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1 13:23:38

파이널 판타지 III(3D 리메이크)


<colbgcolor=#000><colcolor=#fff,#ddd> 파이널 판타지 III (3D 리메이크)
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ーIII (3D REMAKE)
FINAL FANTASY III (3D Remake)
개발 Matrix Software, DotEmu
유통 스퀘어 에닉스
장르 JRPG
플랫폼 닌텐도 DS | iOS | Android | PSP | Windows
발매일 NDS ^2006-08-24^
iOS ^2011-03-24^
Android ^2012-06-27^
PSP ^2012-09-20^
Windows ^2014-05-27^
한국어 지원 비공식 지원[1] | 자막 지원[2] | 미지원[3]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평가용.svg 평가용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등급 분류 거부
심의 예정(한국)
심의 없음(한국)
##
파일:ESRB Everyone.svg ESRB E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
파일:CERO A.svg CERO A
##
파일:EOCS 전연령.gif EOCS 전연령
파일:EOCS E12.gif EOCS E12
파일:EOCS E15.gif EOCS E15
파일:EOCS 18금.gif EOCS 18금
##
파일:PEGI 3.svg PEGI 3
##
파일:USK 0 로고.svg USK 0
파일:USK 12 로고.svg USK 12
파일:USK 16 로고.svg USK 16
파일:USK 18 로고.svg USK 18
##
파일:ACB General.svg ACB G
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 ACB PG
파일:ACB Mature Accompanied.svg ACB MA15+
파일:ACB Restricted(R18+).svg ACB R18+
파일:ACB Refused Classification.svg ACB RC
##
파일:GSRR G 로고.svg GSRR G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PG 12
파일:GSRR PG 15 로고.svg GSRR PG 15
##
파일:CADPA-8+.png CADPA 8+
파일:CADPA-12+.png CADPA 12+
파일:CADPA-16+.svg CADPA 16+
상점 페이지 파일:스팀 아이콘.svg |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1. 개요2. 원작과의 차이3. 이식4. 한국어 지원5. 도전과제6.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이널 판타지 III은 다른 타이틀이 원더스완, 플레이스테이션, GBA로 리메이크/이식되는 동안 단 한 번도 이식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작품이다. 원더스완으로 이식하려고 했고 스크린샷까지 공개되었지만 원더스완의 매상 부진, 세대교체 조짐, 패미컴의 한계를 뛰어넘는 프로그램이었던 파이널 판타지 III 탓에 원더스완의 스펙 부족 등으로 무기한 연기 및 중지되고 말았다. 또한 닌텐도가 패미컴판 그대로 GBA용으로 발매하기 위해 스퀘어에 데모를 제작하여 들고갔는데 스퀘어에서는 그것을 거절했다고 한다. PS2로의 제작도 고려되었으나 마찬가지로 묻혀버리게 되었다.

그러다가 NDS의 시대에 와서 단순 이식도 아닌 풀 3D 그래픽으로 리메이크되었다. 원작 개발에 관여했던 다나카 히로미치가 총괄 프로듀서와 디렉터를 맡았는데 마찬가지로 당시 관여하고 있던 파이널 판타지 11의 영향을 받아 직업 등의 밸런스가 조절되었다. 때문에 원작과 게임 내용에 다소 차이가 있다.

2. 원작과의 차이

  • 설정의 변경
    • 원작의 '수몰된 세계'가 리메이크되면서 '시간이 정지한 세계'가 되었다.
    • 주인공들의 설정이 우르 마을 출신에서 외부 세계의 시간이 정지할 때 시드에게 구출된 아이들로 바뀌었다.
    • 주인공들에게 개성이 부여되었다. 단순히 4명의 소년에서 루네스, 아르크, 레피아, 잉거스라는 디폴트 네임과, 저마다의 배경과 성격을 가진 소년, 소녀들로 차별화되었다.
    • 최초에 4명의 주인공은 서로 모르는 사이이며, 루네스 혼자 제단 동굴에 추락, 마을 친구인 아르크, 대장장이의 딸 레피아, 사순 성의 기사 잉거스를 하나 하나 만나 함께 진을 봉인한 뒤 계시를 받고 본격적으로 모험을 떠난다.
    • 원작에서 사라가 호감을 가지는 캐릭터는 선두 캐릭터였다. 말하자면 선두 캐릭터를 바꿀 때마다 호감을 표시하는 캐릭터도 바뀌었다는 이야기. 이것이 리메이크되면서 잉거스로 고정되었다.
  • 직업들의 사양이 변경되었다.
    • 디폴트 직업이 양파기사에서 스핑으로 변경되고, 양파기사는 Wi-Fi 기능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숨겨진 직업이 되었다. 타기종 이식판에서는 Wi-Fi 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불의 크리스탈 입수 이후의 이벤트로 입수할 수 있다.
    • 실크스의 탑(크리스탈 타워) 안에 있는 에우레카를 돌다보면 얻게되는 직업인 닌자 현자는 원작에서는 숨겨진 최강 직업이었다.(닌자는 모든 무기 장비, 현자는 모든 마법 사용). 그러나 리메이크에서는 땅의 크리스탈을 얻게되면 기본적으로 얻게되며 원작과 달리 엄청나게 너프되었다.[4] 닌자는 그래도 강하므로 많이 쓰이나 현자는 리메이크에서 그냥 버려지는 직업.
  • 최종 보스인 어둠의 구름의 스펙이 개선되었다. 항목 참고.
  • 보스들의 HP가 원작의 2배 정도가 되었으며 한 턴에 두 번 행동한다.
  • 사라를 비롯한 동행 캐릭터들이 그냥 따라다니며 회화하는 수준이 아닌 일정 확률로 마법을 사용하여 적을 공격하거나 아군을 지원한다.
  • 기기의 한계로 인해 전투에서 등장하는 몹들의 수가 기본적으로 최대 3마리, 일부 이벤트에서만 최대 4마리로 제한되어 있다.[5]
  • 그리고 숨겨진 보스로 철거인이 추가되었다.

3. 이식




NDS판 발매 후 iOS, Android, PSP, PC로 이식이 이루어졌다. iOS, Android, PSP 이 세 버전의 공통사항으로, 기기의 시스템 언어에 맞춰서 게임 언어가 결정된다. 지원하는 언어가 없는 경우에는 영어로 표기되며, 게임상에서 변경할 수 없다. 표시 언어를 변경하려면 기기의 시스템 언어를 변경해야 한다.

NDS판에 비해 BGM 음질도 소폭 개선되었다.[6]

iOS판은 터치 조작을 지원하며 iOS 게임 치고는 높은 가격으로 제공되고 있다. 2020년 2월 28일 업데이트로 공식적으로 한국어를 지원한다. Android 버전도 iOS 버전과 마찬가지로 높은 가격(18,500원)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다른 모든 특징 역시 iOS 버전과 동일하다. 2013년 3월 21에 액토즈소프트를 통하여 한글판이 발매되었다. 구글 플레이 버전은 2013년 6월 26일에 한국어가 추가되었다.

PSP판은 2012년 9월 20일에 발매되었으며, 가격은 일본판 기준 3800엔이다. iOS, Android 버전을 베이스로 제작되었고, 여기에 고속화 및 자동전투 기능과 갤러리 모드가 추가되었으며, 오리지널 BGM을 선택할 수 있다. L,R버튼으로 맵 확대/축소, 스타트 버튼으로 전체 맵(필드만)을 볼 수 있다. PSP 버전에 추가된 기능들은 이후 2020년 2월 28일, 다른 이식작들에도 업데이트로 오리지널 BGM 선택기능을 제외하고 모두 추가되었다.

PC판은 2014년 5월 27일 스팀을 통해 PC판이 발매되었다. NDS판과 같은 사양으로 텍스쳐 필터가 없어서 PC판인 것 치고는 그래픽이 매우 나쁘다.

파일:camp01_ph01.jpg
"거기 숨겨진 통로 있다." 신문을 읽으시며 가르쳐 준 아버지는, 그 시절 빛의 전사셨다.

PSP판은 캐치프라이즈로도 유명하다. 공모와 팬 투표로 선정된 캐치프라이즈로, 20년 간 이어진 시리즈 연혁과 파판 시리즈를 통한 부자의 유대를 드러내어 유명한 게임 캐치프라이즈를 선정할 때면 반드시 빠지지 않는 편이다.

4. 한국어 지원

NDS판은 한글패치팀 한가람에 의해 비공식 한글패치가 공개되었다. 이후 이식작들 중 PSP판을 제외한 iOS, Android, PC판은 공식적으로 한국어를 지원한다.

5. 도전과제

총 18개의 도전과제가 있으며 1회차에 모두 달성이 가능하다. 다만 상자 열기, 몬스터 도감 등은 타이밍을 놓치면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 스토리 진행
    • Gone Adventuring with the Wind
      진을 격퇴하고 바람의 크리스탈 획득
    • Some Like It Hot
      샐러맨더를 격퇴하고 불의 크리스탈 획득
    • Release the Kraken
      크라켄을 격퇴하고 물의 크리스탈 획득
    • Quelling the Tremors
      티탄을 격퇴하고 땅의 크리스탈 획득
    • Warriors of Light
      어둠의 구름 격퇴
  • 쉽게 달성
    • For a Rainy Day
      현재 보유한 소지금이 50,000 길
    • Who Wants to Be a Gillionaire?
      현재 보유한 소지금이 500,000 길
    • My Little Esper
      소환수를 획득
    • No Such Thing as Too Many
      모든 소환수를 획득
    • Glutton for Arms
      금단의 땅 에우레카에서 모든 무기를 획득
  • 놓치기 쉬움
    이벤트 경과에 따라 재방문이 불가능한 지역이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 Nose for Treasure
      보물 상자 50% 열기
    • I, My, Me, Mine
      모든 보물 상자 열기
    • Collecting is Half the Battle
      몬스터 도감 50% 완성
    • Filling Up the Grotesquerie
      몬스터 도감 완성
  • 파고들기 요소
    • One Sword to Slay Them All
      전설의 대장장이로부터 알테마 웨폰을 입수
    • Steely Resolve
      철거인 격퇴
    • When I Grow Up I Want to Be...
      한 직업 숙련도를 99로 달성
    • Jack of All Trades
      전 캐릭터의 모든 직업 숙련도를 99로 달성
      한 직업의 숙련도를 99로 달성하기 위해 단순 작업시 약 2시간이 소요된다. 기본 직업인 스핑을 포함한 모든 직업이 23개이기에 단순 계산시 46시간 소요. 스토리 진행간에 자연스레 직업 숙련도가 올라간 것을 감안하더라도 40시간은 투자해야되는 고된 과제이다.

6. 기타

PC판은 발매 초기 한국에 지역락이 걸려있었다. 그러다가 2020년 2월 28일 업데이트부터 공식적으로 한국어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대사가 게임 화면을 뚫고 나와서 대사를 제대로 읽을 수 없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나 언어 불문으로 전세계에서 발생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라 개발사 또한 당연히 이 문제를 확인했다고 하며 이후 3월 24일 업데이트로 해결되었다.

PSP판은 공식 한국어화는 물론이고 비공식 유저 한글 패치도 나오지 않았으나 에뮬레이터( PPSSPP)를 이용해서 다른 기종들보다 훨씬 좋은 그래픽으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PSSPP에서 3편을 구동하면, 텍스쳐 업스케일링을 사용하면 프레임 드롭이 쉽게 일어나는 1,2,4편[7]과는 달리 비교적 저사양의 Android 기기에서도 최고해상도+텍스쳐 업스케일링을 최상 옵션으로 먹일 수 있다. 다만 에뮬레이터는 어디까지나 비정상적인 플레이 방법이라는 걸 명심해야 하며 애당초 그래픽이 별로 좋은 게임이 아니므로, 그래픽에 신경쓰지 않고 플레이할 것이라면 텍스쳐 업스케일링 정도는 무시할 수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NDS [2] iOS, Android, Windows [3] PSP [4] 리메이크 기준으로 닌자는 나이프, 암흑검, 표창만 장비가능, 현자는 소환마법이 "환술사"와 같으며 도사, 마인에 비해 지성,정신은 물론 MP마저 후달린다. [5] 후속작인 파이널 판타지 IV의 3D 리메이크는 이런 제한 문제가 없다. [6] NDS판은 뭔가 살짝 MIDI느낌이 나지만 나머지 이식작들은 원음에 가까운 BGM을 들려준다. [7] 3편과 달리 1, 2, 4편은 PSP판 전용 2D 그래픽으로 새롭게 만들어졌다. 저사양 기기에서 구동은(텍스쳐 업스케일링을 한다면 더욱) 부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