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8c95>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구 | |||
중구 |
[[울산광역시청| 시청 ]]
남구
|
동구 |
북구 |
|
자치군 | ||||
울주군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d1c24>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00904c> 다운동 | 다운동 | 태화동 | |||||
태화동 | 유곡동 | ||||||
우정동 | 우정동 | ||||||
성안동 | 성안동 | 교동 | |||||
중앙동 | 성남동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북정동 | 옥교동 | 학산동 | }}} | |||
복산동 |
구청
복산동
|
||||||
학성동 | 학성동 | ||||||
반구1, 2동 | 반구동 | ||||||
약사동 | 약사동 | ||||||
병영1동 | 남외동 | ||||||
병영2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동 | 동동 | 장현동 | }}} | }}}}}}}}} |
울산광역시의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중구
中區 Jung-gu |
}}} | |||
<colbgcolor=#ed1c24><colcolor=#fff> 구청 소재지 | 단장골길 1 (복산동) | |||||
광역자치단체 | 울산광역시 | |||||
하위 행정구역 | 13 동[1] | |||||
면적 | 37.01㎢ | |||||
인구 | 207,200명[2] | |||||
인구밀도 | 5,598,51명/㎢[3] | |||||
구청장 |
|
김영길 (초선) | ||||
구의회 |
|
6석[4] | ||||
|
4석[5] | |||||
시의원 |
|
4석[6] | ||||
국회의원 |
|
박성민 (재선) | ||||
상징 | <colbgcolor=#ed1c24><colcolor=#fff> 구화 | 울산동백 | ||||
구목 | 대나무 | |||||
구조 | 학 | |||||
지역번호 | 052 | |||||
| | | | |
1. 개요
울산광역시의 중심부에 위치한 자치구. 동천강을 경계로 울산광역시 북구, 태화강을 경계로 남구, 서쪽으로는 울주군과 접한다.2. 상징
중구의 CI |
<nopad> |
울산광역시 중구의 심벌마크는 중앙을 나타내는 한자의 '中'에서 유추한 것으로 사람의 형상을 내포하고 있다. |
중구의 브랜드슬로건 |
<nopad> |
숨의 ‘ㅅ', ‘ㅜ’의 모양은 태화루, 향교, 동헌과 같은 기와집의 지붕과 처마모습을 형상화 한 것으로, 전통과 문화아래 위치한 울산 중구의 모습을 표현. |
중구의 마스코트 |
<nopad> |
이름은 가람이(울산 중구를 감싸 안은 강의 요정)이며, 울산 중구를 감싸고 흐르는 태화강의 이미지를 통해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울산의 젖줄과도 같은 중구의 모습을 표현하였으며 머리부분의 물결은 태화강, 그것을 감싸는 머리부분과 몸통부분 표현을 통해 중구가 울산의 중심부라는 것을 의미함. |
중구의 대표 브랜드 |
<nopad> |
‘ 울산큰애기’는 예로부터 울산 중구 반구동 여성들을 일컫던 말이다. 중구 반구동은 태화강, 동천강, 약사천 의 접목 지역으로 쌀농사, 과실농사가 잘 되어 궁핍하던 시절에도 상대적으로 경제 형편이 좋았던 곳. 이에 이 지역 여성들은 유난히 성품이 상냥하여 외지인들이 ‘울산큰애기’로[7] 불렀다. |
중구의 상징물 | |
<colbgcolor=#fff,#1c1d1f> 구목 대나무 |
울산12경중 하나인 십리대밭이 울산중구에 위치하고 있고, 사철 푸른 대나무가 역동적인 중구를 나타냄 |
구화 울산동백 |
울산 학성에 자생한 희귀한 동백품종으로 역사성이 있고 미래를 향해 발돋움하는 중구의 이미지를 나타냄 |
구조 학 |
학성 등의 지명에서 보듯 예로부터 중구는 학의 고장이었으며 깨끗하고 고고한 기품을 지닌 중구의 이미지와 부합됨 |
3. 지역 특징
1990년대까지는 성남동을 중심으로 한 명실상부한 울산의 중심지였으나 삼산[8]이 개발되며 시외버스터미널이 옮겨가고 백화점과 상점가가 들어서고 도심 기능 전체가 태화강 이남의 남구로 옮겨가면서 중심지의 역할은 빼앗겼다. 그래도 썩어도 준치라고 남구와 함께 울산의 도심으로서 그리고 남구 다음가는 중심지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그 예로 울산광역시경찰청과 우정혁신도시가 있고 지역방송인 울산문화방송과 UBC 사옥도 중구에 있다. 상권의 경우에도 어린 연령층을 중심으로 성남동을 여전히 많이 찾고 있다.원도심 지역답게 아파트와 연립주택, 빌라 등이 혼재되어 있다. 특히 교동, 북정동, 복산동 지역은 주택 노후화가 상당히 진행되어 진행 중이거나 예정된 재개발 떡밥이 울산 내에서 가장 많다. 최근에는 울산시립미술관 건립과 함께 문화도시 이미지를 부각시키려고 노력하고 있지만[9] 아직까지는 큰 성과는 없는 듯하다. 2010년대 이후로는 우정혁신도시가 들어서 어느정도 활력을 되찾았으나 유동인구 회복에 가장 중요한 시설이자 혁신도시 중심부에 건설될 예정이었던 신세계백화점 건설이 늦어져 정작 그 주변은 휑한 감이 있다. 중구민들은 백화점이 하루빨리 들어와 유동인구가 늘어나고 혁신도시가 활성화되면 다시 중구가 중심지이던 시절의 영광을 되찾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4. 인구
울산광역시 중구 인구 추이 (1985년~현재) |
1985년
7월 15일 울산시 중구 설치 1985년 8월 10일 울산시 중구 방어진출장소 → 시 직할로 승격 및 관할에서 분리 |
1985년 206,462명
|
1990년 257,490명
|
1995년 285,414명
|
1997년
7월 15일 경상남도 울산시 →
울산광역시 승격 중구 일부[10] + 울주구 농소읍·강동면 → 북구 승격 분리, 염포동 → 동구 편입 |
2000년 232,038명
|
2005년 235,417명
|
2010년 232,915명
|
2015년 244,481명
|
2020년 217,595명
|
2024년 10월 207,201명
|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태화동 31,841명
|
다운동 21,706명
|
|
병영1동 21,022명
|
|
성안동 20,218명
|
|
병영2동 19,666명
|
|
우정동 17,355명
|
|
반구1동 15,913명
|
|
중앙동 11,495명
|
|
학성동 10,826명
|
|
복산2동 10,669명
|
|
복산1동 8,804명
|
|
반구2동 8,315명
|
|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 행정동별 인구추이 #===
학성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4,047명
|
1970년 6,872명
|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학성동 + 반구동 → 학성동 신설 |
1975년 13,833명
|
1980년 25,638명
|
1982년 9월 1일 학성동 → 학성동, 반구동 분동 |
1985년 20,946명
|
1990년 21,800명
|
1995년 18,067명
|
2000년 14,055명
|
2005년 12,727명
|
2010년 12,404명
|
2015년 10,885명
|
2020년 10,414명
|
2023년 9월 10,922명
|
반구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856명
|
1970년 2,575명
|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반구동 일시 폐동 → 학성동 편입 |
1975년 -명
|
1980년 -명
|
1982년 9월 1일 학성동 → 학성동, 반구동 분동 |
1985년 20,654명
|
1990년 37,280명
|
1992년 1월 20일 반구동 → 반구1동, 반구2동 분동 |
1995년 23,325명
|
2000년 19,302명
|
2005년 18,670명
|
2010년 17,167명
|
2015년 19,606명
|
2020년 17,313명
|
2023년 9월 16,118명
|
반구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
1992년 1월 20일 반구동 → 반구1동, 반구2동 분동 |
1995년 13,223명
|
2000년 10,829명
|
2005년 9,905명
|
2010년 10,732명
|
2015년 9,818명
|
2020년 8,842명
|
2023년 9월 8,39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복산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4,218명
|
1970년 8,703명
|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복산동(법정동) → 복산동(행정동) |
1975년 13,090명
|
1980년 16,674명
|
1985년 20,429명
|
1990년 29,094명
|
1995년 3월 2일 복산동 → 복산1동, 복산2동 분동 |
1995년 15,895명
|
2000년 14,260명
|
2005년 11,887명
|
2010년 10,913명
|
2015년 9,265명
|
2020년 4,810명
|
2023년 9월 3,866명
|
복산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
1995년 3월 2일 복산동 → 복산1동, 복산2동 분동 |
1995년 15,327명
|
2000년 13,547명
|
2005년 12,189명
|
2010년 10,365명
|
2015년 10,666명
|
2020년 11,382명
|
2023년 9월 10,85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중앙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7,176명(성남동 4,708명 + 학산동 2,116명 + 북정동 2,964명 + 옥교동 4,601명 + 교동 2,787명)
|
1970년 22,300명(성남동 5,710명 + 학산동 3,105명 + 북정동 4,232명 + 옥교동 5,449명 + 교동 3,804명)
|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학산동 + 옥교동 → 옥교동 신설 성남동 + 교동 → 성남동 신설[Q] |
1975년 22,373명(옥교동 10,202명 + 성남동 12,171명)
|
1980년 28,169명(옥교동 14,242명 + 성남동 13,927명)
|
1985년 30,457명(옥교동 16,228명 + 성남동 14,229명)
|
1990년 26,723명(옥교동 13,838명 + 성남동 12,885명)
|
1995년 20,461명(옥교동 10,733명 + 성남동 9,728명)
|
2000년 15,851명(옥교동 8,338명 + 성남동 7,513명)
|
2005년 14,082명(옥교동 7,457명 + 성남동 6,625명)
|
2009년 1월 1일 옥교동 + 성남동 → 중앙동 합동 |
2010년 14,808명
|
2014년
9월 1일 행정동 북정동 폐지 북정동(법정동) → 중앙동 편입 |
2015년 16,523명
|
2020년 13,296명
|
2023년 9월 11,69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우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5,248명
|
1970년 7,753명
|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우정동(법정동) → 우정동(행정동) |
1975년 13,283명
|
1980년 16,579명
|
1985년 19,511명
|
1990년 22,730명
|
1995년 24,418명
|
2000년 26,183명
|
2005년 22,911명
|
2010년 22,165명
|
2015년 22,688명
|
2020년 19,348명
|
2023년 9월 17,43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태화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4,106명(유곡동 1,333명 + 태화동 2,080명 + 다운동 693명)
|
1970년 5,143명(유곡동 1,798명 + 태화동 2,687명 + 다운동 658명)
|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유곡동 + 태화동 + 다운동 → 태화동 신설 |
1975년 6,440명
|
1980년 9,412명
|
1985년 14,142명
|
1990년 22,947명
|
1995년 3월 2일 태화동 → 태화동, 다운동 분동 |
1995년 28,260명
|
2000년 27,031명
|
2005년 25,245명
|
2010년 25,891명
|
2015년 36,553명
|
2020년 33,809명
|
2023년 9월 32,111명
|
다운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
1995년 3월 2일 태화동 → 태화동, 다운동 분동 |
1995년 22,645명
|
2000년 31,267명
|
2005년 32,319명
|
2010년 31,684명
|
2015년 28,776명
|
2020년 23,196명
|
2023년 9월 21,89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병영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725명(남외동)
|
1970년 1,888명(남외동)
|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남외동 + 동동 + 서동 + 장현동 → 병영동 신설 |
1975년 7,829명
|
1980년 15,254명
|
1985년 21,540명
|
1990년 32,906명
|
1992년 9월 20일 병영동 → 병영1동, 병영2동 분동 |
1995년 21,144명
|
2000년 21,018명
|
2005년 18,868명
|
2010년 27,959명
|
2015년 26,085명
|
2020년 22,544명
|
2023년 9월 21,162명
|
병영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3,654명(동동 2,200명 + 서동 1,050명 + 장현동 404명)
|
1970년 4,106명(동동 2,389명 + 서동 1,359명 + 장현동 358명)
|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남외동 + 동동 + 서동 + 장현동 → 병영동 신설 |
1975년 -명
|
1980년 -명
|
1985년 -명
|
1990년 -명
|
1992년 9월 20일 병영동 → 병영1동, 병영2동 분동 |
1995년 22,218명
|
2000년 21,073명
|
2005년 20,007명
|
2010년 18,152명
|
2015년 22,378명
|
2020년 20,522명
|
2023년 9월 19,772명
|
약사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173명
|
1970년 2,367명
|
1972년 10월 1일 약사동(법정동) → 약사동(행정동) |
1975년 2,057명
|
1980년 2,599명
|
1985년 4,133명
|
1990년 5,884명
|
1995년 6,218명
|
2000년 5,453명
|
2005년 10,344명
|
2010년 8,853명
|
2015년 9,504명
|
2020년 10,960명
|
2023년 9월 10,688명
|
성안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452명
|
1970년 1,360명
|
1972년 10월 1일 북정동 + 성안동 → 북정동 신설 |
1975년 6,220명
|
1980년 6,918명
|
1985년 6,900명
|
1990년 6,923명
|
1995년 4,877명
|
2000년 7,586명
|
2005년 16,961명
|
2010년 21,822명
|
2014년
9월 1일 행정동 북정동 폐지 북정동(법정동) → 중앙동 편입 성안동(법정동) → 성안동(행정동) 신설 |
2015년 21,734명
|
2020년 21,159명
|
2023년 9월 20,427명
|
5.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ed1c24><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ed1c24> | }}} | |
{{{#!wiki style="color: #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colbgcolor=#f9343b> ㄱ | <colbgcolor=#fff,#191919> 가구거리 · 강북로 · 계변로 · 구교로 | |
ㄴ | 난곡로 · 남외로 | ||
ㄷ | 다운로 · 다전로 · 달빛로 · 동천서로 | ||
ㅁ | 명난로 · 명륜로 | ||
ㅂ | 반구로 · 백양로 · 번영로 · 병영로 · 북부순환도로 | ||
ㅅ | 새치로 · 성안로 | ||
ㅇ | 약사로 · 염포로 · 옥교로 · 유곡로 · 이예로 · 일중로 | ||
ㅈ | 장춘로 · 종가로 | ||
ㅌ | 태화로 | ||
ㅍ | 평산로 | ||
ㅎ | 학산로 · 학성로 · 함월로 · 화합로 | ||
울산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강만 건너면 울산의 중심인 남구이며 북부순환도로가 있어서 북구 방향으로 진출하기도 용이하다. 울산 시내버스의 절반 정도가 성남동을 지나며[12] 7번 국도, 14번 국도와 31번 국도가 구역을 관통한다.
알파카 킥보드가 서비스되기 시작했다. 서비스 구역은 알파카(서비스) 문서의 3.1. 이용 가능 장소 참고.
6. 교육
- 고등학교
울산광역시 중구의 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다운고등학교 | 성신고등학교 | 약사고등학교 | |||
울산고등학교 | ◈ 울산애니원고등학교 | 울산중앙고등학교 | |||
울산중앙여자고등학교 | 학성여자고등학교 | 함월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 울산중앙여자고등학교 (반구1동 595)
- 성신고등학교 (복산1동 352-2)
- 울산고등학교 (복산2동 382)
- 울산애니원고등학교 (성안동 480)
- 울산중앙고등학교 (태화동 359)
- 함월고등학교 (유곡동 501-3)
- 다운고등학교 (다운동 641)
- 학성여자고등학교 (약사동 707-5)
- 약사고등학교 (약사동 885-1)
- 중학교
울산광역시 중구의 중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남외중학교 | 다운중학교 | 무룡중학교 | 성안중학교 | ||
약사중학교 | 외솔중학교 | 가온중학교[1] | 울산제일중학교 | ||
울산중학교 | 유곡중학교 | 학성여자중학교 | |||
[1]: 구 울산여자중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 울산여자중학교 (반구2동 50)
- 울산중학교 (복산1동 705)
- 성안중학교 (성안동 519-8)
- 울산제일중학교 (태화동 871)
- 유곡중학교 (태화동 196)
- 학성여자중학교 (태화동 747-1)
- 다운중학교 (다운동 676-1)
- 남외중학교 (남외동 502-1)
- 외솔중학교 (서동 23-1)
- 무룡중학교 (약사동 707-7)
- 약사중학교 : 구 난곡여자중학교 → 울산동여자중학교 (약사동 571-1)
- 초등학교
울산광역시 중구의 초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외초등학교 | 내황초등학교 | 다운초등학교 |
다전초등학교 | 명정초등학교 | 무룡초등학교 | |
백양초등학교 | 병영초등학교 | 복산초등학교 | |
삼일초등학교 | 성안초등학교 | 약사초등학교 | |
양사초등학교 | 옥성초등학교 | 외솔초등학교 | |
우정초등학교 | 울산초등학교 | 태화초등학교 | |
평산초등학교 | 학성초등학교 | 함월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 옥성초등학교 (학성동 180-1)
- 학성초등학교 (반구2동 270-1)
- 내황초등학교 (반구1동 395)
- 함월초등학교 (복산1동 504)
- 복산초등학교 (복산1동 571)
- 울산초등학교 (유곡동 263)
- 백양초등학교(울산) (성안동 117-1)
- 성안초등학교(울산) (성안동 797-1)
- 양사초등학교 (교동 281)
- 우정초등학교(울산) (우정동 707)
- 명정초등학교 (태화동 733)
- 태화초등학교 (유곡동 101-1)
- 다운초등학교 (다운동 811)
- 다전초등학교 (다운동 686-1)
- 남외초등학교 (남외동 502-2)
- 병영초등학교 (서동 311)
- 삼일초등학교 (서동 40)
- 외솔초등학교 (서동 23-2)
- 무룡초등학교 (약사동 762)
- 약사초등학교 (약사동 707-2)
- 평산초등학교 (약사동 612-8)
- 특수학교
- 울산혜인학교 (약사동 527)
7. 의료기관
울산에서 두 번째로 큰 동강병원(569병상)이 태화동에 있다. 한때 울산 최대의 병원이었으나 상당히 오래된 의료기관인 만큼 현재는 시설이 다소 낙후된 상태. 그래도 울산대학교병원 다음으로 많은 병상수를 가지며 울산 내에서의 위상은 높다. 남외동에는 동강병원의 자매병원인 동천동강병원(247병상)이 있다.8. 정치
자세한 내용은 중구(울산광역시)/정치 문서 참고하십시오.9. 하위 행정구역
10. 출신 인물
자세한 내용은 분류:중구(울산) 출신 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
[1]
18개
법정동, 13개
행정동
[2]
2024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3]
2024년 10월 기준.
[4]
중구 가선거구 (학성동, 복산1동, 복산2동, 성안동, 중앙동): 김태욱
중구 나선거구 (병영1동, 병영2동): 김도운
중구 다선거구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박경흠, 문기호
중구 라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약사동): 강혜순
중구 비례대표: 홍영진 [5] 중구 가선거구 (학성동, 복산1동, 복산2동, 성안동, 중앙동): 안영호
중구 나선거구 (병영1동, 병영2동): 문희성
중구 다선거구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정재환
중구 라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약사동): 이명녀 [6] 중구 제1선거구 (학성동, 복산1동, 복산2동, 성안동, 중앙동): 권태호 (초선)
중구 제2선거구 (병영1동, 병영2동): 김기환 (3선)
중구 제3선거구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이성룡 (3선)
중구 제4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약사동): 김종섭 (재선) [7] 다만 한 번의 페이스리프트가 있기 전까지는 다소 뾰로퉁한 표정에 유난히 많던 주근깨가 보기 싫었다는 평이 많았다. 즉, 지금의 울산큰애기는 한 번의 작은 수정을 거친 것이다. [8] 개발되기 전에는 논과 밭이었고, 이름 그대로 3개의 산이 있었다. [9] 병영, 왜성(학성공원), 태화루, 향교 등 유적이 많은 데다가 슬로건부터가 '문화가 살아 숨쉬는 중구'이다. [10] 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Q] 북정동은 성안동과 함께 행정동 북정동이 되었다가 2014년 행정동 북정동이 폐지되며 다시 이관됨. [12] 나머지 절반 정도는 삼산동을 지나며, 심지어 둘 다 훑는 노선도 존재. 이 둘을 지나지 않는 노선은 손에 꼽을 정도이다.
중구 나선거구 (병영1동, 병영2동): 김도운
중구 다선거구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박경흠, 문기호
중구 라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약사동): 강혜순
중구 비례대표: 홍영진 [5] 중구 가선거구 (학성동, 복산1동, 복산2동, 성안동, 중앙동): 안영호
중구 나선거구 (병영1동, 병영2동): 문희성
중구 다선거구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정재환
중구 라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약사동): 이명녀 [6] 중구 제1선거구 (학성동, 복산1동, 복산2동, 성안동, 중앙동): 권태호 (초선)
중구 제2선거구 (병영1동, 병영2동): 김기환 (3선)
중구 제3선거구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이성룡 (3선)
중구 제4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약사동): 김종섭 (재선) [7] 다만 한 번의 페이스리프트가 있기 전까지는 다소 뾰로퉁한 표정에 유난히 많던 주근깨가 보기 싫었다는 평이 많았다. 즉, 지금의 울산큰애기는 한 번의 작은 수정을 거친 것이다. [8] 개발되기 전에는 논과 밭이었고, 이름 그대로 3개의 산이 있었다. [9] 병영, 왜성(학성공원), 태화루, 향교 등 유적이 많은 데다가 슬로건부터가 '문화가 살아 숨쉬는 중구'이다. [10] 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Q] 북정동은 성안동과 함께 행정동 북정동이 되었다가 2014년 행정동 북정동이 폐지되며 다시 이관됨. [12] 나머지 절반 정도는 삼산동을 지나며, 심지어 둘 다 훑는 노선도 존재. 이 둘을 지나지 않는 노선은 손에 꼽을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