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04:40:02

카를로 3세(파르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b003, #fcd116 20%, #fcd116 80%, #d8b003); color: #0072c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72c6> 파르네세 왕조
피에르 루이지 파르네세 오타비오 파르네세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라누초 1세 오도아르도 파르네세
<rowcolor=#0072c6> 파르네세 왕조 보르보네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라누초 2세 프란체스코 파르네세 안토니오 파르네세 카를로 1세 카를로 프란체스코
<rowcolor=#0072c6> 합스부르크 왕조 보르보네 왕조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보르보네 왕조
마리아 테레사 필리포 1세 페르디난도 1세 마리아 루이사 카를로 2세
<rowcolor=#0072c6> 보르보네 왕조
카를로 3세 로베르토 1세 }}}}}}}}}
<colbgcolor=#fcd116><colcolor=#0072c6>
파르마 공작
카를로 3세
Carlo III, Duca di Parma
파일:Carlo_III_Duke_of_Parma.jpg
이름 페르디난도 카를로 비토리오 주세페 마리아 발다사레
(Ferdinando Carlo Vittorio Giuseppe Maria Baldassarre)
출생 1823년 1월 14일
루카 공국 루카
사망 1854년 3월 27일 (향년 31세)
파르마 공국 파르마
재위 파르마 공국의 공작
1849년 5월 17일 ~ 1854년 3월 27일
배우자 루이즈 다르투아 공주[1] (1845년 결혼)
자녀 마르게리타, 로베르토 1세, 알리시아[2], 엔리코
아버지 카를로 2세
어머니 사보이아의 마리아 테레사 공주
형제 루이사
1. 개요2. 생애3. 자녀

[clearfix]

1. 개요

파일:카를로 3세(파르마).jpg
카를로 3세는 보르보네파르마 가문 출신으로 파르마 공국 공작이다.

2. 생애

파르마 공작 카를로 2세로 즉위하는 루카 공작 카를로 루도비코와 사보이아의 마리아 테레사 공주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부친이 루카 공국을 내팽겨치고 여행을 다닌 덕분에 여기저기 떠돌면서 외국 문물을 많이 접했다. 외아들로서 모친의 사랑을 독차지했으나 마리아 테레사는 점점 가톨릭에 회귀하는 삶을 살아 10대 이후 어머니를 거의 보지 못했다. 그는 자유로운 성향의 부친을 쏙 빼닮으며 성장했다.

자금난에 빠졌던 카를로 2세는 아들을 가까운 친척인 프랑스 부르봉 왕조 샤를 10세의 손녀 루이즈 다르투아(Louise d'Artois 1819~1864)와 결혼시켰다. 그는 루이즈를 별로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으나 부친의 압력에 굴복하고 1845년 11월에 결혼했다. 부부는 파르마 공국의 마지막 공작 로베르토 1세, 마지막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도 4세와 결혼한 알리체 등 2남 2녀를 두었다.

1847년 12월 기존에 파르마 공국을 통치하던 마리 루이즈가 사망하면서 파르마 공국으로 돌아갔으나, 파르마에서는 이듬해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 국왕 카를로 알베르토의 사주를 받은 세력이 들고 일어나 혁명이 일어났다. 그는 파르마를 탈출했으나 크레모나에서 체포되어 밀라노에 감금되었다. 영국 정부의 협상으로 겨우 풀려난 후 몰타에 잠시 머물렀다 나폴리를 거쳐 영국으로 망명했다.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이 오스트리아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전하면서 파르마 공국에 오스트리아 제국군이 입성했고 1849년 3월 24일 부친이 퇴위가 발표되면서 파르마 공작이 되었다. 다만 그가 파르마에 입성한 것은 5월 17일이 되어서였고 이후에도 오스트리아의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올로모우츠로 떠나면서 국정을 직접 맡지는 않았다.

카를로 3세는 나름 자유주의적인 통치자였고, 그가 통치하던 파르마 공국은 레오폴도 2세가 복위한 토스카나 대공국보다 훨씬 자유로웠다. 그는 영국의 영향을 받았고 오스트리아 제국의 도움으로 복위했으나 오스트리아의 반동주의를 경멸했다. 그러나 개인적인 매력에도 불구하고 궁정 관료들과 파르마 공국 시민들의 마음을 얻지는 못했고 1853년까지 그를 암살하려 한다는 궁정 음모에 대한 소문이 팽배했다.

부인 루이즈와의 사이도 신혼 초에만 잠시 좋았을 뿐, 그는 궁정 음모를 좋아하는 루이즈를 좋아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오스트리아 제국의 트렌토 총독의 처제인 엠마 구아다니(Emma Guadagni 1829~1866)와 불륜 관계에 빠지면서 부부 사이도 완전히 파탄났다.

1854년 3월 27일, 평소처럼 파르마 시내를 산책하다 군인 둘에게 암살당했다.

3.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 / 자녀
1녀 마드리드 공작부인 마르가리타 왕자비
(Infanta Margherita, Duchess of Madrid)
1847년 1월 1일 1893년 1월 29일 마드리드 공작 인판테 카를로스[3]
슬하 1남 4녀
1남 로베르토 1세
(Roberto I)
1848년 7월 9일 1907년 11월 16일 양시칠리아의 마리아 피아 공주[4]
슬하 5남 7녀
포르투갈의 마리아 안토니아 공주[5]
슬하 6남 6녀[6]
2녀 토스카나 대공비 알리체
(Alice, Grand Duchess of Tuscany)
1849년 12월 27일 1935년 11월 16일 페르디난도 4세
슬하 5남 5녀[7]
2남 바르디 백작 엔리코 공자
(Prince Enrico, Count of Bardi)
1851년 2월 12일 1905년 4월 14일 양시칠리아의 마리아 루이사 공주[8]
기마랑이스 여공작 아델군데스 공주[9]

[1] 베리 공작 샤를 페르디낭의 장녀이자 샹보르 백작 앙리의 누나다. [2]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도 4세의 두번째 아내. [3]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4세의 증손자로 카를리스타의 수장이었다. 카를리스타의 계보는 결국 카를로 3세의 손자 사베리오(아들 로베르토 1세의 7남)를 통해 이어졌다. [4] 페르디난도 2세의 3녀. [5] 미겔 1세의 6녀. [6] 파르마 공위 요구자 사베리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후 지타, 룩셈부르크의 국서 펠릭스 [7] 작센의 왕세자비 루이제, 요제프 페르디난트 대공, 페터 페르디난트 대공 [8] 페르디난도 2세의 4녀. [9] 미겔 1세의 4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