개발이 불가능하며, 특히 송정동~센텀시티 구간으로 평균 15분이면 충분히 도달할 수 있는 거리가 주말에는 평균 1시간 정도 소요되니 답이 없는 상황이다.
  • 해운대해변로: 해운대해수욕장 인근에서부터 정체가 시작되어 마린시티에서 빠져나오는 차까지 더해지며 수영2호교 우동항삼거리까지 정체가 매우 심하다. 그날 교통 상황에 따라 수영1호교, 센텀남대로까지도 정체가 이어진다.
  • 올림픽교차로: 장산로, 동해고속도로, 오시리아 관광단지, 해운대 신시가지, 광안대교, 재송동 이북, 센텀시티 등으로 가는 차량들이 이 곳으로 한꺼번에 몰리다 보니 매일 정체가 발생하고 있다.
  • 장산로, 동해고속도로: 해운대 방향으로 동부산IC부터 올림픽교차로까지 정체가 매우 심각하다.
  • 송정동 해운대로, 송정중앙로, 기장해안로: 송정터널까지 정체가 이어진다.

4. 버스교통

4.1. 시내버스

4.2. 급행버스

5. 항구.어항

  • 지방어항 : 송정항, 우동항, 청사포항
  • 소규모어항 : 구덕포항, 미포항
총 : 5개소


[1] 다만 KTX를 제외한 새마을호 무궁화호는 전부 정차한다. KTX를 타고 오는 경우 구포 경유로 돈을 절약할 생각이 아닌 이상 부산역에 내리는 게 낫다. [2] 2호선 지하철 공사로 시내가 굉장히 복잡했다. [3] 심지어 신해운대역도 바로 앞 아파트 단지가 아니면 해운대구 내에서 접근성이 떨어진다. 신해운대역에 정차하는 동해선 전철은 배차 간격이 무려 30분이다. [4] 2013년 12월 2일 동해선 센텀역 ~ 기장역 구간 이설로 인해 해운대신시가지 신해운대역이 옮겨지는 바람에 접근성이 악화되었다. [5] 국회의원 지역구로 치면 해운대구 갑으로, 외지인이 흔히 알고 있는 해운대 지역을 지난다. [6] 국회의원 지역구로 치면 해운대구 을 지역을 지난다. [7] 부산원동역은 경계에 있기는 하나, 주소상 동래구 안락동이다. [8] 반여 농산물도매시장, 석대 화훼단지, 해운대 수목원 경유 [9] 일반 버스이지만, 해운대구 밖으로는 나가지 않는다. [10] 그냥 잠깐 들어왔다 나가는 수준이지만 그래도 해운대구를 지나가는 노선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0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0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