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d1c24>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00904c> 다운동 | 다운동 | 태화동 | |||||
태화동 | 유곡동 | ||||||
우정동 | 우정동 | ||||||
성안동 | 성안동 | 교동 | |||||
중앙동 | 성남동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북정동 | 옥교동 | 학산동 | }}} | |||
복산동 |
구청
복산동
|
||||||
학성동 | 학성동 | ||||||
반구1, 2동 | 반구동 | ||||||
약사동 | 약사동 | ||||||
병영1동 | 남외동 | ||||||
병영2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동 | 동동 | 장현동 | }}} | }}}}}}}}} |
중구의
법정동 다운동 茶雲洞 | Daun-dong |
|
<colbgcolor=#ed1c24><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울산광역시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행정표준코드 | 3111011200 |
관할 행정동 | 다운동 |
면적 | 7.44㎢ |
1. 개요
울산광역시 중구의 최서단에 위치한 행정동. 관할 법정동은 다운동·태화동(일부)이다.원래 울주군 범서면 다운리 지역으로, 정조때에는 다전이라 했다. 고종 31년(1894년)에 다전과 운곡 두 마을로 나뉘어 졌다가 1914년 다전과 운곡, 인근 서사리에 속했던 신안동 일부를 합해 다운리가 됐다. 다운(茶雲)은 다전(茶田)의 "다(茶)"와 운곡(雲谷)의 "운(雲)"을 따서 만든 이름인데 다운동의 옛 이름이 다전인 까닭은 옛부터 이곳에 차나무가 많았기 때문이다. 다전은 태화강 중류 굴화천과 국수봉에서 흘러내리는 척과천이 동의 중심을 관통해 흘러가고 나머지 방향으로는 산이 가로막혀 있는 분지지형인 곳으로 예로부터 토질이 두텁고 사시사철 양지 발라 삼동 추위에도 땅이 얼지 않았고 기후가 고온다습해 차나무가 식생하기 좋았다고 한다. 세종실록지리지와 동국여지승람에는 이곳의 차를 왕에게 토공품으로 바쳤다는 기록이 있으며, 또한, 달성 서씨 감찰공파 집성촌이기도 하다.[1][2]
삼국시대 초기 태화강 중류 쪽 집단의 고분으로 추정되는 다운동 고분군이 위치한 곳이다.
1962년 울산시 승격 때 울산시로 편입되었다. 이후 온산읍 등지에 현재의 석유화학단지가 개발됨에 따라 그곳의 주민들이 대거 이주해 왔고 이때부터 다운동에 주거지가 대거 형성되었다. 평지에는 큰 길을 따라 양쪽으로 저층 단독주택 취락이 형성해 있고 아파트는 동아아파트, 다운아파트, 현대아파트, 삼성아파트 4개 단지가 있다. 이후 한동안 주거지 개발이 거의 전무하다시피 하다가 2020년 말 한 지역주택조합에 의해 아파트 단지 하나가 착공한 것을 시작으로 14번 국도를 따라 안쪽 지역[3]에 택지지구 및 임대주택지구(다운 2지구)가 대거 개발될 예정이다.[4]
중구의 최서단에 위치한 동네가 분지 내 동네라 출구 역할을 하는 도로가 태화동, 유곡동, 척과, 구영리 방향 단 네 군데로만 뚫려 있어 출퇴근 시간에는 교통정체가 상습적으로 발생한다. 특히 다운사거리 방향은 출퇴근 시간 정체가 심각한 수준이다.
2. 지리
약한 분지 지형으로서 동네의 상당 부분이 분지 내부에 위치해 있는데 동네를 척과천과 지류가 관통하여 터널과 다리가 많다. 분지가 아닌 일부 지역은 태화강을 끼고 남구 무거동을 마주보는 지역도 있다. 강의 중상류 지역으로서 겨울철에는 유량이 많이 줄어들어 돌다리로 남구 무거동과 울주군 굴화, 동네 내부에서는 다운아파트~다운고를 건너가기도 한다. 그러나 여름을 중심으로 집중호우가 내리는 시기에는 유량이 미친 듯이 불어나 다리를 건너다 사람이 죽는다는 소식이 종종 들릴 정도이니 주의하자.남구 무거동과 연결되는 삼호교가 있는데 다리의 명칭은 강 건너 삼호섬[5]에서 유래되었다. 구 삼호교는 1924년에 건설되었고 등록문화재 104호이나 현재는 노후화되어 인도교로 쓰인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1960년대에 왕복 2차로 삼호교가 건립되었고 시설 노후 및 교통량 증가로 인해 왕복 6차로 신삼호교도 개통되어 현재에 이른다.
테크노파크 입구 삼거리를 시작으로 다운동 외곽을 순환하여 구영리와 연결되는 다전로가 있으며 다운터널과 다전터널을 거친다. 이 도로의 개통으로 범서 구영리쪽 교통수요가 분산되어 다운사거리 및 삼호교의 혼잡도가 그나마 약간 개선되었다. 다만 다전로를 지나는 버스는 5005번 버스와 837번 버스 단 두 노선 뿐이다.
동해고속도로 2차 구간(울산~포항)이 2015년말 개통했고 다운동 내에서 3개의 터널을 거쳐 지나가며 IC는 없다.
먼 미래에는 울산 도시철도 4호선 다운역[6]이 생길 예정이라 대중교통 사정이 개선될 전망이다.
3. 관할 행정동
3.1. 다운동
중구의
행정동 다운동 茶雲洞 | Daun-dong |
|||
<colbgcolor=#ed1c24><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울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3690031 | ||
관할 법정동 | 태화동, 다운동 | ||
하위 행정구역 | 31통 157반 | ||
면적 | 8.96㎢ | ||
인구 | 22,307명[7] | ||
인구밀도 | 2,489.62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중구 | |
|
박성민 (재선) | ||
울산광역시의원 | 제3선거구 | |||
|
이성룡 (3선) | ||
중구의원 | 다 선거구 | |||
|
문기호 (초선) | ||
|
박경흠 (재선) | ||
|
정재환 (초선) | }}}}}}}}} | |
행정복지센터 | 운곡길 6 (다운동 519-8) | ||
다운동 행정복지센터 |
4. 교육시설
2000년대 중후반까지만 해도 다운동에는 학교가 다운초등학교 1개밖에 없었다. 다운초등학교의 전교생 수는 한때 2,000명에 육박할 만큼 과밀 상태였으나 이후 다전초등학교가 2008년에 개교하면서 다운초등학교의 과밀 학급 문제가 해결되었다. 또, 다운중학교, 다운고등학교도 같은 해 개교하면서 동 내에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생기게 되었다.4.1. 초등학교
- 다운초등학교
- 다전초등학교
4.2. 중학교
4.3. 고등학교
5. 기관
- 다운동 주민센터 - 다운사거리에 위치
- 울산테크노파크
- 화학융합시험연구원
6. 주거 시설
7. 관련 문서
[1]
자세한 내용은
기사 참고.
[2]
사실 참고 자료로 인용된 기사와 달리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차의 생산지가 명확하게 적혀있지 않다.
세종실록지리지 울산군 부분 오히려 여지도서에서는 우불산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여지도서 울산부읍지 부분 우불산은
웅상에 있는 산이니 당시에는 웅상이 울산 최고의 차 재배지로 알려진 셈이다. 물론 그때는 웅상도 울산 땅이었고 다운동과 그리 멀지 않은 곳이니 다운동도 차를 생산했을 가능성은 있다.
[3]
범서읍 척과리
[4]
사실 과거 기사를 찾아보면 2000년대에도 이 일대에 택지지구 및 임대주택지구를 건설하겠다는 계획이 있기는 했는데 여러 사정으로 미뤄지다가 최근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인해 이 일대에 주택 공급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5]
신라시대 왕이 여기서 동자승을 세번 불렀다고 삼호라는 지명이 생겼다 한다.
[6]
예상 위치는 다운사거리 일대
[7]
2022년 11월 주민등록인구
[지역주택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