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07:16:43

프린스턴 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프린스턴 대학교
1. 동문
1.1. 가상 인물

1. 동문

  • 게리 베커 - 경제학자; 1967년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 1992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0~ 시카고 대학교 교수.
  • 그레고리 맨큐 - 경제학자;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 하버드 로스쿨 중퇴, MIT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5~ 하버드 대학교 교수 재직 중.
  • 그렉 롤러 - 수학자; 2019년 울프 수학상을 수상.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6~ 시카고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
  • 김경환 - 서강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전 국토교통부 제1 차관. 프린스턴에서는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
  • 김규식 -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부주석.
  • 김재권 - 한국계 미국인 철학자, 분석철학. 다트머스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브라운 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고 현재는 은퇴했다.
  • 김종석
  • 김현근 - '가난하다고 꿈조차 가난할 수는 없다' 라는 책의 저자.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 닐 루덴스타인 - 하버드 대학교 총장. 프린스턴에서 학사학위, 로즈 장학생으로 옥스퍼드(뉴 컬리지)에서 석사, 하버드에서 박사를 받았다.
  • 데니스 설리번 - 수학자; 2010년 울프 수학상, 2022년 아벨상을 수상. 라이스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4~1996 IHES(고등과학연구소) 교수였다.
  • 데이나 스콧 - 논리학자, 수학자. 1976년 튜링상, 1997년 롤프 쇼크 논리학상을 수상. UC 버클리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3~1969년 스탠퍼드 대학교, 1969~1972년 프린스턴 대학교, 1972~81년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였다.
  • 데이비드 로머 - 경제학자;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MIT에서 박사를 받았다. 1985~1988 프린스턴 대학교, 1988~ UC 버클리 교수로 재직중.
  • 데이비드 카드 - 경제학자; 1995년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 2021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 퀸즈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 ~ 1997 프린스턴 대학 교수였다.
  • 데이비드 듀코브니
  • 데이비드 헤일 - MLB 투수.
  • 도널드 럼즈펠드 - 최연소(43세, 13대)와 최고령(69~74세, 21대) 미 국방부 장관.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 로버트 노직 - 철학자; 정치철학.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학사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로버트 벤투리 - 건축가, 프리츠커상 수상자.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 로버트 H. 에드워즈 - 교육자. 칼턴 칼리지의 총장, 보든 칼리지 총장.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하버드 로스쿨 LLB[1]를 받았다.
  • 로버트 칸 - 전기 공학자; 2004년 튜링상을 수상. 시티 칼리지 오브 뉴욕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로버트 호프스태터 - 물리학자; 1961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 시티 칼리지 오브 뉴욕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46~1950 프린스교 대학교, 1950~1985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였다.
  • 로이드 섀플리 - 경제학자, 수학자; 2012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 천문학자 할로 섀플리의 아들. 하버드에서 학사,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존 내쉬처럼 수학 박사 학위 소지자로 게임 이론으로 상을 받음.
  • 레드 휘태커 - 로봇공학자;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카네기 멜런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카네기 멜런 대학교 교수 재직중.
  • 리빙스턴 패랜드 - 전 코넬 대학교 총장.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컬럼비아 메디컬스쿨 MD를 받았다.
  • 리 아이아코카 - 포드 기술사, 크라이슬러 ceo. 프린스턴 기계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 리처드 스턴스 - 컴퓨터과학자, 수학자; 1993년 튜링상을 수상. 칼튼 칼리지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리처드 필데스 - 변호사, 대학교수; 뉴욕 대학교 로스쿨 교수.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하버드 로스쿨 JD를 받았다.
  • 리처드 파인만 - 물리학자; 1965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 MIT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0~ 1988 Caltech 교수 였다. 그런데 이 양반 문서만 봐도 알 수 있듯이 권위의식, 허례허식을 엄청나게 싫어했던 인간이라 자서전들을 보면 프린스턴의 학풍을 은연중에 까고 있다. 당장 그의 유명한 자서전 제목인 '파인만 씨 농담도 잘하시네(Surely you're joking, Mr. Feynmann)'도 대학원 시절 그에게 허례허식을 과시하던 학장의 부인의 말을 인용한 것이다.
  • 마리아 레사 - 레플러 CEO. 노벨평화상 수상. 프린스턴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2024년부터 컬럼비아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 예정이다.
  • 마빈 민스키 - 컴퓨터과학자, 수학자; 1970년 튜링상을 수상. 하버드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8~ MIT 교수였다.
  • 마이클 E. 브라운 - 천문학자; '명왕성 킬러'. 프린스턴에서 학사학위, UC 버클리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3~ Caltech 교수로 재직중.
  • 마이크 포드 - 뉴욕 양키스의 내야수.
  • 마이클 스톤브레이커 - 컴퓨터과학자; 2014년 튜링상을 수상.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미시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1~2000 UC 버클리, 2001~ MIT 교수로 재직 중.
  • 마이클 스펜스 - 경제학자; 1981년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 2001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 프린스턴에서 학사학위, 로즈 장학생으로 옥스퍼드(모들린 컬리지)에서 학사, 석사, 하버드에서 박사를 받았다. 1975~1990 하버드 대학교, 1990~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
  • 마이클 쉴 - 대학총장. 노스웨스턴 대학교 총장으로 역임중이다.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예일 로스쿨 JD를 받았다.
  • 마이클 아틴 - 수학자; 2013년 울프 수학상을 수상.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하버드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아버지가 프린스턴 수학교수였던 에밀 아틴이다. 1963~ MIT 교수였다.
  • 마이클 프리드먼 - 수학자; 1986년 필즈상을 수상. UC 버클리 중퇴(1년 재학),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마이클 포터 - 피터 드러커, 톰 피터스와 함께 현대 경영학의 3대 대가로 평가받는 인물.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하버드에서 MBA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
  • 마크 밀리 - 39대 육군참모총장.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 마크 테토 - 비정상회담 전 패널.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 만줄 바르가바 - 수학자. 2014년 필즈상을 수상. 하버드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3~ 프린스턴에서 교수로 재직 중.
  • 맥스 패랜드 - 역사학자. 예일 대학교 교수로 지냈다.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박사 학위를 받았다.
  • 매켄지 스콧
  • 미셸 오바마 - 버락 오바마의 부인으로, 전 미국 영부인.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 미하엘 라빈 - 컴퓨터 과학자, 수학자. 1976년 튜링상을 수상.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1~ 하버드 대학교 교수.
  • 배리 마주르 - 수학자; 2022년 천 메달을 수상. MIT 중퇴(2년 재학),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2~ 하버드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
  • 빌 브래들리 - NBA 레전드이자 미국 상원의원. 프린스턴에서 학사학위, 로즈 장학생으로 옥스퍼드(우스터 컬리지)에서 석사를 받았다.
  • 브룩 실즈 - 일반적인 입학 과정을 거쳐 들어갔고 로망스어군을 중심으로 수업을 들었다.
  • 새뮤얼 알리토 - 미국 연방대법원 대법관.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예일 로스쿨 JD를 받았다.
  • 샘 페이지 - 미국의 배우.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 서승환
  • 세스 그린 - 시카고 대학교 학장.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예일 로스쿨 JD를 받았다.
  • 소니아 소토마요르 - 미국 연방대법원 대법관. 미 대법원 역사상 여성으로서는 3번째, 히스패닉 출신 최초의 대법관이 되었다.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예일 로스쿨 JD를 받았다.
  • 스티븐 G. 커츠 - 교육자. 미국 명문 보딩스쿨 필립스 엑시터 아카데미(Phillips Exeter Academy)의 총장 및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로 역임했었다.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펜실베니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스티븐 네이페 - 소설가 및 변호사. 퓰리처상 수상자.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하버드 로스쿨 JD, 하버드에서 박사를 받았다.
  • 스티븐 와인버그 - 물리학자; 1979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 코넬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0~1969 UC 버클리, 1969~1973 MIT, 1973~1983 하버드 대학교 교수였다.
  • 유진 오닐 - 문학자; 노벨문학상 수상. 퓰리처상 수상.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 아비 위그더슨 - 컴퓨터과학자, 수학자; 1994년 네반리나상[2], 2021년 아벨상을 수상, 2023년 튜링상을 수상. 테크니온-이스라엘 공과대학교에서 학사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 IAS(프린스턴 고등연구소)의 교수로 재직 중.
  • 아이라 콘딕트 - 미국 장로교 및 네덜란드 개혁 성직자로 뉴저지 주 뉴브런즈윅에 있는 퀸즈 칼리지(현재의 러트거스 대학)의 제3대 총장을 역임했다.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 아서 홀리 콤프턴 - 물리학자; 1927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 우스터 대학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 악샤이 벤카테슈 - 수학자; 2018년 필즈상을 수상. 서호주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8~2018 스탠퍼드 대학교, 2018~ IAS(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교수로 재직중.
  • 앤마리 슬로터 - 경제학자; 프린스턴 대학교 경제학과 학과장이다. 클린턴행정부의 director of policy planning U.S. State Department로도 지냈었다.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옥스퍼드 대학교(우스터 칼리지)에서 박사, 하버드 로스쿨 JD를 받았다.
  • 앨런 튜링 - 수학자; 현대 컴퓨터과학을 정립. 케임브리지(킹스 칼리지) 학사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앨런 블라인더 - 경제학자. 미국 연방준비제도 부행장.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MIT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1982~ 프린스턴 교수였다.
  • 앨런 브링클리 - 역사학자. 컬럼비아대학교 교수로 20년간 지냈다.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하버드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앨프리드 에이호 - 컴퓨터과학자; 2020년 튜링상을 수상. 토론토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나오고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에드워드 위튼 - 물리학자; 1985년 ICTP 디렉 메달, 1990년 필즈상을 수상. 브랜다이즈 대학교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0~1987 프린스턴, 1987~ IAS(프린스턴 고등연구소)의 교수이다.
  • 에드워드 사이드 - 문학평론가, 전 대학교수; 컬럼비아 대학교 비교문학과 교수로 지냈다.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하버드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에미 나카무라 - 경제학자; 2019년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을 수상.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하버드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2008~2018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 2018~ UC 버클리 교수로 재직중.
  • 에릭 슈밋 - 구글 CEO.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UC 버클리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에릭 렌더 - 생물학자, 수학자; 바이든행정부 과학기술정책국장.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로즈 장학생으로 옥스퍼드(울프슨 컬리지)에서 박사를 받았다. 1986~ MIT 교수.
  • 엘레나 케이건 - 미국 연방대법원 여성으로서는 4번째 대법관.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하버드 로스쿨 JD를 받았다.
  • 엘리 켐퍼.
  • 앨런 라이트맨 - 물리학자;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Caltech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9~ MIT 교수로 재직 중.
  • 올리버 하트 - 경제학자; 2016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 케임브리지(킹스 칼리지)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5~1993 MIT 교수로, 1993~ 하버드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
  • 우궈전 - 대만 3대 주석. 프린스턴에서 철학 박사를 받았다.
  • 우드로 윌슨 - 미국의 제28대 대통령. 정치학자이자 행정학자 출신의 정치인이다. 프린스턴 학사 출신이며 프린스턴 대학교의 학장과 총장을 역임하였다. 학장 시절 이승만에게 학위를 수여하기도 했다.
  • W. 테일러 레버리 3세 - 법학자. 윌리엄 & 메리 대학교 27대 총장.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버지니아 로스쿨 JD를 받았다.
  • 윌리엄 만 어빈 - 미국 명문 보딩스쿨 Mercersburg Acadmey의 초대 총장이자 설립자.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박사 학위를 받았다.
  • 웬트워스 밀러
  • 이승만 -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 조지워싱턴대학교에서 학사를 나오고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전공은 국제법. 한국인 사상 최초의 미국 대학원 박사 학위 취득자. 이때의 학장은 우드로 윌슨.
  • 이준구
  • 이창래 - 한국계 미국인 작가.
  • 정운찬
  • 제롬 파월 - 변호사, 금융인; 연방준비제도 의장. 프린스턴에서 학사학위, 조지타운 로스쿨 JD를 받았다.
  • 제이슨 개럿 - 댈러스 카우보이스, 뉴욕 자이언츠의 쿼터백 출신 감독.
  • 제임스 매디슨 - 미국의 제4대 대통령.프린스턴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 제임스 매닝 - 미국 브라운 대학교 초대 총장.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 제임스 스튜어트 - 배우/군인. 군인 집안에서 자라 파일럿의 꿈을 키웠지만 아버지에 반대로 프린스턴에 간다. 연기는 여기서 시작. 파일럿 면허를 딴 후 2차대전이 터져(사실 독일 폴란드를 침략하기 직전까지 유럽에 있었다) 육군에 징집되지만 몸무게 때문에 신검에서 탈락했다. 그리고 트레이닝을 받아서 다시 지원하지만 다시 탈락하지만 굴하지 않고 징병 장교를 설득해서 결국 미 육군 항공대에 사병으로 근무를 시작. 진주만 공습 이후 소위로 승급하고, 이후 대위로 승급해서 폭격기 편대 조종사가 된다. 전후에도 예비역으로 배우 일과 군복무를 병행, 베트남전에서도 B-52에 옵서버로 탑승한 적이 있으며 68년에 예편할 때는 준장이었다.
  • 제임스 포레스탈(James V. Forrestal, 1892-1949) - 미국 해군부의 마지막 장관이자 국방부 초대 장관을 역임하고, 항공모함 기동부대에 의한 억지력 확보의 근간을 수립했다. 그의 이름은 포레스탈급 항공모함 및 제임스 포레스탈 캠퍼스 등에 남아 있다.
  • 제임스 피블스 - 물리학자; 2019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 매니토바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8~2000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였다.
  • 제임스 헤크먼 - 경제학자; 1983년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 2000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 콜로라도 칼리지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3~ 시카고 대학교 교수.
  • 제프 페트리 -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초기 선수이자 전 새크라멘토 킹스 단장.
  • 제프 베이조스 - 아마존닷컴 창립자이자 현 CEO.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을 존경하고 이론 물리학자가 되기 위해 프린스턴 단 한 군데만 지원했다. 30명 있는 물리학과에서 물리학 괴수들에게 좌절하고는 진로를 변경하게 된다. 전기공학과 컴퓨터 과학과를 최우등으로 졸업했다.[3] 우주항공 사업에도 관심이 많아 NASA의 지원을 받으면서 여러 가지 시도를 하고 있다. 21세기 IT기업인이면서 신문사 워싱턴 포스트지를 인수해 주목받고 있다.
  • 제프리 울만 - 컴퓨터과학자; 2020년 튜링상을 수상.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9~1974 프린스턴 대학교, 1974~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
  • 조지 루스티그 - 수학자; 2022년 울프 수학상을 수상. 부쿠레슈티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8~ MIT 교수로 재직 중.
  • 조지 불로스 - 논리학자; 프린스턴에서 학사학위, MIT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9~1996 MIT 교수였다.
  • 조지 에릭 루프 - 컬럼비아 대학교 라이스 대학교 총장.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예일 대학교에서 신학 학사, 하버드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조지 케넌
  • 조지 P. 슐츠 - 전 미국 국무장관, 재무장관. 프린스턴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 조지프 나이 - 전 미국 국방부 차관보. 프린스턴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 존 롤스 - 철학자; 정치철학. 1999년 롤프 쇼크 철학상 수상.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4~1991 하버드 대학교 교수였다.
  • 존 매카시 - 컴퓨터과학자, 수학자; 1971년 튜링상을 수상. Caltech에서 학사학위를 받고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2~2011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였다.
  • 존 밀너 - 수학자; 1962년 필즈상, 1989년 울프 수학상, 2011년 아벨상을 수상.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0~1967 프린스턴 대학교, 1968~1970 MIT, 1970~1990년 IAS(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교수로 보냈다.
  • 존 바딘 - 물리학자; 1956, 1972년 노벨물리학상을 2번 수상.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 존 조지 케메니 - 전 다트머스 대학교 총장.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Caltech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존 포브스 내시 - 수학자; 현대 경제학 이론의 근간을 이루는 게임 이론의 내시 균형 창시자. 1994년 노벨경제학상, 2016년 아벨상을 수상. 카네기 멜런 대학교에서 학사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1995~ 프린스턴에서 수석 연구자로 부임했다. 영화 뷰티풀 마인드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 조슈아 앵그리스트 - 경제학자; 2021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 오벌린 칼리지에서 학사학위를 받고 프린스턴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6~ MIT 교수로 재직중.
  • 존 F. 케네디 - 미국의 제35대 대통령. 프린스턴 학부를 한 학기 다니다가 하버드로 전학(?) 갔다. 고등학교 GPA가 처참한 수준이었고, 당연히 프린스턴에서도 성적이 안 좋았다.
  • 존 테이트 - 수학자; 2002/03년 울프 수학상, 2010년 아벨상을 수상. 하버드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4~1990년 까지 하버드 대학교 교수였다.
  • 지영석 - 세계적인 출판 그룹 Elsevier의 회장이다. 동양인 최초로 국제출판협회(IPA) 회장과 미국출판협회(AAP) 의장을 지냈다.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 짐 리
  • 찰스 페퍼먼 - 수학자; 1978년 필즈상, 2017년에는 울프 수학상을 수상,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2세에 미국 최연소 정교수 취임. 1971~1973 시카고 대학교, 1973~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로 재직중.
  • 최기일 - 김준엽 장준하의 친구로 해방정국 당시 이승만의 공보비서를 역임하다가 1948년 도미하여 프린스턴에 입학했다. 프린스턴 동문회 측에 따르면 최초의 한국 출신 학부생이라고 한다. 이후에 하버드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미국에서 김대중을 지지하고 함석헌, 계훈제 등과 교류하면서 한국 민주화 운동에도 힘을 썼다.
  • 칼 아이칸 - 미국의 억만장자 금융인.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 에단 코엔
  • 크레이그 로빈슨 - 미셸 오바마의 오빠. 프린스턴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 크리스토퍼 L. 에이스그루버 - 프린스턴 대학교 20대 총장.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로즈 장학생으로 옥스퍼드(유니버시티 컬리지)에서 석사, 시카고 로스쿨 JD를 받았다.
  • 크리스 윌리엄 산치리코 -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예일 로스쿨 JD, 예일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3~ 펜실베니아 대학교 경영학 & 로스쿨 교수로 재직중.
  • 크리스 영
  • 크리스토퍼 히라타 - 천문학자; IQ가 두 번째로 높은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Caltech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클린턴 데이비슨 - 물리학자; 1937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 시카고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 킵 손 - 물리학자; 2017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 Caltech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7~2009 Caltech 교수였다.
  • 테렌스 타오 - 수학자; 2006년 필즈상을 수상. 세계에서 IQ가 가장 높은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플린더스 대학교에서 학사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에르되시 팔이 프린스턴 추천서를 써줬다.
  • 페이페이 리 - 미국의 컴퓨터과학자. 컴퓨터 비전 분야의 선구자이다.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Caltech 박사 학위를 받았다.
  • 폴 볼커 - 금융인; 연방준비제도 전 의장. 프린스턴에서 학사학위, 하버드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 프레데릭 B. 디크나텔 - 역사학자; 프린스턴에서 학사학위, 하버드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40~1971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수였다.
  • 프랜시스 아널드 - 화학자; 노벨화학상을 수상. 프린스턴에서 학사 학위, UC 버클리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6~ Caltech 교수로 재직 중.
  • 프랜시스 스콧 피츠제럴드 - 위대한 개츠비의 작가. 프린스턴 학부 중퇴.
  • 울프강 K.H. 파노프스키 - 물리학자; 프린스턴에서 학사학위, Caltech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45~1951 UC 버클리, 1951~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였다.
  • 프랭크 윌첵 - 물리학자; 2004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 시카고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 프린스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7~1981 프린스턴 대학교, 1989~2000 IAS(프린스턴 고등연구소), 2000~ MIT 교수로 재직 중.
  • 피트 콘래드 - NASA 우주비행사. 프린스턴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1.1. 가상 인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0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0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JD 이전 법학학위 [2] 컴퓨터과학계 필즈상 [3] 아내도 동문이다. [4] 배트맨 비긴즈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