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2:13:59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

||<tablealign=center><tablewidth=803><tablebordercolor=#353535><bgcolor=white,#353535> 파일:콜 오브 듀티 시리즈 로고 (2023).svg 파일:콜 오브 듀티 시리즈 로고 화이트 (2023).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fff {{{#!folding [ 시리즈 일람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0px; font-size:0.95em"
제2차 세계 대전 모던 워페어 블랙 옵스 기타
콜 오브 듀티
유나이티드 오펜시브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DS / 리마스터
월드 앳 워
DS / 파이널 프론트
고스트
콜 오브 듀티 2
빅 레드 원
모던 워페어 2
모빌라이즈드 / 리마스터
블랙 옵스
DS
어드밴스드 워페어
콜 오브 듀티 3
승리로 가는 길
모던 워페어 3
디파이언스
블랙 옵스 2
디클래시파이드
온라인
WWII 모던 워페어
워존 칼데라
블랙 옵스 3 인피니트 워페어
뱅가드 모던 워페어 II
워존 2022
블랙 옵스 4 모바일
모던 워페어 III
워존
블랙 옵스 콜드 워 워존 모바일
블랙 옵스 6
※ 개별 문서가 없는 타이틀은 시리즈 일람을 참조 바람.
취소선: 서비스 종료 또는 이관
발매 순으로 보기 · 통합 세계관
e스포츠 : 콜 오브 듀티 리그
}}}}}}}}}}}}

<colbgcolor=#000000><colcolor=#fff> 파일:-Bnet_Game-Image_icon-512x512.png.webp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 관련 문서
싱글플레이어 캠페인
멀티플레이어 오퍼레이터 · · 스코어 스트릭 · 특전
좀비 모드 좀비 모드 · 등장인물
장비류 · 고블껌
장비류 장비류 · 총기 개조 · 주무기 · 보조무기
투척 장비 및 특수 능력
기타 발매 전 정보 · 평가
출시일까지 D[dday(2024-10-25)]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
CALL OF DUTY: BLACK OPS 6
파일: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 박스아트.jpg
개발 트레이아크[1]
레이븐 소프트웨어[2]
개발 보조 비녹스 | 하이 문 스튜디오 | 액티비전 상하이
슬레지해머 게임스 | 인피니티 워드 | 데몬웨어
유통 액티비전(전 세계) |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한국)
대원미디어(한국 PS 패키지)
시리즈 콜 오브 듀티 시리즈
플랫폼 PlayStation 4[3] | Xbox One[4]
PlayStation 5[5] | Xbox Series X|S[6]
Microsoft Windows
ESD PlayStation Network | Microsoft Store
Battle.net | Steam
장르 FPS
음악
출시 파일:세계 지도.svg 2024년 10월 25일
엔진 IW 9.0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심의 등급 미정
해외 등급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상점 페이지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아이콘.svg | 파일:Microsoft Store 라이트 테마 아이콘.svg 파일:Microsoft Store 다크 테마 아이콘.svg | 파일:Battle.net 아이콘.svg | 파일:스팀 아이콘.svg

1. 개요2. 발매 전 정보3. 시스템 요구 사양4. 발매 에디션5. 캠페인
5.1. 등장 세력 및 인물
6. 멀티플레이
6.1. 게임 모드6.2. 등장 진영 / 오퍼레이터6.3. 장비류6.4. 맵6.5. 스코어스트릭6.6. 특전
7. 좀비 모드8. 사운드트랙9. 사후 지원
9.1. 패치 노트9.2. DLC
10. 워존11. 평가12. 흥행13. 기타1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cerberus_bnet_game-content_ui_phoenix-en-1920x1080-textless.webp
The Truth Lies
진실이 곧 거짓이다
게임플레이 트레일러
트레일러 음악: The Prodigy - Firestarter

트레이아크가 개발하고 액티비전에서 유통하는 콜 오브 듀티 시리즈의 21번째 작품.

2. 발매 전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발매 전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시스템 요구 사양

4. 발매 에디션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파일:BO6_Cover.png
파일:BO6_Vault.jpg
<rowcolor=#fff> 스탠다드 에디션 (PC)
세대 호환 번들 (콘솔)
볼트 에디션
<rowcolor=#fff> 84,500원 125,000원[7]
게임 본편
헌터 vs 헌티드 오퍼레이터 팩[8] -
걸작 컬렉션[9] -
블랙셀 (1 시즌)[10] -
좀비용 고블껌 팩[11] -
예약 구매 혜택
오픈 베타 사전 참여[12]
우즈 오퍼레이터 팩[디지털][14]
스탠다드 에디션 가격은 동결되었으며, 볼트 에디션 가격은 전작인 모던 워페어 III(136,400원)에 비해 11,600원 인하되었다. PS 스탠다드 에디션은 한화 기준 타 플랫폼보다 100원 저렴한 84,400원이다.

게임패스[15]에는 스탠다드/세대 호환 번들 버전이 포함되며, 따로 제공되는 볼트 에디션 업그레이드를 구매하여 볼트 에디션 컨텐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예약 구매를 하지 않았더라도 예약 구매 혜택인 우즈 오퍼레이터 팩을 수령 가능하고, 오픈 베타에도 사전 참여할 수 있다. 우즈 오퍼레이터 팩을 받으려면 게임 출시일인 10월 25일 전까지 게임패스 구독을 유지한 상태에서 게임패스가 활성화된 플랫폼으로 모던 워페어 III 또는 워존에 로그인해야 한다.[16] # 물론 게임패스 유저뿐만 아니라 스탠다드를 구매했다가 볼트로 업그레이드하고 싶은 일반 유저도 구매 가능하다.

볼트 에디션 업그레이드의 가격이 30달러인데, 이게 블랙셀 한 시즌의 가격과 동일하기에[17] 블랙셀을 사는 가격으로 블랙셀뿐만 아니라 볼트 전용 오퍼레이터 스킨+무기 도안+고블껌까지 전부 얹어준다고 생각하면 꽤나 혜자스럽다.

전작 모던 워페어 III는 PS 패키지도 정발되지 않았던 것과 다르게 본작은 대원미디어에서 PS4, PS5 패키지를 정식으로 발매한다. 가격은 84,500원으로 타 플랫폼의 스탠다드 가격과 같으며, 모던 워페어 II와은 다르게 패키지 판이라고 가격이 많이 차이가 나진 않는다.[18]

5. 캠페인

5.1. 등장 세력 및 인물

  • CIA
    • 러셀 애들러
    • 프랭크 우즈
    • 케이스 (Case)
      본작의 1인칭 시점 주인공. 콜드 워의 벨과 같이 미스테리한 면이 있는 인물이라고 한다.[19] 플레이 영상에서는 백인 남성의 손 모습을 볼 수 있었으나 전작 콜드 워 처럼 성별이나 피부색 등을 변경할 수 있는지는 현재로써 미지수.
    • 트로이 마셜
      본작의 커버아트를 장식한 인물이다. 배우는 Y'lan Noel. 현역 시절의 우즈가 직접 훈련시킨 수제자 격의 요원.
    • 제인 해로우
      CIA 요원.
    • 펠릭스 뉴먼
      기술 천재.
    • 세바티 뒤마
      암살자. 배우는 카렌 데이비드.[20]
  • 이라크군
  • 러시아군

6. 멀티플레이

본작은 이전 시리즈에 없는 많은 기능들이 최초로 추가되었다.
  • 블랙 옵스 시리즈 사상 처음으로 전력질주가 추가됐다.[21]
  • '옴니무브먼트' 기능이 추가되었다. 시리즈 사상 최초로 앞/뒤/좌/우 어떤 방향으로든 전방향 질주와 슬라이딩 및 다이빙이 가능하며, 엎드린 상태에서도 360도로 몸을 기울일 수 있다.
  • '인텔리전트 무브먼트' 기능이 추가되었다. 다양한 움직임을 수행하기 위해 누르는 버튼이나 키의 수를 줄여주며, 설정에서 질주, 오르기, 앉기 어시스트 3가지를 활성화 및 비활성화할 수 있다.[22]
  • 히트 존이 기존의 4개[23]에서 9개[24]로 증가했으며, 이 덕분에 총격당한 신체 부위에 따른 맞춤형 사망 애니메이션이 재생된다.
  • 애니메이션이 전반적으로 자연스럽도록 개선되었으며, 모퉁이를 돌거나 출입구를 통과할 때 무기가 해당 방향으로 동적 회전하는 '코너 슬라이싱'이라는 기능[25]도 추가되었다.
  • HUD 커스터마이징 폭이 넓어졌다. 이제 미니맵, 남은 총알/장비 표시기의 위치를 자유롭게 옮길 수 있다.
  • 콜드 워 이후로 4년 만에 리플레이 기능인 극장 모드가 돌아왔다.

6.1. 게임 모드

6.2. 등장 진영 / 오퍼레이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오퍼레이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장비류

건스미스 시스템은 본작에서도 등장하며, 콜드 워와 같이 최대 8개의 부착물을 지원할 예정이다.

6.4.

정식 출시에서 12개의 코어 맵과 함께 2대2, 6대6 교전을 지원하는 소규모 교전용 스트라이크 맵 4개 총 16개의 맵이 예정되어 있다. 이 맵들은 전부 완전히 새로 제작된 맵들이며 아직 전작 맵의 리메이크는 예정에 있지 않으나 뉴크타운의 재등장 떡밥이 존재한다. 모던 워페어 이후 꾸준히 등장하며 콜드 워에서도 있었던 대규모 교전 모드에 대한 소식은 블랙옵스 6 다이렉트 시점에선 없다.

6.5. 스코어스트릭

블랙옵스 콜드 워에서 바뀌었던 WWII 징발 기초훈련 방식의 스코어스트릭 대신 전통적인 스코어스트릭 방식으로 돌아왔다.
  • RC-XD
  • 헬스톰: 블랙옵스 시리즈의 전통인 헬스톰 미사일이 이제 냉전시대에서도 같은 명칭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콜드 워에서는 순항 미사일이란 이름으로 나왔었다.

6.6. 특전

7. 좀비 모드

8. 사운드트랙

9. 사후 지원

9.1. 패치 노트

9.2. DLC

10. 워존

11. 평가

12. 흥행

13. 기타

  • 시리즈 사상 최초로 4년의 개발 사이클을 가진 작품이다.[26] 또한 시리즈 사상 최초로 3년의 개발 기간을 가진 블랙 옵스 3 이후로 트레이아크가 다시 가장 긴 개발 사이클 시간을 갱신했으며, 트레이아크가 오랜만에 제대로 된 개발 기간을 받은 게임이다.[27]
  • 전작들이 넘버링에 로마 숫자를 쓴 것과 달리[28] 본작은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며, 4 → 콜드 워 → 6로 넘어간 것으로 보아 넘버링에 특별한 의미가 있다기보단 단순히 블랙 옵스 시리즈 6번째 작품이라는 의미로 추측된다. 그래서인지 블랙 옵스 시리즈 5번째 작품인 콜드 워를 블랙 옵스 5라 간주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사람들은 본작이 정식 공개되기 전까지 제목을 정확히 몰랐기 때문에 임시적으로 '블랙 옵스 5'라 부른 경우도 있었으며( #, #2, #3) 반대로 본작의 제목이 블랙 옵스 6라는 것이 정식 공개되기 전까지 블랙 옵스 콜드 워를 '블랙 옵스 5'라고 부르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팬들 입장에선 콜드 워가 블랙 옵스 시리즈의 다섯 번째 시리즈인 건 맞지만, 다음 블랙 옵스 시리즈의 이름이 어떻게 될 지에 따라 콜드 워가 5편인지 아닌지에 대한 여부를 알 방법이 없었기 때문. 어쨌든 본작이 블랙 옵스 6으로 정해짐에 따라 콜드 워가 블랙 옵스 5였던 것은 간접적으로 공인된 셈이다.[29]
    • 트레이아크의 부(副)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Miles Leslie에 따르면, 본작의 부제를 블랙 옵스 6로 정한 이유는 "블랙 옵스 콜드 워는 블랙 옵스 게임이고 '6'을 통해 그 점을 강조하고 싶었다"고 한다. #
  • 2차 대전이나 냉전/베트남전 또는 미래전을 다루던 트레이아크가 최초로 현대전을 다루는 작품이다.
  • 워존 1이 3개의 작품(모던 워페어, 블랙 옵스 콜드 워, 뱅가드) 동안 사후지원을 받았기에, 이 주기가 워존 2.0에도 적용된다면 본작이 모던 워페어 II와 모던 워페어 III를 이어 워존 2.0의 마지막 사후지원 작품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후술할 2년 연속 시리즈 신작 사이클이 본작에도 유지된다는 루머가 맞는다면 워존 2.0은 적어도 2026년까지 사후지원을 받을 것이 유력하다. 그렇지만 차기작을 9세대 기종 전용으로 발매하게 된다면 그에 맞춰 워존 역시 9세대 전용으로 업그레이드할 것이 분명하기에 여전히 본작이 워존 2.0의 마지막이 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 2017년의 WWII 이후 약 7년 만에 처음으로 한국어, 폴란드어, 러시아어가 더빙 없이 자막만 지원하는 메인 콜옵 게임이다.[30] # 여기에 덤으로 모던 워페어 II와 III 때는 지원했었던 태국어 자막도 빠졌다. 이에 대해선 콜드 워 이후로 더빙의 퀄리티가 조금씩 안 좋아지기 시작하면서 영어 음성으로 플레이했기에 딱히 신경쓰지 않는 유저들이 있는 반면, 거의 6년이나 지원하던 더빙을 갑자기 뺀 것에 줬다 뺏는 건 좀 너무하다는 반응도 있다.
    일부에서는 이를 액티비전을 인수한 마이크로소프트의 탓으로 돌리는 반응도 있는데, 인수 당시에 MS는 액티비전의 운영 자율권을 보장해주겠다고 했었을 뿐더러 스타필드 같은 극히 일부 경우를 제외하면 예전부터 자사 게임들에 자막은 물론 더빙까지 꾸준히 잘 지원해주고 있기에[31] 이는 액티비전의 결정일 가능성이 높다. 애초에 인수 전부터 콜옵 시리즈가 한국 시장에서의 연이은 실패로 인해 지원을 계속 줄이고 있었던 만큼[32] 언제 더빙을 멈춰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었으며, 오히려 이 정도로 길게 더빙을 지원해준 것이 기적이고 차라리 스타필드처럼 자막조차도 지원하지 않는 최악의 상황을 피한 게 다행이라는 반응도 많은 편이다.[33]
  • 모던 워페어 II의 존재, 배틀필드 2042의 개발 중 난항 등 많은 게임업계의 정보를 정확하게 유출해온 인사이더 톰 헨더슨이 2025년 콜 오브 듀티의 존재와, 해당 작품이 2025년이 배경인 블랙 옵스 2로부터 몇 년 후인 2030년대를 다룬다는 정보를 유출하였다. 만약 유출이 들어맞을 경우, 2022년의 모던 워페어 II - 2023년의 모던 워페어 III에 이어서 또 한번 2년 연속으로 같은 시리즈의 작품이 출시되는 광경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2014년의 어드밴스드 워페어 이후로 약 10년 만에 콜 오브 듀티가 다시 Xbox 쇼케이스에 등장했다.[34] 차이점이라면 어드밴스드 워페어 때는 E3 진행이라 개발자가 직접 무대로 나와 청중들이 보는 앞에서 컨트롤러를 들고 게임을 플레이했으나, 현재는 온라인 진행으로 바뀌면서 그냥 미리 찍어둔 플레이 영상을 틀어놓기만 하는 정도이다.
  • 블랙 옵스 2부터 줄곧 블랙 옵스 넘버링의 음악을 담당해온 잭 월(Jack Wall)이 이번 시리즈에서도 음악을 담당할 수도 있으나 다른 담당자로 변경될 가능성도 있다. 다만 잭 월은 2023년에도 이미 트레이아크가 개발을 맡은 모던 워페어 III 좀비 모드 음악을 작곡했기 때문에, 2024년 작품인 본작에서 작곡가가 갑자기 바뀔 가능성은 낮다.
  • 인피니티 워드가 처음으로 보조 개발에 참여한 블랙 옵스 시리즈이기도 하다.[35] 차기작이 차례상 인피니티 워드 순서가 될 가능성이 있는데, 해당 작품이 블랙 옵스 시리즈일 경우 그에 앞선 사전 작업일 수도 있다.
  • 액티비전 Microsoft Gaming의 퍼스트 파티가 되면서 이번 작부터 마이크로소프트 엑스박스의 서비스가 도입된다.
    • 마이크로소프트 게이밍의 퍼스트 파티 신작이므로, 출시 당일부터 Xbox Game Pass를 통해 콘솔, PC에서 플레이가 가능하다. PC용 게임패스 구독자는 스탠다드 에디션을 구독할 수 있으며, 별도의 볼트 에디션 업그레이드 옵션과 결합해 사용할 수 있다.[36] 콘솔용 게임패스 구독자는 Xbox One Xbox Series X|S 모두에서 함께 이용할 수 있는 크로스젠 번들(스마트 딜리버리 시스템 적용)을 구독한다. 스탠다드 에디션과 크로스젠 번들은 구동 플랫폼만 다르지 게임 내 콘텐츠 차이는 없다.
      엑스박스 클라우드 게임을 지원할지는 미지수인데, 마이크로소프트 게이밍의 퍼스트 파티 게임인데도 불구하고 게임패스 사용자용 클라우드 게임 버전이 제공되지 않는 건 이례적이다. 영국 경쟁시장국이 엑스박스 클라우드 게임의 클라우드 게임 시장 독점을 문제 삼아서 콜 오브 듀티의 클라우드 게임 배포 권리가 유비소프트에 넘어간 게 원인이다.[37]
    • 게임패스 구독자는 본작을 최대 20%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으며, 인게임 소액결제 유료 재화인 COD 포인트(CP)를 구매 시 10%의 우대 할인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38][39] 게이머에 따라선 출시 첫날 게임패스 플레이보다 이 소액결제 할인이 더 사기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을 만큼[40] 다들 눈독을 들이고 있는 매력적인 혜택이다.
    • 기간 한정 이벤트로 블랙 옵스 시리즈의 라운드 기반 좀비 모드가 헤일로 인피니트 멀티플레이의 공식 플레이리스트에 들어갔다. 매치메이킹도 함께 지원한다. 플레이 가능한 맵 중엔 2008년의 콜 오브 듀티: 월드 앳 워 때부터 있던 유서 깊은 ' 언데드의 밤(Nacht der Untoten)'도 있다. # 개발자 공식 모드가 아니고 유저들이 인게임 에디터를 사용해 만든 커뮤니티 모드이나, PvE 커뮤니티 모드가 공식 모드로 채택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두 게임의 지식재산권이 이제는 한 회사에 있기 때문에 지식재산권 문제에 걸릴 일도 없고, 크로스오버로 본작을 홍보할 수도 있어서 이러한 콜라보성 이벤트를 기획한 것으로 보인다. 해당 이벤트는 2024년 5월 21일부터 6월 4일까지 진행된다.
  • 게임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세뇌'를 주요 소재로 한 1, 3, 콜드 워와 비슷한 분위기로 흘러갈지, '악연'을 주요 소재로 한 2, 4편과 비슷하게 흘러갈지는 확실치 않다. 일단 1, 3, 콜드 워처럼 세뇌와 비슷한 연출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닥 부각되는 편은 아니라서 2, 4편의 분위기에 가까울 것으로 예상된다.
  • 인피니트 워페어 모던 워페어 리마스터드 이후로 오랜만에 Microsoft Store로 PC판이 나온 작품이다. 당시 나온 작품들은 크로스플레이를 지원하지 않아서[41] 같은 플랫폼의 유저들만 잡혔기에[42] 유저 수가 거의 멸망 수준으로 적었으나, 본작은 타 플랫폼은 물론 콘솔 유저들과도 크로스플레이를 지원하기에 유저 수 걱정이 비교적 적다.
  • 본작도 콘솔 한정으로 2인 화면 분할 플레이를 지원하나, 구세대 콘솔(PS4/Xbox One)은 낮은 성능으로 인해 지원하지 않고 현세대 콘솔(PS5/Xbox Series X|S)만 지원한다.
  • 본작의 공개 트레일러가 8년 간 굳건하게 자리를 지켜온 2016년의 인피니트 워페어 공개 트레일러를 제치고, 공개된 지 약 이틀 만콜 오브 듀티 트레일러 영상 역대 조회수 1위 달성했으며, 바로 하루 뒤에는 콜 오브 듀티 트레일러 사상 최초로 5천만 조회수까지 돌파했다.[43] 물론 해외에선 광고 영상으로도 나왔기에 이를 감안해야 하지만, 전작들의 트레일러도 똑같이 광고로 나왔음에도 본작보다 조회수가 낮은 데다 기대치를 만땅으로 채웠던 모던 워페어 리부트보다도 조회수가 더 많이 나온 만큼 출시 전 본작에 대한 유저들의 기대감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14. 둘러보기

파일:Battle.net 로고.svg



[1] 멀티플레이와 좀비 모드 개발 [2] 캠페인 개발 [3] PS4 Pro 대응 [4] Xbox One X Enhanced [5] 적응형 트리거 및 햅틱 피드백 지원 [6] 파일:Optimized for Xbox Series XS 로고.svg Optimized for Xbox Series X|S 인증, 파일:XBOX 4K ULTRA HD.svg 파일:XBOX 60FPS.svg 4K UHD 및 60fps 지원, 파일:Dolby Vision 로고.svg Dolby Vision 지원, 파일:Xbox Smart Delivery 아이콘.svg 스마트 딜리버리 지원, 파일:XBOX HDR.svg HDR10 지원 [7] 스탠다드 에디션 → 볼트 에디션 업그레이드는 40,500원 [8] 파일:BO6-REVEAL-PREORDER-005.jpg
"오블리비언" 파크, "움브라" 애들러, "알카트라즈의 감시관" 브루투스, "부활" 클라우스 오퍼레이터 스킨이 포함된다. 볼트 에디션을 예약구매할 경우 오픈 베타 동안 해당 스킨들을 사용할 수 있다.
[9] 파일:BO6-REVEAL-PREORDER-006.jpg
걸작 무기 도안인 "전염병 의사" AMES 85(AR) 도안, "마인드 아이" 전투 단검(백병전) 도안, "더 스커지" 자칼 PDW(SMG) 도안, "브레인스톰" LR 7.62(SR) 도안, "위풍당당" 마린 SP(샷건) 도안이 포함된다.
[10] 배틀 패스, 1100 CP, 20 티어 스킵, 블랙셀 전용 배틀 패스 스킨/무기 도안 등이 포함된다. [11] 좀비 모드에서 사용 가능한, 희귀도가 높은 고블껌 12개가 포함된다. [12] 만약 콘솔판 실물 패키지를 예약 구매했다면 구매처에서 발송한 코드를 등록해야 오픈 베타 사전 참여가 가능하다. 디지털 버전을 예약 구매했거나 게임패스를 구독 중일 경우에는 자동으로 참여된다. [디지털] 디지털 버전을 예약 구매해야만 가능하며, 실물 패키지를 예약 구매한 콘솔 유저는 불가능하다. PC는 디지털 버전밖에 없으니 예외. [14] "클래식 우즈", "좀비 우즈", "넘버 우즈" 스킨 3개가 포함된다. 이 중 클래식 우즈는 구매 즉시 바로 해제되고, 좀비 우즈와 넘버 우즈는 게임 내에서 각 스킨에 대한 챌린지를 완료하여 해제할 수 있다. 모던 워페어 III, 워존, 워존 모바일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블랙 옵스 6에서는 출시 당일 사용할 수 있다. 2025년 10월 25일까지 수령해야 한다. [15] 게임패스 얼티밋, 콘솔 게임패스, PC 게임패스 3가지 요금제만 해당하며 게임패스 코어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또한 콘솔 게임패스는 온라인 멀티플레이 접근 권한이 없어서 캠페인만 플레이 가능하며, 좀비나 멀티플레이까지 하려면 코어도 구독하거나 얼티밋으로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 [16] 예약구매 시작 당시 Xbox 콘솔판은 바로 가능했지만, PC판은 아직 MS 스토어 버전이 나오지 않아서 조금 더 기다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 [17] 한국은 블랙셀 38,700원, 볼트 에디션 업그레이드가 40,500원으로 볼트가 살짝 더 비싸다. [18] 모던 워페어 II의 PS4, PS5 패키지 가격은 91,800원으로 책정되어 디지털 버전보다 무려 7,300원이나 비쌌다. [19] 실제로도 공개 트레일러에서 1인칭 시점으로 마네킹에게 붙들려 공격당하는 장면이 있는데, 블랙 옵스 시리즈 전통의 환각 장면이 나옴으로써 일반적인 요원이나 병사는 아님을 암시한다. [20] 원스 어폰 어 타임 자스민 공주, 피어 더 워킹 데드의 그레이스 역으로 유명한 여배우. 게임에서는 미러스 엣지 카탈리스트의 이사벨 크루거, 모던 워페어 리부트의 '포로' 미션에서 단역으로 등장하는 다린 역을 맡았다. [21] 자체 엔진을 사용한 전작들과 달리 현세대 IW 엔진을 사용한 영향으로 보이며, 이 때문인지 몰라도 블랙 옵스 시리즈 최초로 개발 보조에 인피니티 워드가 참가했다. [22] 즉 이 기능을 켜면 굳이 질주 버튼을 누르지 않고 움직여도 항상 질주를 수행하며, 가는 도중 앞에 장애물이 있다면 점프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자동으로 장애물을 넘어주고, 앞에 슬라이딩으로 통과 가능한 틈이 있다면 질주 중 앉기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슬라이딩을 자동으로 수행해준다. [23] 머리, 몸통, 하반신 왼쪽, 하반신 오른쪽 [24] 머리, 왼쪽 가슴, 오른쪽 가슴, 하체, 엉덩이, 왼팔, 오른팔, 왼쪽 다리, 오른쪽 다리 [25] 기울이기와 비슷하며, 정조준 상태로 코너나 모퉁이에 가까이 붙어서 왼쪽 및 오른쪽으로 통과할 때 무기가 해당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26] 슬레지해머가 2021년에 낸 뱅가드가 2017년의 WWII 이후 4년 주기의 사이클로 발매되긴 했지만, 당시의 여러 정황을 따져보면 사실상 개발 기간은 3년 이하라고 봐도 무방하다. [27] 평균적으로 콜 오브 듀티 시리즈의 개발 기간은 3년 정도이나, 블랙 옵스 4는 캠페인을 제작하다가 중간에 갈아엎고 이를 대체할 배틀로얄 모드인 블랙아웃을 단기간에 급조해야 했으며, 블랙 옵스 콜드 워는 인력이 부족한 슬레지해머를 대신해서 레이븐과 함께 거의 1년 반도 채 되지 않는 시간과 코로나 초창기의 열악한 자택근무 속에서 게임을 제작해야 했다. 물론 이 외에도 중간중간 여러 게임들에 보조 개발 역할로 불려가긴 했지만, 어디까지나 랭크전 또는 좀비 같은 게임 모드 한두개 정도 만드는 보조인 만큼 자신들의 메인 게임을 안정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최소한의 인력은 확보해두었을 것으로 보인다. [28] 다만 블랙 옵스 4는 IV가 아닌 IIII로 표기해서 살짝 억지스럽고, 블랙 옵스 콜드 워는 숫자 없이 콜드 워라는 부제만 붙었다. [29] 개발진들이 의도적으로 숫자 5를 피하는 건진 알 수 없지만, 공교롭게도 숫자 5를 피하게 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닌데 2007년에 출시된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이후 다음 해인 2008년에 나온 작품이 콜 오브 듀티: 월드 앳 워였으며 콜 오브 듀티 5로 불리진 않았다. [30] 모던 워페어 2 캠페인 리마스터도 더빙 없이 자막만 지원하긴 하나 구작을 캠페인만 따로 떼서 리마스터한 것이기에 메인 게임으로는 치지 않는다. [31] 특히 본작의 게임플레이 트레일러가 첫 공개된 2024년 Xbox 게임 쇼케이스에서 같이 공개된 기어스 오브 워: E-Day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 리톨드 같은 자사의 대작 게임들이 더빙까지 지원되는데, 국내에서 본작보다 더욱 마이너한 기어스 오브 워도 더빙이 지원되는 판에 여태까지 잘만 해왔던 콜옵 더빙을 굳이 MS 측에서 빼라고 지시하진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32] 2021년부터 PC방 전용 15세 이용가 서비스와 한국 전용 저렴한 가격대 서비스를 종료하고, 워존 스트리머 이벤트와 눈송이 행사도 당해 마지막으로 진행 후 2022년부터는 열리지 않았으며, 2023년에는 아예 PC방 서비스까지 철수했다. [33] 이전보다야 낫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한국에서의 콜 오브 듀티 시리즈의 인지도와 판매량은 말 그대로 바닥을 기는 수준이다. 이는 한국 게임시장의 특성과도 맞물려있는데 부분유료 온라인 게임과 그러한 게임에 혜택을 주는 PC방 중심으로 성장을 해 온 탓에, 콘솔 게임 유저가 아닌 이상 '게임은 무료로 하는 게 당연한 것'이라는 생각이 한국 게이머들의 인식에 박힌 것이다. 한국에 콘솔 게임들이 여전히 힘을 못 쓰는 것도 그동안 무료로 해오던 게임을 갑자기 7~8만원을 주고 하라고 하니 아무리 명작이라도 거부감이 들 수 밖에 없다. 결국 PC방과 온라인 게임 중심으로 게임산업을 육성해온 한국 게임시장의 특성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34] 어드밴스드 워페어 다음 작품인 블랙 옵스 3부터는 리드 플랫폼이 Xbox에서 PS로 바뀌면서 Xbox 쇼케이스에 등장하지 않았다. [35] 첫 보조 개발 작품은 모던 워페어 III였지만 사실 보조 개발이라기에는 인워의 영향력이 상당히 큰 편이었으며, 개발 비화 루머에 따르면 오히려 메인 개발사인 슬레지해머가 보조 개발사인 인워에게 압박을 받을 정도였다. [36] 본편은 게임패스로 구독한 상태에서 '볼트 에디션 업그레이드'를 구매하면 '게임패스 본편 + 구매 DLC가 결합된 상태'로 게임이 실행된다. [37] GeForce NOW가 콜 오브 듀티의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는 유비소프트에 권리가 넘어가기 직전 마이크로소프트와 엔비디아가 따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덕분이고, 유비소프트에 권리가 넘어간 지금은 마이크로소프트는 커녕 현재 권리 소유자인 유비소프트가 클라우드 게임 사업 역량이 없는지 콜 오브 듀티 클라우드 서비스를 아직도 하지 못 하는 상황이다. [38] 확정이 아니고 가능성이 높다고 한 이유는 CP의 소재가 아직 확정되지 않아서다. CP의 소재가 유료 게임인 블랙 옵스 6에 있으면, 폴아웃 76의 아톰이나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의 헬릭스 크레디트처럼 소액결제 할인이 들어가는 게 기정사실이다. 하지만 CP의 소재가 무료 게임인 콜 오브 듀티: 워존에 있다면, 게임패스 미입점 게임으로 간주되어 해당 서비스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있다. [39] 반쪽짜리 지원이 될 가능성도 있어서 일단은 열어봐야 안다. 엘더스크롤 온라인 같은 경우는 결제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지 콘솔 스토어에서만 크라운 할인이 적용되고, PC 스토어에서는 할인이 안 되는 문제가 있었다. 결국 엑스박스 콘솔 사용자에게만 크라운 할인을 제공한다는 공지를 대문에 박아버리고 아직도 콘솔 스토어에서만 우대 할인을 제공하는 반쪽짜리 서비스를 하고 있다. 현재 PC쪽 CP 결제가 Battle.net으로 파편화되어 있기에 기술적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가 관건이다. [40] 특히 본편 값이 최소 70달러에서 최대 100달러인데, 이 가격이면 게임 내에서 2400 CP(=20달러)짜리 번들 3~5개를 구매할 수 있기에 수명이 1년짜리인 본편을 구매할 바에 차라리 게임패스를 구독하고 나머지 돈으로 번들을 산다는 선택도 할 수 있다. 게다가 워존을 주로 하는 무료 유저라면 게임패스 구독으로 본편에서 쉽게 총기 레벨을 올리고 챌린지를 깨는 건 물론, CP 할인으로 번들까지 비교적 더 저렴하게 살 수 있으니 큰 이득이기도 하다. [41] 크로스플레이를 본격적으로 지원하게 된 것은 2019년의 모던 워페어 리부트 출시 시기부터이다. [42] 같은 PC판이라도 스팀 유저와 MS 스토어 유저가 따로 잡혔다. [43] 인피니트 워페어 때는 3연속 미래전으로 인해 슬슬 질리는 반응+라이벌인 배틀필드 1의 압도적인 트레일러 퀄리티+ 모던 워페어 리마스터드 끼워팔기라는 3박자 조합으로 인해 분노한 게이머들이 비추를 달려고 동영상에 들어갔고, 그렇게 쌓인 비추 수가 '유튜브 역사상 가장 많은 비추가 달린 영상 중 하나'라는 기록을 세운 것에 궁금해진 또 다른 사람들이 들어오면서 조회수가 뻥튀기 된 감이 있었다. 반면 이번 트레일러는 조회수는 조회수대로 높으면서 추천/비추천 비율도 10 대 1이라 압도적으로 호평이 가득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