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02:38:24

Escape from Tarkov/무기/주무장

타르코프 주무장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Escape from Tarkov/무기
게임 정보
등장인물 상인 · 세력 · 보스
무기
구역 · 스트리트 오브 타르코프 · 그라운드 제로
아이템 소모품 · 장비
개발자 니키타 부야노프


1. 개요

Battlestate Games가 개발, 유통하는 FPS 게임 Escape from Tarkov에 등장하는 주무기를 다루는 문서이다.

2023년 12월 이루어진 14.0.0 초기화 패치에서 모든 총기군의 반동이 크게 감소했다. 해당 패치가 반영된 서술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 서술도 혼재되어 있으므로 유의.

AK-74M 단축형 돌격소총. 5.45탄을 쓴다는 점만 빼면 AK-102와 성능이 일치하지만 이쪽의 경우 연사력이 650RPM인 AK-74u의 성능도 꽤 좋은 편인데다 가격은 훨씬 저렴해서 지분이 적은 편이다.

2. 돌격소총 (Assault rifle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scape from Tarkov/무기/주무장/돌격소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돌격형 카빈 (Assault carbine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scape from Tarkov/무기/주무장/돌격형 카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기관단총 (Submachine gun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scape from Tarkov/무기/주무장/기관단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산탄총 (Shotguns)

게임내 카테고리는 Shotguns

많은 FPS 게임에서 산탄총이 초근거리에서만 위력을 발휘하는 것과는 달리, 타르코프의 산탄총은 현실에서처럼 중거리 교전에서도 위력을 발휘하는 무기군이다. 가장 기본적인 벅샷으로도 멀게는 수십미터 거리까지 유효타를 입힐 수 있으며 슬러그탄을 사용하면 백 미터 내외의 중장거리 표적도 노려볼 수 있다. 산탄총 = 유효사거리 십수미터가 정석처럼 취급되던 기존 FPS 게임계의 국룰을 깨버린 상당히 파격적인 성능이다.

산탄총은 공통적으로 모딩이 거의 혹은 전혀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플리마켓도 열지 못한 뉴비들이 기본탄을 넣고 써도 충분한 위력을 낼 수 있기에 저레벨 PMC들에게 가장 추천되는 무기군이다.

펌프액션, 중절식, 볼트액션, 반자동, 펌프액션-반자동 하이브리드식 등 러시아와 미국 민수시장에서 유통되는 굉장히 다양한 산탄총들이 등장한다. 그러나 반자동 산탄총을 제외한 나머지는 대부분이 쓰레기 같은 성능을 가져서 PMC는 사용할 일이 없고, 사실상 스캐브 전용으로 집어넣은 총기라 보아도 무방하다. 스캐브들이 전부 좋은 성능의 총을 들고 나오면 난이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며, 모든 장비를 노획 가능한 게임 특성상 플레이어들이 스캐브 사냥만으로도 좋은 무장을 갖출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캐브들은 설정 상 타르코프에 갇혀 생존을 위해 약탈자가 된 주민들이나 범죄자들이니 이들이 평소 쉽게 접근할 수 있었을 무기들인 낡은 민수용 엽총을 들고 다녀야 자연스럽다.

2023년 12월 초기화(14.0.0 패치) 이후로 산탄총의 유효 화력이 크게 증가하였다. 우선 산탄총 역시 모든 무기를 대상으로 하는 반동 패치의 수혜를 받아 반동이 크게 감소하여 속사 시 제어가 매우 용이해졌으며, 더불어 기존에는 복부까지 가려주는 방탄복을 입었다면 벅샷으로 몸통에 유효타를 입히는 게 거의 불가능했으나, 이제는 방탄판 세분화가 이루어지면서 옆구리와 겨드랑이 등 몸통에도 비는 공간이 많이 생겼기 때문이다. 특히 정면에서도 겨드랑이 부분이 일부 노출되는데, 이 부분은 흉부 판정이라 펠릿이 몇 개만 새어들어가도 굉장히 아프게 박히거나 즉사할 수 있다.

산탄총의 구경은 12×70mm, 20×20mm, 23×75mm로 세 가지다. 20게이지 탄들은 탄의 성능도 폐급인데 사용하는 총기도 폐급 중 상폐급인 TOZ-106뿐이라 PMC로 쓸 일은 없을 것이고, 23×75mm는 사용하는 총기가 KS-23 하나 뿐인데 해금 시점이 매우 늦기 때문에 잘 보이지 않는다. 때문에 샷건은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서 12×70mm를 사용하는 산탄총을 의미한다.

산탄총의 탄은 여러 개의 탄을 흩뿌리는 산탄과 단일 발사체를 날리는 슬러그탄으로 나뉜다. 산탄은 사정거리가 제한적이나 근거리에서 폭발적인 피해량을 낼 수 있고, 슬러그는 단발 피해량을 조금 희생하는 대신 긴 유효 사정거리와 (탄종에 따라) 높은 관통력을 얻을 수 있다.

산탄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6.5mm 익스프레스 벅샷, 8.5mm 매그넘 벅샷, 피라냐, 플레셰트 중에서 선택하나, 다른 벅샷도 크게 성능이 다르지 않으니 스펙을 비교해보고 마음에 드는걸 골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 5.25mm 벅샷은 투사체도 8발로 평범한데 탄속도 느리고 대미지도 낮은 등, 스탯만 보면 모든 벅샷의 하위호환처럼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는 히든 스펙인 거리에 따른 대미지 감소량이 벅샷 계열 중 가장 적기 때문에 어느정도 거리가 벌어져도 화력이 잘 유지된다. 때문에 거리가 어느정도 있는 상황에서는 매그넘 벅샷을 제외한 다른 벅샷류 중에선 실질적으로 가장 높은 화력을 가진다.
  • 6.5mm 익스프레스 벅샷은 펠릿이 9발인 게 특징인 벅샷이다. 15% 정확도 버프가 붙어 있지만 큰 의미는 없는 수준이다.[1] 과거 거리에 따른 탄자의 피해량 감소가 없었던 시절에는 쇠구슬 하나라도 상대의 머리에 들어가면 거리를 불문하고 원탭이 났기 때문에, 투사체가 9발인 익스프레스 벅샷의 메리트가 굉장히 컸으나 현재는 다른 벅샷류와 성능 면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 7mm 벅샷은 투사체 8발짜리 가장 기본적인 산탄으로 별다른 특징은 없다.
  • 8.5mm 매그넘 벅샷은 가장 피해량이 높은 탄종으로, 전탄 명중 시 무려 400의 피해량을 꽂아넣을 수 있다. 단점은 반동도 크게 증가하여(+115) 안정적인 속사 집탄군을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워진다는 점. 블랙아웃 부위의 분산 피해 너프라는 악재까지 있었음에도 여전히 맞으면 억 소리가 절로 나는 막강한 깡딜은 여전하니 심한 반동을 감수하고 사용할 가치가 있는 탄종이다. 특히 거리별 피해량 감소 시스템이 추가된 이후에도 발당 피해량이 높아 산탄총의 교전 거리 이내에선 사실상 펠릿 하나로 머리 원킬이 확정적으로 가능하여 벅샷 계열 중에서는 근-중거리 교전 능력이 가장 뛰어나다.[2]
  • 피라냐는 플레셰트와 유사한 방어구를 부수는 계열의 탄으로, 2클래스까지 완전관통이 가능한 24 관통력의 펠릿 10발을 발사한다. 예거 2레벨부터 판매한다. 플레셰트보다 관통력이 조금 낮은 대신 대미지는 같으며, 산탄류 중 가장 펠릿 개수가 많은 것이 특징. 6클래스 방탄복이 아닌 이상 플레셰트와 BTK가 동일하기에 플레셰트 대신 사용해도 무방하다.
  • 플레셰트는 벅샷 계열 최종탄으로 간주되는 탄으로, 3클래스까지 완전관통이 가능한 31의 관통력을 지닌 펠릿을 8개 발사한다. 출혈 확률도 붙어 있는데다가 근거리에서는 6클래스 방어구도 빠르게 부숴버릴 수 있으며, 3클래스까지 완전관통이라는 점 때문에 방탄복의 소프트아머 부분을 확실하게 관통할 수 있어 산탄류 중에서는 가장 강력한 탄종으로 취급된다. 상인이 판매하지 않으며, 상당한 후반 퀘스트인 Slient Caliber로 제작법이 해금되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시점이 매우 늦는 것이 단점.

이하는 슬러그 탄종을 설명한다. 슬러그는 탄종이 벅샷 이상으로 다양하지만 유일하게 사용 가치가 있는 것은 AP-20뿐이라고 할 수 있다. 블랙아웃 분산 피해 너프 이전에는 RIP탄과 SuperFormance HP가 다리 BTK 2발로 레그 메타에 종종 쓰였으나, 너프 이후에는 RIP탄 조차 다리 BTK가 3으로 떨어져 버렸기에 고관통 슬러그인 AP-20 말고는 사실상 쓸 가치가 없어졌다.
  • RIP은 265라는 인게임 최강의 깡딜을 자랑하는 탄이나, 블랙아웃 부위의 분산 피해 너프 이후 다리 BTK가 3발로 늘어나 사용할 가치가 없다.
  • SuperFormance HP는 RIP 다음가는 220 깡딜을 자랑하며, 명중률과 반동 버프가 매우 높게 붙어 있는게 특징이다. 현재는 블랙아웃 데미지 너프로 RIP탄과 BTK가 3발로 동일하여 초반에 슬러그를 쓰고 싶을 때 그나마 쓸만한 탄이다.
  • AP-20은 슬러그 계열 최종탄으로, 예거의 'The Huntsman Path - Outcasts' 퀘스트 완료 이후 워크벤치 3레벨 제작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 3클래스 방탄복까지 확정으로 흉부 원탭을 낼 수 있으며, 4클래스도 높은 확률로 관통한다. 방어구 수준이 낮은 시즌 초반엔 .338 라푸아 매그넘 급의 위용을 보여줄 수 있는 강력한 탄이지만 해금 시점이 늦어서 초반에 재미를 보기는 힘들고, 5클래스 이상의 방어구와 고성능 총기가 흔해지는 시즌 중반 이후로 갈수록 힘이 빠지는 경향이 있다.

5.1. M870

레밍턴 M870
파일:EFT_M870.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12x70mm
4발
탄속 337m/s 크기 5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3.14 kg 반동 세로: 520
가로: 600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70m
안전성 15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스키어 2레벨에 해금. 12게이지를 사용하는 미제 펌프액션 산탄총. 서방제 총기답게 커스터마이징 부품은 이하에 비해 좀 더 다양한 편. 펌프액션의 특성상 반자동 산탄총의 화력을 따라갈 수는 없기 때문에 짧고 정확한 사격을 요구한다. 반자동 산탄총에 밀려 그리 자주 쓰이지는 않는다. 3칸에서 8칸까지의 크기로 바꿀 수 있으며, 그에따라 장탄수가 약실제외 4,7,10발 튜브가 된다.
마운트 위에 숏스코프를 달고 슬러그 엽총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 ||

5.2. M590

모스버그 M590A1
파일:EFT_M590A1.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12x70mm
8발
탄속 337 m/s 크기 5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반동 세로: 520
가로: 600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70m
안전성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예거 1레벨에 해금. 12.7 패치로 추가되는 미국제 펌프액션 산탄총, 예거 1레벨에 판매중이다. 에르고가 48로 M870보다 미묘하게 높은 편이며, 기본적으로 성능은 괜찮은 수준이다. 인게임 산탄총들중 가장 청명한 펌프 소리를 가지고있다.

}}} ||

5.3. MP-133

바이칼 MP-133
파일:EFT_MR-133.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12x70mm
6발
탄속 337m/s 크기 5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3.54 kg 반동 세로: 520
가로: 650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70m
안전성 12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예거 1레벨에 해금. 12게이지를 사용하는 러시아제 펌프액션 산탄총. 스캐브들이 허구한날 들고나와 게임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고 성능도 평범한 펌프식 산탄총이지만 스캐브들이 들고다니는 MP-133은 의외로 바이저 없는 뚠뚠이도 잘 잡기에 마냥 무시할 수 없다.

스캐브들은 대부분 산탄총에 마운트를 붙여 광학장비를 부착하고 다니는데, 이 마운트만 떼어내 거기에 다른 전술장비들을 붙여놓고 팔면 공간 대비 돈벌이가 꽤나 쏠쏠하게 된다.

메카닉 1레벨에 잡템 몇 개와 교환해서 전술장비를 이것저것 붙여둔 MP-133을 구할 수 있는데 건스미스 1에서 활용하거나, MP-153을 쓸 때 이걸 사서 조준경만 떼어낸 뒤 메카닉에게 다시 팔아버리는 방식으로 돈을 거의 손해보지 않고 조준경을 구해 MP-153에 부착할 수 있다.

팁으로 스캐브들이 들고다니는 MP-133은 무조건 6발들이 튜브탄창을 사용하는데 이 튜브를 MP-153에 부착해서 사용하면 예거 2레벨을 열지 못한 초반에 크게 도움이 된다.

}}} ||

5.4. Saiga-12

이즈마쉬 Saiga-12
파일:EFT_Saiga12.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12x70mm
5발
탄속 327m/s 크기 5x2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3.6 kg 반동 세로: 390
가로: 650
연사 속도 40 사정거리 70m
안전성 52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예거 2레벨에 해금. 12게이지를 사용하는 러시아제 반자동 산탄총. 자동소총처럼 탄창으로 장전하므로 다른 산탄총보다 재장전이 훨씬 빠르다. 기본 탄창은 5발이며, 10발 확장 탄창과 20발 드럼 탄창이 존재한다. 뛰어난 연사력과 장탄수로 압도적인 근접 화력을 발휘할 수 있다. 팩토리에서 풀세팅 사이가는 돌격소총도 압도하는 사기무기로 군림한다. 팩토리는 동선이 짧고 맵 구조가 복잡해서 초근접 다대다 난전이 벌어지기 때문에 산탄총과 기관단총이 크게 활약하는데, 사이가에 반동제어 부착물을 조금 달아주고 드럼탄창에 플레셰트만 쑤셔넣으면 6클래스 아머도 전부 찢어발긴다.
그러나 팩토리 외 다른 맵에선 쓰이지 않는다. 돌격소총이나 기관단총에 비해 산탄총은 탄창의 장탄수 대비 부피 효율이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타르코프에선 탄창 하나하나가 가방 공간을 차지하는데 돌격소총이나 기관단총은 30발 탄창이 2칸을 차지하는 반면, Saiga-12의 가장 작은 5발 탄창도 2칸을 차지하고 10발 확장 탄창은 3칸, 20발 드럼 탄창은 2x2 4칸을 차지한다. 다른 산탄총은 탄약만 주머니에 넣어서 가방과 체스트리그도 장비하지 않고 운용할 수 있다. 넓은 맵에서 사이가 때문에 대용량 체스트리그를 장착하는건 가성비가 심하게 좋지 않다.

}}} ||

5.5. MP-153

바이칼 MP-153
파일:MP-153_12ga_EFT.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12x70mm
4발
탄속 377m/s 크기 7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500
무게 3.62 kg 반동 세로: 455
가로: 585
연사 속도 40 사정거리 70m
안전성 65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예거 2레벨에 해금. 러시아제 12게이지 반자동 산탄총으로 플리마켓을 갓 오픈한 초보자에게 가장 추천되는 무장 중 하나이다.

기본 탄창이 겨우 4발 들이지만, 예거 2레벨에 8발짜리 탄창이 해금되므로 사서 끼워 쓰면 된다. 플리마켓이나 예거 2레벨을 열지 못했어도 MP-133에 기본 장착된 6발 탄창이 호환되니 MP-133에서 탄창만 빼서 써도 쓸 만한 성능이 나온다. 이렇게 탄창을 늘린 후에는 스캐브 상대로는 웬만해서는 지지 않을 정도의 전투력을 발휘할 수 있다.

산탄으로 안면을 노리거나 다리에 연사하면 PMC도 충분히 잡을 수 있고, 플레셰트 탄을 구할 수 있다면 방탄복을 제대로 챙겨입은 상대도 무난히 갈아버릴 수 있다. 슬러그를 가져가면 중장거리 전투도 충분히 가능하다.

인벤토리에서 총의 길이가 웬만한 저격소총보다도 길어서 대부분의 가방에 넣을 수도 없고, 굳이 주워가서 팔기에는 상점 판매가도 얼마 안 해서 수지가 전혀 안 맞는, 소위 말해 칸성비가 구린 총이기 때문에 보험 회수율이 엄청나게 높다는 장점이 있다. 조준경을 모딩하는 경우 조준경은 보통 빼가지만 총까지 가져가는 일은 드물다. 다만 최근에 이러한 점을 이용해 MP-153만 들고 입장하여 파밍을 하는 플레이가 늘자 과거 KS런처럼 괘씸하다며 들고 가는 일이 늘었다.

반자동 산탄총 중 가장 긴 장총열을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집탄군 면에서는 제일 유리하다. 제일 긴 총열에 익스프레스 산탄을 물리면 8 중반까지 MOA가 줄어들어서 수십미터 거리까지도 산탄을 정확하게 꽂아넣는 전투력을 발휘할 수 있다.

}}} ||

5.6. MP-155

칼라시니코프 MP-155 울티마
파일:MP-155.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12x70mm
탄속 377m/s 크기 5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500
무게 3.62 kg 반동 세로: 455
가로: 585
연사 속도 40 사정거리 70m
안전성 65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12.11에서 추가된 러시아제 튜브식 반자동 산탄총. 기본 사양은 클래식한 목재 핸드가드와 스톡이 장착되어 있지만, 개조를 통해 다양한 부위에 레일이 장착되고 열화상 카메라 장비까지 부착된 택티컬한 MP-155 울티마 모델로 개조할 수 있다. 다만 열화상 디스플레이의 위치가 애매하고 그렇게까지 잘 보이지도 않아서[3] 사용하기 어렵다. 두꺼운 열화상 카메라가 총열 위에 달려서 OKP-7같이 높이가 낮은 도트는 장착하면 가려버리기까지 하므로 이오텍 이상의 적당히 높은 조준경은 필수다..

기본 에르고가 굉장히 높고, 전용 현대식 개조키트인 '울티마' 파츠들[4]도 에르고를 상당히 높여준다. MP-153은 소음기를 달면 에르고가 거의 0에 육박하지만, 155는 울티마 튜닝을 마치면 소음기를 달아도 에르고가 40 이상이 나올 정도라 사용이 매우 쾌적하며, 수치 상 반동은 MP-153과 유사하지만 히든 스탯인 반동 회복력이 MP-153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기 때문에 속사 반동 제어도 쉽다. 하지만 긴 총열이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153보다 MOA는 약 두 배 가량 크고, 울티마 튜닝을 제대로 하려면 예거 3~4레벨이 반필수적으로 필요한 것도 단점.

}}} ||

5.7. TOZ-106

TOZ TOZ-106
파일:EFT_TOZ-106.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20x70mm
2발
탄속 864m/s 크기 3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2.715 kg 반동 세로: 780
가로: 650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70m
안전성 52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스키어 1레벨에 해금. 게임 내 유일한 볼트액션 산탄총이자, 유일하게 20게이지 산탄을 사용하는 무장이다.
명실공히 타르코프 최악의 성능을 자랑하는 무기. 펌프액션보다도 차탄 장전이 느린 볼트액션인 것도 모자라 기본 탄창 용량은 고작 2발이며 모딩도 조준경을 얹고 몸체를 바꾸는 정도를 제외하면 전혀 불가능하다. 설상가상으로 20게이지 산탄은 기본적인 화력도 비실비실한데 플레셰트처럼 관통력을 갖춘 탄종도 없어서 싸구려 방탄복 하나만 걸쳐도 딜이 간지러운 수준. 덕분에 유캐브로 2발 토즈에 당첨되면 도끼런한테 맞아 죽을 수도 있다는 우스갯소리가 설득력있게 떠돌기도 한다(...). 아닌게 아니라 도끼런이 아닌 권총런 플레이어만 마주치더라도 토즈는 답이 없다. 이러한 악명과 막장성으로 인해 똥즈라는 멸칭으로 불리며 고인물들이나 방송인들의 막장 예능 플레이 컨텐츠에 절찬리에 사용되는 중.
스키어 1번 퀘스트에서 인레이드로 1개를 요구한다. 유캐브로 들고 나오는 경우도 많고 어차피 토즈를 루팅하는 플레이어도 거의 없으므로 입수 난이도 자체는 쉬운 편이다.보험 회수율은 높으니 좋은건가

}}} ||

5.8. KS-23

TOZ KS-23 폭동진압용 산탄총
파일:EFT_KS-23M.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23mm
3 발
탄속 415 m/s 크기 6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3.85 kg 반동 세로: 610
가로: 740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70 m
안전성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프라포 3레벨에 해금. 23mm, 6.27게이지급 대구경 전용탄을 사용하는 러시아제 특수목적 산탄총. 탄창 크기도 3발에 불과하며 별다른 광학장비나 레일, 확장탄창 등을 장착할 수도 없는 후줄그레한 외형의 산탄총이지만, 12.8 패치에서 처음 등장한 이후 오랫동안 사기적인 성능으로 OP 취급받았던 무기.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슈라프넬 10 산탄은 다른 산탄과 유사하게 관통력이 전혀 없지만, PMC의 총 체력인 440을 훌쩍 넘는, 무려 696이라는 무지막지한 깡뎀을 가지고 있다. 다리에 펠릿 6개 이상을 명중시키면 방어구에 무관하게 원샷킬을 낼 수 있으며, 거리가 좀 있더라도 머리에 펠릿이 하나라도 새어들어가면 그대로 즉사시킬 수 있다. 슈라프넬 25 산탄은 깡뎀이 조금 적은 대신 MOA를 줄여주기 때문에 25라는 이름 그대로 유효사거리가 더 길어지며, 조금 적은 깡뎀도 다리 원샷을 내기에는 충분하기 때문에 나름의 수요층이 있다.

문제는 과거에는 이런 무기가 출시 당시에는 프라포 3레벨만 찍으면 아무런 조건 없이 바로 해금되며, 매우 저렴하게 판매되었다는 것. 당시에는 집탄군이 MOA 수치에 비해 이상할 정도로 좋고 거리별 대미지 감소폭도 이상해서 수십미터 거리에서도 헤드샷이 쉽사리 터질 정도였기에 대부분의 경무장 유저들이 맨몸에 헤드셋이랑 KS-23 한 자루만 달랑 가지고 레이드에 들어가는 일명 KS런을 했다. 수십만 루블을 들여서 총기를 모딩하고 고급 방어구를 구비한 중무장 유저들도 레그샷 한 방에 로비로 사출당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원성이 자자했다.

거기다 다른 산탄총에는 없는 특수탄인 즈베즈다 섬광탄도 KS-23의 적폐성에 한 몫을 했다. 즈베즈다는 발사하면 총구에서 섬광을 뿜어내는데, 정면에서 맞으면 25초라는 굉장히 긴 시간 동안 시야를 완전히 차단한다. 투척형 섬광탄과 달리 즉발에다 실명 사거리도 상당히 길어서 피하는 게 매우 어려운데, 약실에 섬광을 넣고 차탄을 산탄으로 장전하면 눈뽕을 먹인 다음엔 그냥 관광이 가능해서 당하는 입장에선 매우 불쾌한 게임플레이 경험이 되었다. 때문에 괘씸죄가 적용되어 KS런을 죽이면 총값이 얼마 하지 않아 큰 의미가 없음에도 굳이 KS-23을 꾸역꾸역 압수해가는 플레이어가 많았다.

때문에 KS런은 모든 고인물 뚠뚠이들의 증오의 대상이었고 정작 KS-23을 애용하는 경무장 KS런 유저들도 게임이 단조로워져 재미가 없다고 배가 쳐부른 불평을 하기도 했다.

이후 12.12 패치로 비정상적으로 높던 정확도가 정상화되었고 성능 외적으로 크게 너프를 먹어 KS런은 크게 줄었다. 프라포 3렙에 루블로 해금되던 KS-23이 프라포 3렙에 단축형만 물물교환으로, 4레벨까지 찍어야 기본형을 물물교환으로 구입할 수 있게 변경되었으며, 플리마켓 거래도 금지되면서 총을 입수할 수 있는 시점이 예전에 비해 크게 뒤로 밀렸다.[5] 이 총을 쉽게 얻을 수 있는 시점에서는 다른 좋은 총이 많아서 굳이 KS를 쓸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즈베즈다 섬광탄은 등대에서 상대 진영 PMC 20킬을 하는 퀘스트를 완수한 이후에야 해금되기 때문에 경무장 KS런이 보일지언정 섬광탄까지 쓰는 유저는 예능 플레이가 아니라면 거의 없어졌다.

다만 아무리 입수가 번거로워졌다 해도 교환 아이템의 가격이 내려가는 시즌 중반 이후에는 저렴하게 입수할 수 있으며, 스캐브 웨폰 풀에도 포함되면서 다시 경무장 KS런 유저들이 서서히 늘어가는 추세다. 특히 아무리 너프가 되었다 해도 다리에 정타를 맞으면 한 방에 죽는 것은 여전하고, 꽤 먼 거리에서도 머리를 잘못 맞으면 그대로 픽 쓰러지는 것은 여전하기 때문에 아직도 유저들의 원성을 사는 무기다.
}}} ||

5.9. M3

베넬리 M3 슈퍼 90
파일:Tarkov_M3.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12게이지
탄속 m/s 크기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무게 kg 반동 세로:
가로:
연사 속도 사정거리 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이탈리아제 튜브식 반자동/펌프액션 하이브리드식 산탄총. 예거 3레벨에 11발 탄창이 해금되며 4레벨에 13발 탄창이 해금된다.

관형탄창이지만 최대 13발까지 확장할 수 있어 드럼탄창 Saiga-12 다음가는 독보적인 장탄수를 자랑하며, 반동과 집탄군 등 기본적인 성능이 우수하고 가격도 저렴하기에 예거 3레벨 이상을 해금한 플레이어들이 샷건런을 할 때 종종 사용한다. 총 자체가 매우 길고 무게도 꽤 나가는데 상인에게 팔아봐야 돈도 안 되고, 세로 폭도 2칸이라 MP-153 이상으로 보험으로 잘 돌아오는 것도 장점.

산탄총 중에서도 개조폭이 특히 좁은 편이다. 조준기, 총구, 탄창 외에는 건드릴 것이 없다. 이는 모딩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되기도 하지만, 레이저를 장착할 수 없다는 점과 소음기 장착 시 최대 7발 탄창까지만 장착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단점으로 꼽힌다.
}}} ||

5.10. MP-43

IZh-43(MP-43-1C) 더블배럴
파일:MP-43-1C_EFT.jp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12x70mm
2발
탄속 337m/s 크기 6x1
발사 모드 단발, 더블 탭 시야범위 100
무게 5.28 kg 반동 세로: 308
가로: 428
연사 속도 900 사정거리 70m
안전성 15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12.12 패치에 등장한 예거 1렙에 해금되는 러시아제 수평쌍대 쌍열 산탄총. 좌우 총열의 탄을 동시에 발사하는 기능도 있어 좁은 골목에서 한명의 적을 제압하는데 특화되었고, 예거 1렙에 값싼 8000루블에 해금되기 때문에 가성비로도 좋으며 긴 총열과 중형 총열, 단총열부품이 있어 소드 오프 샷건으로도 만들어 쓸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입맛에 맞게 선택해 쓰자. KS-23처럼 벅샷 2발을 다리에 모두 맞출 경우 방어구와 무관한 원샷킬을 내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동시 사격 기능은 이론 상 좋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써먹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동시 사격을 하면 겉보기와 소리로는 두 발이 한꺼번에 나가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미세한 딜레이를 두고 연속으로 발사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반동이 막강한 산탄총이다보니 그 짧은 딜레이 사이에 총구가 저 위로 올라가버리므로 탄착점 사이의 간격이 상당히 크다. 때문에 거리가 정말 코앞 수준으로 가깝지 않다면 다리를 조준하고 동시 사격을 해도 초탄만 다리에 박히고 차탄은 배나 가슴 부분에 박혀서 방탄복에 막히게 되니 사용가치가 거의 없다.

특이하게 그냥 장전하는 것 보다 무기를 바꾸고 인벤토리 내에서 탄을 직접 넣어서 장전하고 다시 무기를 교체하는 편이 훨씬 빠르다. 그래서 더블배럴을 2개 운용하여 첫번째 더블배럴을 쏘고 두번째 더블배럴을 꺼낸다음 인벤에서 빠르게 빈 총을 장전하는 테크닉을 통해 더블배럴을 연속으로 쏘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업데이트로 소드오프화 한 버전이 등장했다. 본체와 달리 개머리판이 없고 권총 슬롯에 사용되는데, 소드오프 총열을 원본에 달아 코치 건을 만들 수 있고, 반대로 소드오프 버전에 장총열을 도로 끼우는 것도 가능하다.
}}} ||

5.11. MTs255

Mts-255-12 리볼버 산탄총
파일:MTs-255_EFT.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12x70mm
5발
탄속 337m/s 크기 6x1
발사 모드 단발, 더블 액션 시야범위 100
무게 4.25 kg 반동 세로: 520
가로: 650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70m
안전성 15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12.12에 등장한 예거 1레벨에 해금되는 리볼버식 산탄총. 실전에서 활용할 여지는 드물지만 실린더 하나하나에 각자 다른 탄을 삽입할 수 있도록 5개의 약실이 별도로 구현되어 있다.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5연발 산탄총을 사용할 수 있지만, 스피드 로더 같은 장비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재장전 시 탄피를 하나하나 집어서 빼내고 새 탄을 다시 일일이 채워 넣는 인고의 시간을 보내야 한다. 탄을 모두 소모하거나 R키를 두 번 눌러 빠른 재장전을 하면 실린더에 있는 탄약을 모두 버리기 때문에 조금 더 빠른 장전이 가능하다. 만약 무기 숙련도를 레벨 2 이상으로 올렸다면 전탄 소모 후 재장전/빠른 재장전 시 왼손에 샷쉘을 여러 개 쥐고 더 빠르게 탄을 채워넣는 애니메이션이 나온다.

쏠 때마다 해머를 수동으로 당겨야 하는 싱글액션과 방아쇠를 당기면 해머가 자동으로 젖혀지는 더블액션이 모두 구현되어 있다. 단발/연발 전환 키로 두 모드를 전환할 수 있으며, 더블액션 특유의 미세한 격발 딜레이까지 재현되어 있다. 물론 격발 딜레이가 있다고는 해도 당연히 더블액션이 교전에서 더 유리하므로 굳이 싱글액션을 쓸 이유는 없다.

현재는 수정되었지만 실린더가 약실 5개로 취급되는 바람에 스캐브로 이 총을 들고 스폰하면 실린더가 텅 빈 상태로 스폰되어 시작과 동시에 장전부터 해 줘야 했다. 이는 AI 스캐브도 마찬가지였던지라, 이 총을 든 AI 스캐브는 PMC를 마주치면 워넌 쑤카를 외치며 그제서야 장전을 하는(...) 추태를 부리기도 했다.

}}} ||

6. 저격 소총 (Sniper rifles)

게임내 카테고리는 Sniper rifles

장거리 정밀 사격에 특화된 무기군. 사냥용 엽총인 VPO-215를 제외하면 모두 저격소총답게 1.0 MOA 이하의 높은 정밀도를 가지고 있어, 장거리에 있는 표적을 정확히 노릴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저격을 포함한 대부분의 상황에서 거의 쓰이지 않는 총기군이다. 타르코프에서 총의 대미지와 방어구 관통력은 총기가 아닌 사용하는 탄약에 따라 정해지는데, 모든 저격소총은 돌격소총 또는 지정 사수 소총과 탄약을 공유한다. 즉, 돌격소총/지정사수소총은 저격소총과 똑같은 위력의 탄을 반자동/자동으로 뿌릴 수 있다. 당연히 저러한 총기와는 화력에서 전혀 상대가 되지 않으며, 저격소총은 근거리 대응이 전혀 불가능하기 때문에 따로 2번 슬롯이나 권총 슬롯에 보조무기 휴대가 강제되는 것도 단점이다.

물론 정확도와 탄속 수치를 비교하면 AR/DMR보다 확실히 우수하지만, 타르코프는 게임 특성 상 근거리에서 교전이 벌어지는 비중이 높으며 장거리 교전이라 해 봐야 기껏해야 200m 내외에 불과한데, 이 정도 거리에서는 DMR이나 AR의 1.0~2.0 MOA로도 상대의 원하는 부위를 정확히 노려 쏠 수 있다. 타르코프의 환경 상 저격소총의 유일한 장점은 전혀 빛나지 않고, 낮은 범용성이라는 단점만 부각되는 것. 때문에 주력 무장으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그나마 유의미한 장점은 바로 저렴한 총기 가격이다. 저격소총 자체가 천대받는 무기라 시세가 비교적 저렴하며, 플리마켓 거래 제한도 대부분 걸려 있지 않아 수급도 쉽다. 또한 단발 무기 특성 상 반동 수치를 낮출 필요가 전혀 없으므로 적당한 스코프, 좀 더 돈을 바른다 해도 소음기 정도만 달면 모딩이 끝이다.[6] 덕분에 제한적인 상황에서 가성비 무장으로 활용된다. 특히 저렴한 모신나강은 쌀먹충 핵쟁이들의 단골 무장이다. 그 외에는 강력한 .338 Lapua Magnum 탄으로 흉부 원샷이 가능한 AXMC 정도만 Mk.18의 대용품으로써 제한적으로 쓰인다.

사용 시 팁으로,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눌러 격발한 뒤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볼트를 당기지 않고 대기하며 조준경을 계속 볼 수 있다. 격발 후 탄착점을 확인하는 등 목표물에 대한 시야를 계속 확보할 필요가 있을 때 유용한 기능. 이 상태에서 마우스 왼쪽 버튼에서 손을 떼면 볼트를 당긴다.

이렇듯 게임 시스템 상 한계가 아주 뚜렷하여 비주류에 머무르는 무기군이지만, The Tarkov shooter - Part 4, Wet Job - Part 6, Psycho Sniper까지 저격소총 숙련도 레벨을 요구하는 악질 퀘스트가 총 3개나 되는데다, 각각 3, 7, 9레벨을 요구하기 때문에 퀘스트를 밀고 싶다면 울며 겨자 먹기로 사용해야만 하는 무장이다.[7] 물론 저 스킬 레벨 올리겠다고 저격소총을 주무장으로 꾸역꾸역 쓰다간 파산하거나 인내심의 한계를 넘어 정신병 걸리기 딱 좋으니 우드나 쇼어라인 등 넓은 맵에서 퀘스트나 파밍을 할 때, 권총형 모신나강과 싸구려 탄을 따로 들고 와서 계속 재장전하면서 미리 레벨을 올려 두는 게 좋다.

6.1. DVL-10

로바에프 DVL-10 사보추어/우르바나
파일:EFT_DVL-10.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1mm
10발
탄속 794m/s 크기 5x2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5.068 kg 반동 세로: 130
가로: 650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10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러시아의 저격총 전문 회사인 로바에프 사에서 만들어진 군경용 저격 소총.

인게임에서 등장하는 DVL-10은 기본형인 "우르바나(Urbana)" 모델과, 전용 소음 총열이 적용된 "사보추어(Saboteur)" 모델로 나뉜다. 서방권 탄종인 7.62x51mm NATO를 사용하는 러시아제 볼트액션 저격총으로, 개발 단계에서 1000m의 걸출한 사거리를 가지게 설계된 만큼 현재 인게임 볼트액션 저격소총의 끝판왕이라고 볼 수 있다.

장점이라면 모딩요소가 거의 없음에도 기본 성능이 뛰어나다는 것. 특히 소음기 내장 총열을 달면 초음속탄을 씀에도 50m만 떨어져도 총성이 거의 들리지 않을 정도로 발포음을 죽여주기에 저격총 관련 퀘스트에서 쓰기 좋다. 단점으로는 일단 가격이 꽤나 비싸고, 개머리판을 접으면 4x2라는 컴팩트한 사이즈가 되기 때문에 보험 회수율이 떨어지는 점이다. 또한 우르바나는 비교적 빨리 열리지만, 사보추어는 매우 늦게 풀리는데다, 관련 부품 역시 플리마켓에서 매우 비싼 편이다.

사보추어의 경우 특유의 외형과 색상 때문에 대나무라고 불린다.

}}} ||

6.2. SV-98

이즈마쉬 SV-98
파일:EFT_SV-98.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4mm
10발
탄속 880m/s 크기 5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6.2 kg 반동 세로: 156
가로: 520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10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7.62x54mm R를 사용하는 저격소총.
모신나강처럼 볼트액션이고 사용하는 탄종도 동일한데, 상단 레일이 기본 사양으로 부착되어 있어 다양한 스코프를 쉽게 부착할 수 있고 기본적으로 10발들이 탈착식 탄창을 사용하기 때문에 모신의 상위호환에 해당하는 무장이다. 플리마켓 기준으로 모신보다 싼 값에 거래된다. 총성이 굉장히 크며 소음기로도 크게 잡히지 않는다.

과거 클릭과 격발 사이에 딜레이가 존재하는 버그로 인해 평이 굉장히 나쁜 총기였다. 이 버그가 유난히 오랫동안 수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유저들 사이에선 실총의 방아쇠압을 구현한 고증이라는 이야기가 돌았으나, 12.8 패치 노트의 버그 수정사항으로 올라오며 수정되었다.[8]

유캐브로 종종 착용하고 나와 플리마켓에서의 수급도 어렵지 않고, 스캐브 총의 내구도가 패치된 이후 노획 후 수리하면 아주 약간의 MOA 증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큰 장점.
아주 낮은 확률로 트리지콘사의 REAP-IR 열화상 스코프가 장착된 SV-98이 유캐브 장비로 뜨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유캐브 로또 중 하나이니 떴다면 바로 탈출하자.

}}} ||

6.3. Mosin

Mosin Nagant 저격소총
파일:Mosin.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4mm
5발
탄속 927m/s 크기 6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4.93 kg 반동 세로: 338
가로: 975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10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러시아 제국군과 소련군에 의해 사용되었던 구식 볼트액션 소총이지만 엄청난 생산량에서 비롯된 저렴한 가격과 접근성으로 스캐브가 많이 가지고 나오는 무기중 하나이다.
과거에는 기본 탄 취급이던 LPS나 T-46M 탄도 4클래스 방탄을 완전 관통이 가능한 뛰어난 관통력과 구경에 걸맞는 높은 피해량으로 죽창으로 각광 받았으나, 현재는 고효율 저격용 탄이던 PS나 SNB는 커녕 LPS 탄마저 구하기가 쉽지 않아지며 인기가 식었다. 또한 구식 소총답게 인체공학 수치가 매우 낮아 조준 속도가 극악이고 지향 사격 명중률도 매우 떨어져 근거리 교전에서는 상당히 취약해진다.

저격용으로 사용하는 것도 효율이 그다지 좋지 않은데, 개조폭 자체는 볼트액션 소총치고 제법 넓은 편이나 시즌 초반에는 개조 부품들을 구하기가 쉽지 않다. 상인 레벨이 높아지고 플리마켓이 열린 중반 이후에는 훨씬 성능이 좋은 다른 저격소총들을 크게 차이나지 않는 가격에 운용 가능해 밀린다. 싸구려 탄에 싸구려 조준경만 개조해 사용하기에도 탈부착식 탄창을 사용하는 VPO-215가 훨씬 나은 성능을 보여주기 때문에, 과거와 다르게 사용자가 정말 줄어든 비운의 소총이다.

다양한 개조를 통해 탈착식 탄창이나 레일마운트를 달아 다양한 스코프를 사용해보거나 아크엔젤 개조바디를 통해 상당히 현대적인 외관으로 탈바꿈이 가능하다. 반대로 총열을 극단적으로 줄인 권총형인 오브레즈(Obrez)를 만드는것도 가능하다.

}}} ||
Mosin Nagant 보병용
파일:EFT_Mosin_Inf.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4mm
5발
탄속 927m/s 크기 6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4.93 kg 반동 세로: 338
가로: 975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10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모신 나강의 보병용 버전. 동구권 마운트가 존재하지 않아서 PU 스코프 부착이 불가능하다.
모신 나강에 스코프가 달리지 않는다면 보병형 버전이 아닌지 확인해보자. 노리쇠 장전손잡이가 수평으로 나오면 보병용. 직각으로 꺾여있으면 저격용이다. 레일마운트를 부착해서 다른 스코프를 달 수 있긴 하지만 배율 조준경의 경우 종류를 막론하고 가시성이 쓰레기가 된다. 제한된 개조폭으로 인해 보험회수율이 높다.

}}} ||

6.4. M700

레밍턴 M700
파일:EFT_M700.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1mm
5발
탄속 825m/s 크기 5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4.050 kg 반동 세로: 234
가로: 845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10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7.62x51mm를 사용하는 미제 저격소총. 실총 모델은 레밍턴 "M700 SPS 택티컬" 중 탄창 삽입형 모델이다. 탄창식이지만 원본의 원형이 일체식 탄창을 사용하기때문에 여분 탄창 없이 탄약만 가지고 운용할 수 있어 주머니 공간 절약이 가능하다. 기본 사양은 에르고도 낮고 외형도 후줄그레하지만, 서구권 저격소총답게 PRO 700이나 MOD-X등의 각종 커스텀 섀시들을 가지고 있어서 총몸을 갈아준다면 미래적인 외형으로 변신도 가능하다.

볼트액션 자체의 한계가 있다보니 웬만해선 쓸 일이 없는 총이지만, 예거의 퀘스트 중 이 총에 12배율 FFP 스코프를 붙이고 슈트르만을 처치하는 임무가 있어서 해당 퀘스트를 밀려고 한다면 상당히 오랫동안 붙잡게 될 것이다.

}}} ||

6.5. T-5000

오르시스 T-5000
파일:T-5000_EFT.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1mm
5발
탄속 826m/s 크기 5x2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6.348kg 반동 세로:165
가로:630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10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7.62x51mm NATO 탄을 사용하는 러시아제 최신형 저격소총. 순정 상태를 기준으로 볼트액션 저격소총들 중 가장 높은 인체공학 수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DMR이나 SA-58을 필두로 7.62x51mm을 반자동/자동으로 뿌릴 수 있는 무기가 이미 많아서 가뜩이나 DVL조차 잘 쓰이지 않는 상황이다 보니, 이 총 또한 그다지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저격 컨셉 플레이 영상에서 자주 모습을 비치는 총기인데, 조준 상태에서 볼트 왕복 시 시야 흔들림이 가장 적어 조준선 정렬 유지가 용이하기 때문. 다른 저격소총들은 볼트를 당기는 순간에 스코프 시야가 심하게 요동쳐서 목표를 시야에서 완전히 놓치는 순간이 존재하고, 그나마 M700이 불편하게나마 시야 유지가 가능한 정도이다.

한 때 개머리판을 접어도 부피가 줄어들지 않는 버그가 있었다.

}}} ||

6.6. VPO-215

몰롯 VPO-215
파일:VPO-215_EFT.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366 TKM
4발
탄속 818m/s 크기 5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3.3kg 반동 세로:245
가로:585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10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366 TKM 탄환을 사용하는 러시아제 민수용 볼트액션 소총. 스캐브의 스폰 장비로 자주 등장한다. 상단 레일이 기본으로 달려 있어 고성능 조준경을 얹을 수도 있지만 총 자체가 가격으로나 성능으로나(...) 워낙에 저렴하다 보니 이 경우엔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진다.

MOA도 볼트액션답지 않게 커 일반적인 자동소총 수준이고, 사용 탄환인 .366 TKM 탄도 탄속이 낮은 편이라 저격용으로 아주 좋은 편은 아니다. 하지만 사용에 문제가 생길 결정적인 결격 사유는 없는데다[9], 적어도 모신나강보다는 다루기가 편하기 때문에 저격 퀘스트 클리어 용도로 사용하는 플레이어들을 자주 볼 수 있다.

366 AP탄이 추가된 이후로는 3클래스까지 흉부 원탭 가능한 화력에 4클래스까지 확정 관통이 가능해져 주로 팩토리에서 타르코프 슈터3를 깨는 용도로 사용된다.

유캐브 기본 장비로 당첨 시 대부분 스코프를 장착한 상태로 지급받는데, 스코프는 4배율 고정에 시야각이 좁기는 하지만 저렴한 가격을 생각하면 나쁘지 않은 수준이다.

}}} ||

6.7. AXMC

애큐러시 인터내셔널 AXMC
파일:Tarkov_AXMC.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338 라푸아 매그넘
탄속 m/s 크기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무게 kg 반동 세로:
가로:
연사 속도 사정거리 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영국제 볼트액션식 저격소총. Mk.18 묠니르에 이어 두 번째로 등장한 .338 Lapua Magnum 사용 총기이다.

슈트르만 1회 사살 퀘스트를 완수하면 예거 4레벨에서 바로 판매하기 때문에 묠니르보다 접근성도 좋고, .338 FMJ 탄으로 4클래스 원탭/AP 탄으로 6클래스 원탭이 가능한 것도 동일한데다가 소음기가 있어 훨씬 더 저렴한 가격의 죽창으로 운용할 수 있다. 단점은 묠니르보다 저렴하다 뿐이지 이 총도 결코 저렴하지 않은 것은 매한가지이고, 무엇보다 결국엔 볼트액션이고 모딩폭이 좁은지라 한계가 뚜렷하다는 것. 심지어 소음기 장착시 모신나강에 비하면 안 그래도 크고 길쭉한 총의 전장이 매우 길어져 지형지물에 잘 걸린다는 것도 흠이다.

}}} ||

6.8. MP-18

바이칼 MP-18 단발식 소총
파일:Tarkov_MP-18.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4mm
1발
탄속 875m/s 크기 5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600m
무게 2.876kg 반동 세로: 930
가로:385
연사 속도 없음 사정거리 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12.13에서 추가된 민수용 중절식 엽총.
모신나강, SVD와 같은 7.62x54mm 탄을 사용하지만 산탄총 스킬이 적용되는 산탄총 겸 저격총이다.
저격 소총을 사용해야 하는 타르코프 슈터 퀘스트들도 이 총으로 클리어가 가능하다!

그러나 딱 1발만 장전이 가능한 엽총이라 초탄이 빗나가면 희망이 없는 절망적인 성능을 가졌다. 싼 맛에 어차피 초탄 헤드를 노려야 하는 로그작에 쓰는 유저도 가끔 있으나, 5.0이 넘어가는 처참한 MOA 때문에 로그가 좀 멀리 있으면 머리를 쏜 게 빗나가거나 몸에 박혀 로그작이 꼬이기 십상이라 효율은 영 아니다.
}}} ||

7. 지정 사수 소총 (Designated Marksman Rifles)

인게임 카테고리는 Designated Marksman Rifles.

실질적으로 저격 플레이를 할 때 주로 사용되는 총기군으로, 볼트액션 저격 소총과 마찬가지로 최소 7.62mm NATO 이상의 대구경 탄환을 사용하여 중거리에서 강력한 화력 투사가 가능하다.

또한 중거리 화력 투사 능력이 강력하다고 근거리에서 화력이 밀리는 것도 아닌데, 레이저를 달고 속사를 하면 상당히 높은 지향사격 명중률이 나오는데다 속사 연사속도도 몹시 빠르며 사용 탄약이 탄약이라 에임펀치도 강력하기 때문에 근거리에서도 AR이나 SMG에 전혀 밀리지 않는 화력을 투사할 수 있다.

다만 아무래도 총이 길고 무겁다보니 에르고가 낮고, M1A를 제외하면 장탄수도 적기 때문에 고RPM 화기보다는 근거리 전투력이 밀린다. 특히 지향사격을 하기는 멀지만 상대 AR이나 SMG는 나를 연사로 맞출 수 있는 애매한 거리에서 힘이 특히 빠지는 편이다.

VSS를 제외하면 모두 반자동 사격만 지원한다. 예외적으로 VSS는 자동 사격이 가능하며, 사용 탄약의 특성 상 SMG나 AR에 더 가깝게 운용된다.

VSS와 SVDS를 제외한 모든 DMR은 플리마켓 거래 제한이 걸려 있으므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피스키퍼 3레벨을 필수적으로 찍어야 한다.

7.1. VSS

VSS 빈토레즈
파일:EFT_VSS.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9x39mm
10발
탄속 295m/s 크기 5x2
발사 모드 단발/연사 시야범위 100
무게 2.951 kg 반동 세로: 111
가로: 195
연사 속도 900 사정거리 4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9x39mm를 사용하는 러시아제 DMR.

원본인 AS Val과 동일한 순정 성능을 가지고 있다. 조준기 마운트, 손잡이와 전술장비 마운트, 탄창 등 거의 모든 부품이 호환되지만 VSS는 스태쉬에서 길이가 AS Val보다 한 칸 길고 기본 목재 개머리판을 교체할 수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이 때문에 AS Val보다 확장성이 다소 떨어지며 보관 시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 때는 AS Val과 함께 그야말로 꼬우면 너도 써 수준의 개사기 총이었고, 너프를 지속적으로 먹은 지금도 반동이 좀 세졌다 뿐이지 탄의 성능은 어디 안 가서 여전히 강력한 무장이다. 탄약도 가성비 탄인 SP-6를 나름 저렴한 가격대에 입수하거나 제작할 수 있고, 총기 자체의 성능도 AS Val보다 '비교적' 떨어질 뿐이지 객관적으로는 전혀 나쁜 성능이 아니기에 개머리판 모딩에 돈이 좀 드는 AS Val과 반대로 손잡이와 조준기 정도만 달고 들고 나가서 가성비 SP-6 발사기로 굴리기에 아주 적절하다.

다만 현재는 SP-6의 가격이 상당히 비싸지고, 여타 고관통 9x39mm 탄의 수급이 어려워졌으며, 9x39mm 계열 탄 전반의 과열 축적치가 대폭 너프되어 AS Val과 마찬가지로 두 탄창을 내리 쏘면 과열로 기능고장이 발생하여 호불호가 꽤나 갈리게 되었다. 연사속도가 빨라서 30발 탄창이 반필수인데, 30발 탄창은 상인 판매가가 하나에 4만 루블 가까이 하기 때문에 모딩비는 저렴하나 탄창값과 탄약값으로 인해 여타 총기에 비해 그리 저렴하지도 않아지는게 단점.

분류 상 지정사수소총이기 때문에 돌격소총 스킬 효과를 받지 못한다는 소소한 단점이 있다.
}}} ||

7.2. RSASS

레밍턴 R-11 RSASS
파일:EFT_RSASS.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1mm
20발
탄속 799m/s 크기 5x2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3.99 kg 반동 세로: 270
가로: 590
연사 속도 700 사정거리 7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7.62x51mm를 사용하는 레밍턴 암즈사의 AR-10 계열 군용/민수용 반자동 저격소총.

피스키퍼 만렙 + 퀘스트 수행 후 해금되기 때문에 입수 난이도가 높은 편이지만, 그만큼 뛰어난 성능이 보장되는 화기.

기본 핸드가드의 성능이 우수하여 모딩에 소모되는 비용도 의외로 적은 편이고, 기본 반동과 히든 스탯 모두가 준수하여 풀모딩 시 지정사수소총 중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 다만 플리마켓 거래 금지 품목이며 가격도 비싸기 때문에 사용하는 유저들은 그리 많지 않다. 비슷한 성능과 개조폭을 가진 SR-25가 DMR 치고 구하기 쉬워 그럭저럭 사용하는 플레이어들이 보이는 것과 달리 이쪽은 들고 나오는 유저들이 정말 드물다.

과거엔 메카닉의 초반 퀘스트인 건스미스 파트 6에서 이 총을 요구하여 많은 원성을 샀었지만, 현재는 해당 퀘스트가 건스미스 파트 13으로 올라갔기 때문에 예전처럼 못 구하는 총을 찾으러 다니는 일은 없어졌다. 피스키퍼 3레벨에서 독택 교환을 노려보자.

}}} ||

7.3. M1A

스프링필드 아머리 M1A SOCOM-16
파일:EFT_M1A.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1mm
20발
탄속 783m/s 크기 4x2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3.99 kg 반동 세로: 286
가로: 514
연사 속도 700 사정거리 7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M14 소총에서 연사 기능을 제거한 민수용 7.62x51mm 반자동소총이다. 실총의 총은 게임 이름 그대로 16인치 총열을 장착한 "M1A 소콤 16인치" 모델.

피스키퍼에게 구매 가능한 순정 모델은 확장성이 낮아 별도의 마운트 없이는 광학조준경 장착이 불가능하며 반동도 매우 강하다. 하지만 메카닉 4레벨에 판매하는 M1A SASS 총몸을 사용하면 조준기는 물론 전방 손잡이와 권총 손잡이, 개머리판까지 모두 장착할 수 있게 되어 반동과 에르고 모두 크게 개선된다.

7.62x51mm DMR 중에서 가장 반동이 강한 무장. 확장 탄창이 없어서 20발 탄창이 한계인 다른 DMR들과는 달리, 30발 대용량 탄창과 M1A 전용 50발 드럼 탄창을 사용할 수 있다. 넉넉한 장탄수에 강한 화력이 장점이나, 반동이 완화된 다른 총기들과 달리 오히려 강해져 이점이 상당히 사라졌다.

}}} ||

7.4. SVD

칼라시니코프 SVDS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파일:nikita-buyanov-16.jp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4mm
10발
탄속 825m/s 크기 6x2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4.406 kg 반동 세로: 340
가로: 750
연사 속도 700 사정거리 9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7.62x54mmR을 사용하는 러시아제 반자동 지정사수소총. 공수부대용 접이식 개머리판이 부착된 모델이다. 개조를 통해 슈어샷 아마먼트 사의 커스텀 워크 섀시를 적용해줄 수 있다.

0.11.7 패치에서 추가된 동구권 DMR로, 인게임 개인화기 중 세 번째[10]로 강력한 탄환을 사용한다. 사용 탄들이 하나같이 매우 강한 깡딜을 자랑하고, 단발이지만 속사도 가능하므로 근거리에서도 제법 위력적이다.

다만 총 자체의 성능은 그다지 좋지 못하다. 총과 탄약의 무게가 굉장히 무겁고, 총 자체가 워낙 길어서 코너 싸움이나 실내전, 초근접전에서도 툭하면 총이 접히는 탓에 골치아프다. 그리고 속사가 가능은 하지만 강한 반동으로 인해 거리가 조금만 멀어져도 안정적으로 연타를 맞히기가 어렵고, 기본 에르고 자체가 낮기 때문에 아무리 모딩해도 에르고를 크게 개선할 수 없다. 또한 총구 파츠를 전용 소음기 외에는 튜닝할 수 없는데, 소음기를 달면 안 그래도 긴 총이 더 길어지는데다 인체공학 수치도 거의 0에 수렴하게 된다.[11] 때문에 탄이 강력하긴 하지만 다른 NATO 7탄 DMR을 두고 굳이 골라서 사용할 만큼의 이점을 가지진 못한 애매한 무장으로 평가받는다.

이렇듯 단점이 많긴 하나 탄의 위력만큼은 아주 뛰어나며, 상인이 거의 뚫려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강한 무장이다. 모든 탄종들의 고관통탄들이 플리마켓 거래가 막히고 상인 판매 레벨이 오르는 와중에, 그래도 초반부터 스캐브를 통해 LPS나 T-46M정도는 불안정하게나마 수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플리마켓이 풀린 뉴비가 PSO 스코프만 달고 장거리 저격용으로 쓰기 좋다. 별다른 모딩을 하지 않으면 총의 성능이 정말 처참하지만, 중거리 이상에서 초탄으로 승부를 보는 죽창으로서는 손색이 없고, 아예 과감하게 장거리 교전을 포기하고 무배율 조준경에 레이저를 달고 근거리 교전 위주로 운영하는 방법도 있다.

퍼니셔 파트 6에서 이 무장으로 PMC 15킬을 요구한다. 때문에 애매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울며 겨자 먹기로 사용하는 유저들을 자주 볼 수 있다.

}}} ||

7.5. SR-25

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 SR-25
파일:Knight's_Armament_Company_SR-25_7.62x51_EFT.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1mm
20발
탄속 787m/s 크기 5x2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300
무게 3.860kg 반동 세로: 290
가로: 625
연사 속도 700 사정거리 9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7.62x51mm 나토탄을 사용하는 AR-10 계열 지정 사수 소총, 인게임내 모델은 민수용 버전인 E2 APR 모델이다.

RSASS나 M1A와 동일한 7.62x51 mm NATO 탄을 사용하며 높은 확장성을 지니고 있다. RSASS에 비해 아주 약간 낮은 성능을 가지고 있으나 개조폭은 조금 더 넓어 상호호환에 가깝다. 또한 피스키퍼 3렙에 열리기때문에 접근성 만큼은 압도적으로 뛰어나다.

}}} ||

7.6. Mk. 18

소드 인터내셔널 Mk. 18 Mod.1 묠니르 .338 LM
파일:Mk18.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338 라푸아 매그넘
10발
탄속 크기 6x2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6.502 kg 반동 세로: 630
가로: 1125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900 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12.9에서 추가된 미제 AR-10 계열 대구경 지정사수 소총. 예거 우호도 4레벨에 주는 퀘스트인 'Hunter'(쉬투르만 25킬)을 클리어해서 해금할 수 있다.
현재 인게임에서 가장 강력한 탄종[12] .338 라푸아 매그넘을 사용하는 최초이자 유일한 반자동 저격소총이다. 성능만 보자면 상대가 누구든 가리지 않고 흉부 한 발로 해결이 가능한, 그야말로 가진 자들의 죽창이라 할 수 있는 무장.
다만 유지비용은 심각한 수준으로 높은데, 사실상의 전용탄인 .338 라푸아 매그넘 탄을 사용하는데다 최종탄인 AP탄은 상대가 먹을게 없는 경무장이면 쏘기 전에 고민하게 만들 정도로 수급이 엄청나게 어렵기 때문. 출시 당시에는 호환 가능한 소음기마저 없어 쓸 때마다 맵 전체에 강력한 어그로를 끌었으나 이후 소음기 2종이 추가되어 좀 나아졌다.

}}} ||

7.7. G28

헤클러&코흐 HK417/G28Z
파일:G28_EFT.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mmx51 NATO
탄속 크기 6x2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6.502 kg 반동 세로: 630
가로: 1125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900 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12.12에서 추가된 독일제 지정사수 소총. HK417의 민수용 버전이자 독일연방군의 현용 지정사수소총이다.

악명 높은 임무 천국에서 온 저격수(A Shooter Born in Heaven)를 완수하면 예거 4레벨에 판매하며, 필드 드랍이나 보스 슈트르만의 전리품으로 획득할 수 있다. 특이하게도 필드 드랍 시에도 전용 소음기와 슈미트-벤더 사의 PM-II 고배율 조준경 등의 다양한 전용 부착물들이 고정적으로 달린 상태로 스폰된다.

출시 당시에는 멋진 외형과 달리 전부 전용 부품만 사용해 개조폭이 무척 좁은데다 성능도 영 애매했으나, 패치를 거치며 부품들의 성능이 평준화되어 현재는 상당히 우수한 종합 성능을 가지고 있다. 또 해금 퀘스트의 난이도는 무척 어렵지만 수주 시점 자체는 상당히 이르기 때문에, 저격을 선호하는 플레이어라면 충분히 얻을 가능성과 가치가 있다.

}}} ||

8. 경기관총 (Light machine guns)

게임내 카테고리는 Light machine guns

오랜시간동안 RPK-16 만이 유일한 경기관총 카테고리에 속해 있었지만 13.5 패치에서 PKP와 PKM 기관총이 추가되었다.

8.1. RPK-16

칼라시니코프 RPK-16
파일:EFT_RPK-16.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5.45x39mm
95발
탄속 839m/s 크기 5x2
발사 모드 단발/연사 시야범위 500
무게 3.320 kg 반동 세로: 139
가로: 387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AK-12 기반 5.45mm를 사용하는 경기관총. 다만 AK-74 계열의 총기들과 외형과 성능 모두 거의 유사하여 거의 돌격소총 취급을 받는다.

기본 핸드가드와 먼지덮개에 레일이 전부 깔려 있으며 AR-15 타입 개머리판을 장착할 수 있는 AK-12용 스톡봉도 기본 제공된다. AK-74 계열에서는 사용자가 전부 사서 달아야 했던 파츠가 RPK에는 모두 갖춰져 있는 셈. 여기에 전방 손잡이와 총구 파츠, 레이저/전술조명만 달면 아주 저렴하게 운용할 수 있다. 드랍률도 꽤 높은데 사용자가 적어 플리마켓에서의 공급량이 많아 총 자체의 가격도 저렴한 편. 덕분에 74N/M을 모딩해서 쓰는 것보다 그냥 RPK를 사서 필수 파츠만 붙여 쓰는 편이 더 추천되기도 한다.

단점은 경기관총 카테고리에 속해 있기 때문에 돌격소총 스킬이 제공하는 반동 감소, 재장전 시간 감소 등의 효과를 받을 수 없다는 것. AR의 범용성이 높은 게임 특성 상 대부분의 유저들은 자연스럽게 돌격소총 스킬 레벨을 쌓아 AR 사용 시 반동과 재장전 시간 감소 등 여러 버프를 받을 수 있는데, RPK-16은 AR이 아니라 경기관총인지라 이 버프를 전혀 받지 못하므로 스탯에서 상대적으로 손해를 보게 된다.[13] 또한 RPK-16에 호환되는 두 종류의 소음기가 모두 성능이 아주 나빠 소음기 활용이 어려운 것도 단점.

현재 타르코프의 AK 계열 화기 중 유일하게 총열 교체가 가능한데, 22인치 장총열을 물리면 인체공학 수치를 다소 희생하는 대신 반동을 40대까지 낮출 수 있어 아주 저렴한 모딩 비용으로 안정적인 사격이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모딩을 위해서는 프라퍼 4레벨이 필요하다.

인게임 표기 RPM은 650RPM이라고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실총과 같은 700RPM이다.

E.O.D.를 구매한 상태에서 BEAR 세력으로 캐릭터를 생성하면 한 정 지급받는다.
}}} ||

8.2. PK

PKM 현대화형 칼라시니코프 기관총
파일:Tarkov_PKM.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4mmR
100발
탄속 989 m/s 크기 6x3
발사 모드 연사 시야범위
무게 8.994 kg 반동 세로:210
가로:1300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0.13.5에서 출시된 소련산 다목적 기관총. 타르코프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탄띠식 MG이다. 전방 손잡이 개조를 하지 않은 경우 총열 상단의 운반손잡이를 잡고 파지한다. [14]
대구경 7.62X54 R 탄환을 난사할 수 있는 만큼 화력은 개인화기 중 단연 최강이지만, 그 대가로 1300이나 되는 어마무시한 좌우반동을 가지고 있다. 거기다 가뜩이나 인체공학 수치가 낮은데 탄통이 무려 인체공학 수치를 30이나 잡아먹기 때문에 실사용 시 인체공학 수치는 0에 수렴한다.
현재는 타르코프 시내의 자동차 매매 단지 구역의 보스인 카반을 처치하고 습득하는 것이 유일한 입수 루트이다.
}}} ||
PKP 페체네그
파일:Tarkov_PKP.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4mmR
100발
탄속 976 m/s 크기 6x3
발사 모드 연사 시야범위
무게 9.637 kg 반동 세로:210
가로:1300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강제공랭식 총열을 적용한 보병용 칼라시니코프 기관총. 0.13.5에서 PKM과 같이 출시되었다. 이 쪽도 별도로 전방 손잡이를 부착 하지 않은 경우 총열 상단의 운반손잡이를 잡고 파지한다.
성능은 PKM과 동일하지만 이쪽은 강제공랭식 총열 덕분에 과열이 덜 된다는 장점이 있고, 제니트코 사의 동구권 측면 레일 핸드가드가 있어서 별다른 개조 없이도 동구건 조준경을 부착할 수 있다. 다만 이 때문에 PKM에 비해 장전이 소폭 느리다.
PKM과 총열이 호환되는데, PKM에 PKP 부품이 부착된 PKM 페체네그 프리셋이 존재하며 그걸 카반이 들고 나올 때도 있다.
}}} ||

8.3. RPD

RPD 데그탸료프 경기관총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4mmR
100발
탄속 989 m/s 크기 6x3
발사 모드 연사 시야범위
무게 8.994 kg 반동 세로:210
가로:1300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0.14에서 출시된 소련산 구식 경기관총. 프라퍼 레벨 3에 기본형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콜론테이가 RPD 를 사용하기도 한다. 동구권 마운트가 장착된 RPDN 모델이 따로 존재하며, 단축 총열을 제외한 개조품이 존재하지 않지만 기본 반동제어 성능이 뛰어난 것이 장점이다.
}}} ||

8.4. M60

스프링필드 M60E4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4mmR
100발
탄속 989 m/s 크기 6x3
발사 모드 연사 시야범위
무게 8.994 kg 반동 세로:210
가로:1300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0.14에서 출시되는 미국제 다목적기관총으로 본작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 서방제 탄띠식 기관총이다.
}}} ||

9. 유탄발사기(Grenade Launcher)

9.1. GL40 Mk.2

FN 에르스탈 GL40 Mk.2
파일:EFT_FN GL-40.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40x46mm
1발
탄속 79m/s 크기 3x2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500
무게 2.920 kg 반동 세로: 200
가로: 400
연사 속도 700 사정거리 50m

}}} ||
【설명 (접기 / 펼치기)】
12.7 패치에서 추가된 단발식 유탄발사기. 40x46mm 유탄을 사용한다.

근거리/중거리용 고폭탄, 이중목적고폭탄(HEDP), 산탄 등 다양한 탄종이 존재하며 산탄을 제외한 모든 고폭탄은 표기된 최소 사거리 이내에서는 격발하지 않는다. 때문에 유탄 탄종이 꽤나 다양하지만 최소 사거리가 짧은 유탄이 가장 인기가 좋다. 근접용 고폭탄에는 M381탄과 M441탄이 있는데, 둘의 차이는 M441탄이 폭발 범위가 아주 쥐꼬리만하게 더 넓은 것 이외엔 없다.

유탄의 탄속이 아주 빠르고 탄도 또한 거의 직선에 가까워 가시거리 내에서는 여타 게임의 유탄과 달리 낙차를 계산할 필요도 없이 툭 까넣을 수 있다는 것이 특징. 충격 수류탄과 마찬가지로 벽을 끼고 싸우는 실내전에서는 그야말로 밸런스 파괴 수준의 엄청난 위력을 발휘한다. 하지만 야외 맵 등 근처에 구조물이 없는 환경에서 적을 마주친다면 적의 발치에 정확히 유탄을 적중시켜야 일격사를 낼 수 있는데, 이 때는 조준이 조금만 빗나가도 유탄이 적의 앞뒤로 크게 새어나가게 되므로 의외로 무력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극후반 퀘스트를 클리어해야 해금되고, 상점 가격 또한 약 50만 루블로 엄청나게 비싸기 때문에 정신나간 위력에도 불구하고 가성비가 극악이라 실제 게임에서는 아주 드물게 볼 수 있다.

9.2. M32

밀코 M32 MSGL
파일:Tarkov_MSGL.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40x46mm
6발
탄속 79m/s 크기
발사 모드 시야범위
무게 kg 반동 세로:
가로:
연사 속도 사정거리 m

}}} ||
【설명 (접기 / 펼치기)】
남아공제 6연발 유탄 발사기. GL40과 마찬가지로 40×46mm 유탄을 사용한다.
등대 로그 보스 3인조 중 한 명인 Big Pipe의 전리품으로만 가끔 획득할 수 있으며, GL40과 동일한 유탄을 6연발로 날리는 정신나간 화력을 가지고 있다. 다만 수급이 매우 어렵고 플리마켓 거래도 당연히 불가능하므로 실제 게임에서는 거의 마주치기 어렵다.

9.3. M203

M203 하부유탄발사기
파일:Tarkov_M203.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40x46mm
1발
탄속 m/s 크기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무게 kg 반동 세로:
가로:
연사 속도 사정거리 ?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미제 M203 하부유탄발사기. GL40과 M32A1 MGL과 동일하게 40×46mm 유탄을 사용한다. M381, M441탄과 같은 근접 고폭탄도 그대로 쏴갈길 수 있기 때문에 아래의 GP-25보다 성능적으로 우세하지만, 탄 수급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하부 부착물인지라 무기가 아니라 총기 개조에서 장착하는 부품 취급이며, 370mm 총열용으로 나오는 M4A1용 핸드가드에 부착된다. M203이 부착된 주무기의 슬롯 버튼을 한 번 더 눌러 소총/유탄 간 전환이 가능하다.

부품으로써 사양은 매우 극단적인데, 에르고를 무려 -41이나 까먹기에 아무리 에르고 위주로 모딩을 해도 유탄발사기를 부착하는 순간 에르고가 바닥을 치는 수준이 된다. 하지만 동시에 반동을 무려 10%나 잡아 주기에 반동 제어 면에서는 웬만한 소음기 수준의 성능을 보인다. 이는 실제 M203과 같은 하부유탄발사기를 장착하면 무게중심이 총기 앞쪽으로 쏠리게 되어 조작이 불편해지지만, 총구 앙등 억제 효과도 있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 ||

9.4. GP-25

GP-25 "코스티어" 하부유탄발사기
파일:Tarkov_GP-25.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40mm VOG-25
1발
탄속 m/s 크기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무게 kg 반동 세로:
가로:
연사 속도 사정거리 ?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소련제 GP-25 하부유탄발사기. 동구권 유탄발사기로 전용 VOG-25 40x53mm 규격의 유탄만을 사용하며, 40x46mm 규격의 서방 유탄을 먹지 못한다.

이전에는 수류탄 제작 전용 아이템으로만 쓰이던 VOG-25 유탄을 탄약으로 사용한다. VOG-25 유탄은 맵에 있는 수류탄 상자에서 흔하게 나오며, 서방 40mm 근거리 유탄과 달리 플리마켓에서 구하기도 쉽고, 서방 유탄보다 판매가도 저렴하기 때문에 근거리 유탄, 장거리 유탄, 플레셰트 등을 구분하기부터가 골치아픈 서방 유탄에 비해 수급이 용이하다.

문제는 일단 하부유탄발사기부터가 굉장히 비싸고 필드 드랍률도 낮으며,[15] 탄종이 서구권 40MM 처럼 다양하지 않고 VOG-25 딱 하나 뿐인데다가 폭발 범위도 서방 유탄에 비해 좁다. 다만 현재 버그인지 의도인지는 불명확하나 몇 시즌째 설명과는 다르게 신관이 5m부터 작동하기 때문에 근접전도 충분히 가능하여 유지비는 서방 유탄발사기에 비해 훨씬 저렴하며, 폭발 범위는 좁으나 파편 개수가 15개로 서방 유탄의 1.5배이기에 유효범위 이내라면 확실히 킬이 들어오기는 한다.

그리고 M203과 달리 전용 조준기로 정조준 사격이 가능한데, 이게 최소 영점거리가 무려 100m라서 근접에서 조준하고 쏘면 유탄이 위로 솟는다. 장거리에서 유탄을 맞출게 아니라면 조준기는 무시하고 레이저를 보고 쏘는 편이 낫다.

하부유탄이므로 역시 단일 무기가 아닌 총기개조 부품으로 취급되며, 단축형을 제외한 모든 AK계열 소총에 부착 가능하다. 부품으로써는 에르고 -35, 반동 -8%의 성능을 보인다.
}}} ||

[1] 샷건의 정확도, 즉 MOA 수치는 펠릿의 밀집도를 나타내는데, 15%로는 그다지 차이가 나지 않는다. 어느정도 집탄군이 좁혀지기는 하지만 그게 의미가 있는 거리에서는 펠릿의 대미지가 간지러운 수준이 되기 때문. [2] 벅샷의 중거리 교전은 운 좋게 헤드샷이 나오는 것이 아니면 사실상 소총, 기관단총을 이길 방도가 없다 [3] 비슷한 취급의 저해상도 열화상인 T12W는 최소한 푸른 배경에 붉은 열원이라 시인성이 좋아서 캔티드 사이트와 조합하여 쓸 수라도 있지만, 울티마 열화상은 하얀 배경에 열원을 검은색으로 표시해주는데, 하필이면 아랫부분에 비스듬하게 달린 탓에 이걸 활용하려면 일반 조준경을 추가로 달아 색적하는 용도 이상으로 쓰기가 조금 어렵다. [4] 총열 상부 덮개, 하부 덮개, 손잡이, 개머리판, 개머리판 패드, 열화상 카메라 구성 [5] 교환 아이템이 호스와 밀리터리 튜브인데, 둘 다 시즌 초반~초중반까지는 굉장히 비싼 시세를 형성한다. 다만 시즌 중반부터는 가격이 매우 저렴해지기 때문에 KS를 쓰는 유저들이 다시 자주 나타난다. [6] 물론 스코프와 소음기는 성능이 썩 좋지 않은 파츠라도 기본적으로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실질적인 모딩비가 그리 저렴하진 않다. [7] 그나마 피스키퍼의 Wet Job - Part 4를 완료한 뒤 열리는 Mentor 퀘스트를 완수하면 숙련도 3레벨을 올려주기는 하나, 퀘스트 완수를 위해 50,000 유로(약 900만 루블)라는 무지막지한 돈을 요구하는데다, 멘토를 완료할 것이라 해도 결국 저격소총 6레벨까지는 울며 겨자먹기로 쓰면서 올려야 한다. [8] 사실 유저들 사이에서 돌던 방아쇠압 이야기는 낭설뇌피셜이다. 실제 SV-98의 방아쇠는 전혀 무겁지 않고 오히려 매우 민감한 축에 속하며, 방아쇠압을 사수가 1.0~1.5kgf사이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까지 있다. SV-98의 단점으로 지적되던건 노리쇠였다. [9] 명중률은 2 MOA 안팎만 되어도 수십 ~ 수백미터 저격에 큰 문제가 없다. [10] 1위는 AXMC와 MK.18의 .338 라푸아 매그넘, 2위는 Ash-12.7과 Rsh-12의 12.7x55mm. [11] 그러나 튜닝할 수 있는 총구 파츠가 소음기 밖에 없으며, 총성이 독특하고 다른 총기에 비해 사격음이 커서 소음기가 없으면 어그로가 많이 끌리며, 소음기 장착 시 반동도 상당히 착해지기 때문에 소음기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크기는 하다. 에르고와 등가교환해야 해서 문제지... [12] 필드 드랍으로만 나오는 종결탄인 AP탄은 피해량이 무려 1156클래스 완전관통이다. 어떤 방어구를 입었든 흉부에 한 발을 꽂으면 100%에 가까운 확률로 즉사한다. 피스키퍼 4레벨에 파는 일반탄인 FMJ도 4클래스까지 확정관통, 5/6클래스도 2~3발 째에 높은 확률로 뚫으며 피해량은 122나 된다. [13] 무기 숙련 스킬이 제공하는 반동 감소 수치는 2~5% 정도로, 아주 큰 차이는 아니지만 전방 손잡이 1~2개 분량에 해당하는 차이라 체감이 없지는 않다. [14] 실제로 존재하는 파지법이고, 이 게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친 게임인 스토커 시리즈에서도 PK 기관총의 운반손잡이를 잡고 파지한다. [15] 프라퍼 Best Job in the World 퀘스트 완수 후 3레벨부터 교환. 교환 아이템은 인텔 1개와 OFZ 30mm 기관포탄 2개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8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8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