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정치적 스펙트럼 Political Spectrum |
||||||
극좌 | 좌파 | 중도좌파 | 중도 | 중도우파 | 우파 | 극우 |
혼합 정치 |
1. 개요
<nopad> | |
록펠러 공화당의 후신인 공화당 관리 그룹 | 독일의 중도우파 성향의 정당 연합인 CDU/CSU |
우파, 좌파의 기준은 상대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각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가령 순수한 자유주의 혹은 포괄적인 자유주의[2]조차도 서유럽, 일부 중남미 지역 등 사회주의나 사회민주주의 운동이 활성화된 지역들에서는 중도~중도우파나 단순 중도우파로 분류될 수 있다.[3]
2. 유래와 역사
현대 중도우파의 아버지인 에드먼드 버크 |
또한 중도우파라는 용어는 프랑스 7월 왕정때에 등장했는데, 아주 리버럴하지는 않아 좌익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강경 우익인 법통주의에 반대하는 오를레앙주의자들을 중도우파라고 칭했다.
3. 이념 및 사상
물론 이념과 스펙트럼은 별개이기 때문에 (온건 보수주의 정도를 제외하면) 해당 이념들을 표방한다고 모두 중도우파로 분류되는 것은 아니다.4. 스펙트럼
전통적으로 좌우파 스펙트럼을 나누는 가장 큰 기준 중 하나는 사회적 평등과 격차(불평등)에 대한 태도이다.[9]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인종이나 민족, 국민 정체성' 등에 기반한 극단적인 내셔널리즘적 태도는 '극복할 수 없는 계급, 즉 항구적인 불평등'을 만든다는 점에서 극우라고 볼 수 있고 이러한 극우파들은 자연스럽게 반세계화, 고립주의적 태도를 지지할 가능성이 높다.반면 중도우파는 선천적인 불평등에 대해서는 해소하려고 하지만 평등한 기회와 공정한 과정에 의한 결과의 차이는 불평등으로 보지 않는다.[10]
일반적으로 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극우'의 대표격이었던 나치즘과 파시즘이 반인륜적인 범죄를 저질러서 모두에게 지탄받고 금기시되었되었는데, 그런 극우가 2007년 리먼브라더스 사태 이후 우파 진영에서 전세계적으로 부활하고 있는 추세가 되었다. 그로 인해서 생겨난 현대의 극우와 기존의 중도우파 간의 차이를 경제 정책적인 측면을 본다면 같은 우파진영 내에서 중도우파와 극우로 나눠지는 경계선은 세계화 전략을 지지하느냐 지지하지 않느냐에 달려있다.
대부분의 중도우파는 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대전을 막기 위해서 세계가 하나가 될수록 세계대전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게 될 것이고 그래서 평화로워진다는 믿음에 기초해서 세계화 전략을 지지하게 되었고 서구에서는 유럽단위의 공동체인 EU가 만들어지고 다자간 통상조약인 WTO를 지지하며 FTA 통상전략을 지지하게 되었던 반면에 극우의 경우에는 경제적 내셔널리즘 성향에 따라 자국의 국익만을 추구하기 위하여 앞에서 언급한 기구들을 비판하며 양자간의 호혜적인 통상전략인 FTA에 대해서 극렬하게 반대한다. 그렇기 때문에 2018년 현재 공화당의 지도부의 경우에는 중도우파라고 본다면 NAFTA 재협상을 시도하고 TPP를 파기한 트럼프 대통령의 경우에는 극우라고 볼 수 있다.[11]
하지만 이도 완벽하게 1과 2로 나뉘지는 않는 것이 칠레의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피노체트주의), 페루의 알베르토 후지모리( 후지모리주의), 브라질의 자이르 보우소나루( 보우소나루주의), 아르헨티나의 하비에르 밀레이( 밀레이주의)와 같은 중남미 극우파들은 반세계화와는 별로 연관이 없었고 되려 세계화와 연관이 있는 신자유주의에 우호적임에도 우익~극우 권위주의적 보수주의 정부로 평가[12]받으며, 한국의 반세계화/민족주의 또한 극우 세력만의 전유물이 아니며 오히려 좌파진영에서 민족주의 성향을 띄는 경우가 많다. 또한 아일랜드의 저항적 민족주의는 중도우파에게도 어느 정도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이 또한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정치적 태도로 갈린다고 볼 수 있다.[13]
5. 정당
- 가나: 신애국당
- 네덜란드 : 자유민주인민당, 기독민주애원당, 기독교연합당
- 노르웨이 : 우파당, 기독교민주당[14]
- 뉴질랜드 : 뉴질랜드 국민당, 뉴질랜드 행동당
- 대만 : 중국국민당, 친민당
- 덴마크 : 벤스터[15], 보수인민당, 온건당, 기독교민주당, 자유동맹
- 도미니카 공화국 : 사회기독개혁당
- 독일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자유민주당, 자유보수개혁당
- 라이베리아 : 통일당
- 러시아 : 성장당, 시민 연단
- 루마니아 : 루마니아 구국연합
- 멕시코 : 제도혁명당, 국민행동당, 멕시코 환경주의 녹색당
- 몽골 : 민주당, 인간당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민주행동당,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세르비아 민주당
- 브라질 : 브라질 연합, 브라질 민주운동, 브라질 사회민주당, 포데모스
- 스웨덴 : 온건당, 기독교민주당, 중앙당, 자유당
- 스위스 : 자유민주당
- 스페인 : 시민, 인민당
- 슬로바키아 : 자유와 연대, 인민을 위하여
- 싱가포르 : 인민행동당
- 아이슬란드 : 독립당, 진보당
- 아일랜드 : 피너 게일, 피어너 팔
- 안도라: 안도라 민주당
- 에스토니아 : 에스토니아 개혁당
- 영국 : 보수당, 민주연합당[16]
- 우크라이나 : 유럽연대, 목소리
- 이스라엘 :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새로운 희망
- 이집트 : 신와프드당
- 이탈리아 : 전진 이탈리아
- 인도 : 아칼리 달
- 인도네시아 : 골카르, 민주당
- 일본 : 공명당, 일본유신회, 국민민주당
- 자메이카 : 자메이카 노동당
- 칠레 : 국민혁신, 에보폴리
- 카자흐스탄 : 레스푸블리카, 악졸 민주당
- 캐나다 : 캐나다 보수당
- 크로아티아 :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 콜롬비아 : 국민통합사회당, 콜롬비아 보수당
- 태국 : 민주당
- 튀르키예 : 좋은당, 민주진보당
- 파라과이 : 사랑받는 조국당
- 파키스탄 :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 포르투갈 : 사회민주당, 인민당, 자유 이니셔티브
- 폴란드 : 시민 연단
- 핀란드 : 국민연합당, 기독교민주당
- 프랑스 : 르네상스, 공화당, 수평선, 아지르
- 헝가리 : 요빅
- 호주 : 호주 자유당, 호주 국민당
- 홍콩 : 자유당
- 유럽연합 : 유럽 인민당(EPP)
6. 언론 목록
- 대한민국 : 중앙일보, 동아일보, 채널A, 매일경제신문, MBN, YTN NEWS
- 독일 :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
- 미국 : 월스트리트 저널
- 영국 : 더 타임스, 이브닝 스탠더드, 파이낸셜 타임스[17]
- 이스라엘 : 이스라엘 하욤
- 일본 : 요미우리 신문, 닛케이 신문
- 폴란드 : 제치폴리스타[18]
- 프랑스 : 르 피가로
7. 같이 보기
- 동정적 보수주의
- 베를루스코니주의
- 중도우파 연합 (이탈리아)
- 중도우파(호주) - 호주 자유당 주류파
- 현대자유주의(호주) - 호주 자유당 당내 진보파
- 연합(호주)
- 일국 보수주의(코커스) (영국)
- CDU/CSU (독일)
- 중도실용주의
- 따뜻한 보수주의
- 질서자유주의
- 콘라트 아데나워 재단
- 호주의 자유주의
- 독일의 자유주의
- 몽골의 자유주의
[1]
Right of centre, Right of center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2]
문화적 자유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또는
사회자유주의+
보수자유주의.
[3]
역으로 보수적인 지역에선 자유주의 자체가 범좌파(중도~중도좌파 혹은 중도좌파)로 분류되기도 한다.
[4]
애당초 당시에는
자유주의는
보수주의와 상극이였기 때문에 자유보수주의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고, 버크의 철학도 21세기의 시각으로 보면 전통적인 면모도 많았다.
[5]
Eatwell, Roger (1990), "The nature of the Right: the right as a variety of styles of thought", in Eatwell, Roger; O'Sullivan, Noel (eds.), The nature of the right: American and European politics and political thought since 1789, Themes in right-wing ideology and politics series, Boston: Twayne Publishers, p. 66
[6]
일반적으로는 중도~중도우파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7]
유럽, 남북아메리카 한정.
[8]
권위주의적 가부장제를 의미하는게 아니라, 국가가 책임감 있는 가장이 되어 가족을 챙기듯이 국민들을 보호한다는 의미이다.
[9]
Oliver H. Woshinsky. Explaining Politics: Culture, Institutions, and Political Behavior. Oxon, England; New York, New York, USA: Routledge, 2008.
[10]
물론, 평등한 기회인 척 공정한 과정인 척 기만하거나 사기치는 행위들은 당연히 싫어하는 편이다.
[11]
다만 현재 공화당 지도부가 선거 표이탈을 우려해 트럼프와 완전히 맞서 싸우지도 않고, 무엇보다 공화당 지도부조차 단순 중도우파 치곤 트럼프 이후 많이 우경화된건 사실이다.
[12]
Alide Dasnois, "Chile and the absurdity of ideological social engineering" – The Cape Times (1226 words, 8 July 2009)
[13]
중도우파도 어느 정도 사회적 불평등을 용인하지만 극우파들처럼 절대적으로 받아들여야 할 가치로 여기지는 않는다.
[14]
보통 유럽의 중도우파 정당들은 친유럽주의 성향이지만 이 당은 영국 보수당처럼 유럽회의주의 성향을 띤다. 다만 중도~중도우파 성향이다.
[15]
역사적으론
(고전적) 자유주의 성향의 당시 기준 좌파정당이였으나 20세기 사회주의 성장, 당 내 좌파(사회자유주의)의 탈당 등을 거치며 중도우파
보수자유주의 정당이 되었다.
[16]
본래
기독교 우파 성향의 단순 우익정당이였고 강경우파의 지분도 적지 않았으나, 보수당과
신임 공급을 구성하면서 현재는 당 내에서 온건파인 중도우파들이 당권을 장악하고 있다.
[17]
친유럽주의 성향에
경제적 자유주의/
보수자유주의로 분류된다.
[18]
자유보수주의 내지
보수자유주의 성향의 언론이다.
시민 연단과 비슷한 스탠스이지만 극도로 보수적인 정치 환경을 지닌 폴란드에서는 좌파언론으로 인식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