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어느 특정 분야에서 우수한 상대를 기준, 목표로 삼아 자기 기업과의 성과 차이를 비교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그들의 뛰어난 운영 프로세스를 배우면서 부단히 자기혁신을 추구하는 경영기법이다. 국립국어원에서는 본 따르기(본 따르다, 본 따라 만들다)로 순화하였다.2. 상세
벤치마킹은 원래 토목 분야에서 강물 등의 높낮이를 측정하기 위해 기준점인 벤치마크(benchmark)를 표시하는 행위를 말한다. 여기서 벤치마크란 측정의 기준점을 말한다.기업 경영 분야에서 벤치마킹 기법은 20세기 미국의 사무기기 전문 기업 제록스가 일본 경쟁 기업들의 경영 노하우를 알아내기 위해 직접 일본에 건너가 조사 활동을 벌이고 그 결과를 경영 전략에 활용하여 다시 기업 경쟁력을 회복한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남의 사례로부터 배운다는 점에서, 반면교사나 타산지석과는 상응하면서도 뉘앙스가 정 반대다. 전자는 "우리는 저러지 말자"는 뜻인 반면,[1] 벤치마킹은 "우리도 저렇게 하자"(혹은 본받자)는 뜻에 가깝기 때문.
벤치마킹과 표절은 한끗차이라서[2] 긍정적인 면도 있는 반면 차이점을 몇개 만들어놓아도 창작성이 없다 할 정도로 원본과 너무 비슷하게 만들거나 외부 디자인의 일부분을 그대로 도용할 경우 소송을 당하는 경우도 있다.
3. 사례
- 게임 산업 전반
- 쿠키런: 오븐브레이크 : 클래시 로얄의 시스템을 그대로 벤치마킹했다. 레벨 게이지, 상자 시스템, 쿠키를 살 수 있는 상점, 일정 수의 쿠키를 얻으면 레벨 업 할 수 있는 시스템, 상자에서 나오는 보상, 랜드까지 대부분의 시스템을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클래시 로얄의 제작사인 슈퍼셀에게 시스템을 샀다는 소문도 있다.
- Shadowverse : 하스스톤의 시스템을 그대로 벤치마킹했으며 하스스톤을 기반으로 리더 특성과 진화 시스템을 도입하여 자신만의 개성을 만들었지만 서로의 팬덤에서 자주 다툼이 벌여지고 있어 논란이 많은 게임이다. 단, 현지에선 하스스톤의 인지도가 떨어져 논란이 덜 되는 듯.
- 신라만상 쵸코 시리즈 : 과자 안에 판타지 컨셉의 SD 캐릭터가 그려진 스티커 카드를 동봉하는 등 빅쿠리맨의 세일즈 요소를 상당수 벤치마킹했다. 빅쿠리맨과 달리 미디어믹스가 적어서 인지도가 밀리는데도 불구하고 꽤 인기를 끌었는데, 이는 빅쿠리맨의 캐릭터 카드가 아기자기한 그림체와 방대한 세계관의 갭에 중점을 뒀다면, 신라만상은 약간 등신을 늘린 모에와 간지에 중점을 둔 화풍이란 차이점을 만들어 캐릭터 위주의 마케팅을 보였기 때문. 특히 아스타롯트는 나이 구분없는 인기를 자랑하여 피규어로 나오기도 했다.
- 드라이브 스루 검사 : 2020년 전세계의 코로나19 확산 사태 당시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현장도입된 바이러스 검사 방법. 외신에서도 대단히 주목하여 이후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등 많은 국가에서 벤치마킹하였다.
- 원신 :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의 요소를 상당부분 벤치마킹하면서 표절 논란까지 일었다.
- 노브랜드 : 캐나다의 노 네임(No Name)을 벤치마킹했다.
- 스타필드 : 영국의 쇼핑몰 Westfield를 벤치마킹하였다.
-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 코스트코를 벤치마킹했다.
- 네이버 : 네이버/비판 및 문제점 중 시대착오적 UX디자인과 인터페이스의 퇴보 문단에서 알 수 있듯 구글과 트위터를 의식한 벤치마킹으로 정보란을 직관성 있게 제공하는 UI의 장점을 지속적으로 잃어버렸는데 2020년대부터 심화되었다. 타격을 입은 대상으로 네이버 뮤직, 네이버 책, 네이버 대문[3]이 있다. 대부분의 국민이 사용하는 브랜드 특성상 이러한 문제점은 현재진행형이다.
-
유니클로 :
GAP의
SPA 모델을 벤치마킹한 것으로 유명하다. 심지어
야나이 타다시 회장이 GAP CEO를 만났을 땐 "당신이 내
교수님입니다."라고 말했을 정도였다고.
???: 그럼 수업료를..그리고 세월이 흘러 유니클로는 GAP의 매출을 뛰어넘는 일종의 청출어람을 이뤄냈다.
- 단통법, 도서정가제, 2023년 영화관람료 인상 논란: 각 문서에 설명된 고객을 무시하는 악법 및 담합 요금제를 추진한 자들이 앞 문서의 비슷한 요금제를 벤치마킹했다.
[1]
이는 인터넷 상에서 두 단어가 일종의 조롱, 멸시의 용도로 남용되고 있는 것과도 무관치 않다.
[2]
본래 개념대로라면, 벤치마킹은 장점을 배우기 위해
모방을 한 것이고, 표절은
모방 그 자체가 목적인 경우이다. 즉, 업그레이드를 위한 모방이냐, 의도적으로 오인을 일으켜 이익을 얻기 위한 모방이냐의 차이.
[3]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던 칼럼들을 버리고 광고 마케팅 글 위주로 대문 UI를 바꿔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