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22:40:45

스티븐 와인버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역대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rowcolor=#cd9f51> 1901 1902 1903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빌헬름 뢴트겐 헨드릭 로런츠 피터르 제이만 앙투안 베크렐
<rowcolor=#cd9f51> 1903 1904 190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피에르 퀴리 마리 퀴리 존 라일리 필리프 레나르트
<rowcolor=#cd9f51> 1906 1907 1908 190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조지프 톰슨 앨버트 마이컬슨 가브리엘 리프만 굴리엘모 마르코니
<rowcolor=#cd9f51> 1909 1910 1911 1912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카를 브라운 요하너스 판데르발스 빌헬름 빈 닐스 달렌
<rowcolor=#cd9f51> 1913 1914 1915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헤이커 오너스 막스 폰 라우에 헨리 브래그 윌리엄 브래그
<rowcolor=#cd9f51> 1917 1918 1919 1920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찰스 바클라 막스 플랑크 요하네스 슈타르크 샤를 기욤
<rowcolor=#cd9f51> 1921 1922 1923 1924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닐스 보어 로버트 밀리컨 만네 시그반
<rowcolor=#cd9f51> 1925 1926 1927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제임스 프랑크 구스타프 헤르츠 장 페랭 아서 콤프턴
<rowcolor=#cd9f51> 1927 1928 1929 1930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찰스 윌슨 오언 리처드슨 루이 드 브로이 찬드라세카라 라만
<rowcolor=#cd9f51> 1932 1933 1935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폴 디랙 에르빈 슈뢰딩거 제임스 채드윅
<rowcolor=#cd9f51> 1936 193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빅터 헤스 칼 앤더슨 클린턴 데이비슨 조지 톰슨
<rowcolor=#cd9f51> 1938 1939 1943 1944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엔리코 페르미 어니스트 로런스 오토 슈테른 이지도어 라비
<rowcolor=#cd9f51> 1945 1946 1947 1948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볼프강 파울리 퍼시 브리지먼 에드워드 애플턴 패트릭 블래킷
<rowcolor=#cd9f51> 1949 1950 1951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유카와 히데키 세실 파월 존 콕크로프트 어니스트 월턴
<rowcolor=#cd9f51> 1952 1953 1954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펠릭스 블로흐 에드워드 퍼셀 프리츠 제르니케 막스 보른
<rowcolor=#cd9f51> 1954 1955 1956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발터 보테 윌리스 램 폴리카프 쿠시 윌리엄 쇼클리
<rowcolor=#cd9f51> 1956 1957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존 바딘 월터 브래튼 리정다오 양전닝
<rowcolor=#cd9f51> 1958 1959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파벨 체렌코프 일리야 프란크 이고르 탐 오언 체임벌린
<rowcolor=#cd9f51> 1959 1960 1961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에밀리오 지노 세그레 도널드 글레이저 로버트 호프스태터 루돌프 뫼스바우어
<rowcolor=#cd9f51> 1962 1963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레프 란다우 유진 위그너 마리아 메이어 한스 옌젠
<rowcolor=#cd9f51> 1964 1965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찰스 타운스 니콜라이 바소프 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 리처드 파인만
<rowcolor=#cd9f51> 1965 1966 196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줄리언 슈윙거 도모나가 신이치로 알프레드 카스틀레르 한스 베테
<rowcolor=#cd9f51> 1968 1969 197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루이스 앨버레즈 머리 겔만 한네스 알벤 루이 네엘
<rowcolor=#cd9f51> 1971 1972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데니스 가보르 존 바딘 리언 쿠퍼 존 슈리퍼
<rowcolor=#cd9f51> 1973 1974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에사키 레오나 이바르 예베르 브라이언 조지프슨 마틴 라일
<rowcolor=#cd9f51> 1974 197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앤서니 휴이시 오게 보어 벤 모텔손 제임스 레인워터
<rowcolor=#cd9f51> 1976 197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버턴 릭터 새뮤얼 팅 필립 앤더슨 존 밴블랙
<rowcolor=#cd9f51> 1977 1978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네빌 모트 표트르 카피차 아노 펜지어스 로버트 윌슨
<rowcolor=#cd9f51> 1979 198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븐 와인버그 무함마드 살람 셸든 글래쇼 제임스 크로닌
<rowcolor=#cd9f51> 1980 198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벨 피치 니콜라스 블룸베르헌 아서 숄로 카이 시그반
<rowcolor=#cd9f51> 1982 1983 198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케네스 윌슨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윌리엄 A. 파울러 카를로 루비아
<rowcolor=#cd9f51> 1984 1985 198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시몬 판 데르 메이르 클라우스 폰 클리칭 에른스트 루스카 게르트 비니히
<rowcolor=#cd9f51> 1986 1987 1988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하인리히 로러 요하네스 베드노르츠 카를 뮐러 리언 레더먼
<rowcolor=#cd9f51> 1988 198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멜빈 슈워츠 잭 스타인버거 한스 데멜트 볼프강 파울
<rowcolor=#cd9f51> 1990 199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제롬 프리드먼 헨리 켄들 리처드 테일러 피에르질 드 젠
<rowcolor=#cd9f51> 1992 1993 1994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조르주 샤르파크 러셀 헐스 조지프 테일러 버트럼 브록하우스
<rowcolor=#cd9f51> 1994 1995 199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클리퍼드 슐 프레더릭 라이네스 마틴 펄 데이비드 리
<rowcolor=#cd9f51> 1996 199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더글러스 오셔로프 로버트 리처드슨 윌리엄 필립스 스티븐 추
<rowcolor=#cd9f51> 1997 1998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클로드 코엔타누지 대니얼 추이 로버트 러플린 호르스트 슈퇴르머
<rowcolor=#cd9f51> 1999 200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마르티뉘스 펠트만 조레스 알표로프 허버트 크뢰머
<rowcolor=#cd9f51> 2000
파일:미국 국기.svg
잭 킬비
}}}
}}}}}}}}}
[ 21세기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3> 2001 || 2002 ||

}}}}}} ||

<colbgcolor=#000><colcolor=#fff> FRS
스티븐 와인버그
Steven Weinberg
파일:Physics_Nobel_Laureate_Steven_Weinberg,_December,_2014.jpg
출생 1933년 5월 3일
미국 뉴욕주 뉴욕시
사망 2021년 7월 23일 (향년 88세)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
직업 이론물리학자
종교 무종교( 무신론)[1]
링크 공식 사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학력 브롱스 과학고등학교 (1950년 졸업)[2]
코넬 대학교 (1954년 학사)
프린스턴 대학교 ( 물리학 / 1957년 박사)
지도교수 Sam Treiman
분야 입자이론( 양자장론)
수상 대니하이네만 수리물리학상 (1977)
앨리엇 크리슨 메달 (1979)
노벨물리학상 (1979)
미국 국가 과학상 (1991)
앤드류 게먼트 상 (1997)
브레이크스루 상 (2020)
배우자 루이스 와인버그 (1954년 결혼)
자녀 엘리자베스 와인버그 }}}}}}}}}

1. 개요2. 생애3. 업적4. 수상5. 저서6. 가치관7. 기타

[clearfix]

1. 개요


미국의 물리학자.

2. 생애

1933년 미국의 뉴욕에서 태어났다. 1950년에 브롱스 과학고를 졸업하였으며 1954년 코넬 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57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이론물리학을 전공하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57–1959년 컬럼비아 대학교, 1959–1960년 로렌스방사능연구소, 1960–1969년 UC 버클리 연구원 ·조교수 등을 거쳐, 1969–1973년 MIT 객원교수 및 교수, 1973년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 석좌교수 겸 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연구소 수석과학자, 1982년 UT 오스틴 교수(나중에 명예교수)가 되었다. 2021년 7월 23일 향년 88세의 나이로 타계하였다.

3. 업적

양자론부터 우주론까지 다방면을 연구했다. 1967년에 약한 상호작용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대한 통일적 모형과 소립자의 통일모형을 발표했다. 기본입자들의 상호작용을 정리한 이 논문은 입자물리학 분야에서 가장 피인용수가 높은 논문으로 꼽힌다. 처음 몇년동안 와인버그의 이론은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1972년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마르티뉘스 펠트만, 이휘소가 그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와인버그의 이론은 학계의 중심이 되었고 와인버그는 학계의 스타가 된다.

이때 와인버그와 같은 결과를 얻은 사람으로 살람이 더 있었는데 살람이 이휘소의 강연 직전 찾아가 와인버그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하였고, 이휘소는 발표를 하던 도중 '와인버그 모형' 이라 적힌 곳에 ' -살람'을 넣어 '와인버그-살람모형'으로 만들었다. 이후 글래쇼도 와인버그 이전에 모형에 크게 공헌한 사람으로 인정되고 이휘소의 사망 이후 글래쇼, 와인버그, 살람 세 사람은 노벨상을 받았다. 그리고 이들의 이론은 이들의 이름을 합쳐 GWS모형이라고 불리게 된다.

4. 수상

1977년 대니하이네만 수리물리학상
1972년 오펜하이머상
1979년 노벨물리학상

5. 저서

입자물리와 우주론 등에서 다양한 저술을 남겼다.
  • 최초의 3분
  • 최종이론의 꿈
  • 제3의 생각
  • 아원자입자의 발견
  • 세상을 설명하는 과학. To Explain the World: The Discovery of Modern Science
  • Lake Views: this world and the universe
  • The Quantum Theory of Fields 시리즈
  • Gravitation And Cosmolog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The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 Cosmology
  • Foundations of Modern Physics
  • Lectures on Quantum Mechanics
  • Lectures on Astrophysics

6. 가치관

강경한 무신론자로도 유명하다. 덕분에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라는 책에서 한 번 까였다. 좀 위험한 내용이긴 하지만 와인버그 본인은 항상 "종교를 없앨 수 있다면 없애고 싶고, 가장 먼저 이슬람을 없앨 것."이라고 말한다.

과학철학 STS, 특히 사회구성주의에 대해 상당히 비판적인 태도를 보인다. 그도 그럴 것이 사회구성주의에서는 객관적인 지식을 부정하고, 모든 지식은 인간들의 합의에서 나온 주관적인 대상일 뿐이라고 규정하기 때문. 자연에 대한 객관적 지식을 쌓는 것이 목적인 과학계의 입장에서는 이런 사회구성주의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할 수밖에 없다. 과학철학의 경우 사회구성주의 만큼 맹렬히 까지는 않지만 그 성과가 너무 과장되었다고 비판하는 편. 실제로 과학자들의 '과학적 탐구 방법 및 사고방식'들은 과학자들이 여러 시행착오를 거쳐 이루어 낸 것이지 과학자들이 데카르트나 토머스 쿤 같은 사람들의 철학을 듣고 모방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그러한 과학적 방식을 명시화하고 정리한 것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는 일인데 너무 과도하게 비판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들도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역시 매우 싫어하는 것 같다. 앨런 소칼의 지적 사기 사건에 뛰어들어 한바탕 병림픽을 만들어 버린 일도 있으며, 국내에도 정발된 《최종 이론의 꿈》이라는 책에서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선형적’이라는 말은 무조건 안 좋은 것이며, ‘비선형적’이라는 말만 갖다 붙이면 되는 줄 안다”고 씹어댔다.

7. 기타

이휘소 박사와 친분이 있었다. 과학동아와의 인터뷰[3]에서 현대의 입자물리학에 대하여 이야기 하던 중 그(이휘소)가 살아있었다면 좋았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시오니즘 지지자다. 이 때문에 다른 곳에서 까이기도 했다.

다소 노골적이긴 하지만 "선한 사람이 악행을 하게 하려면 종교가 필요하다"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종교뿐만 아니라 모든 맹목적 사고와 믿음은 선의마저도 왜곡시킨다는 뜻이다.

[1] 반신론적 무신론. [2] 셸던 리 글래쇼와 대학교까지 동창이다. [3] 이메일로 인터뷰했다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