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9:12:46

지지 무린


파일:Hololive 프로덕션 로고.svg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
소속 멤버
]]
{{{#!wiki style="margin: 0 -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50px; display: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hololive JP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0기생|
0기생
]]
[[토키노 소라|
파일:tokino_sora_thumb.png
토키노 소라
]]
[[로보코 씨|
파일:roboco-san_thumb.png
로보코 씨
]]
[[AZKi|
파일:AZKi_list_thumb.png
AZKi
]]
[[사쿠라 미코|
파일:Sakura-Miko_thumb.png
사쿠라 미코
]]
[[호시마치 스이세이|
파일:Hoshimachi-Suisei_list_thumb_2006.png
호시마치 스이세이
]]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1기생|
1기생
]]
[[아키 로젠탈|
파일:Aki-Rosenthal_list_thumb.png
아키 로젠탈
]]
[[아카이 하아토|
파일:Akai-Haato_list_thumb_2304.png
아카이 하아토
]]
[[시라카미 후부키|
파일:Shirakami-Fubuki_new_thumb.png
시라카미 후부키
]]
[[나츠이로 마츠리|
파일:natsuiro_matsuri_thumb.png
나츠이로 마츠리
]]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2기생|
2기생
]]
[[미나토 아쿠아|
파일:Minato-Aqua_list_thumb.png
미나토 아쿠아
]]
[[무라사키 시온|
파일:shion_thumb_02.png
무라사키 시온
]]
[[나키리 아야메|
파일:nakiri_ayame_thumb.png
나키리 아야메
]]
[[유즈키 초코|
파일:Yuzuki-Choco_list_thumb.png
유즈키 초코
]]
[[오오조라 스바루|
파일:Oozora-Subaru_list_thumb_2006.png
오오조라 스바루
]]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hololive 게이머즈|
hololive 게이머즈
]]
[[시라카미 후부키|
파일:Shirakami-Fubuki_new_thumb.png
시라카미 후부키
]]
[[오오카미 미오|
파일:Ookami-Mio_thumb.png
오오카미 미오
]]
[[네코마타 오카유|
파일:Nekomata-Okayu_list_thumb_2006.png
네코마타 오카유
]]
[[이누가미 코로네|
파일:Inugami-Korone_list_thumb.png
이누가미 코로네
]]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3기생 - Hololive Fantasy|
3기생 - Hololive Fantasy
]]
[[우사다 페코라|
파일:3_ぺこら.png
우사다 페코라
]]
[[시라누이 후레아|
파일:3_フレア.png
시라누이 후레아
]]
[[시로가네 노엘|
파일:Shirogane-Noel_thumb.png
시로가네 노엘
]]
[[호쇼 마린|
파일:houshou_marine_thumb.png
호쇼 마린
]]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4기생 - holoForce|
4기생 - holoForce
]]
[[아마네 카나타|
파일:Amane-Kanata_list_thumb.png
아마네 카나타
]]
[[츠노마키 와타메|
파일:watabe_icon.png
츠노마키 와타메
]]
[[토코야미 토와|
파일:Tokoyami-Towa_list_thumb_2006.png
토코야미 토와
]]
[[히메모리 루나|
파일:himemori_luna_thumb_02.png
히메모리 루나
]]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5기생 - holoFive, 네포라보|
5기생 - holoFive
]]
[[유키하나 라미|
파일:Yukihana-Lamy_list_thumb.png
유키하나 라미
]]
[[모모스즈 네네|
파일:Momosuzu-Nene_list_thumb.png
모모스즈 네네
]]
[[시시로 보탄|
파일:Shishiro-Botan_list_thumb.png
시시로 보탄
]]
[[오마루 폴카|
파일:Omaru-Polka_list_thumb_2406.png
오마루 폴카
]]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6기생 - 비밀 결사 holoX|
비밀 결사 holoX
]]
[[라플라스 다크니스|
파일:La-Darknesss_list_thumb_2405.png
라플라스 다크니스
]]
[[타카네 루이|
파일:lui_icon.png
타카네 루이
]]
[[하쿠이 코요리|
파일:icon_koyori.png
하쿠이 코요리
]]
[[사카마타 클로에|
파일:icon_sakamata.png
사카마타 클로에
]]
[[카자마 이로하|
파일:icon_iroha.png
카자마 이로하
]]

}}}}}}}}}}}}
hololive ID
##시작
[[hololive INDONESIA#1기생 - AREA15|
1기생 - AREA15
]]
[[아윤다 리스|
파일:リス-1.png
아윤다 리스
]]
[[무나 호시노바|
파일:ムーナ-1.png
무나 호시노바
]]
[[아이라니 이오피프틴|
파일:イオフィ-1.png
아이라니 이오피프틴
]]
[[hololive INDONESIA#2기생 - HOLORO|
2기생 - HOLORO
]]
[[쿠레이지 올리|
파일:Kureiji-Ollie_list_thumb_2406.png
쿠레이지 올리
]]
[[아냐 멜핏사|
파일:Anya-Melfissa_list_thumb.png
아냐 멜핏사
]]
[[파볼리아 레이네|
파일:Pavolia-Reine_list_thumb.png
파볼리아 레이네
]]
[[hololive INDONESIA#3기생 - HoloH3RO|
3기생 - HoloH3RO
]]
[[베스티아 제타|
파일:Vestia-Zeta_list_thumb.png
베스티아 제타
]]
[[카엘라 코발스키아|
파일:Kaela-Kovalskia_list_thumb.png
카엘라 코발스키아
]]
[[코보 카나에루|
파일:Kobo-Kanaeru_list_thumb.png
코보 카나에루
]]
hololive EN
##시작
[[hololive ENGLISH#Myth|
Myth
]]
[[모리 칼리오페|
파일:カリオペ.png
모리 칼리오페
]]
[[타카나시 키아라|
파일:キアラ.png
타카나시 키아라
]]
[[니노마에 이나니스|
파일:いなにす.png
니노마에 이나니스
]]
[[가우르 구라|
파일:Gawr-Gura_list_thumb_2405.png
가우르 구라
]]
[[왓슨 아멜리아|
파일:アメリア.png
왓슨 아멜리아
]]
[[hololive ENGLISH#Promise|
Promise
]]
[[IRyS|
파일:IRyS_new_thumb.png
IRyS
]]
[[세레스 파우나|
파일:Ceres-Fauna_new_thumb.png
세레스 파우나
]]
[[오로 크로니|
파일:Ouro-Kronii_new_thumb.png
오로 크로니
]]
[[나나시 무메이|
파일:Nanashi-Mumei_new_thumb.png
나나시 무메이
]]
[[하코스 벨즈|
파일:Hakos-Baelz_new_thumb.png
하코스 벨즈
]]
[[hololive ENGLISH#Advent|
Advent
]]
[[시오리 노벨라|
파일:Shiori-Novella_list_thumb.png
시오리 노벨라
]]
[[코세키 비쥬|
파일:Koseki-Bijou_list_thumb.png
코세키 비쥬
]]
[[네리사 레이븐크로프트|
파일:Nerissa-Ravencroft_list_thumb.png
네리사 레이븐
]]
[[후와와 어비스가드|
파일:Fuwawa-Abyssgard_list_thumb.png
후와와
]]
[[모코코 어비스가드|
파일:Mococo-Abyssgard_list_thumb.png
모코코
]]
[[hololive ENGLISH#Justice|
Justice
]]
[[엘리자베스 로즈 블러드플레임|
파일:EN3_EBRB.png
엘리자베스 로즈 블러드플레임
]]
[[지지 무린|
파일:EN4_gigi.png
지지 무린
]]
[[세실리아 이머그린|
파일:EN4_Cecilia.png
세실리아 이머그린
]]
[[라오라 판테라|
파일:EN4_Raora.png
라오라 판테라
]]
hololive DEV_IS
##시작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ReGLOSS|
ReGLOSS
]]
[[히오도시 아오|
파일:Hiodoshi-Ao_list_thumb.png
히오도시 아오
]]
[[오토노세 카나데|
파일:Otonose-Kanade_list_thumb.png
오토노세 카나데
]]
[[이치조 리리카|
파일:Ichijou-Ririka_list_thumb.png
이치조 리리카
]]
[[주우후테이 라덴|
파일:Juufuutei-Raden_list_thumb.png
주우후테이 라덴
]]
[[토도로키 하지메|
파일:Todoroki-Hajime_list_thumb.png
토도로키 하지메
]]
HOLOSTARS JP
##시작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HOLOSTARS JP|
1기생
]]
[[하나사키 미야비|
파일:hanasaki_miyabi_thumb.png
하나사키 미야비
]]
[[카나데 이즈루|
파일:kanade_izuru_thumb.png
카나데 이즈루
]]
[[아르란디스|
파일:new_arurandeisu_thumb_02.png
아르란디스
]]
[[릿카(인터넷 방송인)|
파일:律可2.png
릿카
]]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2기생 - SunTempo|
2기생 - SunTempo
]]
[[아스텔 레다|
파일:asuteru_reda_thumb.png
아스텔 레다
]]
[[키시도 텐마|
파일:kishido_tenma_thumb.png
키시도 텐마
]]
[[유코쿠 로베루|
파일:yugoku_roberu_thumb.png
유코쿠 로베루
]]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3기생 - MaFia|
3기생 - MaFia
]]
[[카게야마 시엔|
파일:kageyama_shien_thumb.png
카게야마 시엔
]]
[[아라가미 오가|
파일:oga_list_thumb_02.png
아라가미 오가
]]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UPROAR!!|
UPROAR!!
]]
[[야토가미 후마|
야토가미 후마
]]
[[우츠기 우유|
파일:Utsugi-Uyu_thumb.png
우츠기 우유
]]
[[히자키 감마|
파일:Hizaki-Gamma_thumb.png
히자키 감마
]]
[[미나세 리오|
파일:Minase-Rio_thumb.png
미나세 리오
]]
HOLOSTARS EN
##시작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TEMPUS|
TEMPUS
]]
[[리지스 알테어|
파일:Regis-Altare_thumb.png
리지스 알테어
]]
[[악셀 시리오스|
파일:Axcel-Syrios_thumb.png
악셀 시리오스
]]
[[가비스 베텔|
파일:Gavis-Bettel_list_thumb.png
가비스 베텔
]]
[[마키나 X 플레온|
파일:Machina-X-Flayon_list_thumb.png
마키나 X 플레온
]]
[[반조인 핫카|
파일:Banzoin-Hakka_list_thumb.png
반조인 핫카
]]
[[조스이지 신리|
파일:Josuiji-Shinri_list_thumb.png
조스이지 신리
]]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ARMIS|
ARMIS
]]
[[쥬라드 T 렉스포드|
파일:Jurard-T-Rexford_list_thumb.png
쥬라드 T 렉스포드
]]
[[골드불릿|
파일:Goldbullet_list_thumb.png
골드불릿
]]
[[옥타비오(HOLOSTARS)|
파일:Octavio_list_thumb.png
옥타비오
]]
[[크림즌 루즈|
파일:Crimzon-Ruze_list_thumb.png
크림즌 루즈
]]
Office Staff
##시작
[[hololive 프로덕션/스태프|
사무소 스태프
]]
[[친구A|
파일:A-Chan_03.png
친구A
]]
[[하루사키 노도카|
파일:Harusaki-Nodoka_list_thumb_2309.png
하루사키 노도카
]]
{{{#!folding 과거 멤버
}}} ||
<colbgcolor=#fff2ea,#45414b><colcolor=#000,#fff> 지지 무린
Gigi Murin | ジジ・ムリン
파일:bg_Gigi-Murin_02.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성별 여성
종족 그렘린
1인칭 Gigi
생일 10월 18일[1]
신장 153cm
소속 hololive ENGLISH
디자인 巻羊[2]
데뷔 2024년 6월 22일[KST] ([dday(2024-06-22)]일째)
구독자 수 21.9만 명[기준]
팬들 명칭 Gremurin[팬캐릭터]
오시마크 👧
외부 링크 <rowcolor=#aa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Hololive 아이콘.svg

1. 개요2. 성격 및 특징
2.1. 캐릭터2.2. 게임 취향2.3. 국적
3. 방송4. 관련 밈5. 다른 유튜버와의 관계
5.1. 홀로라이브 멤버5.2. 홀로라이브 외
6. 음악
6.1. 유닛곡6.2. 커버곡
7. 여담

[clearfix]

1. 개요

"응? 재밌었잖아! 화내지 마!"

자유의 깃발 아래 나고 자란 자유분방한 추적자이자 장난꾸러기 그렘린.

순수 직감으로 타깃을 쫓는 것이 특기이지만 길을 기억하는 것과 계산을 바탕으로 판단하는 것은 서투르다.
생각을 많이 하면 머리가 아프기에 생각하는 데 시간을 많이 쓰지 않는다고 한다.

이러한 성격은 일상 생활에도 그대로 드러나, 재미있고 바보같은 것들을 본능적으로 좋아한다.
"재미있을 것 같아서"라는 이유로 문제를 일으켜 주변 사람들이 두통을 느끼게 만들 때가 많다.
홀로라이브 공식 소개 문구[원문]

2024년 6월 22일 오후 12시 45분[KST]에 데뷔한 hololive English -Justice- 소속의 버츄얼 유튜버.

2. 성격 및 특징

2.1. 캐릭터

<colbgcolor=#fff2ea,#45414b>
파일:ggmr_sheet.jpg
캐릭터 시트
  • 바보털 속성이 꽤 강조되어 있는데, 지지의 후드에는 바보털을 위한 구멍이 따로 나 있으며 포포는 아예 바보털 헬리콥터 후드를 쓰고 있다. 지지 본인도 꽤 중요하게 여기는지, 자신의 낙서에서도 바보털은 유난히 크게 그리며, 바보털을 빼먹었을 때는 다시 그림을 그려 올릴 정도. 같이보기 방송에서 이를 지켜보던 코로네는 이에 대해 "이 정도면 옷걸이 아니냐"(...)라고 평했다.
  • 초록색 마스코트의 이름은 포포. 무거워서 자력으로 날지 못해 바보털 후드가 필요하다고 한다. 해당 캐릭터는 뉴질랜드의 육상성 앵무새인 카카포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으로 보이는데, 색상을 포함한 생김새와 날지 못한다는 특징이 일치한다. 모델링에서 포포의 눈은 지지와 동일하게 움직인다.
  • 양 어깨에 큼지막한 팬이 달려있는데, 꽤 잘 돌아간다. 본인 왈 GPU 팬이라는데, 소음이 꽤 크다. 팬을 멈출 수는 있지만 자기는 계속 돌릴거라고.
  • X자 눈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삼고 있는데, 지지와 포포의 후드, 그레무린[팬캐릭터]에 해당 디자인이 적용되어 있다. 지지의 후드에 있는 X자 눈은 포포가 사라졌을 때만 지지의 눈과 동기화되는데, 지지에 따르면 포포가 후드를 점령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 동기인 ERB 라오라 대비 마음 차이가 다소 있다. 이에 초반에는 '후드가 커서 가려진 것'이라는 희망을 품는 사람도 있었지만, 본인이 갑자기 직접 슴부격차를 언급하며 빈유 인증을 해버렸다.

2.2. 게임 취향

  • 데뷔 방송에서 TTRPG 형식으로 자기소개를 한 데다가, 적어 놓은 "인생을 바꾼 미디어"에 수많은 게임을 적어 놓아 게이머 속성을 상당히 부각시켰다. 그 중에는 S4리그가 끼여 있어 유럽권 시청자들의 눈길을 끌기도 했으며, 이외에도 기존 홀로라이브 멤버들의 목록에서 볼 수 없었던 게임이 많이 쓰여 있어 화제가 되었다. 또, 데뷔 후 첫 주 스케줄[9]부터 상당히 게이머 픽이라 이름값 한다는 평가가 많다.
  • 상당한 MMORPG 광인데, "Anime MMORPG"로 분류되는 비실사 계열을 좋아한다고 밝혔다. 자신의 방송 태그인 "#LFGIGI"도 MMORPG에서 사용하는 LFG(Looking For Group; 파티 구함)를 변형한 것이며, 데뷔 방송에서 소개한 '인생을 바꾼 미디어 목록' 중에도 하술할 FFXIV를 포함해 무려 12개의 MMORPG를 적어놓았다. 특히 새로운 MMORPG가 나오고 새로운 서버가 열려서 모두가 제로베이스에서 경쟁할 때 자신도 거기서 하루 종일을 갈아 넣어 제일 먼저 게임 종료 지점에 도달하는 것을 좋아한다고 하며, 실제로 에덴 이터널에서는 무려 가장 처음 레벨 50을 달성한 사람 중 한 명이었다고 한다.
  • FFXIV 유저다. 종족은 라라펠, 직업은 방어막 힐러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학자 현자인 듯하다. 데뷔 방송에서도 타 MMORPG와는 따로 먼저 적어놓았고, 한 시청자가 "파이널 판타지 좋아하냐"고 묻자 즉시 카피파스타 줄줄 읊는 것을 보면 꽤나 좋아하는 모양. 2024년 6월 말 기준으로 6.3~6.4버전까지 플레이 했다고 한다. 또, 아직 플레이 못한 효월의 종언 패치가 좀 남았지만 사전 주문 특전 귀걸이가 갖고싶어 황금의 유산을 먼저 주문했다고 한다.
  • 호러 게임을 정말 못 한다고 한다. 공포를 느끼면 주체를 못하고 울고 비명을 지른다며, 시청자들에게 미리 볼륨 경고를 날리기도 했다.
  • 가챠 리듬 게임을 좋아한다고 한다. 프로세카를 좋아한다고 하며, 극동에 있었을 때는 maimai를 굉장히 즐겼다고.
  • FPS 게임은 오버워치는 많이 했지만 그 외의 것은 해본 적 없다고 한다.

2.3. 국적

  • 공식 소개문에 자유의 깃발 아래에서 태어났다는 언급이 있어 동기 중 유일한 미국인이라는 추측이 있다. 그리고 6월 21일 오후 3시에 올라온 공식 계정의 트윗에 나타난 시간대가 기존에 풀리고 있던 동기들의 국적 떡밥과 일치하는 와중에 지지의 시간대는 PST로 나타나 있어, 역시 미국에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크레이지 택시를 플레이 하는 도중 게임 내에 표기된 경로 거리를 가리키며 "나는 킬로미터가 뭔지 몰라. 마일로 알려줘야 해."라는 발언을 하더니, 다음 날에도 잡담 도중 기온 이야기가 나오자 "나는 섭씨를 몰라. 나한테 섭씨로 말하지 말고, 킬로미터로 말하지 말고, 센티미터로 말하지 마." 같은 말을 하며 미국 티를 내고 있다. 동기들 사이에서는 서로 단위 표현이 달라도 어떻게 납득하고 넘어가는 모양이다.
  • Another Crab's Treasure 방송 때는 곧 있을 Justice 전체 콜라보 방송 시간을 설명하며 PST로 설명한 뒤, 다른 시간대로는 바꾸지 못하겠다며 내뺐다.
  • 다만 방송 시간은 PDT 오후 두 시[10]로 미국보다는 유럽에 맞추어져 있다. 동기들이 깨어있을 때 자기도 깨어있고 싶어서라고 하며, 이를 위해 최근 수면 스케줄을 조정하고 있다고. 이외에도 유럽의 서머 타임을 몰랐다며 BST(영국 일광 절약시)가 적힌 스케줄 표를 다시 올리는 등 유럽권을 배려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3. 방송

||<-3><tablebordercolor=#faa83d><rowbgcolor=#faa83d><rowcolor=#000><tablebgcolor=#fff,#1f2023> 인사말 ||
<colbgcolor=#fff2ea,#45414b> 스트리머 측 <colbgcolor=#fff2ea,#45414b> 방송 시작 GI MURIN Everyone![11]
방송 종료 Take care!
리스너 측 방송 시작 -
방송 종료 GG
||<-2><tablebordercolor=#faa83d><rowbgcolor=#faa83d><rowcolor=#000><tablebgcolor=#fff,#1f2023> 마일스톤 ||
<colbgcolor=#fff2ea,#45414b> 2024년 6월 22일 구독자 10만 명 달성
2024년 6월 25일 구독자 20만 명 달성

3.1. 방송 일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지지 무린/방송 일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관련 밈

  • 짖기 : 처음 등장한 것은 데뷔 방송. 시청자 투표를 받아 RPG 게임을 진행하는 콘텐츠가 있었는데, 당시 선택지들 중에 "(개를 만났을 때) 맞서서 짖는다", "(범죄자를 만났을 때) 맞서서 짖는다" 와 같이 '짖어대는' 선택지가 예시 그림과 함께 등장해 '마구 짖어대는 소형견같은 그렘린' 이미지가 만들어졌다. # # # 당시 지지가 스토리를 진행하며 꽤 초현실적으로 짖기도 했으며, 이후에도 까먹을 때 쯤이면 어김없이 현실감 넘치는 짖는 소리를 들려주는 중.
  • Fister(피스터) : 첫 Justice 전체 콜라보에서 지지가 자신의 RPG 직업명을 "Fister"라고 발언한 것에서 생겨난 밈. Fister는 그렇고 그런 의미로 쓰이는 단어이기에, 지지가 해당 발언을 하자마자 채팅과 동기들이 일제히 "뭐?"를 외치며 당황했다. 이후로도 자신의 글로브를 들먹이며 "나는 이렇게 큰 아이언 피스트를 가지고 있는데 동기들은 나보고 Fister가 될 수 없다고 한다"고 하는 등 꿈을 포기하지 않는 모습이다. 세실리아와의 콜라보 때는 뇌가 피스팅에 절여졌는지, 세실리아가 "No, it's not our profile stat-[12]"이라고 말한 것을 듣고 "뭐? 피스팅?"이라고 반문하기도.

5. 다른 유튜버와의 관계

5.1. 홀로라이브 멤버

  • Justice
    데뷔 전에 이미 서로 직접 만나 데뷔 준비와 관광을 같이 한 사이로, 데뷔 직후부터 서로 허물없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일본에서 함께 데뷔곡 ABOVE BELOW를 녹음했는데, 당시 녹음실에 헤드폰이 두 개 밖에 없어서, 합창 파트를 녹음할 때는 ERB가 다른 멤버의 어깨를 쳐주면서 리듬을 전하는 식으로 작업을 했다고. 또 ERB에 따르면 자신이 녹음 들어가기 전에 지지가 먼저 녹음을 마쳤는데, 지지가 거기다 낙서를 남겨놔 굉장히 귀여워 했다고 한다.
    • 세실리아 이머그린 : 일명 Gicelia Immermurin. 동기 중 제일 투닥거리는 사이로, 이 둘이 방송에서 만날 때면 온갖 비속어와 비하 발언, 트롤링이 난무한다. 데뷔 전부터 트위터로 서로의 글에 태클을 걸며 시덥잖은 농담을 주고 받더니, 데뷔 직후 콜라보에서는 서로 머리가 비어있니 바보니 하며 본격적인 초딩 싸움을 보여주었으며, Justice 사상 첫 1:1 콜라보였던 이 둘의 A Way Out 방송에서는 시작 전부터 빵 터진 상태로 시작해 방송이 끝날 때까지 각종 트롤링과 함께 흥미로운 전개를 만들어 내는 좋은 궁합을 보여주었다.
    • 엘리자베스 로즈 블러드플레임
    • 라오라 판테라
  • 홀로라이브 EN
    • 타카나시 키아라 : 일명 '주황색 친구'. 키아라는 지지의 데뷔 직전에도 트위터에서 공개적으로 응원해주었으며, 첫 방송 채팅방에도 찾아와 귀엽다며 칭찬을 하더니, 지지가 Anime MMORPG 이야기를 하자 공감대를 형성해주고 다음에 같이 하자며 방송을 응원해주는 모습을 보였다.
  • 홀로라이브 ID
  • 홀로라이브 JP

5.2. 홀로라이브 외

6. 음악

6.1. 유닛곡

MV
hololive English -Justice- - ABOVE BELOW[13] (2024. 6. 23.)

6.2. 커버곡

<rowcolor=#000> 공개일 원곡명 비고
2024. 6. 22. Hitomania / 人マニア [14]
[ MV ]

7. 여담

  • 트위터가 열리자마자 올라온 첫 글은 알 수 없는 말을 하는 자신의 낙서. 이후에도 다른 홀로멤들이 자신을 언급하거나 답글을 달 때마다 하나하나 낙서와 함께 대답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본래 홀로라이브에서 그렘린이라고 하면 Myth 아멜리아 왓슨을 가리키는 밈 중 하나였는데, 진짜 그렘린이 등장하면서 어떻게 엮일지 주목받고 있다.
  • 처음 이미지가 공개되었을 때 양갈래, 동물 귀 후드, 혼돈을 불러올 거 같은 악동 이미지로 인해 팬들 사이에서 하코스 벨즈와 닮은 것 같다는 이야기가 나왔는데, 첫 방송 후에는 발성법에 있어서도 벨즈의 초창기를 떠올리게 하는 '힘을 주어 목소리를 올리는' 발성으로 또 다르게 하코스 벨즈가 떠오른다는 사람이 생겼다.
  • 말이 상당히 빠르다. 평소에도 말이 빠른 편인데, 흥분하여 이야기를 막 풀어댈 때는 타 영어권 멤버들의 두 배 가까운 속도로 빠르게 말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말 중간마다 "I don't know"를 붙이는 습관이 있다. 특히 지지가 썰을 풀 때면 거의 확정적으로 들을 수 있다.
  • 3D 멀미가 있다고 한다. 이와 관련해 BPM: BULLETS PER MINUTE을 플레이하면서 마우스 감도를 낮추기도 했으며, VR 게임은 하는 것만으로 멀미가 난다고 한다. 다만 VR 게임은 하다 보면 익숙해질 수 있을 것 같다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나이는 비공개. [2] 니지산지 소속 데비데비 데비루 카타리베 츠무구를 디자인했다. [KST] 한국 시간 기준. [기준] 2024년 6월 28일 [팬캐릭터] 이렇게 생겼다.
파일:gremurin.png
[원문] 원문 출처 (hololive 공식 홈페이지) [KST] [팬캐릭터] [9] 크레이지 택시, BPM: BULLETS PER MINUTE, A Way Out, Hades II, Another Crab's Treasure, Little Kitty, Big City. [10] 한국 시간으로 오전 6시, GMT로 오후 9시 (중앙 유럽시 8시). 이 시간은 니노마에 이나니스의 평소 방송 시간과 동일하다. [11] 굿 모닝의 변형. 종종 "세계 어디든 모두 Gi Murin하길 바래!" 같은 말을 덧붙인다. [12] 정확한 문장은 말이 겹쳐 파악하기 힘들다. [13] 유닛 데뷔곡. 데뷔 티저에서 사용한 음원의 보컬곡이다. MV는 hololive English 채널에 업로드. [14] 데뷔 커버곡. MV는 실제 인형을 활용한 스톱 모션으로 제작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