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35:23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정보
역사 상징 학부
대학원 프라임칼리지 지역대학 (캠퍼스)
학생 정보
학사 제도 특징 및 장학제도 출신 인물
기타
논란 및 사건사고 OUN 방송대학TV 근거법 및 시행령
}}}}}}}}} ||

1. 개요2. 법률의 변화3. 학제의 변화
3.1. 유관 제도 관련
4. 총장의 변화5. 공간의 변화6. 매체의 변화7. 약칭의 변화

[clearfix]

1. 개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역사를 다룬 문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역사기록관 홈페이지도 참고.

2. 법률의 변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1968년 11월 15일: 근거법 설립
  • 1972년 03월 09일: 시행령 설립

3. 학제의 변화

  • 1972년 03월 09일: 서울대학교 부설 한국방송통신대학 개교. 대한민국 최초의 평생교육기관이자, 2년제 초급대학 5개과로 시작
  • 1974년 12월 01일: 초급대학 졸업학력인정을 대통령령을 넘어 교육법 개정으로 법제화
  • 1978년 11월 22일: 문교부 향후 13년 교육지표 시안 발표. 방송대를 82년부터 4년제로 승격 예정
  • 1981년 02월 28일: 설치령 개정, 초급대학과정에서 5년제 학사과정으로 개편
  • 1982년 02월 15일: 서울대학교 부설에서 분리 독립된 국립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으로 설립[1]
  • 1991년 12월 31일: 5년제 학사과정에서 4년제 학사과정으로 개편
  • 1992년 03월 06일: 학부제 도입
  • 1993년 02월 24일: 한국방송통신대학에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로, 학장에서 총장으로 명칭 변경
  • 1997년 05월 13일: 평생교육원 설치
  • 2001년 09월 01일: 평생대학원 개원, 석사학위가 생겨남
  • 2010년 08월 30일: 학부 학칙과 대학원 학칙을 통·폐합,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학칙"으로 단일화
  • 2011년 08월 31일: 평생대학원을 대학원으로 명칭 변경
  • 2012년 04월 01일: 평생교육원을 동숭대학으로 명칭 변경[2]
  • 2012년 08월 29일: 대학원 경영학과 폐지 및 경영대학원 설립, 동숭대학을 프라임칼리지로 명칭 변경[3]
  • 2012년 09월 25일: 부총장제 신설
  • 2013년 10월 25일: 프라임칼리지 2개 학부 신설, 2014년부터 신입생 모집
  • 2020년 07월 10일: 문제은행시스템 및 온라인시험센터 구축

3.1. 유관 제도 관련

  • 1989년 06월 17일: 정부가 'TV대학'을 별도 신설하려 했으나, 방송대 측에서 학장실 점거 농성 등 강력 반대하여 무산되었다.
  • 1990년 04월 07일: 독학학위제가 생겨났다. 방송대는 강력반대했는데, 4월 9일 총동련이 반대표명, 5월 7일 교수회가 시국선언, 5월 25일 학장실 점거 농성, 6월 8일 교수들의 비대위 구성, 6월 9일 가두시위 등을 진행했다.
  • 1998년 01월 01일: 독학학위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게서 이관 받았다.
  • 2008년 02월 14일: 독학학위제 평생교육진흥원으로 이관했다.

4. 총장의 변화

{{{#!wiki style=""
{{{#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한국방송통신대학 학장
초대

김종서
2대

이응백
3대

정한모
4대

권순찬
5대

이병호
6대

장인숙
1993년 한국방송통신대학교로 명칭변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총장
초대

장인숙
2대

한완상
3대

이찬교
4대

조규향
5대

장시원
6대

조남철
7대

류수노
8대

고성환
}}}}}}}}}}}}}}}
  • 1972년 03월 09일: 제1대 김종서 학장 취임.[4]
  • 1976년 03월 09일: 제2대 이응백 학장 취임
  • 1980년 03월 09일: 제3대 정한모 학장 취임
  • 1982년 03월 01일: 제4대 권순찬 학장 취임. 독립대학이 되고 첫 학장.
  • 1989년 01월 01일: 제5대 이병호 학장 취임
  • 1991년 08월 17일: 제6대 장인숙 학장 취임
  • 1993년 10월 13일: 제1대 장인숙 총장 취임. 대학교로 명칭변경 후 첫 총장.
  • 1994년 09월 29일: 제2대 한완상 총장 취임
  • 1998년 09월 29일: 제3대 이찬교 총장 취임
  • 2002년 09월 29일: 제4대 조규향 총장 취임[5]
  • 2006년 09월 29일: 제5대 장시원 총장 취임
  • 2010년 09월 29일: 제6대 조남철 총장 취임
  • 2018년 02년 14일: 제7대 류수노 총장 취임[6]
  • 2022년 03월 04일: 제8대 고성환 총장 취임

5. 공간의 변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대학교/역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지역대학 문서들을 참고하십시오.
파일:Hyehwa_1947.png
파일:Hyehwa_1972.png
1947년 연건동~동숭동 일대[7] 1972년 연건동~동숭동 일대[8]
  • 1899년부터 대한제국은 농/상/공 분야의 학교를 설립하려 했으나 돈이 없었고, 1904년에 이르러서야 일본에게 차관을 빌려 설립을 시작했다.
  • 1907년, 대한제국의 공업전습소가 설립되어 첫 입학생을 받았다. 5100평에 7개 동, 기숙사, 부속관사 등을 지었다. (현 방송대 부지)
  • 1912년, 일본 제국이 공업전습소를 중앙시험소의 부속기관으로 삼고, 본관 및 기타 부속 건물들을 추가 준공했다. (중앙시험소 본관이 현 방송대 역사관)
  • 1914년, 일본 제국이 행정구역을 개편하며, 이 동네가 조선시대 행정구역 숭교방(崇敎坊)[9]의 동쪽이므로 ' 동숭동(東崇洞)'이라 이름 붙였다.
  • 1916년, 공업전습소가 경성공업전문학교로 승격되었다.
  • 1926년, 일본 제국이 바로 위에 경성제국대학의 법문학부 캠퍼스를 지었다. (현 아르코미술관, 아르코대극장, 마로니에공원)
  • 1946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경성공업전문학교가 각각 서울대학교의 문리대, 공대로 승계되었다.
  • 1949년, 공릉으로 서울대 공대 일부가 이전하면서(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청량리에 있던 서울대 법대가 동숭동(현 방송대 부지)으로 이전했다.
  • 1967~1968년, 서울대가 유학생 기숙사 '왕룡사', 우수학생 기숙사 '정영사'를 짓고 기숙사 제도를 시작했다. (현 동숭동 의과대학 국제관 자리)
  • 1974~1975년, 동숭동의 서울대 문리대, 법대가 모두 관악캠퍼스로 이전하며, 동숭동은 온전히 방송대 캠퍼스가 되었다.
  • 1980~1985년, 수도권 전철 4호선 혜화역이 개업했다.
  • 1996~2010년, 낙산공원 시민아파트들이 철거되고 성곽길 공원이 조성되었다.
  • 2010~2012년, 방송대가 본관과 앞 건물을 헐고 큰 본관으로 신축공사를 완료했다. 2013년 준공했다.
  • 2020년 9월 ~ 2022년 9월, 중앙도서관이 리모델링했다. 엘리베이터를 신설하고, 장애학생 열람실을 1층에 마련한 것이 특징.

6. 매체의 변화

  • 카세트테이프
    • 1984년부터 교재와 함께 판매되었다.
    • 2021년 1학기 문화교양학과 모 수업을 마지막으로 종료했다.
  • 텔레비전
    • 1985년 03월 03일: KBS 3TV로 TV 강의 방송을 개시했다.
    • 1990년 12월 27일: KBS 3TV가 EBS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1996년 09월 02일: OUN 방송대학TV(채널 47)를 개국하며 독립적인 채널을 갖게 되었다.
    • 1999년 03월 01일: 위성방송 채널 운영을 개시했다.
    • 2001년 03월 01일: EBS는 강의방송을 종료하고, OUN 방송대학TV만 강의방송을 하기로 한다.
    • 2002년 09월 01일: 디지털 위성방송 스카이라이프를 개시했다.
    • 2008년 01월 01일: IPTV를 개시했다.
    • 2013년 05월 01일: HD 고화질 방송을 개시했다.
  • 비디오테이프 - VHS를 통해 가정에서의 녹화 및 재시청이 가능했으나 2010년대 들어 VHS 테이프와 플레이어가 모두 단종됐다.
  • OMR 카드 - 1988년 6월 6일부터 시험지에 도입했다. 1996년엔 총학 선거에도 사용했다. 2021년에 태블릿 컴퓨터 시험으로 대체되었다.
  • PC통신/ 인터넷
    • 1993년 04월 27일: 하이텔로 9개 과목 지상강좌(紙上講座)를 시작했다.
    • 1996년 09월 04일: 하이텔 나우누리에 방송대 정보란 게시판을 운영 시작했다.
    • 1998년 06월 01일: 인터넷 강의를 도입했다. 홈페이지를 LOD(Learning On Demand)라고 불렀다.
    • 1998년 12월 14일: 전국 지역대학에 선을 구축했다.
    • 2009년 03월 09일: U-KNOU를 개시했다. U는 유비쿼터스를 의미하며, CDMA로도 접속가능한 모바일 서비스를 의미한다.[11]
    • 2012년 03월 13일: U-KNOU PLUS를 개시했다. 전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다.
    • 2018년 03월 13일: U-KNOU CAMPUS를 개시했다. OUN 방송대학TV 홈페이지의 VOD 제공은 중단하고, U-KNOU에서만 제공하기로 한다.
  • CD - 1998년 3월 16일 학보검색용 CD를 냈다. 이후 강의자료로도 제공되었다. 2010년대 초반 종료했다.

7. 약칭의 변화

  • 1972년, 제정된 설치령은 공식 약칭을 '통신대학'으로 정했다.
  • 1992년, 개정된 설치령은 공식 약칭을 '방송대학'으로 정했다. #
  • 2001년, 개정된 설치령은 공식 약칭을 규정하지 않았다.
  • 2021년, 제정된 근거법은 공식 약칭을 '방송통신대/방송통신대학교'로 정했다.

법과 시행령이 규정하는 약칭은 위와 같고, 학칙도 따로 약칭을 규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1985년 전체교수회의 이후 학내규정, 교가, 위성방송, 공식 홈페이지 등에서 방송대를 약칭으로 사용한다. 입학식이나 OT에서도 강조하곤 한다.


[1] 해당 1학기에 지도교수 163명을 뽑고 재학생이 7만5천명을 돌파했다. [2] 교육부 '블렌디드 러닝 환경 구축' 사업 주관기관으로 지정되어, 평생교육원이 평생교육 외의 사업도 하는 것을 표현하기 위함. [3] 2012년 7월 13일, 이명박 정부의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가 다른 나라에 비해 대학진학률이 너무 높은 것을 지적하고 '고졸 시대'를 정착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취업 후진학' 제도를 도입한 것. # 특성화고졸재직자 전형 문서 참고. [4] 당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5] 김대중 정부의 청와대 교육문화수석비서관 출신. [6] 2014년 9월 ~ 2018년 2월 총장 공석. 사건사고 문서 참고. [7] 출처는 국토정보플랫폼. 연건동이 대부분 공터다. 동숭동의 현 혜화역 1번 출구 쪽이 공터다. 반면 현 방송대 남쪽 서울대 사범대 부설 초-중 위치에 건물들이 빼곡하다. [8] 출처는 국토정보플랫폼. 동숭동의 현 아르코대극장 뒤로 문리과대학 건물이 증축되었다. 연건동에 서울대학교병원 현 본관이 건설되었다. 와룡동에 문화체육부 청사가 건설되었으며 이는 2015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캠퍼스가 된다. 현 방송대~서울대사범대부설초중 쪽은 큰 변화가 없다. [9] 조선시대 방(坊)은 현대 대한민국의 동(洞) 개념. 이 지역은 성균관 명륜당이 있으므로 명륜동이 되었다. [10] 원래 라디오 강의는 2001년 중단계획이었으나, 수강생들이 (당시로선 비싼) '케이블TV나 컴퓨터를 사란 말이냐'라며 강력반대하여 연장되었다. # [11] 개통식은 2008년 12월 24일에 있었다. # [12] TED 등 인문교양 열풍이 불던 시기에 개설되었다. 2022년 기준 구독자는 56.7만을 돌파해 대학교 유튜브 채널 중 1위였다. 또한 2022년 유튜버브랜드 대상에서 인문지식부문 대상을 차지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1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