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08:39:58

발레리 로바노브스키

발레리 로바노브스키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파일:소련 축구 연맹 로고.svg

20대, 25대, 27대, 30대
파일: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3대
파일: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8대
클럽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

18대, 20대, 26대

}}} ||
발레리 로바노브스키의 기타 정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e5e5e5
브라이언
클러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요한
크루이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비센테
델 보스케

파일:스페인 국기.svg
알렉스
퍼거슨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엘레니오
에레라

파일:프랑스 국기.svg
우도
라테크

파일:독일 국기.svg
발레리
로바노브스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리누스
미헬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주제
무리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아리고
사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위 2위 3위 4위 5위
야로슬라프 1세 니콜라이 아모소프 스테판 반데라 타라스 셰우첸코 보흐단 흐멜니츠키
6위 7위 8위 9위 10위
발레리 로바노우스키 비야체슬라우 초르노빌 흐리호리 스코보로다 레샤 우크라인카 이반 프란코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우크라이나의 前 축구감독
파일:external/img-fotki.yandex.ru/0_7beff_ac668aa4_XL.jpg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발레리 로바노브스키
Valeriy Lobanovskyi
본명 발레리 바실료비치 로바노우스키
Валерій Васильович Лобановський
출생 1939년 1월 6일
소련 우크라이나SSR 키예프주
사망 2002년 5월 13일 (향년 63세)
우크라이나 자포리자주
국적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신체 187cm
직업 축구선수 ( 공격수[1]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eeeeee,#191919> 선수 FC 디나모 키이우 (1957~1964)
FC 초르노모레츠 오데사 (1965~1966)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1967~1968)
감독 드니프로페트로우시크 (1969~1973)
FC 디나모 키이우 (1973~1982)
소련 대표팀 (1975~1976)
우크라이나 SSR 대표팀 (1979)
소련 대표팀 (1982~1983)
FC 디나모 키이우 (1984~1990)
소련 대표팀 (1986~1990)
UAE 대표팀 (1990~1993)
쿠웨이트 대표팀 (1994~1996)
FC 디나모 키이우 (1997~2002)
우크라이나 대표팀 (2000~2001)
국가대표 파일:소련 축구 연맹 로고.svg 2경기 0골 ( 소련 / 1960~1961)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
3.1. 클럽3.2. 국가대표
4. 철학5. 평가6. 기록
6.1. 선수
6.1.1. 대회 기록6.1.2. 개인 수상
6.2. 감독
6.2.1. 대회 기록6.2.2. 개인 수상
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축구 과학자
the football scientist

UEFA에서 축구계 역사상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명감독 10인을 꼽으며 남긴 평

우크라이나( 소련)의 前 축구인.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수학, 과학적 수치에 기반한 과학 축구의 선구자로 유명하며, 압박의 활용, 선수들의 체계적인 식단 관리 등 현대 축구의 필수적인 요소들이 바로 이 사람에 의해 유행하게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보통 역사상 최고의 감독을 논할 때 펩 과르디올라, 알렉스 퍼거슨, 또는 그래도 축구 좀 안다는 사람은 리누스 미헬스, 요한 크루이프, 아리고 사키, 엘레니오 에레라, 오트마어 히츠펠트 등을 꼽겠지만, 로바노브스키 역시 이 반열에 충분히 오를 만한 감독이다.[2]

2. 선수 경력

로바노브스키는 현역 시절 디나모 키이우, 초르노모레츠, 샤흐타르에서 활약했다. 주 포지션은 왼쪽 윙어였는데, 날카롭게 휘어지는 킥으로 정평이 났었다. 우크라이나 올해의 축구 선수상을 무려 2년 연속으로[3] 수상했을 뿐더러, '코드'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디나모 키이우의 인기스타였지만 정작 감독이자 은사인 빅토르 마슬로프와의 철학과는 맞지 않았다.[4][5] 선수로는 상당히 빠르게 은퇴했는데, 이는 샤흐타르 시절 동료들의 허접한 플레이에 '그들이 도저히 축구를 한다는 생각이 들지 않아서'였다고 한다.

3. 지도자 경력

3.1. 클럽

선수 로바노브스키는 1968년 샤흐타르 도네츠크에서 은퇴를 선언했다. 그는 평범한 배관공 일을 할까 고민하다 1969년 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시크[6]의 감독직을 수락하며 본격적인 감독 커리어를 시작한다. 드니프로는 2부리그에 속한 구단이었고 로바노프스키는 팀을 맡은지 3시즌 만에 1부리그에 올려놓았다. 그리고 그 다음 시즌에는 6위를 차지하는 등 승승장구한다.

로바노브스키가 드니프로에 과학 축구를 도입하고 있을 때, 디나모 키이우는 아직 빅토르 마슬로프가 지휘하는 팀이었다. 그러나 마슬로프는 1970년 월드컵에 선수들이 6명이나 차출되었음에도 계속 진행되던 리그에서 당연히 부진한 성적을 냈고 디나모 키이우에서 경질당했다. 후임은 민스크의 감독 세비도프였는데, 성적 자체는 나쁘지 않았지만[7] 지속되는 변방 팀의 약진에 분노한 키이우 보드진들에 의해 경질당했다.

여기에 후임 감독으로 내정된 인물이 바로 로바노브스키. 로바노브스키는 자신의 사단들[8]과 함께 디나모 키이우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디나모 키이우 시절을 한 단어로 표현하자면 전설. 3차례에 걸친 디나모 키이우 시절 동안 그가 이룬 업적은 소련/우크라이나 리그 우승 13회를 위시해 UEFA 컵위너스컵 우승 2회 등,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타이틀을 획득했다. 또한 올레흐 블로힌, 이고르 벨라노프, 안드리 셰브첸코, 볼로디미르 베소노프, 아나톨리 데미아넨코와 같은 우크라이나 축구계의 슈퍼스타들이 로바노브스키 휘하에서 활동했다.
파일:external/bigfoto.in.ua/516.jpg
노년의 모습
이렇게 승승장구하던 그도 2002년 초부터 불규칙한 심장 박동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자주 병원 신세를 지내오다가 그해 5월 7일, 메탈부르크 자포리지아와의 경기가 끝나고 쓰러져 병원으로 후송되었다. 이때 뇌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쳤으나, 오랜 감독 생활 동안 불철주야 쉬지 않고 일한 탓에 생긴 합병증으로 5월 13일에 숨을 거두었다.
발레리 로바노브스키의 장례식 영상.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50px-VVLobanovsky_funeral.jpg
키이우의 바이코프 공동묘지에 있는 발레리 로바노브스키의 무덤.

3.2. 국가대표

잠시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을 맡았는데, 1976년 올림픽 동메달, UEFA 유로 1988에서 소련의 준우승을 이끌어냈다.[9] 2000년에 조국인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을 맡아 2002년 한일 월드컵 출전을 노렸으나 독일에 플레이오프에서 패하는 바람에 실패했고 경질당했다.

4. 철학

감독이 되기 전에 이미 선수 시절부터 로바노브스키는 축구와 과학을 결합해 생각하고 있었다. 그는 축구가 11개의 상위 시스템이 각각 2개의 하위 시스템을 지녀 총 22개의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결론을 내린 바 있다. 그리고 '축구는 개인이 아님 팀원 간의 유대에 기인한다'라는 어찌보면 당연한 결론을 내렸다.[10]

드니프로에서의 감독 생활 중 1972년은 그에게 매우 중요한 해인데, 로바노브스키 사단 4인방을 구성할 인물인 아나톨리 젤렌초프와의 만남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와의 만남 덕분에 로바노브스키는 수월하게 과학적인 요소를 축구계에 도입할 수 있었으며 이는 자신을 대표하는 철학인 '압박'을 위한 체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었다.

로바노브스키에게 축구 = 시스템이었다. 때문에 그 목적은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최고의 결과를 뽑아내는 것이었고, 로바노브스키는 이를 위해 체력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3단계에 거쳐 팀을 정비했다. 그 3단계는 이와 같다.

1.자신의 철학에 의한 선수들의 기술 재정비

2.상대의 전술적 대응에 의한 우리 팀의 전술적 대응

3.경기 종료까지 가장 효율적인 체력 상태 유지

'체력'은 로바노브스키에게 굉장히 중요한 요소였고 때문에 리그 우승을 확정지은 뒤에는 최상의 체력을 유지하기 위해 무승부를 노리다가 패배하는 일도 빈번했다.

로바노브스키 축구의 또다른 핵심 요소는 '압박'이다. 로바노브스키의 팀은 마치 70년대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이 보여준 것처럼 압박을 구사했다. 그러나 '압박'은 선수들이 한 공간에 집중되기 때문에 공간이 생기고, 상대 팀에게 역습을 허용할 수 있다는 위험 요소가 존재했다. 때문에 로바노브스키는 볼을 소유한 상태에서는 경기장을 넓게 만들고,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는 경기장을 좁게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훈련장에서도 로바노브스키는 자신의 평가 기준에 따른 공격, 수비 훈련을 시행했다. 리누스 미헬스가 원한 것 처럼 모든 선수들이 만능 플레이어가 되길 원했다. 물론 선수들을 축구하는 로봇 다루듯이 대한 것은 아니다. 또한, 경기 내에서도 기계적인 플레이보다는 임기응변식의 경기를 하길 원했고 항상 우위를 점하는 축구를 원했다.

그러나 이런 로바노프스키의 축구 철학에 맞선 이가 있었으니, 바로 디나모 모스크바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의 감독을 맡았던 콘스탄틴 베스코프였다. 그는 축구를 예술로 바라봤으며, 그는 그라운드 위에서 창의적인 자유를 부여해 선수들이 마음껏 자신을 표현하길 원했다. 베스코프가 스파르타크에서 이룩한 업적은 1979년과 1987년에 이룬 두 차례의 우승뿐이었지만, 당시 소련 내에서의 실질적인 존경은 흥미진진한 스타일을 추구했던 베스코프 쪽이 더 높았다.

5. 평가

FC 디나모 키이우 역대 최고의 감독으로 추앙받고 있으며, 디나모 키이우의 홈구장 이름은 그의 이름을 딴 로바노브스키 디나모 스타디움이다.

6. 기록

6.1. 선수

6.1.1. 대회 기록

6.1.2. 개인 수상

  • 우크라이나 올해의 축구 선수: 1962, 1963

6.2. 감독

6.2.1. 대회 기록

6.2.2. 개인 수상

  • 우크라이나 올해의 감독: 1996-97, 1997-98, 1998-99, 1999-00, 2001-02[11]
  • 유럽 올해의 축구 감독[12]: 1986, 1988, 1999
  • 유럽 시즌의 축구 감독: 1985-86
  • 루빈쿠겔[13] 올해의 중유럽 및 동유럽 감독: 1975, 1985, 1986, 1987, 1988, 1997, 1999
  • 월드 스포츠 올해의 감독: 1975
  • 베를린-브리츠 10년의 감독: 1980년대
  • dpa[14] 20세기 최고의 동유럽 감독: 1999

7. 둘러보기

{{{#!wiki style="color:white;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bgcolor=#008c44> A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엔초
베아르초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카를로스
빌라르도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이반
부초프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정남

B조 파일:멕시코 국기.svg
보라
밀루티노비치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카예타노
파일:이라크 국기.svg
에바리스투
데마세이두드
C조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앙리
미셸
파일:캐나다 국기.svg
토니
웨이터스
파일:소련 국기.svg
발레리
로바노브스키
파일:헝가리 국기.svg
메제이
기요르기
D조 파일:브라질 국기.svg
텔레
산타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미겔
무뇨스
파일:알제리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라바
사단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빌리
빙엄
E조 파일:독일 국기.svg
프란츠
베켄바워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오마르
보라스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알렉스
퍼거슨


파일:덴마크 국기.svg
제프
피온테크


F조 파일:폴란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안토니
피에흐니체크
파일:모로코 국기.svg
호세
파리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주제 A.
토헤스
파일:잉글랜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바비
롭슨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 1934 1938 1950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

파일:UEFA 유로 1988 로고.svg
UEFA 유로 1988 참가 감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FFFFFF)"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colbgcolor=#FF1100> A조 파일:독일 국기.svg
프란츠
베켄바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첼리오
비치니
파일:스페인 국기.svg
미겔
무뇨스
파일:덴마크 국기.svg
제프
피온테크
B조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바비
롭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리누스
미헬스

파일:소련 국기.svg
발레리
로바노브스키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찰튼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 ||

{{{#!wiki style="color:white;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bgcolor=#fe3333> A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첼리오
비치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요제프
히커스베르거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갠슬러
파일:체코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요제프
벵글로시
B조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카를로스
빌라르도

파일:카메룬 국기.svg
발레리
니폼니시


파일:소련 국기.svg
발레리
로바노브스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에메릭
제네이


C조 파일:브라질 국기.svg
세바스치앙
라자로니
파일:스웨덴 국기.svg
올레
노르딘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보라
밀루티노비치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앤디
록스버그
D조 파일:독일 국기.svg
프란츠
베켄바워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이비차
오심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프란시스코
마투라나


E조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이회택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오스카르
타바레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루이스
수아레스
F조 파일:잉글랜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바비
롭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레오
베인하커르
파일:아일랜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찰튼
파일:이집트 국기.svg
마흐무드
엘고하리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 1934 1938 1950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ef4138><tablebgcolor=#ef4138> 파일:소련 축구 연맹 로고.svg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215,#eadd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31년~1992년
초대
코즐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기술위원회
파일:소련 국기.svg
2대
아르카디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기술위원회
파일:소련 국기.svg
3대
소콜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4대
카찰린
파일:소련 국기.svg
5대
글라스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6대
야쿠신
파일:소련 국기.svg
7대
카찰린
파일:소련 국기.svg
8대
시모냔
파일:소련 국기.svg
9대
베스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10대
시모냔
파일:소련 국기.svg
11대
N. 모로조프
파일:소련 국기.svg
12대
야쿠신
파일:소련 국기.svg
13대
카찰린
파일:소련 국기.svg
14대
니콜라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15대
굴랴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16대
포노마료프
파일:소련 국기.svg
17대
조닌
파일:소련 국기.svg
18대
고랸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19대
베스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20대
로바노브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21대
니콜라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22대
시모냔
파일:소련 국기.svg
23대
바질레비치
파일:소련 국기.svg
24대
베스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25대
로바노브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26대
말로페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27대
로바노브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28대
시모냔
파일:소련 국기.svg
29대
Y. 모로조프 / 모샤긴
파일:소련 국기.svg
30대
로바노브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31대
비쇼베츠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 ||


[1] 스트라이커 [2] 월드사커에서 2013년에 선정한 역대 최고의 감독 5인에도 퍼거슨, 미헬스, 사키, 에레라 감독과 함께 로바노브스키가 들어갔다. 과학축구의 선구자. [3] 1962년, 1963년 [4] 로바노브스키는 개인 기량이 출중한 선수였는데, 마슬로프는 시스템을 중시했다. 물론 마슬로프가 개인기를 부리는 선수를 배제하지는 않았다. 그랬다면 로바노브스키는 곧바로 퇴출되었을 것이다. [5] 아이러니하게도 로바노브스키 역시 자신은 자신의 팀에서 뛰지 못할 것이라며 마슬로프의 견해를 인정한 바 있다. [6] 이하 드니프로. 현재는 2015년도 유로파 리그 준우승과 준우승 견인에 1등공신인 예우헨 코노플리얀카의 출신 클럽으로도 유명하지만 재정 문제 여파로 2016년 6월 29일(현지시간), 구단 해체를 선언하며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7] 2시즌간 준우승 2회. [8] 로바노브스키 본인을 포함해 젤렌초프, 바실레비치, 오셈코프를 말한다. 이들은 데이터에 기반을 둔 상대 팀 분석, 선수들의 체력 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했으며, 로바노브스키의 철학이 유지될 수 있었던 원동력이다. [9] 소련 해체 직전이었던 시기를 감안하면 마지막으로 기록된 메이저 대회 결승 기록이다. [10] 이 때 당시 전술은 하나의 옵션에 불과했고 감독들은 그저 바지사장에 불과한 시기였다. 하지만 이런 생각을 깨버린 것이 맨유의 전설적인 감독 맷 버스비와 발레리 로바노브스키다. [11] 사후 수상 [12] 1986년과 1988년에는 제프 헤르베르거 어워드라는 이름으로, 1999년에는 톰마소 마에스트렐리 어워드라는 이름으로 수상했다. [13] 루비 볼(The Ruby Ball)이라는 뜻이며, 과거 동독의 방송사였던 ADN이 시상하던 상이었다. [14] Deutsche Presse-Agentur라는 이름의 독일의 뉴스통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