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3631, #D9534F 20%, #D9534F 80%, #C63631); color: #ece5b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북위 北魏 | ||||
추존 (탁발부 수령) | |||||
성제 | 절제 | 장제 | 명제 | 안제 | |
선제(宣帝) | 경제 | 원제 | 화제 | 정제 | |
희제 | 위제 | 헌제 | 성무제 | 신원제 | |
문제 | 장제 | 평제 | 사제 | 소제 | |
환제 | |||||
추존 황제 | 대나라 국왕 | |||||
목제 | 평문제 | 혜제 | 양제 | 열제 | |
소성제 | 헌명제 | ||||
추존 황제 (도무제 이후) | |||||
경목제 | 팽성무선왕 | 효선제 | 무목제 | 선제(先帝) | |
비정통 | |||||
양려왕 | 효명제의 딸 | 유주 | 북해왕 | 여남문선왕 | |
문경제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37000, #A67F00 20%, #A67F00 80%, #937000); color: #ece5b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구지 前仇池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양무수 | 양난적 | 양의 | 양초 | 양국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비정통 | ||
양준 | 양세 | 양찬 | 양통 | ||
후구지 後仇池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양정 | 양성 | 양현 | 양보종 | 양난당 | |
제6대 | 제7대 | ||||
양문덕 | 양보치 | ||||
탕창 宕昌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양근 | 양미홀 | 양호자 | 양미지 | 양미기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양미박 | 양미힐 | 양미승 | 양미합 | 양미옹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
양미태 | 양헌정 | 양미정 | 양노감 | ||
등지 鄧至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상서치 | 상서자 | 상굴탐 | 상서팽 | 상남제 | |
등지 鄧至 | 염위 冉魏 | ||||
제6대 | 추존 | 추존 | 초대 | 말대 | |
상첨함 | 원제 | 고제 | 평제 | 해빈후 | |
환초 桓楚 | 서연 西燕 | ||||
항목 참조 | 항목 참조 | ||||
대 代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목제 | 보근왕 | 대왕 | 평문제 | 혜제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부흥 | |
양제 | 열제 | 소성제 | 헌명제 | 탁발규 | |
초촉 譙蜀 | 적위 翟魏 | 선우조 鮮于趙 | 왕씨 정권 王氏 | ||
초대 | 초대 | 초대 | 추존 | 초대 | |
성도왕 | 하남공 | 선우걸 | 태상황 | 태평제 | |
우문부 宇文部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보회 | 막나 | 막괴 | 보발 | 구불권 | |
제6대 | 제7대 | ||||
막규 | 실독관 | 걸득귀 | 일두귀 | ||
단부 段部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일륙권 | 걸진 | 무목진 | 취륙권 | 섭부진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말파 | 단아 | 단료 | 단란 | 단감 | |
제11대 | |||||
단근 | |||||
}}}}}}}}} |
북위 추존 황제
|
|||
<colbgcolor=#DC143C><colcolor=#ece5b6> 대 제4대 국왕
탁발울률 | 拓跋鬱律 |
|||
출생 | 연대 미상 | ||
서진
운중군
성락 (現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시 허란거얼현) |
|||
사망 | 321년 | ||
서진
운중군
성락 (現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시 허란거얼현) |
|||
능묘 | 미상 | ||
재위기간 | 제4대 국왕 | ||
316년 ~ 321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C143C><colcolor=#ece5b6> 성씨 | 탁발(拓跋) | |
휘 | 울률(鬱律) | ||
부황 | 사황제 | ||
모후 | 불명 | ||
황후 | 평문황후 왕씨(平文皇后 王氏) | ||
묘호 | 태조(太祖) | ||
시호 | 평문황제(平文皇帝) |
[clearfix]
1. 개요
중국 오호십육국시대 선비족 탁발부의 수령이자 대나라의 제4대 국왕.탁발부의 수령이었던 탁발불[1]의 아들이었다. 탁발울률은 사후 북위가 건국되자 태조(太祖) 평문황제(平文皇帝)로 추존되었다.
2. 생애
316년 대왕 탁발보근의 왕자가 태어나자마자 죽자 대왕으로 즉위했다. 318년 유호(劉虎)의 침략을 격파한 후 오손과 지금의 지린성 일대를 점령했으며, 이때의 탁발부는 당시 문헌에서 매우 강력한 나라로 묘사되었다.321년 탁발부 중부(中部)의 수령이었던 탁발의타의 정처 기씨가 탁발울률 개인의 강함과 민심의 지지가 자신의 아들 탁발하녹[2]에게 난처해지는 상황이 올 것을 두려워한 나머지 탁발울률을 살해했다. 이후 탁발하녹이 즉위했으나 쿠데타로 인해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후 탁발울률의 후손인 탁발규가 북위를 건국하고 황제에 즉위하자 탁발울률은 태조 평문황제로 추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