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01:49:51

타이라노 키요모리

타이라노 기요모리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2년에 제작 및 방영된 일본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타이라노 키요모리(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
(공석)
(공석)
[[나라 시대|
나라 시대
]]
(공석)
(공석)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남북조시대(일본)|
남조
]]
(공석)
[[남북조시대(일본)|
북조
]]
(공석)
(공석)
(공석)
(공석)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공석)
(공석)
[[에도 시대|
에도 시대
]]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메이지 시대|
메이지 시대
]]
(공석)
(폐지)
내각총리대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px; padding: 0"
}}}}}}}}}}}}

타이라노 키요모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역대 내대신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내대신부 내대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px; padding: 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남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px; padding: 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무가관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px; padding: 0"
}}}}}}}}}}}}}}}


파일:agehachou-w.png
헤이시 정권 최고 권력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제2대
타이라노 키요모리 타이라노 무네모리
섭관 · 원정 · 헤이케 · 가마쿠라 · 무로마치
오다 · 도요토미 · 에도 · 내무경 · 총리
}}}}}}}}}}}}
일본국 태정대신
타이라노 키요모리
平淸盛
파일:Taira_no_Kiyomori_Portrait_by_Fujiwara_Tamenobu_and_Takenobu.png
<colbgcolor=#bd0029><colcolor=#DCA600> 생몰년도 1118년 ~ 1181년
신장 180cm[1]
재임기간 내대신
1166년 ~ 1167년
태정대신
1167년[2]


[clearfix]

1. 개요

일본 헤이안 시대 말기의 무장이자 정치가. 흔히 현대 일본에서 라이벌을 뜻하는 '겐페이'의 페이(平)가 이 사람과 그 집안을 일컫는다.[3]

일본판 무신 정권을 연 사람으로, 천황과 정통 귀족인 공가(公卿)가 다스리던 중세 일본의 질서를 뒤집었다. 무장 출신으로서는 일본사상 최초로 정3품 이상 당상관에 올랐으며, 최상위 귀족 집단이었던 후지와라 집안 중에서도 소수 파벌만 독점했던 종1위 태정대신의 자리를 빼앗았다.

그러나 막부를 따로 열지 않은 과도기적 성격을 갖고 있어 교토 로쿠하라에서 천황 쿠게들을 힘으로 찍어 누를 뿐이었다. 결과적으로는 교토 조정의 모순은 물론, 백성들의 피폐한 삶과 지방의 혼란 역시 그대로여서 정변에 취약한 단점을 갖고 있었다. 불운하게도 권력의 정점에 서자마자 그가 세상을 떠났고, 아니나 다를까 반대 세력이 결집하자 곧 정권을 잃고 단노우라 결전의 패배로 멸문한다. 후대 일본의 무신 정권들은 도요토미 정권을 제외하곤 막부를 따로 열어 교토 조정과 거리를 두게 된다.

통칭 헤이다이쇼고쿠(平大 相國[신자체]), 입도상국(入道相國[にゅうどうしょうこく]), 로쿠하라도노[六波羅殿] 등으로 불린다.

2. 생애

이세(伊勢) 타이라 가문의 두령인 타이라노 타다모리의 적장자로 태어났다.[7] 간무 헤이시(桓武平氏) 가문은 간무 덴노의 방계 후손들이다. 그의 집안은 그 중에서도 이세 헤이시(伊勢平氏)로 현재 미에 현 일대에 장원을 가진 대대로 무장 가문이었다.

당시 일본의 무장 가문들은 마치 우리의 고려 전반기처럼 귀족들에게 무시를 당했으며, 조정에서도 좀처럼 하위 품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당시 일본 조정은 천황과 그 측근들인 후지와라 씨들이 파벌들을 이뤄 내부 경쟁을 할 뿐이었다. 그런데 마침내 무장들에게도 기회가 왔다. 소위 인세이(원정, 상황 정치)라는 전임 천황이 상황으로 물러나 권력을 휘두르는 비정상적인 권력 구조의 모순이 심화되는 상황에 무장들이 권력자들의 아귀 다툼에 이용되면서 권력의 핵심에 좀 더 가까와졌다.

중세 일본은 장원 제도가 있어 귀족과 그 측근들이 땅(장원)을 내려받았는데, 점점 권력을 가진 무장 집안들이 높아진 공훈을 바탕으로 지방 근거지에서 힘을 길렀다.[8] 타이라노 마사카도의 난 이후 타이라 씨 일족 중 이세 지방에 자리잡고 실력을 기른 가문이 '이세 헤이시'이다.

어린 시절부터 시라카와 인의 측실 기온노 뇨고가 양모처럼 그를 돌보았다고 한다.[9] 시라카와 천황이 무려 43년 간 꼭두각시 천황들을 부리고 정치를 할 때 타이라노 타다모리와 그의 일족은 제일 앞에 섰다. 그 결과 키요모리가 성인식을 올리던 불과 12세 때 종5위하 사효에노스케(従五位下左兵衛佐)직에 제수됐다.

1153년이 돼 35세가 된 그는 가문의 수장인 타다모리가 사망하면서 후계 두령이 되었다. 타다모리가 숨질 때쯤 되면 이세 헤이시는 무시할 수 없는 세력으로 자라 있었고, 키요모리도 북면의 무사직과 관직을 얻어 나갔다.

이런 출세나, 후에 가격에 따른 관직의 제한이 엄격한 시절에 비 공경 출신임에도 태정대신에 오르는 것에서 사실 황가의 사생아라는 사실이 알려졌고, 그것이 출세에 반영된 것이 아니냐고 보는 시각도 있다. 아직 젊은 키요모리의 하인들이 야사카 신사에서 난투극을 벌였음에도 토바 천황의 개입으로 가벼운 처벌을 받았을 정도.

1156년 황가와 후지와라 셋칸케의 내분이 폭발하여 카와치 겐지 헤이케가 모두 두 패로 갈라져 내전을 벌인 호겐의 난(保元の亂)에서 카와치 겐지(河内源氏)인 미나모토노 요시토모[10]와 연합하여 승리해 고시라카와 덴노의 신뢰를 얻었으며, 이후에는 맹우였던 요시토모와 패권을 두고 싸우게 되었다.

요시토모와 키요모리가 교토에서 격돌한 헤이지의 난(平治の乱)에서 니조 덴노 편을 들어 겐지와 싸워 승리하였고, 도망치던 요시토모는 오와리 국의 우츠미에서 부하에게 배신당해 살해당했다.[11]

이후 무사로서는 최초로 태정대신에 임명되어 실권을 잡고 타이라 가문의 전성기를 열었다. 문제는 이때 겐지 일족을 처결하면서 요시토모는 죽였으나 그 아들들은 의모 이케노젠니(池禅尼)의 탄원에 의해 목숨을 뺏지 않고 유배형에 처했는데 이것이 훗날 타이라 가문 몰락의 계기가 되었다.

이후 일족을 공경으로 들여보내고, 후지와라 셋칸케의 씨장자를 사위로 맞았으며, 이후 셋칸케의 막대한 장원을 대신 관리하는 등 그 권세가 하늘을 찔렀다.

대외 교역에도 열성을 보여 새 수도인 후쿠하라쿄를 중심으로 송나라와의 교역을 통해 막대한 이문을 남겼다. 처제 타이라노 시게코를 고시라카와 법황의 측실로 들여보내 그 사이에서 난 다카쿠라 덴노를 옹립한 후 사위로 삼아 외척 가문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황가와 셋칸케의 외척으로서 그 세력은 하늘을 찔러 이 시대에는 "헤이케( 타이라씨)가 아닌 자는 사람도 아니다(平家にあらずんば人にあらず)"라고 할 정도로, 헤이케의 권세는 절대적인 것이었다. 이 당시 헤이케는 공포정치를 편 것으로 악명이 높았는데, 카무로(禿)라고 불리는, 머리를 일자로 깎은 소년들을 정보원으로 이용한 밀고의 장려 및 숙청을 자행했다고 전한다.[12]

1177년 천황가의 외척이 되어 헤이케의 핏줄을 이어받은 황자를 낳는 등 너무도 강대해진 그의 세력에 대한 고시라카와 법황 측의 견제가 계속되었고,[13] 헤이케 제거의 음모가 드러나면서(시시가타니 사건), 이에 격노한 키요모리는 인의 측근들을 처형하거나 유배보냈고,[14] 아들 타이라노 시게모리의 매형이던 후지와라노 나리치카까지 유배 후 아사시켜버렸다. 이후 불안하게 평온을 찾던 조정은 시게모리 사후 고시라카와인이 시게모리의 영지를 몰수하게 되면서 다시 요동치게 되었다. 공경들조차 탄식하던 이 사건에 분노한 키요모리는 군사를 이끌고 후쿠하라에서 상경하여 고시라카와 법황을 도바 이궁에 유폐해버리기에 이른다. 이후 다카쿠라 덴노를 퇴위시켜 인세이를 행하게 하고, 천황위에는 키요모리의 외손이었던 갓난아이 안토쿠 덴노를 즉위시키게 되니 그는 상황의 장인이며 동시에 천황의 외조부라는 일본 역사에 전무후무한 위치까지 오르게 되었고 헤이케 천하는 영원할 듯했다.

그러나 고시라카와 법황의 제2황자인 모치히토 왕이 겐지이지만 헤이지의 난에서 헤이케 편을 든 미나모토노 요리마사[15]와 모의하여 각지의 겐지 생존자에게 헤이케 토벌 센지[16]를 하달하며 거병하였다.

이 봉기는 실패로 끝났지만 모치히토 왕의 피살을 계기로 결국 각지의 겐지 잔당과 그에 호응하는 호족들이 봉기하게 되었다. 이외에도 정치적인 세력으로 성장한 불교 사원의 발호와, 무리한 후쿠하라쿄로의 천도와 실패[17]로 헤이케의 세력은 쇠퇴하기 시작했고 결국 헤이케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 여기에는 후쿠하라쿄 건설이나 잦은 황족들의 죽음으로 인해 그 혼을 위로하고자 하던 법회의 비용 등을 무리하게 징수하면서 지방 무사들의 불만이 쌓였던 것이 배경이 되었다. 여기에 어디까지나 무사이던 타이라 가문은 한창 황가와의 결혼을 추진해 귀족 지위에 오르려 애를 쓰고는 있었으나 그 역사가 오래지 않았기 때문에 후지와라 셋칸케나 황가와 같은 권위가 없었고, '같은 급'이었던 겐지 일족들은 자신들의 영화를 되찾고자 앙앙불락하고 있었다.

동국에 유배되었다가 이즈의 호족 호조씨의 사위가 되었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등도 때를 같이 하여 세력을 규합하게 되는데, 키요모리는 이에 대한 진압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열병으로 쓰러졌고, 결국 일어나지 못하며 64세로 생을 마감하였다.

그의 유언은 '뒷일은 무네모리에게 맡기며, 다른 의견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었으며, < 헤이케모노가타리>에서는 '장례나 불공을 말라. 단지 요리토모의 목을 쳐 내 묘전에 가져오라. 이를 공양으로 여기라'[18]는 무시무시한 유언을 남겼다고 하는데, 이는 피도 눈물도 없는 전국시대의 무사라면 있을 법한 얘기지만 헤이안 말기에는 보다 문화적이고 인간적인 풍토가 있었고, 헤이케 역시 귀족적 성향을 강하게 띠고 있었기 때문에 패배한 겐지의 잔당을 각지에 유배 보내는 선에서 그칠 정도였다.[19] 따라서 이는 작가의 창작으로 여겨지나[20] 당시 조정의 공가였던 쿠조 카네자네의 일기 <교쿠요(玉葉)> 요와 원년 8월 1일 기사에, 요리토모의 거병 뒤에 조정에서 무네모리에게 요리토모와의 화해를 권유하자 "내 아들, 내 손자로써 단 한 명만이 살아남는다 해도 그 시신은 요리토모 앞에서 보여야 할 것이다!"[21]라는 키요모리의 유언을 들며 거절했다고 실려 있어, 원래 했던 이야기가 후대에 각색된 것일 가능성도 있다.

3. 후계자와 헤이케 멸망

장남 타이라노 시게모리는 "등롱대인"이라 불리는 독실한 불교신자이자 현명한 인격자였으나 아쉽게도 병사했다.[22] 차남 모토모리 또한 요절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3남인 타이라노 무네모리가 후계자로 낙점되었다.

하지만 무네모리가 어리석은 인물이기도 하고, 각지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지 못하자 쇠락을 거듭하여, 키요모리 사후 불과 4년 만인 1185년, 단노우라 전투에서 패망하였다. 당시 어린아이에 불과했던 안토쿠 덴노 역시 삼종신기와 함께 바다에 뛰어들어 헤이케의 핏줄은 천황가에서 끊기고 말았다.[23] 헤이케는 이로써 멸망했으나, 헤이케의 잔당이나 패잔병이 헤이케의 후손을 남겼다거나 하는 전설[24] 혹은 그들과 관련있는 유물/유적이 각지에 전해지고 있으며, 이외에도 여러 가지 루트로 살아남은 헤이케의 후예들은 이후에도 여러 무가를 이루었다. 그래서 그 후손들이 현대에 결성한 종친회도 남아 있다.

4. 평가

키요모리는 《 헤이케모노가타리》에서 비정한 성격으로 공포정치를 행하는 폭군처럼 묘사되었기에[25] 현대에도 이 인상이 강하지만, 다른 사료들을 종합하여 보면 실제로는 온화하고 인정이 많으며 의리가 있는 성격이었다고 한다. '아무리 하찮은 자리에 있는 이라도 그 가족 앞에서는 큰 역할을 맡은 이처럼 대우했기 때문에 그들이 가족 앞에서 크게 면목이 서서 기뻐했다.'는 기록 등을 보면 실제로 픽션에서 묘사된 폭군이었을 가능성은 낮다. 폭정으로 민심을 잃었다지만 민심은 사실 천황가-후지와라가-불교 세력-각종 반란 세력-헤이케가 돌아가며 권세 부리던 헤이안 시대 내내 일반적으로 시궁창이었고, 겐지가 드디어 헤이케를 몰아내고 쿄토로 우당탕 밀고 들어오자 '아잇 x팔 차라리 헤이케 놈들이 나았네' 소리가 나올 정도였다.[26] 사실 헤이케모노가타리를 포함한 고전 문학에서 권력자가 민심을 잃었다는 것은 민본주의나 현대 민주주의적 관점에서 백성의 지지를 잃었다기보단 천황가, 귀족계, 불교계, 무가 등 기득권 세력을 불만족시켜서 정치생명을 잃었다는 뜻에 가깝다.

헤이케모노가타리》 자체에서도 의외로 인간적인 묘사가 나오기도 한다. 가족들이 징징대거나 남이라도 성의 표시를 하면 곧잘 들어주는데, 고시라카와 법황과 후지와라노 나리치카[27]가 자길 말 그대로 조지려는 걸 알고 먼저 죄다 조지려다가도 맏아들 시게모리와 동생 노리모리(둘 다 나리치카랑 인척 관계다)가 징징대자 못 이겨서 일단 살려주고, 헤이케한테 연공서열을 털린 도쿠다이지 사네사다라는 인물이 헤이케의 수호신을 모신 이츠쿠시마 신사에 찾아와서는 솔직하게도 승진 좀 시켜달라 기도하니 좌대신으로 쿨하게 승진시켜주는 호쾌한 면도 있다.[28] 딸이 병이 들자 안절부절하며 덕을 베푼다고 남은 나리치카 일파도 사면해준다.[29] 낙향해 있다가도 시게모리가 죽을 병에 걸렸다니 당장 송나라 명의를 구해 보내고 잉잉 울면서 호다닥 상경한다.[30]

게다가 사실 폭군이라지만 이 사람이 정복적으로 누굴 선빵 치는 일이 없다. 조정과 불교 세력의 대립을 오히려 말리는 입장이었고, 결국 중들이 칼 들고 수도로 쳐들어 오자 수방사 담당인지라 천황의 명으로 중간에 낑겨서 괜히 피 보고 원망만 먹는다. 헤이케가 휘말리는 거의 모든 문제의 발단은 황실, 귀족, 그리고 나기나타 들고 패싸움하는 각 유명 권력형 사찰[31]의 조직폭력 땡중들이 '헤이케 놈들 지방에서 굴러먹던 것들이 요새 건방져'하며 선빵을 날리는 것인데[32], 이에 사방에서 억까당해 세상 억울한 키요모리가 급발진하려 하고 그나마도 선비 컨셉인 시게모리[33]가 브레이크를 걸어 어찌저찌 원만히 수습되는 것이 《헤이케모노가타리》의 초반 패턴이다. 그런데 시게모리는 중간에 아버지보다 먼저 병사하여 그 브레이크가 고장나버리고, 여기다 또 고시라카와 법황이 눈치도 없게 시게모리 49재 중에 여기저기 놀러다니고 냉큼 시게모리 장원을 몰수하여 키요모리를 열이 뻗치게 하면서 본격적인 노브레이크 막장 드라마가 펼쳐지는 것이다. 《헤이케모노가타리》의 화자는 지속적으로 온갖 미신적 불길한 징조를 열거하고 황실과 귀족과 불교 심기를 건드렸으니 헤이케는 조만간 떡락한다는 소리를 주구장창 해대지만 적어도 오늘날 시선으로는 도대체 누구들이 악당인지 갸우뚱한 부분이 많다.

전체적으로, 키요모리에게 붙은 분수 모르는 폭군 이미지 형성에는 헤이안 시대 귀족문화의 꼰대 기질(...)과 신토와 불교 신앙적 온갖 터부, 가마쿠라 막부 측의 프로파간다 공작이 많이 기여한 것으로 여겨진다.

송나라와의 교역을 위한 거점으로써 지금의 고베 지역에 신도시 후쿠하라쿄를 건설하면서 그 앞바다에 인공섬 쿄가시마(経が島)를 조성하였는데, 이 때 매립공사가 수월하게 진행되지 않아서 오래된 미신에 따라 동자 30명을 바다에 제물로 던져서 공양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이에 키요모리는 '사람 먹고 살자고 하는 공사인데 사람을 죽일 수는 없다.'며 거절하고 대신 불경을 적은 돌을 매립부지에 던져 넣어서 공사를 마칠 수 있었다는 내용이 나온다.

최근의 현대적인 해석에서는 키요모리가 아닌 헤이케 일족의 인물들이 과격하게 행동했던 것으로 평가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그는 상술된 관대한 성격 때문에 일족의 전횡에 대해서도 눈감아주는 경우가 지나치게 잦아서 참지 못한 무사들과 귀족들이 헤이케 일족을 적대시하고 민심 이반이 일어나 결국은 이를 틈탄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를 중심으로 반 헤이케 세력이 대두해 타이라 일족의 멸망을 제공한 실책을 범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불교 사원들과 자주 충돌을 빚었는데 이는 열렬한 불교 신자였던 천황가의 지지를 잃어 나중에 고시라카와 법황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거병을 인정해주는 대가를 맞이한다. 그래도 정치적 재량뿐만 아니라 군사적인 재능도 뛰어났던 인물이었다.

최근에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타이라노 키요모리는 기득권층의 반대를 무릅쓰고 200년 동안이나 중지된 한국, 중국과의 재교역에 매우 적극적이었다. 이 점만큼은 고시라카와 덴노와 죽이 맞았던 모양으로, 이에 천마들이 날뛰는 시대냐고 후지와라 씨족이 씹어대는 기록까지 나온다.

결국 취소되기는 했지만, 타이라노 키요모리가 천도 시도를 한 후쿠하라쿄는 다름아닌 현 고베시다. 현재 국제적인 무역항으로 번성을 누리고 있는 고베로 천도하려고 했다는 것은 그의 적극적인 해외교역 정책과 더불어 국제 교역에 후쿠하라가 유리하다는 것을 잘 알았다는 뜻이다. 물론 천년고도(千年古都) 교토의 이명을 보면 알다시피 후쿠하라 천도는 실패로 끝났으나 이건 키요모리가 잘못했다기보다는 교토 기득권층의 거센 저항과 각종 천재지변이 겹친 탓이었다.

일본 역사학계에서는 가마쿠라 막부처럼 별도의 정치체계를 만들지 않고 천황의 조정에 의지하였기 때문에 한때는 구시대적인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지만, 현재는 실질적으로 무가 정권을 시작한 것은 키요모리라는 평가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오히려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헤이케 무가 정권을 잘 관찰하고 벤치마킹해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켰다는 것이 중론이다.

키요모리의 아버지인 타다모리 때까지만 해도 이세 헤이시 등 무사 가문은 중앙 정계에서 무시받는 존재였다고 한다. <헤이케모노가타리>에 의하면 키요모리의 아버지 타다모리는 출세해 공적과 인품 덕에 주위에서 좋은 평가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기득권자인 교토의 귀족들에게는 벼락출세한 자라고 무시당해서, 토바 상황의 앞에서 춤을 출 때 귀족들에게 '이세의 술병은 맨병이로다'[34]라고 그의 이름과 장애를 가지고 조롱했다고 할 정도. 일본에서는 이 굴욕적 사건이 키요모리의 출세욕, 권력욕에 불을 붙였다는 문학적인 평가나 해석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아버지 타다모리가 숨지기 1년 전인 1147년에는 야사카 신사에서 신관들과 키요모리의 하인들 사이에 다툼이 일어나 부하가 성지인 신사에 화살을 쏘고 격분한 신관들과 헤이케 하인들 사이에 난투극이 벌어졌는데, 신사의 상위격인 엔랴쿠지의 승려들이 키요모리 부자를 유배하라는 청원을 하며 고소[35]를 일으켰음에도 불구하고 토바 상황이 보호해줘서 가벼운 처벌로 끝났다. 한때는 저런 굴욕을 당했던 헤이케의 존재감이 20여년 사이에 일변해 있었음과, 천황가와 헤이케의 관계상을 보여주는 일화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위키백과의 본 항목이나 고시라카와 천황 항목을 참조할 것.

5. 가족 관계

その先祖を尋ぬれば桓武天皇第五の皇子、一品式部卿葛原親王九代の後胤、讃岐守正盛が孫、刑部卿忠盛朝臣の嫡男なり。かの親王の御子、高見王、無官無位にして失せ給ひぬ。その御子、高望王の時、初めて平の姓を賜はつて、上総介に成り給ひしより、たちまちに王氏を出でて人臣に列なる、その子鎮守府将軍良望、後には國香と改む。國香より正盛に至る六代は、諸国の受領たりしかども、殿上の仙籍をば未だ赦されず
그 선조를 돌아보면 간무 천황(桓武天皇)의 다섯째 황자(皇子), 1품 식부경(一品式部卿)[36] 가즈라와라 친왕(葛原親王)[37]의 9대(代)[38] 후윤(後胤)으로 사누키노카미(讃岐守)[39] 마사모리(正盛)[40]의 손자요[41], 형부경(刑部卿)[42] 다다모리(忠盛)[43] 아손(朝臣)[44]의 적남(嫡男)[45]이라. 저 친왕의 아드님 다카미 왕(高見王)은 무관무위(無官無位)로 하여 세상을 떠나셨더라. 그 아드님 다카모치 왕(高望王)의 때에 처음으로 다이라(平)라는 가바네(姓)를 내리시어, 가즈사노스케(上総介)가 되시고, 곧바로 왕씨(王氏)를 떠나 인신(人臣)에 드옵시니,[46] 그 아들 진수부장군(鎮守府将軍) 요시모치(良望)는 뒤에 구니카(國香)로 고쳤다. 구니카로부터 마사모리에 이르기 6대, 여러 구니(国)의 수령이시긴 하였으되, 전상(殿上)의 선적(仙籍)은 여직 내려받지 못하셨더라.
- 헤이케 이야기 제1장 '기원정사',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선대를 설명하면서

정실인 타카시나노 아키코와의 사이에 타이라노 시게모리, 타이라노 모토모리[47], 계실인 타이라노 토키코[48]와의 사이에 타이라노 무네모리, 타이라노 토모모리, 타이라노 시게히라 등이 있었으며, 타이라노 아츠모리는 그의 조카였다. 다카쿠라 덴노의 황후인 타이라노 도쿠시는 그의 딸로 그녀의 아들인 안토쿠 덴노는 키요모리의 외손자가 된다. 또 다른 딸인 모리코는 고노에 가문의 당주 후지와라노 모토자네에게 시집보내 고노에 가문과 연을 맺었고, 장남 시게모리의 처는 고시라카와 상황의 측근 후지와라노 나리치카의 여동생을 맞는 등 공경과 실세 집안과도 인연을 맺고 권력을 확대해 나갔다.

6. 대중문화 속의 타이라노 키요모리

6.1. 불새/난세 편

데즈카 오사무의 만화 불새/난세 편에서도 원평합전 즉, 미나모토노 요시츠네가 활약하던 시대를 배경으로 타이라노 키요모리를 등장시킨다. 비극의 영웅으로 알려진 요시츠네를 피도 눈물도 없는 잔인한 인물로 묘사한 것과 마찬가지로, 타이라노 키요모리 역시 세간의 악명과는 달리 세상살이 속의 거친 파도, 집안사람들에 대한 난폭하고 교만하다는 세간의 평판[49] 사이에서 고뇌하는 소심한 늙은 가장으로 묘사된다.[50] 일본 측 위키에서도 「식구들에게는 성실하고 다정한 아버지」라는 키요모리의 이미지를 구현한 선구적 작품으로 평가받는다는 설명을 남기고 있다.

영원한 생명을 얻기 위해[51] 불새를 쫓고 있었지만 그가 찾은 불새는 단순히 화려한 깃털을 가진 공작새일 뿐이었고, 죽기 전에 환각으로 본 진짜 불새의 피를 마셔서 불로불사의 생명을 얻은 경우의 비참한 운명[52]보단 그냥 지금 죽는 게 낫다는 걸 알고 죽음을 맞이한다.

죽은 뒤 미나모토노 요시쓰네와 함께 붉은 원숭이와 흰 개로 환생한다.[53] 원숭이로 환생한 상태에서 꿈을 꾸는데, 여기서 어린 시절 키요모리 자신이 겪었던 수모(귀족들로부터 무사가 천대받던 시대였다)와 그 수모를 품고 악착같이 살았던[54] 인간 시절의 자신을 나레이션과 함께 회상으로 보여준다.

6.2. 머나먼 시공 속에서

머나먼 시공 속에서 3의 등장인물. 성우는 아사카와 유우.

헤이케의 동량. 현 시점에서는 죽은 인물이다.

6.2.1. 스포일러

그가 급사한 것은 오니 일족의 저주로 용맥의 힘을 헤이케의 번영을 위해 쓰다가 무사시보 벤케이가 용맥을 끊으면서 그 저주의 반동으로 죽은 것이다. 하지만 삼종의 신기의 힘으로 다시 부활. 게임 내에서는 어린 아이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헤이케 지상주의자로, 잔혹하고 성격변화도 격렬하다. 원령이 된 뒤 기억도 일부 잃었는지 아리카와 마사오미 타이라노 시게모리로 착각하고 있다. 생전에는 마사오미를 아들과 닮았다며 따뜻하게 맞아주는 등 인격자였던 모양이다. 루트에 따라서는 자신의 착각을 바로 잡고 마사오미의 이름을 부르고 자신을 시게모리가 있는 곳으로 보내달라고 하는 등 제정신을 차릴 때도 있다.

여기서는 시라카와 법황의 사생아라는 속설을 따르고 있는 모양이다. 자신은 헤이케가 아니라는 마사오미의 말에(이때는 여전히 마사오미를 시게모리로 착각하고 있었다) 자신도 헤이케가 아니지만 헤이케를 이끌고 있다며 독려했다.

참고로 운명의 미궁의 팬텀이 바로 그다. 원령이 되기 전의 그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정확히는 젊은 시절의 모습으로, 다키니텐에게 잡아먹힌 뒤로 기억을 잃고 방황하고 있는 상태이다. 덤으로 운명의 미궁 PSP 애장판 특전으로 동봉된 UMD 금지된 문을 플레이하게 될 시에는 마사오미가 헤이케로 흘러 들어오게 된 시점에 노조미가 같이 흘러가게 되었을 경우의 if 스토리가 그려지며, 여기서는 처음 마사오미와 만났을 무렵의 나이 많은 키요모리가 등장한다. 이쪽은 이노우에 카즈히코가 연기했다.

6.3. 먼나라 이웃나라

일본 역사편에서 등장하며, 전형적인 권신 이미지로 묘사했다.

6.4. 무쌍 오로치

타이라노 키요모리(무쌍 오로치 시리즈) 항목 참조.

6.5. NHK 대하드라마 타이라노 키요모리

일본 NHK 대하드라마 시리즈의 51번째 작품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 바람.

6.6. 노부나가의 야망

파일:平淸盛.jpg
파일:平清盛 1.jpg
100만인의 노부나가의 야망
특전무장으로 등장한다. 대부분 콘솔용으로 등장한지라 창천록를 제외하면, 볼 수가 없다.

창천록 pk판 특별 커스텀마이징 무장으로 등장. 통솔 71 지력 98 정치 96이라는 그야말로 먼치킨 무장이다.

6.7. 토탈 워: 쇼군2/사무라이의 태동

파일:7SCbYfJ.png
후쿠하라 타이라 팩션의 리더로 등장하지만 게임 시작 시점이 1175년이라 얼마 못쓰고 거의 아들인 무네모리나 토모모리로 플레이하게 된다.

6.8. 차나왕 요시츠네

  • 타이라노 키요모리 - 최종 보스 포지션의 인물. 일본 양대 무가 중 하나인 헤이지 일족의 장이며 일본 전역의 집권자로 천황을 능가하는 절대 권력자이다. 우시와카마루(로 위장한 효타)와 처음 만난 후, 우시와카마루가 헤이케에게 강한 위협이 될 것을 직감한다. 다른 찌질한 악역들과는 달리 우시와카마루를 죽이려고 암살자도 자주 보내고 계략을 쓰기도 하고 심지어 군대까지 동원하는 등 어떻게든 해치우려고 한다. 하지만 부하들은 키요모리가 아니었기에 효타에게 역관광당하거나 오히려 효타의 인품에 끌려 협력했고, 결국 효타는 키요모리의 손이 닿지 않는 오우슈로 도망쳐버리고 말았다. 죽기 전 요시츠네에게 요리모토는 헤이케에 빼앗긴 권력에만 관심있지 백성들 민생에 관심 없다고 일갈하는데 정말로 그 말대로 요리모토는 가마쿠라 막부를 만들고 이는 에도 막부 전까지 무사들이 조정을 대신하여 무단통치와 내전이 밥먹듯이 일어나는 500년 전국시대의 시작이었다.

6.9. 헤이케모노가타리/애니메이션

헤이케모노가타리 애니판에서는 노년의 모습으로 나오며, 성우는 겐다 텟쇼. '재미'만을 찾는 인물로 묘사된다. 그래서인가 약간 좀 막나가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 항상 진지한 아들 시게모리에게 "넌 참 재미라는 걸 모른다"며 핀잔을 자주 건다.

다만 교역에 관심이 많던 점을 고증하여 바다로의 진출을 추진하는 진취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시게모리에게 교토에서의 헤이케의 도료를 맡기면서 자신은 후쿠하라로 물러나 그곳 경영에 힘쓰겠다고 하면서 자신의 계획을 설명하는데, 이쓰쿠시마 신사 증축 계획을 설명하면서 "우리 일문이 번영한 것은 바다가 있었기 때문이니 바다에 감사해야 하지 않겠느냐", "후쿠하라에 큰 선박이 드나들 수 있는 큰 항구를 만들고, 지금까지 다자이후에서만 해 오던 대중국 교역도 후쿠하라에서 할 것이다" 등 기요모리 자신이 갖고 있던 바다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세상에 대한 안목을 드러낸다.

실제 역사에서 보였던 관대한 성품은 별로 부각되지 않지만, '낮은 지위에 있는 사람에게도 그 가족 앞에서는 중요한 요인을 대하듯 우대했으므로 사람들이 공경했다'는 평가를 반영한 것인지 비와가 자신의 앞에서 무례하게 굴어도 "오, 너 재미있구나"하고 반응할 뿐 특별히 발끈하거나 분노하는 모습을 보이지는 않는다. 오히려 비와가 기요모리의 카리스마에 압도될 뿐이지.

[1] 이 책을 보면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키를 약 180cm로 소개하고 있다. [2] 약 100일만에 사임하였다. [3] 한편 겐(源)은 미나모토 가문을 의미한다. [신자체] 相国. 相國 또는 大相國은 태정대신의 당명(唐名: 중국풍 별칭)이다. [にゅうどうしょうこく] 태정대신이 은퇴하여 출가했을 때 붙는 명칭. [六波羅殿] 거소인 로쿠하라(六波羅)에서 유래 [7] 스토쿠 덴노처럼 시라카와 법황이 진짜 아버지라는 설도 있다. 그래서인지 밑에 나오는 NHK 사극 타이라노 키요모리 1화의 제목이 "두 사람의 아버지"이다. 그런데 이렇게 되면 호겐의 난에서 도움을 요청했지만 무시당한 스토쿠 덴노는 더 굴욕이다. [8] 커진 실력을 바탕으로 반란을 일으켰었던 타이라노 마사카도도 이 가문 출신이었고, 키요모리의 아내였던 타이라노 토키코 역시 간무 헤이시 계열의 정5위 급 무장 집안 출신이었다. [9] 설이긴 하지만 타다모리의 아내가 기온뇨 뇨고와 친자매라고 알려져 있다. 더 극단적인 설로는 키요모리가 시라카와 인의 씨다라는 얘기도 있을 정도. [10]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요시츠네 형제의 아버지. 겐지의 두령이었다. [11] 이 과정도 참 어처구니가 없는데 그래서인지 키요모리는 그에게 후한 보상을 주지 않았다. 더 자세한건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문서 참조. [12] NHK 사극 드라마의 묘사를 보면 붉은색의 깃털을 모아 붙인 붉은 옷을 입힌 단발머리의 소년들이 노란색 줄무늬가 들어간 검은 봉 혹은 지팡이를 들고 다닌다. 고아를 모아서 만들었다는 대사도 나온다. [13] 측실 시게코 사후 양자 간 사이가 벌어졌다. 이제 양자를 중재하는 것은 타이라노 시게모리뿐이었으나 시게코에 미치지 못했고, 시게모리 사후 양자 간 갈등이 폭발하게 된다. [14] 특히 음모 장소를 제공한 승려인 슌칸은 아마미 제도 동쪽에 위치한 키카이지마 섬으로 유배보냈고 1179년에 슌칸이 죽을 때까지 풀어주지 않았다. [15] 전설에서는 요괴인 "누에"를 쏘아 죽였다고도 전해지는 궁술의 대가로, 관위가 산미(三位, 3품)였기 때문에 "겐잔미 요리마사"라고도 불린다. 아들 나카츠나가 무네모리에게 모욕당한 것에 격노하여 헤이케를 배반했다고 전해진다. [16] 일종의 교시나 어명 같은 것. 단, 인의 직접적인 어명인 "'인젠"'과 달리 이것은 적장자도 아니어서 '왕'으로 호칭되는 모치히토왕에게서 나온 것이라 격이 조금 떨어지는 명령이다. 그리고 이는 고시라카와 법황이 운좋게 살아남을 수 있던 원인이기도 했다. [17] 이는 앞서 언급한 불교 세력의 발호와 기근, 도적 떼의 창궐로 황폐한 왕성 교토를 떠나 정치를 일신하려는 시도였다. [18] やがて討手を遣わし、頼朝の首をば刎ねて、我が墓の前に懸くべし、それぞ孝養にてあらんずる [19] 이는 겐지와 연고가 있는 황족이나 귀족들의 탄원의 영향도 있었으리라 여겨진다. 일례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어머니 유라 고젠은 아츠타 신궁(熱田神宮)의 오오구지(大宮司) 후지와라노 스에노리(藤原季範)의 딸로 내친왕의 시녀였기 때문에 나름의 기반과 연고가 있었다. 요리토모 역시 무네코(統子)를 섬긴 일이 있었다. [20] 이는 드라마 요시츠네에서도 유언을 집행한 토키코의 개인적인 원한을 키요모리의 유언으로 가장한 뉘앙스로 연출하였다. [21] 我の子、孫は一人生き残る者といえども、骸を頼朝の前に晒すべし [22] 그러나 실제로는 시게모리도 상당히 과격한 성격이었다. < 헤이케모노가타리>에서는 키요모리나 무네모리에게 대부분의 악행이 이전되고, 시게모리는 무조건 "헤이케이지만 좋은 사람" 포지션으로만 묘사되었는데, 헤이케가 저지른 과격한 행동으로 평가되는 일들 중 몇 가지는 본래 역사서에서는 시게모리의 소행으로 기록되어 있다. 대표적인 게 덴카노리아이(殿下乘合) 사건이라고 불리는 셋칸의 행차에 대한 모욕 사건이다. 셋칸 마츠도노 모토후사(松殿基房, 후지와라노 모토후사)의 시종이 길에서 만난 타이라노 스케모리(平資盛, 시게모리의 아들)의 가마의 무례를 비난하며 굴욕을 준 것을 담아두었다가 천황의 관례 문제로 모토후사가 입궐하던 도중에 시게모리의 무사들이 모토후사의 행차를 습격해 관모를 뺏고 상투를 자르는 등의 난동을 부렸다. [23] 이런 망실/위조 등의 복잡한 역사가 있기 때문에 삼종신기는 '보물을 가진 자가 천황'이라는 것이 아니라, ' 천황이 가진 게 보물'이라는 식으로 취급되었고 이후에도 일반에 절대 공개하지 않으며 비밀에 부쳐진다. [24] 오다 노부나가가 이걸 근거로 헤이케의 후예를 자처했다. [25] 심지어 《 헤이케모노가타리》의 "기원정사의 종소리 제행무상의 울림이로다"로 시작되는 유명한 머릿말에서는 조고, 왕망, 주이, 안록산 등과 비교된다. [26] 교토에 가장 먼저 입성한 겐지가 하필이면 당시에도 난폭하고 교양이 없는 게 단점으로 꼽히던 미나모토노 요시나카의 세력이었기 때문이었다. [27] 헤이지의 난 때도 키요모리에게 적대했기에 목이 애저녁에 날아갈 팔자였는데 시게모리가 쉴드쳐줘서 명줄이 이때까지 붙어 있었다. [28] 출처: 일본어 위키백과의 도쿠타이지 사네사다 문서. [29] 그러나 시시가타니 저택을 뒷담 장소로 제공한 승려인 슌칸만은 풀어주지 않았고, 결국 슌칸은 유배지인 키카이가지마에서 죽게 된다. [30] 한참 옛날인《호겐모노가타리》에서도 19살 푸르딩딩한 시게모리가 첫 전투에서 멋 모르고 사람 두셋을 화살 하나로 꿰뚫는 괴물 미나모토노 타메토모한테 개기려 들자 아이코 내 아들 죽는다 아연실색하며 냉큼 부하 기병들을 보내 보쌈해서 끄집어내 살린 적이 있다. [31] 엔랴쿠지, 도다이지, 고후쿠지 등. [32] 심지어 선빵 치다가 역으로 털린 놈들은 참으로 뚝심있게도 결코 정신을 고쳐먹지 아니하고 살아서는 생령, 죽어서는 원령이 되어 저주한다. [33] 《헤이케모노가타리》에서는 선비 컨셉인데 실제 역사에서는 오히려 헤이케가 끄는 어그로의 시초를 이 양반이 범했다. 섭정 후지와라노 모토후사한테 이 양반 아들내미 스케모리가 혼이 난 적이 있는데, 나중에 모토후사가 사과하는데도 지 아들 쪽 줬다고 굳이굳이 쫄따구들 보내 무력시위해서 배로 개쪽을 주고 위협하여 쪼까내고, 덤으로 이 사람이 참석 예정이었던 천황의 관례 일정까지 박살내버리는 초특급 땡깡을 부린다(이걸 나중에 오히려 키요모리가 모토후사를 벼슬 자리로 살살 달래면서 수습했다). 덕분에 당연히 고시라카와 법황도 시게모리랑 비교적 친했다지만 '저 x끼도 헤이케네 어휴 x팔'하는 마음을 품을 수밖에 없었고, 모토후사는 시게모리 사후 고시라카와 법황이 시동 건 헤이케 본격 조지기 프로젝트에 제일 먼저 가담한다. 덧붙여 시게모리의 맏아들 코레모리가 시게모리 사후 헤이케 총대장을 맡게 되는데, 《헤이케모노가타리》의 묘사에 따르면 물새 소리에 놀라 패주하질 않나 헤이케 병력 7만을 절벽 밑으로 꼬라박아 없애질 않나, 헤이케가 뭘 해보기도 전에 풍비박산 나게 만든 주범으로, 삼촌 무네모리와 함께 작중 무능의 투탑을 달린다. [34] '술병'을 당시의 한자로 '헤이시'라고 쓴다. 그리고 칠을 하지 않은 보잘것없는 병을 '素瓶(스가메)'라고 하는데, 일본어로 사시를 스가메라고 한다. 타다모리는 사시가 있었는데, 이 노래는 '이세의 헤이시 녀석은 사시 눈깔이구나'하면서 그의 눈을 비웃는 뜻도 되고, 동시에 언어유희로 보잘것없는 질그릇에 빗대서 네깟 벼락출세한 녀석 따위는 상황의 어전에 나설 주제가 못 되는 초라한 것이라고 짓궂게 조롱하는 것이기도 하다. [35] 한국어의 고소가 아니라 强訴라는 행위이다. 승려, 승병들의 실력행사 및 데모행위를 말한다. 헤이안 말기에 기득권 세력인 사원들의 고소는 시라카와 천황이 '카모가와 강의 물길, 스고로쿠의 주사위, 승병만큼은 내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 라고 탄식할 만큼 심한 사회문제가 되었다. [36] 옛날 일본은 친왕의 품계와 관직 품계가 따로 있었다. 이건 친왕 품계다. 식부경은 우리나라로 치면 이조판서와 예조판서의 겸직쯤에 해당한다. 인사+의전 등을 담당했다. [37] 카즈라와라, 카즈라바라 등이라고도 읽으며 기타 읽기례도 더 있다. [38] 달리 말해 카즈라하라 친왕의 8대 손이라는 소리다. 1대, 2대, 3대...를 셀 때는 시조가 1대가 되므로 당연히 대수에 시조가 포함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대손(代孫)은 시조를 제외하고 세고, 시조를 포함하려면 세손(世孫)을 쓰는 것이 널리 퍼진 관습이다. 그러니까 9를 살리고 싶으면 9세손이라고 해야 혼란이 적다(가장 인구가 많은 김해 김씨 기준 대/세와 세손은 같은 숫자를 쓴다). 그러나 각 집안 족보마다 원칙이 다르기도 하며, 지금의 원칙과 고문헌상 원칙이 또 별개인 경우도 있다. 많이들 헷갈리는 부분이다. [39] 사누키는 사누키 우동으로 유명한 지금의 카가와 현 일대의 옛 이름. 카미는 4등관으로 구성되는 지방관의 최고 지위 즉 태수를 말한다. 때문에 사누키노카미를 '사누키 태수'로 번역하기도 한다. [40] 키요모리가 아니라 이 사람이 친왕 8대손이고, 칸무 천황 9대손이다. [41] 타다모리가 아니라 키요모리를 가리킨다. [42] 형조판서 비슷하다. 법무부장관 격. [43] 카즈라하라 친왕 9대손, 칸무 천황 10대손, 사누키 태수 마사모리의 아들. 카즈라하라 친왕의 후손은 관직을 잘 얻지 못하고 몇 대 동안 지방을 전전했다. 그러다 키요모리의 아버지인 타다모리 때 황실에 발탁되어 중앙으로 재진출한다. 헤이케모노가타리 내 묘사에 따르면 인품도 되고 능력도 되고 기지도 뛰어나고 풍류도 겸비해서 토바 천황의 총애를 받지만, 눈깔이 사시에 출신이 천하다(...)며 중앙 귀족들의 온갖 인신공격과 시기를 받는다. 그래도 점잖게 넘기는데 아들 키요모리는 그러지 못해서나 같아도 그러지 못하겠다비극의 발단이 된다. [44] 카바네의 하나인데 지체 높은 신하의 경칭이라 보면 된다. [45] 즉 키요모리는 칸무 천황 11대손이다. [46] 여기서 왕씨의 '씨'는 문맥상 특정 성씨인 왕씨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왕의 '씨족' 다시 말해 왕가 나아가 천황가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일본어 사전에서는 "천황의 자손으로 성(가바네)를 받지 않은 자. 율령제에서 2세 이하 5세 이상의 황윤을 가리키며 '~~왕'이라고 불린 황족(天皇の子孫で、姓を与えられてないもの。律令制で、2世以下5世以上の皇胤こういん。「…王」とよばれる皇族)"이라는 뜻으로 설명된다. 덴노/칭호 표기 논쟁에서 보이듯 일본에서도 천황과 왕 둘 중에 어느 한쪽만이 경칭이고 비하라는 인식이 없고, 천황에 대해서도 메이지 유신 직전까지 왕이라고 잘만 불렀다. [47] 키요모리의 차남. 호겐의 난 때 불과 18세의 나이에도 성숙한 대응으로 세이와 야마토 겐지의 미나모토노 치카하루를 명예롭게 사로잡음(압도적 수적 우위에도 불구하고 무작정 쌈싸먹지 않고 치카하루의 정정당당함과 기백을 높게 사 일단 회유하며, 어쩔 수 없이 싸운 뒤에도 그와 남은 부하들이 다치지 않게 곱게 제압하고 생포한다. 치카하루는 이후 사면된다.)으로써 난 초기에 결정적 공을 세웠으며, 헤이지의 난 때도 활약했다. 동복형 시게모리와 더불어 인성과 실력을 갖춘 축에 속하는데, 안타깝게도 24세의 젊은 나이에 병사했다.둘의 어머니 유전자가 덕망은 있어도 병약했나 보다 이후 그의 아들 유키모리는 형 시게모리가 맡아 길렀다. [48] 남편의 성이 아닌 본성도 타이라 가문으로 이세 헤이시와는 다른 타이라 가문이었다. [49] 같은 시대와 인물을 다룬 차나왕 요시츠네에서는 불새와 달리 강직하면서 위엄있고 권모술수의 대가 정치10단의 절대권력가로 나오며 병사하기 전까지는 요시츠네와 요리토모조차도 가벼이 볼 상대가 아니었으나 가족과 가문이 사실상 자신을 제외하면 장기집권하기가 어럽다는것을 알고 있었고 그나마 믿었던 시게모리 마저도 세상을 떠나자 지방에서는 지속적인 움직임과 함께 조정과 황실에서도 서서히 호박씨 까려하자 숙청을 하면서도 요시츠네와의 마지막 대면을 하는 장면에서 평상시의 무섭고 강직한 모습이 사라지고 겁이 많으면서 일족을 걱정을 하는 불안한 모습을 보이다가 사망한다. [50] 새해 인사를 온 헤이케 일문 앞에서 "헤이케가 아니면 사람이 아니다."라는 발언을 한 당사자인 타이라노 토키타다에게 "그런 멍청한 소리를 왜 하냐?"며 지적하며 민심의 무서움을 경고하였다. 새해맞이 연회가 끝나고 술에 취해서 방으로 돌아가다 귀신을 보고 깜짝 놀라서 벌벌 떨기도 하고... [51] 불새나 영원한 생명에 집착하는 이유가 나오기를 자기가 죽고 나면 시게모리 말고는 믿을 만한 사람이 없어서(그나마도 유일한 희망이던 시게모리는 요절했다)라고 나온다. 자신이 죽고 나면 다이라 일족은 분명히 나태해지고 쇠퇴해서 끝내는 멸망할 것이 분명하기에 자신이 조금 더 오래 살아서 일문이 어느 정도 기반이 잡힐 때까지 봐주지 않으면 안 된다는, 어떻게 생각하면 독선에 가까운 강박증적 면모로 보이지만 키요모리의 우려는 현실로 나타난다. [52] 가족의 죽음은 물론, 인류 자체가 멸망하고 지구가 태양에 가까워져서 다 타 녹아버리고 할 때까지 자기 혼자 남게 된다. 이 환상을 본 기요모리는 이런 건 싫다며 절규한다. [53] 겐페이 전쟁에서 겐지가 흰색, 헤이케가 붉은색 기치를 사용했다. [54] 살아생전에도 아버지 타다모리가 시골출신의 무사에 사시라는 이유로 귀족들에게 놀림받고 집에 돌아와 수치심 때문에 혼자 울던 모습을 회상하며 "다시는 무사라는 이유로 귀족들에게 무시당하는 일이 없도록 애썼고 그래서 지금까지 이만큼 일족을 키워왔다"고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