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08:51:20

콘스탄틴 베스코프

콘스탄틴 베스코프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파일:소련 축구 연맹 로고.svg

9대, 19대, 24대
클럽
파일:PFC CSKA 모스크바 로고.svg

10대
파일: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고.svg

18대
파일:FC 디나모 모스크바 로고.svg

22대, 36대
파일: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로고.svg

22대
}}} ||
러시아의 前 축구감독
파일:external/images.aif.ru/28a1825653dcd0449a51ff61903759f7.jpg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콘스탄틴 베스코프
Константин Бесков | Konstantin Beskov
본명 콘스탄틴 이바노비치 베스코프
Константин Иванович Бесков
출생 1920년 11월 18일
소비에트 러시아 중앙연방관구 모스크바연방시
사망 2006년 5월 6일 (향년 85세)
러시아 중앙연방관구 모스크바연방시
국적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신체 183cm
직업 축구 선수( 공격수[1]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eeeeee,#191919> 선수 FC 세르프 이 몰로트 모스크바[2] (1937)
메탈루르크 모스크바 (1938~1940)
FC 디나모 모스크바 (1941~1954)
감독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1956)
PFC CSKA 모스크바 (1961~1962)
소련 대표팀 (1963~1964)
FC 조랴 루한스크 (1964~1965)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1966)
FC 디나모 모스크바 (1967~1972)
소련 대표팀 (1974)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77~1988)
소련 대표팀 (1979~1982)
FC 아스마랄 모스크바 (1991~1992)
FC 디나모 모스크바 (1994~1995)
국가대표 2경기 ( 소련 / 1952)

1. 개요2. 선수 시절3. 감독 경력
3.1. 초창기3.2.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1기3.3. 디나모의 명장3.4.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2기3.5. 스파르타쿠스의 영웅3.6.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3기3.7. 말년
4. 은퇴 후의 삶5. 수상
5.1. 선수5.2. 감독
5.2.1. 클럽5.2.2. 국가대표
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러시아( 소련)의 축구선수 출신 감독. 1994년부터 1995년까지 FC 디나모 모스크바 감독을 맡았다.

그는 선수 시절 꽤나 잘 나가는 스트라이커였고 감독 인생을 시작한 후 디나모 모스크바, 로코모티브 모스크바, 그리고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소련 국가대표팀을 3차례 맡아서 소련 축구를 전 세계에 각인시켰다. 초창기 유럽 축구계에서 변두리 취급받았던 소련은 그 덕분에 전 세계에 자신들의 실력을 보여줬다. 2006년 사망 후, 러시아 정부는 2010년 그를 기념하기 위한 주화를 특별 제작해 배포함으로서 소련 및 러시아 축구를 발전시킨 그를 기렸다.

2. 선수 시절

파일:external/ic1.static.km.ru/3_135.jpg
디나모 모스크바에서 스트라이커로 활약하던 시절 베스코프.

콘스탄틴 베스코프는 1920년 11월 18일 농부인 아버지와 평범한 가정주부 사이의 외동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926년 그의 삼촌의 배려로 축구 시합에 참여하면서부터 축구에 흥미를 느꼈다. 1928년 여름, 그의 어머니는 그에게 축구공을 선물했다. 그는 이 축구 공을 가지고 거리에서 축구를 했고 또래 아이들과 함께 축구 팀을 결성하기도 했다고 한다.

그후 그는 축구팀의 주장이 되어 아마추어 대회에 종종 참여했고 1936년에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으며 하키 팀에도 참여해 하키 경기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러다가 1937년 '망치와 낫' 모스크바 축구 팀에 가담한 베스코프는 1938년 Metallurg Moscow로 옮기고 1940년까지 스트라이커로 활동하며 45경기 13골을 기록했다.

1940년, 그는 20살의 나이에 군대에 입대하여 몰도바에 주둔한 육군 부대에 배속되었다. 그리고 1941년 초, 그는 군인의 신분으로 디나모 모스크바에 소속되었고 좌측 공격수로 주로 출전했다. 그러다가 1941년 6월 나치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자, 그는 모스크바의 군부대에 소속되어 모스크바를 지키는 임무를 수행했다. 베스코프는 전쟁 중이던 1944년부터 디나모 모스크바 소속으로서 국가 챔피언십에 출전했고 1945년과 1949년에 우승을 차지했으며 1948년과 1950년엔 준우승을 거두었다. 그리고 1950년엔 33골을 몰아넣으며 소련 최고의 축구 선수에 선정되는 영광을 만끽했다. 한편, 디나모 모스크바는 1945년 11월에 영국에서 친선경기를 치렀는데, 베스코프는 4경기에서 5골과 4개의 어시스트를 기록했다. 또한 1947년에는 스웨덴, 노르웨이를 망문해 3경기에서 4골을 기록했다.

1952년, 베스코프는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올림픽 대회에 국가대표로 참여했다. 첫번째 경기는 유고슬라비아전이었는데, 이 경기는 5:5 무승부로 끝났다. 이때 베스코프는 3번의 코너킥을 날려 한 골을 만드며 비교적 좋은 활약을 선보였다. 하지만 그는 공을 빼앗겨 동점골을 허용하는 큰 실수를 범하는 바람에 팀의 승리를 날려버렸고 이후 유고슬라비아와의 리매치에선 무기력한 경기력을 보여 패배하고 말았다. 소련 당국은 이 패배에 격노했는지 국가대표팀을 해체시켰고 1950년에 수여받았던 '최고 축구 선수상'을 박탈했다. 다행히 1953년에 그가 공산당에 입당한 후 박탈당했던 '최고 축구 선수상'을 돌려받을 수 있었다.

베스코프는 디나모 모스크바에서 1954년까지 뛰며 196경기 93골을 넣은 후 은퇴를 선언했다. 그후 그는 축구계를 떠나 과학계에 관심을 두고 논문을 몇 개 작성함으로서 과학 연구에 합류하고 싶어했다. 그러나 과학계는 축구 선수인 그를 받아주지 않았고, 그는 할 수 없이 축구로 돌아가 감독 경력을 시작하기로 결심했다.

3. 감독 경력

3.1. 초창기

베스코프는 1954년에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의 코치로 부임하여 1년간 코치 생활을 보냈고 1955년엔 토페도 모스크바의 수석코치가 되어 1년간 감독을 보좌했다. 그러다가 시즌 도중에 감독이 물러나자, 1956년에 임시 감독으로 부임하여 시즌을 마무리했다. 이후 1957년에는 모스크바 루츠니키에 위치한 유스 축구 학교의 감독으로 부임해 3년간 어린 선수들의 잠재력을 끌어올리는데 기여했고 1958년에는 스웨덴에서 열린 월드컵에 '옵저버' 자격으로 참석해 월드컵 경기를 지켜봤다. 그후 1960년에 CSKA 모스크바의 1군 팀 코치로 부임한 그는 1961년 감독이 물러나자 그 대신에 감독을 맡아서 1961-62 시즌 소련 축구 리그에서 4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그는 1962년 시즌이 끝난 후 보드진과 마찰을 빛다가 사임했다. 그후 베스코프는 소련 중앙 TV의 스포츠 프로그램에서 축구 평론가로서 1년간 활동했다.

3.2.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1기

파일:external/img.championat.com/konstantin-ivanovich-beskov-1963-god_1338119519816548987.jpg

1963년, 베스코프는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는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4 예선전에서 명실상부한 축구 강국 이탈리아를 홈에서 2:0으로 이기고 원정에서 1:1 무승부를 거두어 세상을 놀라게 했다. 또한 8강전에서 스웨덴을 홈에서 3:1로 이기고 원정에서 1:1 무승부를 거두며 격파했고 4강전에서 덴마크를 3:0으로 제압했다. 이리하여 단숨에 결승에 진출한 소련은 우승을 노렸지만 마드리드에서 개최국 스페인에게 2:1로 패해 아쉽게도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준우승이라는 높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당시 소련의 절대 권력자였던 니키타 흐루쇼프가 파시스트인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나라에게 졌다는 이유로 격분했고 결국 베스코프는 당국의 압박을 받고 불명예스럽게 사임해야 했다.

3.3. 디나모의 명장

파일:external/bobsoccer.ru/298.2699.Linyaev.jpg

이후 베스코프는 1964년 FC 조랴 루한스크에 부임해 지난 시즌 21위였던 팀을 3위로 끌어올려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얼마 안가서 선수 영입에 소극적인 보드진과 대판 싸우고 사임한 그는 1966년 로코모티브 모스크바를 거쳐 1967년 디나모 모스크바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는 디나모를 이끌고 첫 시즌에 리그 준우승을 달성했고 1970년에도 다시 한번 리그 준우승을 기록했다. 또한 소련 컵에서 1967년 우승을 달성했고 1970년과 1972년에 소련 컵 우승을 차지했다. 디나모 모스크바는 소련 컵 우승팀의 자격으로서 유로피언 위너스컵에 세 차례 출전했는데, 그중 1972년엔 위너스 컵 결승까지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나 아쉽게도 캄프 누에서 스코틀랜드의 명문 클럽 레인저스 FC에게 3:2로 패해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3.4.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2기

1972년 로코모티브 모스크바 감독직에서 물러난 베스코프는 1974년 소련 축구 대표팀의 감독으로 부임했다가 같은해 물러났다.

3.5. 스파르타쿠스의 영웅

파일:external/pp.vk.me/aeOzw_Vvji8.jpg

1977년, 베스코프는 러시아 축구 대표팀을 떠난 뒤 니콜라이 스타로스틴 회장의 부름을 받아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베스코프는 이 팀에서 감독 경력 사상 최전성기를 구가했다. 그는 스파르타크에서 1977년부터 1988년까지 11년간 장기 집권하며 많은 업적을 남겼다. 당시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는 2부리그에 있었는데, 베스코프는 이 팀을 이끌고 곧바로 승격시킨 후 1부리그의 강팀으로 부상시켰다.

이후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는 그의 지도를 받으며 1979년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그러나 1982년 홈 구장인 레닌 스타디움(지금의 루즈니키 스타디움)에서 네덜란드 할렘과 UEFA컵 경기를 벌이던 도중 압사 사고가 일어나 최소 60명 이상이 사망하는 비극을 목도했다. 그 때문에 한동안 우승과 거리가 멀었지만 1987년에 다시 한번 리그 우승컵을 획득했으며 뒤이어 소비에트 페더러레이션 컵에서도 우승컵을 획득해 더블을 달성했다. 1980년대에는 같은 소련 최강팀인 FC 디나모 키이우의 감독 발레리 로바노프스키와 쌍벽을 이루기도 했다.

3.6.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3기

파일:external/img.championat.com/1402377783_b_konstantin-beskov.jpg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에서 잘나가고 있을 무렵인 1979년, 베스코프는 또다시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이후 그는 국가대표팀을 맡는 동시에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도 맡는 '투잡'을 수행하게 되었다. 당시 소련은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에서 지역 예선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그래서 그들은 국가대표팀을 이미 2차례 맡아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던 베스코프를 히든카드로 사용하기로 결의했다. 1980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대표팀을 이끌고 동메달을 거머쥐며 다시 한번 소련 축구의 위용을 전세계에 알렸다.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은 베스코프의 지도를 받으며 지역 예선을 순조롭게 통과한 후 1982 스페인 월드컵에서 6조에 속해 브라질, 스코틀랜드, 뉴질랜드와 한 조를 이루었다.

당시 브라질은 지쿠, 소크라치스, 토니뉴 세레주, 호베르투 파우캉 등의 황금의 사중주를 결성하고 있었기에 소련으로서는 도저히 당해내지 못하고 패하고 말았다. 그래도 소련은 스코틀랜드와 뉴질랜드를 격파해 조2위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 소련은 2라운드에서 A조에 속해 폴란드, 벨기에와 한 조를 이뤘는데, 벨기에를 1:0으로 제압하긴 했지만 폴란드가 벨기에를 3:0으로 대파하는 바람에 골득실에서 밀렸고 폴란드를 상대로 이겨야만 4강에 진출할 수 있었지만 폴란드와의 일전에서 0:0 무승부를 거두는 바람에 폴란드에게 밀려 탈락하고 말았다. 베스코프는 2라운드 진출에 그친 것에 책임을 지고 대표팀 감독 직을 사임했다.

3.7. 말년

1988년, 베스코프는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에서 이사진으로부터 고령의 나이를 이유로 은퇴를 요구받았다. 그러나 그는 아직 현장에서 활약할 수 있다며 은퇴를 거부했고 보드진은 고령의 나이를 이유로 변화가 필요하다며 그를 경질했다.(...) 이후 그는 소련 축구 협회의 회장으로서 1990년부터 1991년까지 1년간 일했고 1991년엔 2부리그에 속한 FC Asmaral Moscow의 감독으로 부임해 첫 시즌에 팀을 1부리그로 승격시키고 2번째 시즌엔 7위를 기록해 중위권으로 도약했다. 이후 1993년 선수 시절 가장 성공했던 디나모 모스크바로 귀환한 그는 1995년까지 활동하며 1994년 리그 준우승, 1995년엔 러시아 컵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베스코프는 1995년 은퇴를 선언했다.

4. 은퇴 후의 삶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RR5110-0101R.png

은퇴 후, 베스코프는 학교 선생님인 딸과 함께 여생을 조용히 보내다가 2006년 5월 6일 8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후 러시아 정부는 2010년 그를 기념하는 주화를 특별 제작해 그의 공적을 기렸다.

5. 수상

5.1. 선수

소련 챔피언십 동메달 : 1938년, 1952년
소련 챔피언십 은메달 : 1946년, 1947년, 1948년, 1950년
소련 리그 우승 : 1945년, 1949년
소련 컵 우승 : 1953년

5.2. 감독

5.2.1. 클럽

소련 컵 우승 : 1967년, 1970년
러시아 컵 우승 : 1995년
소련 챔피언십 은메달 : 1967년, 1970년, 1980년, 1981년, 1983년, 1984년, 1985년
소련 챔피언십 동메달 : 1982년, 1986년
러시아 챔피언십 은메달 : 1994년
유로피언 위너스컵 준우승 : 1972년
소련 리그 우승 : 1979년, 1987년
소련 2부리그 우승 : 1991년

5.2.2. 국가대표

유로피언 네이션스컵 준우승 : 1964년
올림픽 동메달 : 1980년

6. 둘러보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27px-UEFA_Euro_1964.svg.png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4 참가 감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FFFFFF)"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호세
비아롱아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
버로티
러요시


파일:덴마크 국기.svg
포울
페테르센


파일:소련 국기.svg
콘스탄틴
베스코프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 ||

{{{#!wiki style="color:white;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bgcolor=#F9F208> 1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엔초
베아르초트

파일:폴란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안토니
피에흐니체크


파일:페루 국기.svg



파일:카메룬 국기.svg

뱅상


2조 파일:독일 국기.svg
유프
데어발


파일:알제리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마히딘
칼레프



파일:칠레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루이스
산티바녜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펠릭스
라츠케

게오르크
슈미트
3조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세자르 루이스
메노티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메쇠이
칼만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마우리시오 알론소
로드리게스
4조 파일:잉글랜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그린우드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미셸
이달고
파일:체코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요제프
벵글로시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
5조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세
산타마리아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호세 데 라 파스
에레라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밀랸
밀랴니치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빌리
빙엄
6조 파일:브라질 국기.svg
텔레
산타나
파일:소련 국기.svg
콘스탄틴
베스코프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조크
스타인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애드셰드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 1934 1938 1950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ef4138><tablebgcolor=#ef4138> 파일:소련 축구 연맹 로고.svg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215,#eadd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31년~1992년
초대
코즐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기술위원회
파일:소련 국기.svg
2대
아르카디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기술위원회
파일:소련 국기.svg
3대
소콜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4대
카찰린
파일:소련 국기.svg
5대
글라스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6대
야쿠신
파일:소련 국기.svg
7대
카찰린
파일:소련 국기.svg
8대
시모냔
파일:소련 국기.svg
9대
베스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10대
시모냔
파일:소련 국기.svg
11대
N. 모로조프
파일:소련 국기.svg
12대
야쿠신
파일:소련 국기.svg
13대
카찰린
파일:소련 국기.svg
14대
니콜라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15대
굴랴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16대
포노마료프
파일:소련 국기.svg
17대
조닌
파일:소련 국기.svg
18대
고랸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19대
베스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20대
로바노브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21대
니콜라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22대
시모냔
파일:소련 국기.svg
23대
바질레비치
파일:소련 국기.svg
24대
베스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25대
로바노브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26대
말로페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27대
로바노브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28대
시모냔
파일:소련 국기.svg
29대
Y. 모로조프 / 모샤긴
파일:소련 국기.svg
30대
로바노브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31대
비쇼베츠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c9072a><tablebgcolor=#c9072a,#191919> 파일: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로고.svg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28a7e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22년 ~ 현재
미상
파일: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로고.svg
1대
피베브르
파일:체코 국기.svg
2대
코즐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3대
크바시닌
파일:소련 국기.svg
4대
포포프
파일:소련 국기.svg
5대
고로호프
파일:소련 국기.svg
6대
포포프
파일:소련 국기.svg
7대
고로호프
파일:소련 국기.svg
8대
크바시닌
파일:소련 국기.svg
9대(대행)
이사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10대
볼라르트
파일:소련 국기.svg
11대
크바시닌
파일:소련 국기.svg
12대
단굴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13대
글라즈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14대
소콜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15대
굴라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16대
시모냔
파일:소련 국기.svg
17대
굴라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18대
살니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19대
시모냔
파일:소련 국기.svg
20대
굴라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21대
크루티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22대
베스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23대
로만체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4대
야르체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5대
로만체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6대
체르니쇼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7대(대행)
페도토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8대
스칼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9대
스타르코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30대
페도토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1대
체르체소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2대(대행)
레댜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3대
라우드루프
파일:덴마크 국기.svg
34대
카르핀
파일:러시아 국기.svg
35대
에메리
파일:스페인 국기.svg
36대
카르핀
파일:러시아 국기.svg
37대
군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38대
야킨
파일:스위스 국기.svg
39대
알레니체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0대
카레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41대(대행)
리난초
파일:스페인 국기.svg
42대
코노노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43대
쿠즈네초프
파일:헝가리 국기.svg
44대
테데스코
파일:독일 국기.svg
45대
비토리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46대
바놀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47대
아바스칼
파일:스페인 국기.svg
48대(대행)
슬리슈코비치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49대
스탄코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

{{{#!wiki style="margin: 0 -10px"
{{{#1e4faa,#28a7e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22년 ~ 현재
미상
파일:FC 디나모 모스크바 로고.svg
1대
지타레프
파일:소련 국기.svg
2대
아르테미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3대
블린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4대
셀린
파일:소련 국기.svg
5대
소콜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6대
크바시닌
파일:소련 국기.svg
7대
두비닌
파일:소련 국기.svg
8대
토바롭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9대
두비닌
파일:소련 국기.svg
10대
테테린
파일:소련 국기.svg
11대
코르체보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12대
테테린
파일:소련 국기.svg
13대
아르카디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14대
코르체보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15대
야쿠신
파일:소련 국기.svg
16대
두비닌
파일:소련 국기.svg
17대
세미차스트니
파일:소련 국기.svg
18대
야쿠신
파일:소련 국기.svg
19대
블린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20대
포노마료프
파일:소련 국기.svg
21대
솔로비요프
파일:소련 국기.svg
22대
베스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23대
카찰린
파일:소련 국기.svg
24대
세비도프
파일:소련 국기.svg
25대
모제르
파일:소련 국기.svg
26대
고랸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27대
골로데츠
파일:소련 국기.svg
28대
솔로비요프
파일:소련 국기.svg
29대
이바노프
파일:소련 국기.svg
30대
세비도프
파일:소련 국기.svg
31대
말로페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32대
비쇼베츠
파일:소련 국기.svg
33대
알트만
파일:소련 국기.svg
34대
가자예프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35대(대행)
골로데츠
파일:러시아 국기.svg
36대
베스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7대
야르체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8대
페트루신
파일:러시아 국기.svg
39대
가자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0대
노비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1대
프로코펜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42대(대행)
실킨
파일:러시아 국기.svg
43대
흐르제비크
파일:체코 국기.svg
44대(대행)
본다렌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45대
로만체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6대(대행)
코벨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7대
워르트망
파일:브라질 국기.svg
48대(대행)
코벨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9대
쇼민
파일:러시아 국기.svg
50대
코벨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1대
보조비치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52대
실킨
파일:러시아 국기.svg
53대(대행)
호흘로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4대
페트레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55대
체르체소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6대
코벨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7대(대행)
치키셰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8대
칼리트빈체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59대
호흘로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60대
노비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61대(대행)
쿨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62대
슈바르츠
파일:독일 국기.svg
63대
요카노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64대(대행)
알파토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65대
리치카
파일:체코 국기.sv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F2027 23.5%, #CF2027 23.5%, #CF2027 24.5%, #094422 24.5%, #094422 25%, #094422 25%, #094422 75%, #094422 75%, #094422 75.5%, #CF2027 75.5%, #CF2027 76.5%, #CF2027 76.5%)"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94422><tablebgcolor=#094422,#191919> 파일: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고.svg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28a7e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22년 ~ 현재
미상
파일: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고.svg
1대
스톨랴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2대
림베크
파일:벨기에 국기.svg
3대
수시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4대
안드레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5대
수시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6대
스테파노프
파일:소련 국기.svg
7대
블린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8대
막시모프
파일:소련 국기.svg
9대
아푸흐틴
파일:소련 국기.svg
10대
막시모프
파일:소련 국기.svg
11대
카찰린
파일:소련 국기.svg
12대
아르카디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13대
옐리세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14대
모로조프
파일:소련 국기.svg
15대
코스틸레프
파일:소련 국기.svg
16대
아르카디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17대
로고프
파일:소련 국기.svg
18대
베스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19대
부부킨
파일:소련 국기.svg
20대
마리옌코
파일:소련 국기.svg
21대
로고프
파일:소련 국기.svg
22대
볼초크
파일:소련 국기.svg
23대
야쿠신
파일:소련 국기.svg
24대
볼초크
파일:소련 국기.svg
25대
마리옌코
파일:소련 국기.svg
26대
세비도프
파일:소련 국기.svg
27대
라디오노프
파일:소련 국기.svg
28대
볼초크
파일:소련 국기.svg
29대
쇼민
파일:소련 국기.svg
30대
필라토프
파일:소련 국기.svg
31대
쇼민
파일:러시아 국기.svg
32대
예시트레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3대
무슬린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34대
돌마토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5대
비쇼베츠
파일:러시아 국기.svg
36대(대행)
빌랼레트디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7대
라히모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38대(대행)
마미노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39대
쇼민
파일:러시아 국기.svg
40대
크라스노잔
파일:러시아 국기.svg
41대(대행)
마미노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42대
코세이루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43대
빌리치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44대
쿠추크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45대(대행)
체렙첸코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46대
보조비치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47대
체렙첸코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48대(대행)
파시닌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49대
쇼민
파일:러시아 국기.svg
50대
니콜리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51대
기스돌
파일:독일 국기.svg
52대
친바우어
파일:독일 국기.svg
53대
갈락티오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고.svg
}}}}}}}}}}}}}}} ||


[1] 스트라이커 [2] 세르프 이 몰로트(Серп и Молот, Serp i Molot)은 러시아어로 '망치와 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