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25 16:41:41

창덕궁 부용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대보단
건무문 광지문
청의정 태극정 농산정
농포
소요암 옥류천
소요정
취한정
수복방 신선원전 진설청
괘궁정 취규정
재실
능허정
의효전 사가정 청심정 천향각
몽답정 산단
백운사
천성동 태청문
청연각
존덕정
외삼문 폄우사 척뇌당
관람정
반도지
승재정
부군당
반빗간 태일문
통벽문 우신문 농수정
연경당 선향재
국출신직소 수인문 장양문
장락문
창덕궁 애련정
어수당 애련지
불로문
석거문 금마문 영춘문
운경거 의두합
희우정 천석정
서향각 주합루
어수문
사정기비각 부용지 영화당 춘당대 서총대
부용정
요금문 서소 개유와 열고관
창송헌 수정전 가정당
습취헌 집상전
영모당
경복전 경훈각 징광루 함원전
청향각
의풍각 융경헌 대조전 흥복헌
수랏간 관리합
만수전 태화당 재덕당 요휘문 경극문 창경궁
경추문 보경당 선평문 양심합 여춘문 병경문
함양문
선원전 진설청 내재실 만수문 건중문 희정당 영안문
양지당 만안문 관광청 선정전 건인문
책고 인정전 관물헌 어휘문
봉모당 억석루 연경문 만복문 향실 선정문 성정각 보춘정 중희당 칠분서 해당정 수방재 연영합 평원루 취명문
운한문 영의사 예문관 서방색 소주방 선화문 자시문 삼삼와 승화루 한정당 보화문
숭범문 선전관청 영현문 전의사 취운정 협문
훈국초관인직소 이문원 검서청 약방 내삼청 광범문 내반원 낙선재 석복헌
훈국초관인직소 홍문관 문서고 궁방 사옹원 등촉방 대은원 수강재
훈국군파수직소 정청 육선루
악기고
승정원 상서성 연영문 협양문 무예청 장락문 주명문
남소
위장청
인정문 + 대청 공상청 누국
수문장청 금천교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일영대
금호문 결속색
정색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호위청 상서원 배설방 금위군번소 패장직소 별감방 전루 문기수번소 저승전 낙선당
무비사
의장고
전설사 빈청
(어차고)
진수당 장경각 군옥재 춘방
수문장청 돈화문 수문장청 교자고 상의원 치미각 시민당 계방 등룡문
원역처소 사주문
단봉문 종묘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보물
1762호 1763호 1764호
창덕궁 금천교 창덕궁 부용정 창덕궁 낙선재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제1763호
창덕궁 부용정
昌德宮 芙蓉亭
소재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수량 1동
지정연도 2012년 3월 2일
제작시기 조선시대, 1707년 창건
파일:부용정.jpg
파일:창덕궁_부용정_근경.jpg
<colbgcolor=#bf1400> 부용정[1]
파일:창덕궁_부용정_야경.jpg
부용정 야경[2]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영상. 주합루와 같이 소개한다.

1. 개요2. 이름과 현판3. 역사4. 구조
4.1. 주련
5. 부용지6. 여담7. 매체에서의 등장

[clearfix]

1. 개요

창덕궁 후원 정자이다. 주합루의 남쪽에 있으며, 창덕궁 후원을 관람할 때 주합루와 함께 가장 먼저 보는 건물이다.

2. 이름과 현판

부용(芙蓉) 연꽃 한자어이다. 현재 현판 글씨는 1903년( 광무 7년)에 창덕궁 후원의 감독직을 맡았던 동농 김가진이 썼다.

3. 역사

파일:동궐도 부용지 영역.png
<colbgcolor=#bf1400> 《동궐도》 부용정 영역
조선 초 ~ 중기에는 없었으며 1707년( 숙종 33년)에 창덕궁 후원에 처음 세웠다. 당시 이름은 택수재(澤水齋)였으며, 이후 1792년( 정조 16년)에 고쳐 지으면서 부용정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정조 연간에는 규장각이 있던 주합루와 같은 영역이라 신하들이 활동 공간으로도 많이 활용했으나, 정조 사후에는 단순한 휴식 공간으로 주로 이용했다.

일제강점기 6.25 전쟁을 겪으면서도 헐리지 않고 살아남았다. 2012년 3월 2일에 문화재청에서 보물 제1763호로 지정했으며 2012년 9월 보수 공사 때 일제 때 변형된 지붕을 《 동궐도》대로 복원했다. #

4. 구조

  •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이다. 정면 5칸, 측면 4칸, 배면 3칸으로, ''자와 '亞' 자를 합친 듯한 복잡한 구조의 형태이며 마치 연못에 발 담그고 있는 것 같은 모습이 특징이다. 자세한 건물의 구조는 링크 참조.

4.1. 주련

5. 부용지

파일:창덕궁_주합루_부용지_전경.jpg
<colbgcolor=#bf1400> 부용지. 좌측 건물은 부용정. 우측 건물은 주합루이다.[3]
파일:창덕궁_후원권역_부용지.jpg
부용지 야경[4]
부용정의 연못이다. 동서 길이가 34.5m, 남북 길이가 29.4m인 네모난 형태로 수심은 약 1.5m이며 연못 가운데엔 둥그런 을 두어 동양 전통 세계관 천원지방(天圓池方)을 나타내었다. 남쪽엔 부용정, 북쪽엔 주합루, 서쪽엔 사정기비각, 동쪽엔 영화당이 있다. 위에 언급한 '부용(芙蓉)'이란 이름 뜻처럼 원래 연못에는 연꽃이 많았다. 여름철 부용지를 가득 메운 연잎과 매미소리

연못 자체는 부용정보다 역사가 훨씬 길다. 1634년( 인조 12년)에 연못을 파고 뱃놀이를 했다고 하며 정조 시기에 고쳐지어 지금의 모습이 된 것이다. 부용지란 이름은 조선시대 기록에서는 찾기 어려우며, 창건 당시에는 '용지(龍池)'라 불렸고, 숙종 ~ 정조 시기엔 '태액지(太液池)'라 했다. '태액(太液)'의 뜻은 '큰 연못'이고, 옛 중국 황궁의 연못 이름에서 유래했다.[5]

6. 여담

파일:보물_제1763호_창덕궁_부용전(2012년_국보,보물_지정보고서).jpg }}} ||
<colbgcolor=#bf1400> 부용지의 섬[6]
정조는 부용정에서 관료들을 대상으로 짓기 시험을 주관했는데, 제 시간에 시를 못 지은 관료를 부용지 가운데에 있는 작은 섬으로 귀양보내고(...) 부용정 앞에서 껄껄대며 폭소했다고 한다.[7] 물론 부용지에 조각배를 띄워 놓은 채 시험을 치렀고 귀양 가는 사람이 노를 저어서 섬까지 가야 했다.

파일:수원_방화수류정_전경_(촬영년도___2015년).jpg }}} ||
<colbgcolor=#bf1400> 방화수류정[8]
부용정을 고쳐 지은 정조는 연못과 정자가 어우러진 정원 건축 양식을 좋아했는데 이 취향을 몇 년 후 수원화성의 일부로 지은 방화수류정에 그대로 반영시켰다.
  • 정조가 어느 날 부용정에서 신하들과 술자리를 가질 때의 일이다. 악기와 상차림 준비가 다 됐을 때, 마침 이 곳에 둥지를 틀었던 제비가 새끼에게 먹이를 주려고 빙빙 돌면서 들어오지 못하고 있는 것을 보고는 가엾게 여겨 자리에서 일어났다. 그 후로 부용정에 나올 때마다 제비둥지에 대해 물어보았다고 한다. #
}}} ||
<colbgcolor=#bf1400> 〈창덕궁 달빛기행〉 영상
〈창덕궁 달빛기행〉 코스 중 한 곳이다. 아름다운 밤 하늘의 달빛을 감상하기 좋은 곳이다.

7. 매체에서의 등장

  • 아름답기로 유명하며 창덕궁 깊은 안쪽에 있어 조선을 다룬 사극에 종종 나온다. 평소에도 일반인은 창덕궁에 들어가 후원 입장료를 따로 내고 정해진 시간만 관람이 가능하기에 촬영하기 적합하기 때문이다. 다만 정조 이전 시기에도 이 일대가 나와 재현 오류가 많이 보인다.
}}} ||
<colbgcolor=#bf1400> 〈옷소매 붉은 끝동〉의 부용지 낚시 장면
2021년 방영된 MBC 드라마 〈 옷소매 붉은 끝동〉에서는 영조( 이덕화 분)와 세손(후일 정조, 이준호 분)이 나란히 앉아 부용지에서 낚시를 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이덕화 선생의 오랜 취미기도 하다 실제로 정조가 부용지에서 낚시를 했다는 기록이 있다.


[1]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2] 사진 출처 - 문화재청. [3]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4] 사진 출처 - 문화재청국가문화유산포털. [5] 당나라 대명궁, 금나라 대녕궁에 같은 이름의 연못이 있었다. 현재 베이징 중난하이도 태액지로 불렀다. [6]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7] 이 술수에는 총애를 받았던 정약용도 예외는 없었다... [8] 두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