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20:21:34

포뮬러 1/2019시즌/1R~6R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포뮬러 1/2019시즌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포뮬러 1/2019시즌/7R~12R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1. 개요2. 파일:호주 국기.svg 1R : 포뮬러 1 롤렉스 호주 그랑프리 2019 (호주 GP)
2.1. 퀄리파잉2.2. 레이스
3. 파일:바레인 국기.svg 2R : 포뮬러 1 걸프에어 바레인 그랑프리 2019 (바레인 GP)
3.1. 퀄리파잉3.2. 레이스
4. 파일:중국 국기.svg 3R : 포뮬러 1 하이네켄 중국 그랑프리 2019 (중국 GP)
4.1. 퀄리파잉4.2. 레이스
5.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4라운드 : 포뮬러 1 소카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 2019 (아제르바이잔 GP)
5.1. 퀄리파잉5.2. 레이스
6. 파일:스페인 국기.svg 5라운드 : 포뮬러 1 에미레이트 그란 프레미오 데 에스파냐 2019 (스페인 GP)
6.1. 퀄리파잉6.2. 레이스
7. 파일:모나코 국기.svg 6라운드 : 포뮬러 1 그랑프리 드 모나코 2019 (모나코 GP)
7.1. 퀄리파잉7.2. 레이스

1. 개요

포뮬러 1의 2019 시즌 중 1R부터 6R까지를 정리한 문서.

2. 파일:호주 국기.svg 1R : 포뮬러 1 롤렉스 호주 그랑프리 2019 (호주 GP)

2.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1:20.486 1번째
P2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 0.112s 2번째
P3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 0.704s 3번째
<colcolor=#fff> P4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834s 4번째
P5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 0.956s 5번째
P6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 하스 - 페라리)
+ 1.340s 6번째
P7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 하스 - 페라리)
+ 1.613s 7번째
P8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 1.818s 8번째
P9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828s 9번째
P10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2.295s 10번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3 <rowcolor=#000>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1:22.532 Q3 진출
P11 <rowcolor=#000>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 0.030s 11번째
P12 <rowcolor=#000>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 0.038s 12번째
P13 <rowcolor=#000>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0.104s 13번째
P14 <rowcolor=#000>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182s 14번째
P15 <rowcolor=#000>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0.242s 15번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2 <rowcolor=#000>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1:22.966 Q2 진출
P16 <rowcolor=#000>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051s 16번째
P17 <rowcolor=#000>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054s 17번째
P18 <rowcolor=#000>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맥라렌 - 르노)
+ 0.118s 18번째
P19 <rowcolor=#000>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394s 19번째
P20 <rowcolor=#000>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3.101s 20번째 }}}}}}}}}
2019 호주 그랑프리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프리 시즌 테스트부터 힘을 숨긴 메르세데스가 라이벌 팀들과 압도적인 기록 차이로 우세한 퀄리파잉을 펼쳤고, 메르세데스의 두 드라이버 중 디펜딩 챔피언인 루이스 해밀턴이 폴 포지션의 주인공이 되었다. 팀메이트인 보타스가 2위를 기록하며 메르세데스에겐 좋은 시즌 스타트가 될 기회를 맞이하였다. 반면, 테스트에서 티포시를 기대케 한 페라리는 모두의 예상보다 메르세데스에 대적할 만한 퍼포먼스를 보여주지 못하며 다소 아쉬운 결과를 맞이하였다. 페텔이 메르세데스 듀오에 이은 3그리드를, 이적생 르클레르가 5그리드를 확보하며 무난한 그리드를 확보하게 되었다.

어느덧 레드불 생활 4년차를 맞이한 막스는 4그리드를 확보하며 데뷔 이래 개막전 첫 포디움을 이룰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반면에, 이번 시즌 드디어 레드불의 시트를 차지한 피에르 가슬리는 Q1 세션 후반에 나오지 않고 대기하다가 예상치 못한 트랙 상황의 호전으로 인해 그보다 느린 기록을 보일 것이라 평가받던 드라이버들에게 뒤지며 17위로 충격적인 Q1 탈락을 맞이하였다. 추월이 쉽지 않은 이곳 앨버트 파크 서킷이기에 가슬리에겐 개막전부터 어려운 시즌 스타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빅3 팀의 뒤로는 하스 듀오가 자리를 차지하며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지난 시즌에 놀라운 성장을 보이며 컨스트럭터 순위도 6위까지 올린 하스는 개막전 퀄리파잉도 여타 중위권 경쟁팀들보다 안정되고 빠른 페이스를 보여주었다. 여기에 지난 시즌 마지막까지 치열한 경쟁팀이던 르노 팀은 11-12위를 차지하며 더욱 나아진 시즌 스타트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페르난도 알론소의 은퇴와 스토펠 반두른의 재계약 실패로 드라이버 라인업을 갈아엎은 맥라렌은 신예인 노리스가 8위를 차지하며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맞이하였다. 이적생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는 번뜩일만한 랩타임을 보여주지 못하며 Q1에서 탈락하는 아쉬운 결과를 맞이하였다.

고향팀으로 이적한 키미는 팀메이트이자 풀타임 첫 시즌을 맞이한 안토니오 지오비나치가 14위로 마감한 것과 달리 9위를 달성하며 노익장을 과시하였다. 그 뒤로는 새롭게 팀명을 바꾼 레이싱 포인트 팀의 선봉장인 페레즈가 10위를 차지하며 무난한 시작을 알렸다. 팀메이트이자 이적생 오너 드라이버 랜스 스트롤은 16위로 Q1 탈락을 맞이하고 말았다.

노리스와 마찬가지로 신예 드라이버 중 한 명인 알렉산더 알본은 13위로 괜찮은 성적을 거두었고, 2년만에 돌아온 다닐 크비얏은 15위로 무난한 성적을 받아들였다. 또 다른 신예인 조지 러셀은 지난 시즌보다 더욱 폭망할 조짐을 보이는 윌리엄스의 레이스카를 타고 팀메이트인 로버트 쿠비차를 1.7초 앞선 19위를 차지하며 힘든 세션을 마쳤다. WRC에서의 사고 이후 9년만에 F1에 돌아온 로버트 쿠비차는 벽과 스치며 오른쪽 뒷타이어 펑쳐를 겪은 끝에 그리드 최후미를 차지하게 되었다.

2.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파일:패스티스트랩.png
1:30:55.739 (58랩) 25+1[F]
2위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 20.886s 18
3위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22.520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 57.109s 12
5위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 58.203s 10
6위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 하스 - 페라리)
+ 1:27.156 8
7위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 1 Lap 6
8위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 Lap 4
9위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 Lap 2
10위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 Lap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11위 <rowcolor=#000>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 Lap
12위 <rowcolor=#000>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 1 Lap
13위 <rowcolor=#000>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 Lap
14위 <rowcolor=#000>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 Lap
15위 <rowcolor=#000>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 Lap
16위 <rowcolor=#000>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 Laps
17위 <rowcolor=#000>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3 Laps
DNF <rowcolor=#000>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 하스 - 페라리)
(29랩)[Wheel]
DNF <rowcolor=#000>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28랩)[Accident_damage]
DNF <rowcolor=#000>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맥라렌 - 르노)
(9랩)[Power_unit] }}}}}}}}}
패스티스트 랩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1:25.580 (Lap 57)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28.5%
2019 호주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2번째 그리드에서 시작한 발테리 보타스는 스타트 후 곧바로 첫 코너에서 루이스 해밀턴을 추월하며 간격을 벌려나갔다. 이후 아무 트러블 없이 그대로 크루징하며 여유있게 우승을 거머쥐게 되었다. 패스티스트 랩도 찍으며 1포인트를 추가로 획득한 것도 덤. 반면 해밀턴은 보타스에게 선두를 허용한 후 메르세데스의 작전의 아쉬움[5]으로 막스에게 쫓기며 2위를 지키는 데 주력하였다.

페라리는 이렇다할 페이스를 보여주지 못한 채 추월만 허용하며 레이스를 마쳤다. 제바스티안 페텔도 해밀턴과 마찬가지로 일찍이 핏스톱을 가져가며 분위기를 가져오고자 하였지만 예상보다 타이어 그립이 나오지 않아 고전하다 막스에게 추월을 허용하며 4위로 피니쉬하게 되었다. 페라리의 신예 샤를 르클레르는 종종 코너에서 런오프하며 아쉬운 경기를 하였지만, 레이스 후반 페텔을 향한 추격쇼를 보면 그 잠재력은 톡톡히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앞으로가 기대된다고 볼 수 있다.

레드불 막스 베르스타펜의 경우, 역시 평소에 보여줬던 실력대로 포디움에 들어섰지만, 피에르 가슬리는 Q1에서 탈락해 뒷 그리드에서 시작했지만 곧 11위까지 치고 올라갔음에도 불구하고, 앞에 있던 다닐 크비얏에 가로막혀 끝내 노포인트로 레이스를 마무리했다. 아직 레드불에서의 첫 레이스지만 중위권 팀인 토로 로쏘에 쩔쩔맸다는 건 좀 뼈아프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여러모로 첫 단추를 잘 끼우지 못한 결과.
중위권에서는 개막전 홈그랑프리였던 다니엘 리카르도가 스타트 직후 프런트 윙 파손으로 일찍이 경쟁에서 물러나게 되었고 결국 이 여파로 29랩에 리타이어하게 되었다. 하스는 케빈 마그누센이 6위로 진입하며 선전한 반면, 로맹 그로장은 휠이 빠지는 문제로 LAP 31에서 리타이어하게 되었으며, [6][7] 복귀전을 치렀던 어뢰 다닐 크비얏은 준수한 페이스로 포인트를 획득하게 되었다.

이번 경기 가장 아쉬운 모습을 보였던 두 팀은 맥라렌 윌리엄스. 맥라렌은 더욱 아쉬웠다고 할 수 있는데, 카를로스 사인츠는 레이스 초반 엔진이 퍼지며 놀랍지가 않다 리타이어하였고, 예선에서 8위를 차지했던 신예 랜도 노리스 알파 로메오 어느 기차를 만드신 분에게 꽁꽁 묶여 12위로 아쉽게 노포인트에 그치고 말았다. 윌리엄스는 프리시즌 테스트에서 예견되었던대로 답이 없는 페이스로 2바퀴 이상의 백마커로 레이스를 마치게 되었다. 이번 시즌도 작년과 마찬가지로 암울한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26
2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8
3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15
4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12
5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10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44
2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페라리
22
3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15
4
[[미국|]][[틀:국기|]][[틀:국기|]] 하스 - 페라리
8
5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르노
6

3. 파일:바레인 국기.svg 2R : 포뮬러 1 걸프에어 바레인 그랑프리 2019 (바레인 GP)

3.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1:27.866 1번째
P2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 0.294s 2번째
P3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 0.324s 3번째
<colcolor=#fff> P4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 0.390s 4번째
P5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886s 5번째
P6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 하스 - 페라리)
+ 0.891s 6번째
P7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맥라렌 - 르노)
+ 0.947s 7번째
P8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 하스 - 페라리)
+ 1.149s 11번째[-3][Impeding_NOR_Q1]
P9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156s 8번째
P10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 1.177s 9번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3 <rowcolor=#000>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1:29.471 Q3 진출
P11 <rowcolor=#000>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 0.017s 10번째
P12 <rowcolor=#000>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0.042s 12번째
P13 <rowcolor=#000>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055s 13번째
P14 <rowcolor=#000>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285s 14번째
P15 <rowcolor=#000>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0.383s 15번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2 <rowcolor=#000>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1:29.959 Q2 진출
P16 <rowcolor=#000>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067s 16번째
P17 <rowcolor=#000>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 0.075s 17번째
P18 <rowcolor=#000>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258s 18번째
P19 <rowcolor=#000>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800s 19번째
P20 <rowcolor=#000>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840s 20번째 }}}}}}}}}
2019 바레인 그랑프리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샤를 르클레르가 깜짝 데뷔 첫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그것도 팀메이트이자 베테랑인 페텔을 약 0.3초 차이로 누르고 따낸 폴 포지션이다. FP1부터 메르세데스에게 훨씬 빠른 기록을 보인 페라리였고, 실제로도 연습 세션 내내 페라리가 메르세데스보다 약간 우세한 기록을 이어나갔다. 이 기세를 퀄리파잉에서도 보여주며 페라리 듀오가 프런트 로우를 독점하며 좋은 결과를 맞이했다. 비록 메르세데스 듀오는 세컨드 로우에서 시작하지만, 추월이 빈번한 이곳 바레인이기에 레이스에서 역전할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5위는 막스 베르스타펜이 차지.

하스 듀오는 호주 GP에서의 상승세를 이어가는 기록을 보여주었다. 비록 시즌 극초반이지만 지난 시즌보다 조금 더 향상된 기록으로 중위권의 강호로 급부상하는 면모를 보이고 있다. 맥라렌의 사인츠도 개막전 리타이어의 아쉬움을 뒤로 하고 7위라는 좋은 위치에서 스타트한다. 고향팀으로 이적한 키미도 9위에 오르며 Q1에서 아쉽게 탈락한 팀메이트인 안토니오 지오비나치보다 더욱 좋은 기록들을 보여주고 있다.

르노로 이적한 다니엘 리카도는 아쉽게 Q2에서 탈락하며 가시밭길을 이어가고 있다. 레드불 시절까진 Q3 진출이 수월했다면, 더욱 상태가 나빠진 르노 엔진을 달고 더욱 어려운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이와 비슷하게 피에르 가슬리도 시즌 2경기만이 진행되었으나 가시밭길을 걷고 있는데, 오히려 신인 드라이버인 알렉산더 알본보다 뒤쳐진 13위를 마크하며 더욱 어려운 길을 걷고 있다.

3.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1:34:21.295 (57랩) 25
2위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 2.980s 18
3위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파일:패스티스트랩.png
+ 6.131s 15+1[F]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6.408s 12
5위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 36.068s 10
6위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 45.754s 8
7위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47.470s 6
8위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58.094s 4
9위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02.697 2
10위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03.696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11위 <rowcolor=#000>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04.599
12위 <rowcolor=#000>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 Lap
13위 <rowcolor=#000>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 하스 - 페라리)
+ 1 Lap
14위 <rowcolor=#000>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 Lap
15위 <rowcolor=#000>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 Lap
16위 <rowcolor=#000>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 Laps
17위 <rowcolor=#000>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53랩)[90%][Power_unit]
18위 <rowcolor=#000>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53랩)[90%][Power_unit]
19위 <rowcolor=#000>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맥라렌 - 르노)
(53랩)[Gearbox_issue]
DNF <rowcolor=#000>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 하스 - 페라리)
(16랩)[Collision_damage_STR] }}}}}}}}}
패스티스트 랩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1:25.580 (Lap 57)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50.23%
2019 바레인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퀄리파잉에서 트랙 레코드를 경신하며 폴 포스트에 자리잡은 샤를 르클레르는 스타팅에서 제바스티안 페텔에게 뒤처졌지만 이내 1위를 탈환하였다. 2위로 치고 올라온 루이스 해밀턴과 10초 차이를 유지하며 우승을 차지하는 듯 싶었지만 도중 엔진 이상을 느끼며 랩 48에서 루이스 해밀턴에게 1위를 뺏기고 이어 30초 차를 벌리고 있던 발테리 보타스에게도 2위를 뺏겼다. 5위로 떨어지는것까지 예상되었지만 6,7위를 달리던 르노의 니코 휠켄버그 다니엘 리카르도의 차가 멈추면서 세이프티카 랩으로 운이 좋게 포디움으로 들어왔다. 이후 인터뷰에서는 매우 아쉽다는 코멘트를 하며 다음 그랑프리에서는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겠다고 하였다.

제바스티안 페텔은 랩 38에서 루이스 해밀턴과의 2위 쟁탈전 끝에 그립을 잃어 스핀, 여기에 더해서 백마커 차량과의 충돌로 프론트 윙까지 날아가면서 5위로 경기를 끝냈다.

르노 니코 휠켄버그 다니엘 리카르도 모두 포인트권에 안착하는가 했으나, 55랩에서 두 드라이버 모두 엔진 이상으로 인해 동시 리타이어하는 불운을 맞았다. 맥라렌은 이번에도 카를로스 사인츠가 초반부에 막스 베르스타펜과의 충돌 이후 뒤처졌다가 리타이어했으나, 랜도 노리스가 6위로 피니시하며 나쁘지만은 않은 성적을 거두었다.

하스의 경우, 로맹 그로장은 경기 초반에 리타이어하여 2019 시즌 2개의 경기 모두 완주하지 못한 드라이버가 되었다. 케빈 마그누센 역시 6위로 레이스를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중위권 자리싸움에서 밀려나 13위라는 실망스러운 성적으로 레이스를 마쳤다.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44
2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43
3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27
4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26
5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22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87
2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페라리
48
3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31
4
[[스위스|]][[틀:국기|]][[틀:국기|]]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10
5
[[영국|]][[틀:국기|]][[틀:국기|]] 맥라렌 - 르노
8

4. 파일:중국 국기.svg 3R : 포뮬러 1 하이네켄 중국 그랑프리 2019 (중국 GP)

파일:6DC049D8-BCEC-4D61-A0CE-2516AF94E2E7.jpg
포뮬러 1의 1000번째 그랑프리를 기념하여 세이프티 카의 리버리를 특별히 변경하였다.

4.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1:31.547 1번째
P2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 0.023s 2번째
P3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 0.301s 3번째
<colcolor=#fff> P4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 0.318s 4번째
P5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542s 5번째
P6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383s 6번째
P7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 1.411s 7번째
P8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 1.415s 8번째
P9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 하스 - 페라리)
No time 9번째
P10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 하스 - 페라리)
No time 10번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3 <rowcolor=#000>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1:33.214 Q3 진출
P11 <rowcolor=#000>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0.022s 11번째
P12 <rowcolor=#000>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085s 12번째
P13 <rowcolor=#000>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205s 13번째
P14 <rowcolor=#000>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맥라렌 - 르노)
+ 0.309s 14번째
P15 <rowcolor=#000>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 0.753s 15번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2 <rowcolor=#000>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1:34.148 Q2 진출
P16 <rowcolor=#000>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144s 16번째
P17 <rowcolor=#000>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105s 17번째
P18 <rowcolor=#000>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133s 18번째
- <rowcolor=#000>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No time[107%] 19번째[Q]
- <rowcolor=#000>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No time[107%] PL[Q][-5][Gearbox][Survival_cell]
}}}}}}}}} ||
2019 중국 그랑프리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F1의 1000 번째 GP의 폴 포지션 주인공은 발테리 보타스였다. 불과 0.023초 차이로 팀메이트인 해밀턴을 누르며 시즌 초반 좋은 행보를 이어가게 되었고, 해밀턴도 보타스와 함께 라이벌 페라리와 현격한 차이를 보이며 좋은 출발을 이어나갔다. 아울러, 이번 퀄리파잉은 팀들의 퍼포먼스에 따라 확실하게 상응하는 결과가 나왔는데, 시즌 초반 대체로 퍼포먼스 순위대로 메르세데스-페라리-레드불-르노-하스 팀들이 나란히 톱10을 형성하는 결과가 나왔다. 반면, 톱 10에 충분히 들만한 맥라렌 팀은 두 드라이버가 14-15위를 차지하며 저조한 결과를 맞이하였다.

4.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1:32:06.350 25
2위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 6.552s 18
3위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 13.774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27.627s 12
5위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 31.276s 10
6위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파일:패스티스트랩.png
+ 1:29.307 8+1[F]
7위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 1 Lap 6
8위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 Lap 4
9위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 Lap 2
10위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 Lap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11위 <rowcolor=#000>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 하스 - 페라리)
+ 1 Lap
12위 <rowcolor=#000>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 Lap
13위 <rowcolor=#000>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 하스 - 페라리)
+ 1 Lap
14위 <rowcolor=#000>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맥라렌 - 르노)
+ 1 Lap
15위 <rowcolor=#000>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 Lap
16위 <rowcolor=#000>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 Laps
17위 <rowcolor=#000>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 Laps
18위 <rowcolor=#000>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50랩)[90%][Collision_damage_SAI]
DNF <rowcolor=#000>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41랩)[Collision_damage_SAI]
DNF <rowcolor=#000>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16랩)[Power_unit] }}}}}}}}}
패스티스트 랩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1:34.742 (Lap 55)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17.7%
2019 중국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메르세데스는 빠른 스타팅으로 선두를 이끌며 격차를 계속 벌려나갔다. 이후 레이스 중반부에 다소 어려움이 있을것처럼 보이던 더블 핏트인을 멋지게 성공하며 깔끔히 메르세데스가 3라운드 연속으로 원투피니시하였다.
메르세데스의 루이스 해밀턴은 F1 역사상 1000번째 시합을 자신의 75번째 우승으로 장식하며 2019 시즌에도 순풍이 불 것을 예고했다.

7위로 레이스를 시작한 르노의 다니엘 리카도는 엔진이상이나 큰 사고없이 무난히 포인트권에 안착하며 레이스를 끝냈다. 같은 팀의 니코 휠켄베르크의 경우 레이스 초반에 기계이상을 느끼며 리타이어하였다. 토로 로쏘 알렉산더 알본은 최후미인 20번째 그리드에서 시작했지만 선두와의 격차를 줄이면서 10등으로 경기를 끝냈다. 꼴등에서 시작해 포인트권으로 끝내는 알본의 경기력은 그를 오늘의 레이서로 뽑히게 만들었다.

패스티스트 랩은 레드불 피에르 가슬리가 종료 3랩전 기록했다.

페라리의 경우에는 샤를 르클레르 제바스티안 페텔이 각각 3,4위로 출발했다. 2위였던 발테리 보타스와의 3초차를 따라잡기 위해 르클레르는 고군분투했지만 페텔이 페이스가 더 빠르다는 이유로 11랩에서 앞을 내어달라는 팀오더를 받고 3위 자리를 내줬다. 하지만 페텔이 보타스를 따라잡으려하지 않는다고 느낀 르클레르는 페텔을 앞지르지만 다시 팀오더를 받으며 3위를 내줬다. 2번의 크로스오버로 시간을 소비한 르클레르는 결국 뒤따라오던 레드불의 막스 베르스타펜에게 4위를 뺏기고 말았다.

맥라렌의 경우 스타팅에서 토로 로쏘의 다닐 크비얏에게 카를로스 사인츠가 밀리면서 그 옆에서 달리던 랜도 노리스가 트랙밖으로 뜅겨져 나갔고 뒤쳐졌다. 랜도 노리스는 이때 뒤처진 페이스를 회복하지 못하고 결국 18위로 레이스를 끝냈다. 때문에 이렇다 할 성적을 못내고 매우 실망스러운 결과로 레이싱을 마무리했다.

하스의 경우 9,10위로 그리 나쁘지 않은 시작을 했지만 케빈 마그누센 로맹 그로장 둘 다 계속 뒤처지면서 초반 4,5,6위권 싸움에 꼭 필요한 포인트를 가질 기회를 놓쳤다.

이번 상하이 그랑프리는 F1 레이스가 1000번째로 열리는 그랑프리였기에 큰 의미가 있었지만 알렉산더 알본의 10위권 탈환 이외에는 평소 경기와 큰 차이가 있지 않았기에 많은 관중들이 실망스러운 경기였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68
2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62
3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39
4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37
5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36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130
2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페라리
73
3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52
4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르노
12
5
[[스위스|]][[틀:국기|]][[틀:국기|]]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12

5.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4라운드 : 포뮬러 1 소카[29]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 2019 (아제르바이잔 GP)

5.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1:40.495 1번째
P2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 0.059s 2번째
P3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 0.302s 3번째
<colcolor=#fff> P4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574s 4번째
P5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098s 5번째
P6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186s 6번째
P7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 1.391s 7번째
P8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929s 17번째[-10][31][32]
P9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No time 8번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3 <rowcolor=#000>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1:42.381 Q3 진출
P10 <rowcolor=#000>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맥라렌 - 르노)
+ 0.017s 9번째
P11 <rowcolor=#000>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 0.096s 10번째
P12 <rowcolor=#000>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0.113s 11번째
P13 <rowcolor=#000>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 하스 - 페라리)
+ 0.318s 12번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2 <rowcolor=#000>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1:42.486 Q2 진출
P14 <rowcolor=#000>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144s 13번째
P15 <rowcolor=#000>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 하스 - 페라리)
+ 0.921s 14번째
P16 <rowcolor=#000>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 0.941s 15번째
P17 <rowcolor=#000>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576s 16번째
P18 <rowcolor=#000>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969s PL[Parc_ferme] }}}}}}}}}
EX <rowcolor=#000>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1:43.068 (Q3) PL[Front_wing][Q]
EX <rowcolor=#000>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No time (Q2) PL[Fuel_flow][Q]
2019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퀄리파잉에선 페라리가 압승, 레이스에선 메르세데스가 강할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페라리는 Q2에서 미디엄 타이어를 사용하는 전략을 선택했는데 여기서 운명이 갈리고 말았다. 생각보다 중위권 팀이 강한 와중에 페텔은 생각만큼 페이스를 끌어올리지 못해 결국 소프트로 Q2를 통과해야했고 르클레르는 오버 페이스로 방호벽을 들이받으며 Q3에 나올 수 없게 되어 슬립스트림을 이용할 수 있는 메르세데스가 페라리를 Q3에서 이길 것이 예측되었다.

페라리가 중위권 팀을 너무 얕보았다고 할 수도 있지만 메르세데스의 레이스 페이스가 너무 좋아 이것을 메꾸기 위해 원하지 않는 도박을 할 수 밖에 없었다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Q3에서, 메르세데스는 예상대로 슬립스트림을 활용하기 위해 보타스-해밀턴 포메이션을 취했는데, 생각보다 출발이 늦어져 보타스와 해밀턴의 간격이 만족할 만큼 만들어지지 않았고, 결국 해밀턴이 자기 베스트 타임조차 갱신하지 못하며 크게 손해를 보았다. 만약 페라리가 이때 가장 먼저 나가지만 않았다면 이 빈틈을 찔러서 폴 시터를 노릴수도 있었곘지만 이를 예측하지 못 한 페라리는 페텔을 가장 선두로 내보내고 말았고, 결국 보타스-해밀턴-페텔의 순서로 퀄리파잉을 마치게 되었다.

5.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1:31:52.942 (51랩) 25
2위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 1.524s 18
3위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 11.739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7.493s 12
5위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파일:패스티스트랩.png
+ 1:09.107 10+1[F]
6위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16.416 8
7위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맥라렌 - 르노)
+ 1:23.826 6
8위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 1:40.268 4
9위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43.816 2
10위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 Lap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11위 <rowcolor=#000>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 Lap
12위 <rowcolor=#000>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 Lap
13위 <rowcolor=#000>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 하스 - 페라리)
+ 1 Lap
14위 <rowcolor=#000>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 1 Lap
15위 <rowcolor=#000>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 Laps
16위 <rowcolor=#000>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 Laps
DNF <rowcolor=#000>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38랩)[Driveshaft]
DNF <rowcolor=#000>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 하스 - 페라리)
(38랩)[Brakes]
DNF <rowcolor=#000>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33랩)[Collision_damage_RIC]
DNF <rowcolor=#000>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31랩)[Collision_damage_KVY] }}}}}}}}}
패스티스트 랩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1:43.009 (Lap 50)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17.6%
2019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메인 레이스에서는 초반 샤를 르클레르가 Q3를 불참했음에도 사고로 인해 새 타이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받았고, 차량 2대가 핏레인 스타트 페널티를 받으며 8그리드에서 출발하는 어마어마한 이득을 보았다. 결국 그 이득을 살려 피트 스탑이 없는 전략을 선택하여 선두에서 달렸으나, 타이어가 닳면서 점점 선두권 드라이버들에게 추격당하여 4위로 내려 앉은 후에 첫 피트 인, 소프트 타이어를 끼운채로 피에르 가슬리 뒤로 진입하였으나 소프트 타이어를 끼웠음에도 점점 선두권의 발테리 보타스, 루이스 해밀턴, 제바스티안 페텔, 막스 베르스타펜과의 시간이 벌어지면서 48랩에 피트에 재 진입, 또 한번 소프트 타이어를 끼우며 3라운드에서 피에르 가슬리가 시도했던 패스티스트 랩 미션을 수행하기로 하였으며, 이를 50랩에 패스티스트 랩으로 성공시키면서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로 선정되었다.

페텔은 지속적으로 메르세데스 듀오를 압박했지만 예선에선 페라리가 강하고, 본선에선 메르세데스가 강할 것이라고 예측한 것이 그대로 적중해 레이스 페이스가 몇 초 뒤처면서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다. 만약 미디엄으로 출발해 소프트로 교체하는 전략을 취할 수 있었다면 레이스가 어떻게되었을지 알 수 없는 수준의 차이긴 했지만 결국 페라리의 숏런은 미디엄으로 Q2를 통과하기엔 충분하지 못했고, 페라리는 또한번 메르세데스에게 우승을 내어줄 수 밖에 없었다.

르끌레는 이런 페텔을 우승시키기 위해 메르세데스 듀오를 막는 전략을 노렸지만 메르세데스는 철저하게 타이어를 관리하다가, 르끌레가 팀 러닝을 위해 페이스를 끌어올리지 않는다고 판단하자 순식간에 페이스를 끌어올려 르끌레에게 어택을 했고, 슬립스트림의 효과가 절대적인 바쿠에서 타이어가 소모된 르끌레가 보타스와 해밀턴을 막아 낼 방법은 존재하지 않았다. 다만 피트인 한 이후로도 여전히 무력한 모습을 보여주며 결국 막스 뒤에서 레이스를 마친것은 아쉬운 부분인데. 페텔이 비교적 연료가 많던 레이스 초반에도 소프트로 괜찮은 모습을 보여준 데 반해 르끌레는 영 좋지 못한 모습으로 막스와 간격이 계속 벌어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타이어 관리에 약한 드라이버는 아닌데 이런 모습을 보여 준 것을 보면 Q2에서의 충돌 이후 정신적으로 다소 타격이 있었다고 보는것이 맞을 듯 하다.

그 이외엔 생각보다 빠른 페이스를 보여준 맥라렌 듀오와 그런 맥라렌을 압도한 페레즈가 중위권에서 인상적이었고, 핏레인 스타트를 했음에도 또한번 포인트 피니쉬를 기록한 키미 라이코넨 또한 인상적이었다.

하스는 고질적인 타이어 온도 관리문제가 타이어 온도를 올리기 어려운 바쿠에서 본격적으로 터져나와 형편없는 레이스페이스를 보여주며 무력하게 레이스를 마쳐야했다.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2019 하스는 결코 좋은 순위를 얻지 못 할 것이다.

또한 신뢰도와 출력을 향상시킨 혼다의 새 엔진이 아제르바이잔에서 도입되었는데, 막스 베르스타펜이 초반에 엔진 브레이크에 문제가 있는 듯한 모습을 보였으나, 이내 세팅을 바꿔서 해결하였다. 막스의 두 번째 스틴트는 빠른 속도로 페텔과 따라 붙으면서 레이스 중후반의 유일한 긴장감을 유발하였는데, VSC로 인한 타이어 온도 저하와 드라이브 샤프트 문제를 우려한 팀 오더로 비롯된 페이스 다운으로 포디움은 좌절되었다. 가슬리의 경우 올 시즌 들어 가장 나은 페이스를 보여주면서 중위권 팀들과 차이를 벌렸으나, 16번 코너의 연석을 타고 넘은 것이 원인인 것으로 보이는 드라이브샤프트 문제로 이내 리타이어 하였다.

르노의 다니엘 리카도는 레이스 당일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듯 했지만 추월이 절대 불가능한 코너에서 휠락이 걸리며 크비얏을 가로막고, 심지어 차가 얽힌 상태로 후진을 하며 크비얏의 플로어를 깨먹는 어처구니없는 실수를 보여 주었다. 올 해 들어 부진한 것은 맞지만 이러한 실수를 하기엔 연차가 너무 많은 드라이버이기 때문에 작년부터 이어진 불운에 의한 가벼운 슬럼프가 의심된다.

메르세데스의 듀오는 올 시즌 1~3라운드에서 늘 그랬듯이 1, 2위를 차지한 이후로는 본인들간의 후반부 배틀을 제외하면 별다른 문제 없이 달리며 개막 후 4라운드 연속으로 원투피니시를 해냈다.

전반적으로는 이전의 명성에 비해 재미는 없었으나, 2016 시즌이 생각나게 만든다는 레이스였다.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87
2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86
3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52
4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51
5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47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173
2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페라리
99
3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64
4
[[영국|]][[틀:국기|]][[틀:국기|]] 맥라렌 - 르노
18
5
[[영국|]][[틀:국기|]][[틀:국기|]]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17

6. 파일:스페인 국기.svg 5라운드 : 포뮬러 1 에미레이트 그란 프레미오 데 에스파냐 2019 (스페인 GP)

여러모로 메르세데스의 독주가 우려스러울수밖에 없는 그랑프리였지만, 페라리,레드불의 업데이트 조기도입, 메르세데스가 그것을 방관하는 모습을 보였고, 메르세데스가 A스펙 카를 태스트하느라 현재 차로는 스페인 마일리지를 적게 쌓았기 때문에 언론은 생각보다는 조용했다.

메르세데스가 이기는 한이 있더라도 그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을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리고 실제로 P1때, 메르세데스는 시종일관 차를 제대로 다루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며 페라리에 비해 속도가 조금 앞설 뿐, 충분히 파고들어갈 여지가 있는 팀으로 보였다. 하지만 P2때 이미 차를 거의 가다듬은 모습을 보여 주면서 팬들의 할말을 잃게 만들었다.

6.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1:15.406 1번째
P2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 0.634s 2번째
P3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 0.866s 3번째
<colcolor=#fff> P4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951s 4번째
P5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 1.182s 5번째
P6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302s 6번째
P7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 하스 - 페라리)
+ 1.505s 7번째
P8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 하스 - 페라리)
+ 1.516s 8번째
P9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2.167s 9번째
P10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 2.700s 13번째[-3][4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3 <rowcolor=#000>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1:17.299 Q3 진출
P11 <rowcolor=#000>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 0.039s 10번째
P12 <rowcolor=#000>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0.146s 11번째
P13 <rowcolor=#000>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맥라렌 - 르노)
+ 0.300s 12번째
P14 <rowcolor=#000>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489s 14번째
P15 <rowcolor=#000>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587s 15번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2 <rowcolor=#000>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1:18.385 Q2 진출
P16 <rowcolor=#000>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 0.019s PL[Parc_ferme]
P17 <rowcolor=#000>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080s 16번째
P18 <rowcolor=#000>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273s 18번째[-5][Gearbox]
P19 <rowcolor=#000>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0.681s 19번째[-5][Gearbox]
P20 <rowcolor=#000>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863s 17번째 }}}}}}}}}
2019 스페인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퀄리파잉에서 매우 충격적인 0.866초의 격차를 보여주었다. 그것도 중위권 팀과 우승 팀도 아니고, 2위팀과 1위 팀의 예선 타임 차이가, 그것도 랩타임이 1분10초대가 나오는 짧은 서킷에서 0.86초가 넘게 벌어진것이다. 발테리 보타스가 슈퍼랩을 보여주며 압도적인 폴 포지션 기록을 차지하였고, 컨스트럭터 2위 팀인 페라리의 페텔과 이만큼 큰 차이가 나온 것이었다.
보타스와 페텔의 랩타임 비교

이외에는 바르셀로나 서킷의 특징답게 팀들의 퍼포먼스에 따른 결과가 거의 그대로 나온 퀄리파잉이었다. 하스 듀오가 모처럼 동반 Q3 진출에 좋은 결과를 내며 익일 레이스를 기대케 만드는 것 외에는 별다른 이변 없이 퀄리파잉이 마무리되었다.

6.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파일:패스티스트랩.png
1:35:50.443 (66랩) 25+1[F]
2위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 4.074s 18
3위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7.679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 9.167s 12
5위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 13.361s 10
6위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9.576s 8
7위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 하스 - 페라리)
+ 28.159s 6
8위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맥라렌 - 르노)
+ 32.342s 4
9위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33.056s 2
10위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 하스 - 페라리)
+ 34.641s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11위 <rowcolor=#000>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35.455s
12위 <rowcolor=#000>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 36.758s
13위 <rowcolor=#000>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 39.241s
14위 <rowcolor=#000>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41.803s
15위 <rowcolor=#000>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46.877s
16위 <rowcolor=#000>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47.691s
17위 <rowcolor=#000>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 Lap
18위 <rowcolor=#000>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 Lap
DNF <rowcolor=#000>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44랩)[Collision_NOR]
DNF <rowcolor=#000>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44랩)[Collision_STR] }}}}}}}}}
패스티스트 랩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1:18.492 (Lap 54)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19.9%
2019 스페인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여태까지는 페라리가 여러 불운으로 인해 결과가 나빴다고 할 수 있지만, 순수하게 실력대 실력의 승부라고 할 수 있는 예선에서 벌어진 말도 안 되는 격차에 스페인 GP 본선에선 F1 시청자 수 마저 급감했고, 레이스에서는 스타트에서 페텔의 위협을 제외하면 메르세데스가 단 한번도 위협받지 않는 상황 속에서 레이스가 끝나버렸다.

마이너섹터 분석 영상과, 코너 속도 분석을 보면 올해도 페라리는 직선에서 강하고 코너에서 약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 까지는 좋았는데. 작년에 비해 코너에서의 격차가 너무 크게 벌어졌다. 마치 직빨에 올인한 레이싱 포인트와 메르세데스의 차이 처럼 코너에 들어가기만 하면 벌어지는 격차에 직선에서 조금 더 빠른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었다. 팬덤에선 SF90을 드래그스터라고 비하하는 사람들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었다.

더 큰 문제는 페라리는 이제서야 어디 구간에서 느린지 알아차렸을 뿐, 구체적으로 그래서 왜 느린가, 어떻게 나아질 수 있는가에 대한 아무런 해답이 없다는 것이다. 올해 SF90이 그냥 코너 들어가는 순간부터 탈출해서 완전히 직선으로 나갈 때 까지, 모든 구간에서 압도적으로 느리다는것 만 확인 할 수 있었다. 물론 이것도 수확이 없었다고는 할 수 없지만 이 성적표를 바탕으로 미래를 그리기에는 너무나도 절망적인 성적이었다.

레드불 또한 다르지 않았다. 올해 내내 계속되던 바터밍은 사라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나마 장점으로 취급되던 다운포스, 차체의 완성도 측면에서 마저 메르세데스에게 완벽하게 추월당한 것을 확인해야 했고, 구체적으로 어디가 문제인지, 무엇을 어떻게하면 발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아무런 대안도 없는 것 또한 페라리와 마찬가지였다. 다만 확실한건 막스가 예선에서 르클레르를 이긴 것으로 확인 할 수 있듯이, 페라리와의 간격은 확실하게 좁혀졌다. 그것이 레드불의 발전인지 페라리의 퇴보인지는 좀 더 확인해야겠지만.

하스는 분명한 발전이 있었다. 메르세데스와 마찬가지로 바지보드에 업데이트를 집중적으로 투자해 왔는데. 그 성과인지 아니면 노면 온도가 높았기 때문인지는 다음 그랑프리까지 지켜봐야겠지만 예선 뿐 아니라 본선에서도 완전체로 거듭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아직도 르노,맥라렌과의 간격은 크지 않다는 것 또한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로장과 사인츠의 다소 과격한 배틀로 인해 그로장이 크게 손해를 보면서 그로장이 1포인트 획득으로 만족해야 했던 것은 아쉬운 점.

맥라렌은 메르세데스와 유사한 컨셉의 프론트윙을 페라리/토로 로쏘식 사이드워싱 프론트윙으로 바꾸어서 노즈에서 발생되는 다운포스가 요잉에 취약한 문제를 더욱 크게 개선 해 왔다. 토로로쏘 또한 마찬가지인데 토로로쏘는 타이어를 미처 준비하지 못 하고 더블스탑을 시도했다가 크게 실패하며 순위경쟁에서 밀려났기때문에 이번 업데이트가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 할 수 있는 시간이 적었다.

다만 포인트적인 측면에선 사인츠가 세이프티카의 이득을 크게 받으며 8위로 마무리 할 수 있었다.

르노는 리카도의 Q3진출에도 불구하고 저번 레이스로 인한 3그리드 페널티/사인츠의 방어를 돌파하지 못 함으로 인해 포인트 획득에 실패했다.

레이싱 포인트는 Q3에서 약한 팀은 스페인에서 이길 수 없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몸소 증명해주며 그랑프리를 마무리 했다. 심지어 스트롤과 노리스의 충돌로 리타이어까지 발생하고 말았다.

전체적으로 르노,맥라렌,토로 로쏘,하스까지의 페이스에 큰 차이가 없는 격전지였기때문에 예선과 사고로 크게 결과가 갈렸다. 레이싱 포인트는 올해도 저속구간에선 여전히 약하기대문에 모나코까지는 크게 기대 할 수 없을 듯 하고,
알파 로메오는 업데이트에 빠르게 적응해서 얻었던 이득이, 두차례에 걸친 에어로 업데이트 끝에 거의 사라졌다는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메르세데스식 프론트윙이, 바지보드가 발전하면 발전할수록 더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프론트윙으로 인한 이득을 그대로 가지고 가기도 힘들어 보이는 상황이라 더욱더 미래가 어둡다.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12
2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105
3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66
4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64
5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57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217
2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페라리
121
3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87
4
[[영국|]][[틀:국기|]][[틀:국기|]] 맥라렌 - 르노
22
5
[[영국|]][[틀:국기|]][[틀:국기|]]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17

7. 파일:모나코 국기.svg 6라운드 : 포뮬러 1 그랑프리 드 모나코 2019 (모나코 GP)

파일:ED0F171F-30CB-44FE-8CFC-CE8049744388.jpg
모나코 GP 시작 전, 비보가 전해졌다. 스쿠데리아 페라리 맥라렌 F1 팀에서 3번의 월드 챔피언을 따낸 레전드이자 메르세데스에서 지난 시즌까지 스태프로 활동한 니키 라우다가 향년 70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 이에 모든 팀들은 그간 많은 업적과 함께 F1을 빛낸 라우다를 위해 추모하였고, 메르세데스는 라우다의 상징인 붉은 모자를 나타내는 붉은 도색을 헤일로에 도색하여 그를 기렸다.

7.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1:10.166 1번째
P2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 0.086s 2번째
P3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475s 3번째
<colcolor=#fff> P4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 0.781s 4번째
P5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875s 8번째[-3][Impeding_GRO_Q2]
P6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 하스 - 페라리)
+ 0.943s 5번째
P7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 1.052s 6번째
P8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105s 7번째
P9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맥라렌 - 르노)
+ 1.251s 9번째
P10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487s 10번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3 <rowcolor=#000>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맥라렌 - 르노)
1:11.608 Q3 진출
P11 <rowcolor=#000>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 0.062s 11번째
P12 <rowcolor=#000>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 0.116s 12번째
P13 <rowcolor=#000>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 하스 - 페라리)
+ 0.419s 13번째
P14 <rowcolor=#000>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507s 14번째
P15 <rowcolor=#000>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577s 18번째[-3][Impeding_HUL_Q1]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2 <rowcolor=#000>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1:12.097 Q2 진출
P16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 0.052s 15번째
P17 <rowcolor=#000>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136s 16번째
P18 <rowcolor=#000>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749s 17번째
P19 <rowcolor=#000>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380s 19번째[-5][Gearbox]
P20 <rowcolor=#000>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654s 20번째 }}}}}}}}}
2019 모나코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프런트 로우는 큰 이변 없이 메르세데스 듀오가 독점하였고, 그 뒤로는 모나코에서 강한 레드불 팀의 막스가 3위를 기록하였다. 페텔과 가슬리가 그 뒤를 이으며 여기까진 큰 이변이 없었으나, 또 다른 빅3 팀의 드라이버이자 홈 그랑프리를 맞이한 샤를 르클레르가 충격의 Q1 탈락을 맞이하였다. 타이어를 아끼기 위해 페라리는 르클레르를 내보내지 않았는데, 오히려 후미권의 드라이버들이 나란히 기록을 경신하며 거짓말같이 Q1 탈락을 맞이하였다.

7.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1:43:28.437 (78랩) 25
2위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 페라리)
+ 2.602s 18
3위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 메르세데스)
+ 3.162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5.537s[+5s][Unsafe_release] 12
5위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파일:패스티스트랩.png
+ 9.946s 10+1[F]
6위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맥라렌 - 르노)
+ 53.454s 8
7위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54.574s 6
8위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55.200s 4
9위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 르노)
+ 1:00.894 2
10위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 하스 - 페라리)
+ 1:01.034[+5s][Pit_Exit]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11위 <rowcolor=#000>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 맥라렌 - 르노)
+ 1:06.801
12위 <rowcolor=#000>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 Lap
13위 <rowcolor=#000>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 르노)
+ 1 Lap
14위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 하스 - 페라리)
+ 1 Lap[+5s][Track_advantage]
15위 <rowcolor=#000>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 Lap
16위 <rowcolor=#000>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 Lap[+5s][Track_advantage]
17위 <rowcolor=#000>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 Lap
18위 <rowcolor=#000>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 Lap
19위 <rowcolor=#000>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2 Laps
DNF <rowcolor=#000>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 페라리)
(16랩)[Accident_damage] }}}}}}}}}
패스티스트 랩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1:14.279 (Lap 72)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 레드불 레이싱 - 혼다)
23.3%
2019 모나코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메르세데스의 6연속 원투피니시는 실패했지만 연속 1위 피니시는 그대로 이어졌다.

해밀턴과 베르스타펜의 1초 이내의 배틀은 마지막까지 짜릿하게 이어졌다. 그러나, 막스는 피트레인에서 보타스와의 충돌로 5초 페널티를 받았기에 2위로 결승선을 통과하고도 포디엄에 오르지 못했다.

가장 안타까운 드라이버는 르클레르이다. 홈 그랑프리였고 FP3에서 1위를 기록하면서 분위기가 물 올랐었다. 하지만 퀄리파잉에서 페라리 팀 크루의 치명적인 실수로 막판 타임을 재지 못했고 결국 Q1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레이스에서는 라스카스에서 무리하게 추월을 시도하다 오른쪽 리어 타이어가 방호벽에 부딪히면서 펑쳐가 났고 이 펑처로 인해 플로어가 거의 박살이 나면서 결국 리타이어를 하게 되었다.

그로장은 소프트 타이어로 피트스톱없이 무려 51랩을 달리는 모습을 보여주며 5위까지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주기도했다. 최종성적은 9위로 마감하면서 포인트를 따내는데 성공.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37
2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120
3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82
4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78
5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57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257
2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페라리
139
3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110
4
[[영국|]][[틀:국기|]][[틀:국기|]] 맥라렌 - 르노
30
5
[[영국|]][[틀:국기|]][[틀:국기|]]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17


[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 [Wheel] 레이스 도중 타이어가 빠져 리타이어. [Accident_damage] 드라이빙 실수로 인해 레이스카 누적 대미지를 입어 리타이어. [Power_unit] 파워 유닛 문제로 리타이어. [5] '왜 이리 빨리 들여보냈냐'는 해밀턴의 징징이 있었다. [6] 아이러니하게도 지난 시즌 개막전에서도 똑같은 일로 리타이어하였다. 이는 마그누센도 마찬가지. [7] 팀 라디오에서는 서스펜션 문제라고 대화가 오갔지만 앞서 피트인에서 문제가 되었던 휠 채결 관련 문제일 가능성이 커보인다. 다만 이 경우에는 팀에서 벌금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서스펜션 문제라고 퉁치는듯 [-3] 3 그리드 페널티 [Impeding_NOR_Q1] Q1에서 랜도 노리스의 플라잉 랩을 방해하여 페널티 부여. [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 [90%] 레이스 전체 거리의 90% 이상을 주파하여 순위 인정. [Power_unit] [90%] [Power_unit] [Gearbox_issue] 기어박스 문제로 리타이어. [Collision_damage_STR] 스트롤과의 충돌 사고 이후 레이스카 누적 대미지로 인해 리타이어. [107%] Q1 1위 기록의 107%를 초과. [Q] 스튜어드들의 허가를 받아 레이스 출전. [107%] [Q] [-5] 5 그리드 페널티 [Gearbox] 기어박스 교체로 인한 페널티 부여. [Survival_cell] 서바이벌 셀 교체로 인해 피트레인 스타트. [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 [90%] [Collision_damage_SAI] 사인츠와의 충돌 사고 이후 레이스카 누적 대미지로 인해 리타이어. [Collision_damage_SAI] [Power_unit] [29] 아제르바이잔 국영 정유 회사. [-10] 10 그리드 페널티 [31] 3번째 CE(Control Electronics) 교체이다. [32] CE(Control Electronics)는 파워유닛에 있는 5가지 유닛을 조절하고 관리하는 전자장치이다. 참고로, 파워 유닛에는 ICE(내연 기관), MGU-K, MGU-H, ES(에너지 저장), TC(터보차져), CE가 있는데 이러한 유닛들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며 F1 레이스카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Parc_ferme] 파크 페르메 상태에서 레이스카 셋업을 변경하여 피트레인 스타트. [Front_wing] 프런트 윙의 휘어지는 정도를 측정하는 디플렉션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해 실격. [Q] 스튜어드들의 허가를 받아 레이스 출전. [Fuel_flow] 100 kg/h의 유량 리미트를 초과하여 실격. [Q] [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 [Driveshaft] 드라이브샤프트 문제로 리타이어. [Brakes] 브레이크 문제로 리타이어. [Collision_damage_RIC] 리카도와의 충돌 후 레이스카 누적 대미지로 인해 리타이어. [Collision_damage_KVY] 크비얏과의 충돌 후 레이스카 누적 대미지로 인해 리타이어. [-3] [44] 직전 경기에서 다닐 크비얏과의 충돌로 페널티 부여. [Parc_ferme] [-5] [Gearbox] [-5] [Gearbox] [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 [Collision_NOR] 노리스와의 충돌로 리타이어. [Collision_STR] 스트롤과의 충돌로 리타이어. [-3] [Impeding_GRO_Q2] Q2에서 그로장의 플라잉 랩을 방해하여 페널티 부여. [-3] [Impeding_HUL_Q1] Q1에서 니코의 플라잉 랩을 방해하여 페널티 부여. [-5] [Gearbox] [+5s] 5초 페널티 [Unsafe_release] 피트스톱 직후 보타스와의 언세이프 릴리즈로 페널티 부여. 최종 4위로 내려갔다. [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 [+5s] [Pit_Exit] 피트 출구 라인을 가로질러 간 이유로 페널티 부여. 최종 10위로 내려갔다. [+5s] [Track_advantage] 트랙을 벗어나 시간 이득을 본 것에 대해 페널티 부여. [+5s] [Track_advantage] [Accident_damage]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4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4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