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광역시 중구의 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다운고등학교 | 성신고등학교 | 약사고등학교 | |||
울산고등학교 | ◈ 울산애니원고등학교 | 울산중앙고등학교 | |||
울산중앙여자고등학교 | 학성여자고등학교 | 함월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울산중앙여자고등학교 蔚山中央女子高等學校 ULSAN JOONGANG GIRLS' HIGHSCHOOL |
|
<colbgcolor=gray> 개교 | 1979년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성별 | 여학교 |
형태 | 공립 |
교장 | 여창엽 |
교훈 | 덕성과 지성을 닦아 슬기롭게 생활하자 |
교화 | 난 |
교목 | 동백나무 |
학생 수 |
373명 (2023년 3월) |
교직원 수 |
41명 (2023년 3월) |
관할 교육청 | 울산광역시교육청 |
주소 | 울산광역시 중구 내황2길 33 ( 반구동) |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울산광역시 중구 반구동에 위치한 공립 여자고등학교.2. 학교 연혁
- 1979. 01. 31 - 난곡여자고등학교 설립인가
- 1979. 03. 19 - 개교(1학년 10학급 600명 입학)
- 1981. 02. 28 - 신축교사 이전(완성 30학급)
- 1981. 03. 01 - 울산중앙여자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2001. 10.16 - 다목적교실(체육관) 완공
- 2003. 11. 12 - 전체 39학급으로 인가(현재 37학급)
- 2004. 03. 01 - 제 12대 서명규 교장 취임식
- 2007. 09. 01 - 제 13대 정남기 교장 취임식
- 2008. 02. 14 - 제27회 졸업식(527명, 총졸업자수 14,355명)
- 2008. 02. 26 - 급식소 및 펜싱장 신축 완공
- 2008. 03. 04 - 신입생 입학식(482명)
- 2009. 02. 14 - 제28회 졸업식(487명, 총졸업자 수 14,842명)
- 2009. 03. 03 - 신입생 입학식(532명)
- 2010. 02. 12 - 제29회 졸업식(478명, 총졸업자 수 15,320명)
- 2010. 03. 01 - 제 14대 박두식 교장 취임식
- 2010. 03. 03 - 신입생 입학식(444명)
- 2011. 02. 11 - 제30회 졸업식(476명, 총졸업자 수 15,796명)
- 2011. 03. 03 - 신입생 입학식(429명)
- 2012. 02. 10 - 제31회 졸업식(509명, 총 졸업생 수 16,305명)
- 2012. 03. 05 - 신입생 입학식(394명)
- 2013. 02. 08 - 제32회 졸업식(429명)
- 2013. 03. 04 - 신입생 입학식(362명)
- 2013. 09. 01 - 제 15대 김동수 교장 취임식
- 2015. 09. 01 - 제 16대 이복만 교장 취임식
- 2016. 02. 15 - 제35회 졸업식(352명, 총 졸업생수: 17,875명)
- 2016. 03. 02 - 제38회 입학식(288명)
- 2017. 02. 14 - 제36회 졸업식(289명. 총 졸업생수 18,164명)
- 2017. 03. 02 - 제39회 입학식(240명)
- 2018. 02. 09 - 제37회 졸업식(260명. 총 졸업생수 18,324명)
- 2018. 03. 02 - 제40회 입학식(161명)
- 2018. 09. 01 - 제17대 김영오 교장 취임식
- 2022. 03. 02 - 제44회 입학식(122명)
3. 교훈 및 상징
출처: 울산중앙여자고등학교 홈페이지3.1. 교표
제일 바깥의 톱니바퀴는 대한민국의 가장 선도적인 공업도시 울산을 상징하며, 톱니바퀴 안의 원 모양은 고등학교 ‘고’ 글자 세 개로 디자인하였다. 한글 ‘고’ 문양의 중앙에 한자로 ‘女’를 넣어 전체적으로 울산의 대표 명문 여자고등학교인 '울산중앙여자고등학교'를 표현하였다.
3.2. 교화
난: 난은 군자의 지조에 비유하여 조선시대 선비들이 기본 소양으로 즐겨 쳤으며 중용지덕을 뜻하여 어느 한쪽에 치우침이 없이 항상 중용을 취하는 태도를 보이며 꽃말은 미인으로 향기와 고결한 품성을 지니고 있기에 교화로 선정하였다고 한다.
3.3. 교목
동백: 동백에는 신중·사랑겸손, 무궁한 발전, 끝없는 발전에의 기약을 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3.4. 교훈
덕성과 지성을 닦아 슬기롭게 생활하자3.5. 교가
여명의 종소리는 구강의 흐름 신학산 옛기슭에 진리의 전당 우리는 부지런히 배워익히며 참되게 바르게 착하게 살리 아아아 지혜의 요람 울산중앙여고 겨레의 뜻을 이어 길이 빛내리 |
- 2020년 성인지 감수성을 개선시키는 차원에서 '부덕의 요람'이라는 가사가 '지혜의 요람'으로 변경되었다. 부덕이란 '부녀자의 아름다운 덕행'을 의미한다. 관련기사
4. 학교 특징
주택가에 위치해있어 학성동, 반구동 등 도보 등교권 학생들이 선호하는 편이다. 바로 앞에 있는 학성교를 건너 남구[1]에서 등교하거나 간혹 동천 건너의 명촌동에서 등교하는 학생도 있다.지리적으로 울산의 두 번화가인 성남동, 삼산이 다 적당히 가깝다. 학교가 일찍 마치는 날-
5. 학교 시설
-
본관: 교무실, 도서관 등
- 도서관 장서수 20,568권. 일인당 장서수 30.1권 (2018년 기준) - 별관: 급식실, 열람실
- 신관[2]
-
체육관: 난원관. '나는 누구인가?'라는 문구가 붙어있다. 2010년 새로 부임한 교장이 철학을 논하면서 붙인 것.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는 후문으로 들어오면 정면에 보이도록 세심히 배치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첫날에만 -
'저거 컴퓨터 그래픽인가?'[3] 하고- 쳐다봤지, 그 이후엔 아무도 신경쓰지 않았다고 한다.
6. 학교 생활
6.1. 교복
6.1.1. 동복
동복은 흰색 와이셔츠, 체크무늬의 초록 치마, 진한 남색 니트 조끼, 와인색 마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쉽게도 넥타이는 없다. 스타킹은 살이 비치지 않는 거면 된다.
2023년 붉은색 마이가 사라지고 검정 후드티로 개선되었다.
교복 색상으로 인한 별명은 반구동 불개미. 언제적 별명인지는 모르겠지만 현재는 교복보다 체육복에 대한 별명 비중이 더 크다.
2000년대 후반, 치마를 지나치게 줄이는 등 교복을 제대로 갖춰입지 않은 학생이 많다며 주민 민원이 빗발쳤다고 한다.[4] 그러자 학교가 복장 단속을 강화하였다. 체육시간 외 체육복 착용 절대 금지[5]였고, 블라우스가 치마 밖으로 삐져나온 채 돌아다니다가 선도부 교사 눈에 띄면 앉았다 일어났다를 수십 번씩 해야 하는 벌칙이 있었다. 치마 길이를 50cm로 못 박았을 때는 등교시간에 선도부원들이 50cm 자를 들고 있었다.
6.1.2. 하복
여름에는 교복 하복과 생활복이 있다.하복 상의는 흰색과 하늘색의 촘촘한 세로 줄무늬가 있으며, 치마는 남색 플레어스커트이다. 동복 치마와는 달리 굉장히 넓고 통이 크다. 생활복은 위아래 모두 남색이다.
학생들은 여름에 주로 생활복을 입고 다닌다.
6.1.3. 체육복
동복 체육복은 눈에 잘 띄는 주황색에 끝은 시보리 처리가 되어있다. 2007년 이전에는 전 학년이 주황색 바탕에 회색으로 포인트를 준 체육복을 착용하였다. 그러나 3월이 되면 어째서인지 신입생들의 체육복이 사라지는 일이 잦아 2008년부터는 학년별로 포인트색을 달리 하고 있다.체육복에 대한 별명은 굉장히 많은데 제주도에 수학여행을 갈때 체육복을 입으면 제주도에서는 한라봉이라는 별명을 듣는다.
그외 오렌지, 귤 등의 비타민C가 풍부한 별명들이 있고 만화 드래곤볼의 의상과 흡사하게 생겼다.
앞서 말했듯 시보리 처리가 되어있는 바지의 밑부분을 잘라서 입는 학생들이 많아졌다. 활동하기에 더 편하고 외관상으로도 낫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은 수선집에 수선을 맡겨서 밑부분을 잘라 입는다.
6.1.4. 명찰
학년별로 흰색, 노란색, 초록색 바탕의 명찰을 교복에 새긴다.2020년 신입생 | 2021년 신입생 | 2022년 신입생 |
노란색 | 흰색 | 초록색 |
6.2. 주요 행사
- 난원제: 11월 말에 개최하는 학교 축제.
7. 운동부
8. 출신 인물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학남[7] | 246번, 257번, 407번, 432번, 701번, 713번, 715번, 724번, 744번, 817번, 827번 |
학성초등학교[8] | 103번, 104번, 106번, 107번, 114번, 123번, 127번, 132번, 147번, 472번, 5002번 |
중앙여고[9] | 910번 |
상술했듯, 여러 인원이 성남동이나 삼산으로 갈 때는 버스보다 택시가 낫다. 학남 정류장[10] 근처에서 타면 된다.
10. 기타
- 난곡여고로 개교할 당시에는 현재의 중앙고등학교 자리에 있었다. 난곡여고를 반구동으로 옮긴 후 중앙고를 개교하였다. 중앙고의 주소[1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난곡'은 그 일대의 지명이다.
- '중앙여고'라는 이름이 너무 흔해서인지 곳곳에 난곡여고의 흔적을 남겨두고 있다. 난원제, 난원관, 홈페이지 주소( http://nanwon.hs.kr/) 등.
- 수능 날 특유의 응원 문화(...)가 있었다. 후배들이 북을 치며 노래한다는 점은 다른 학교와 비슷할 수 있으나, 의상에 차별점을 두었다. 형광 주황색인 체육복 상하의에 자주색 마이를 맞춰 입었던 것.
- 운동장에 트랙과 잔디밭이 있었다. 중앙부는 다용도 공간으로 포장되어 있었고 트랙 바깥쪽에 잔디가 있었다. 2016년 우레탄 트랙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납 성분이 검출되자 # 철거된 것으로 보인다. 2011년의 모습
- 본관 건물에는 엘리베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신관에만 설치되어 있어 다리를 다쳐 거동이 불편하거나 휠체어를 타는 사람들이 본관 4층으로 가려고 하면, 신관 1층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신관 3층에 내려서 본관과 연결되는 통로를 따라 본관 3층으로 향한 뒤 다시 계단으로 본관 4층에 가야한다.
- 2022년 말부터 2023년 초까지 대대적인 공사를 거쳐[12] 고교학점제 시행 학교의 발판을 구축했다. 학급 안에 위치했던 사물함이 빈 교실을 없애고 만든 복도 중간의 공간으로 이동하고, 교실이 쭉 이어져있던 층들에 중앙계단이 앞에 위치하는 교실을 허물고 홈베이스를 설치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학생수 감소로 인해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던 교실들을 쓸모있는 공간으로 재탄생시킨 것에 학생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13]
[1]
주로 삼산
[2]
본관과 이어지는 통로가 2, 3층에만 위치해 있어 본관 4층이나 신관 4층에서 다른 건물로 가려고 할 때에는 3층으로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가는 수고를 해야한다.
[3]
설치 당시엔 이질적으로 느껴진다는 의견이 많았다.
[4]
학교가 주택가에 위치하고 있어 민원이 많다고 한다.
[5]
적발시 수업도 못 듣고 교무실 앞에서 벌을 서야 했는데 고3에게도 일률적으로 적용해 불만의 목소리가 많이 일었다.
[6]
2019년 이후로 없어졌다.
[7]
정문에서 도보 약 5분(약 300m)
[8]
후문에서 도보 약 10분(약 650m)
[9]
교문 바로 앞에 있는 지선버스 정류장이다.
[10]
길 건너에 있는 31709번 정류장
[11]
울산광역시
중구
난곡로 33 (
태화동)
[12]
이로 인해 개학날짜가 다른 학교에 비해 2주 정도 늦춰졌다.
[13]
특히 홈베이스 설치가 가장 큰 호평을 받았다. 3학년 층에 올라가면 쉬는 시간마다 홈베이스에 설치된 소파에 담요를 덮고 모로 길게 누워있는 학생들을 쉽게 볼 수 있었을 정도로 사용률도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