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16 14:56:57

한국어의 동사

한국어의 품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불변어 <colcolor=#373a3c><colbgcolor=#32CD32,#165c16> 체언 명사
( 의존명사)
대명사
( 인칭대명사)
수사
수식언 관형사 부사
독립언 감탄사
관계언 조사
가변어 서술격 조사
용언 동사 형용사
}}}}}}}}} ||


1. 개요2. 특징3. 분류
3.1. 쓰임에 따른 분류3.2. 어미변화의 규칙성에 따른 분류3.3. 목적어와 보어 유무/어미활용에 따른 분류3.4. 동작의 주체에 따른 분류3.5. 의미에 따른 분류3.6. 상의 특성에 따른 분류
4. 문서가 생성된 한국어 동사 단어5. 잘못 활용하기 쉬운 단어
5.1. 형용사로 오해하지는 않는 단어5.2. 형용사로 오해하기 쉬운 단어
6. 기타7. 다른 품사/접미사로도 쓰이는 단어8. 관련 문서

1. 개요

한국어의 동사를 설명한 문서이다.

2. 특징

한국어는 동사가 형용사와 비슷하게 행동하며 개방 부류를 이룬다. 사실 한국어는 전통적으로 동사와 형용사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았기에 한국어에서 형용사는 영어의 형용사와 달리 문장의 서술어가 될 수 있고, 활용 어미가 붙는 점으로 동사와 비슷하고, 서술격 조사와도 비슷하다. 맞다 문서도 참고. 하지만 그 행동이 완전히 같지는 않은데, 자세한 내용은 어미 문서 참고.

2.1. 동사와 형용사의 구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어의 형용사 문서
번 문단을
동사와 형용사의 구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활용

기본형(基本形, 으뜸꼴) 어미를 붙여 활용한다. 종결형(終結形, 마침꼴)과 접속형(接續形, 이음꼴)이 있다. 한국어/불규칙 활용 참고.

2.3. 시제/

이분법으로 나누는 경우에 과거시제로는 어미 \'-(아/어)ㅆ-', \'-(으)ㄴ'을, 비과거(현재, 미래)시제로는 어미 \'-(느)ㄴ-', \'-는'을 사용한다.
\'-고 있다'와 \'-아/어 있다'도 있는데, 능동형이면 진행상과 완료상 구별 없이 '-고 있다'만 쓰고, 피동형이면 진행상에는 '-고 있다'를 쓰며, 완료상에는 '-아/어 있다'를 쓴다. 이 '있다'도 동사이지만 감탄 등을 나타내는 말과 함께 다른 동사와 달리, 형용사처럼 \'-(느)ㄴ-'을 사용하지 않는다.

2.4.

능동태와 피동태( 수동태), 사동태가 있다.

3. 분류

3.1. 쓰임에 따른 분류

  • 본동사(本動詞), 으뜸움직씨 – 주된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 보조용언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보조동사(補助動詞), 도움움직씨 – 본용언의 의미를 보충하는 동사.

3.2. 어미변화의 규칙성에 따른 분류

3.3. 목적어와 보어 유무/어미활용에 따른 분류

  • 자동사(自動詞), 제움직씨 – 목적어가 없어도 뜻이 완전한 동사.
    • 완전자동사(完全自動詞), 갖은제움직씨 – 보어가 없어도 뜻이 완전한 자동사 / 어미 활용이 완전한 자동사.
    • 불완전자동사(不完全自動詞), 안갖은제움직씨 – 보어가 있어야만 뜻이 완전한 자동사 / 어미활용이 불완전한 자동사. 가로대, 가론의 꼴로 쓰이는 가로다가 있다.
  • 타동사(他動詞), 남움직씨 – 목적어가 있어야만 뜻이 완전한 동사.
    • 완전타동사(完全他動詞), 갖은남움직씨 – 보어가 없어도 뜻이 완전한 타동사 / 어미활용이 완전한 타동사.
    • 불완전타동사(不完全他動詞), 안갖은남움직씨 – 보어가 있어야만 뜻이 완전한 타동사. 데리고, 데려, 데리러 꼴로 쓰이는 데리다달라, 다오 꼴로 쓰이는 달다가 있다.

불완전 동사 참조.

3.4. 동작의 주체에 따른 분류

  • 주동사(主動詞) - 문장의 주체가 스스로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 사동사(使動詞), 하임움직씨 – 문장의 주체가 남에게 하도록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일반적으로 사동 접미사인 -이-, -히-, -리-, -기-, -구-, -우-, -으키-, -이우-, -이키-, -추-, -애-, -시키다를 사용한다.
  • 능동사(能動詞), 제힘움직씨 – 주어가 제힘으로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 피동사(被動詞), 입음움직씨 - 남의 행동으로 하게 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일반적으로 피동 접미사인 -이-, -히-, -리-, -기-, -되다, -받다, -당하다를 사용한다.

'주동사'와 '능동사'는 같은 뜻이지만 대응 관계가 다르다.

3.5. 의미에 따른 분류

  • 이동동사: 가거나 오는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
  • 심리동사: 심리의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
  • 화행동사: 말을 나타내는 동사.
  • 단언동사: 판정하고 생각하는 동사.
  • 대칭동사: 여러 대상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동사.
  • 수혜동사: 주거나 받는 물건의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
  • 지각동사: 오감을 통해 느끼는 동사
  • 인지동사: 알고 모름을 나타내는 동사
  • 기원동사: 원하는 바를 나타내는 동사.
  • 재귀동사: 스스로에게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3.6. 상의 특성에 따른 분류

  • 과정동사: 동작이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사.
  • 순간동사: 순식간에 일어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 지속동사: 지속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4. 문서가 생성된 한국어 동사 단어

5. 잘못 활용하기 쉬운 단어


동사 어근이 2자리 이상이면 '운영체제를 미완성으로 출시', '도로를 공사 중'처럼 뒤 접사, 어미를 생략하고 어근이 1자리이거나 어근이 없거나 형용사이면 명사형으로 나타내 구별하는 경향이 있고, '청와대로 방문, 대통령을 만났다.', '국어기본법에 의거해서 제정·개정된다.' 같은 표현 국어기본법에도 쓰였다. ' 어근' 문서 참고.

5.1. 형용사로 오해하지는 않는 단어

  • 모르다
    특히 관형사형인 '모른'을 '모르는'의 준말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고, '알다'의 관형사형인 '아는'의 반대말로 쓰는 모순이 일기도 하며, 과거를 나타내고 싶은 때에는 '몰랐던'을 대신 쓴다.
  • 위하다
    '위하는'으로 활용해야 하는 자리에 '위한'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5.2. 형용사로 오해하기 쉬운 단어

  • 맞다
    2023년에 형용사로도 인정되었다. 다만 관형사형으로는 '맞는'을 쓰는 경우가 많다.
  • 모자라다
    형용사인 ' 부족하다'와 비슷한 뜻이라서 '모자라다'도 형용사로 착각하는 것.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뜻풀이대로는 '모자라 있다'라는 완료상도 쓸 수 있다.
  • 웃기다
    ' 웃긴대학'이 그 사례.
  • '-고 있다', '-어 있다'
    보조동사이나 형용사처럼 시제 보조사를 쓰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 틀리다

6. 기타

'따르다', '만나다', '반대하다', '도발하다' 등 몇몇 동사들은 한국어에서 자동사와 타동사의 경계를 넘나드는 동사이며, '가다', '날다', '떠나다', '오다'와 같은 이동동사들은 '제한타동사(制限他動詞)'로도 불리며 국어학계에서 유명하다. '여행을 가다', '회사를 가다', '하늘을 날다', '맞춤법을 따르다', '세상을 떠나다', '그를 만나다', '차를 타다', '규정을 반대하다', '사람을 도발하다'처럼, 타동사처럼 쓸 수 있다. 부사격 조사가 자동사 앞에서 생략된 것인데 목적격 조사가 타동사 앞에서 생략된 것으로 오해된 듯하다. 이런 동사들은 일반적으로 피동문에 '여행이 가지다', '회사가 가지다', '하늘이 날아지다', '맞춤법이 따라지다', '세상이 떠나지다', '그가 만나지다', '차가 타지다', '규정이 반대되다', '사람이 도발되다'처럼 써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그렇다고 능격동사인 것도 아니다. '닮다', '사랑하다' 등 몇몇 동사들은 자동사로는 쓰이지 않으나 '그가 닮아지다'(그를 닮다), '그가 사랑되다'(그를 사랑하다), '그가 죽여지다'(그를 죽이다)처럼 쓰이지 않으며,[1] 보조사 '가/이'가 쓰이지도 않아 '하늘이 날고 싶어', '세상이 떠나고 싶어', ' 중2병이 사랑하고 싶어'처럼 쓰이지도 않는다. 곧, 완전한 타동사는 아닌 셈이다.

반대로 타동사가 ' 논리적 오류/비형식적 오류' 문서의 몇몇 내용에도 쓰인 ' 새로움에 호소하는 오류와 전통에 호소하는 오류' 등 용어처럼, 특정 상황에서 자동사처럼 쓰이기도 한다. '호소하다'는 목적어를 삼는 타동사로, 해당 문장을 다르게 바꾸면 새로움/전통에 오류를 호소하는 것이 된다.

'향하다「2」'는 특히 ' 한국어/불규칙 활용' 문서의 '사실상 불규칙 활용' 문단에 적힌 것처럼 활용에 따라 자동사이냐 타동사이냐를 달리하는데, 타동사일 때는 '~가/이 향해지는'으로 쓰이기는커녕 '~를/을 향하여(서)', '~를/을 향한'으로만 쓰이며, 이런 표현 자체가 문법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위하다', '통하다' 등도 마찬가지.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7. 다른 품사/접미사로도 쓰이는 단어

8. 관련 문서


[1] 단, '사랑하다'는 '사랑받다'로, '죽이다'는 '죽임당하다'로 쓰이기도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