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집 내각 ( 갑오개혁 ・ 을미개혁)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차수 | 제1차 | 제2차 | 제3차 | 제4차† |
내부대신 | 군국기무처를 통한 개혁 | 박영효 | 박정양 | 유길준 | |
농상공부대신 | 엄세영 | 김가진 | 정병하 | ||
신기선 | 이범진 | ||||
군부대신 | 조희연 | 안경수 | 조희연 | ||
법부대신 | 서광범 | 서광범 | 장석주 | ||
탁지부대신 | 어윤중 | 심상훈 | 어윤중 | ||
외부대신 | 김윤식 | 김윤식 | 김윤식 | ||
학부대신 | 박정양 | 이완용 | 서광범 | ||
※ 2차 내각은 출범당시 3차 내각은 특정기간을 기준으로 함. |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초대 김가진 |
제2대 이범진 |
제3대 정병하 |
제4대 조병직 |
제5대 이윤용 |
|
제6대 정낙용 |
제7대 이도재 |
제8대 민병석 |
제9대 김명규 |
제10대 박제순 |
|
제11대 김명규 |
제12대 권재형 |
제13대 박정양 |
제14대 권재형 |
제15대 민병석 |
|
제16대 민영기 |
제17대 이종건 |
제18대 민병석 |
제19대 권재형 |
제20대 김규홍 |
|
제21대 민종묵 |
제22대 민영소 |
제23대 김가진 |
제24대 이도재 |
제25대 이지용 |
|
제26대 박제순 |
제27대 이근택 |
제28대 박제순 |
제29대 조동희 |
제30대 권중현 |
|
제31대 성기운 |
제32대 송병준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
제33대 조중응 |
|||||
}}}}}}}}}}}} |
정병하 鄭秉夏 |
|
<colbgcolor=#292929><colcolor=#FFF> 이름 | <colbgcolor=#FFF,#1f2023> 정병하 (鄭秉夏) |
본관 | 온양 정씨 (溫陽) |
자 | 자화(子華) |
호 | 남고 (南皐) |
출생 | 1849년 |
사망 | 1896년 2월 11일 (향년 47세)[1] |
한성부 경무청 (현 서울특별시) | |
직업 | 정치가, 관료 |
종교 | 유교 (성리학) |
국적 | 조선 |
주요 경력 |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사관 농상공부대신 |
[clearfix]
1. 개요
정병하(鄭秉夏, 1849년 ~ 1896년)는 조선 말기의 개화파 대신이다. 중인(中人) 출신으로, 본관은 온양(溫陽)이다. 자는 자화(子華)이며, 호는 남고(南皐)이다.2. 생애
김옥균의 영향을 받아 개화파 정치인이 되었으며, 1883년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사관으로 임명되었다[2]. 김홍집 내각에 들어가 1894년 갑오개혁, 1895년 을미개혁에 참여했다.갑오개혁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친일 성향으로 많이 기울었으며, 을미사변 당시 일본 낭인들이 침입한 것을 알면서도 아무 일이 없다고 거짓 보고를 했다는 의심을 받는다. 을미사변 이후 명성황후의 폐비를 주장하였으며 단발령 때에는 고종이 직접 모범을 보여야 한다며 직접 고종의 머리카락을 잘랐다.
1896년 아관파천 당일 고종은 정병하를 역적으로 분류했고, 개화파 인사를 체포하는데 이 때 사망하였다. 경무청 앞에서 김홍집과 함께 순검에게 참살되었다는 설과 길에서 보부상(褓負商)[3]에게 김홍집과 함께 돌에 맞아 죽었다는 설이 있다.
그의 동료였던 유길준, 조희연, 장박, 우범선[4]는 일본으로 망명했다.
3. 같이 보기
고종의 경복궁 탈출 계획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000> 배경 | <colbgcolor=#FFF,#1f2023> 갑오사변 · 을미사변 · 삼국간섭 · 을미개혁 | |
전개 | 1차 시도 ( 춘생문 사건) · 2차 시도 ( 아관파천) | ||
관련 인물 | 정동파 | 이범진 · 이완용 · 이재순 · 이윤용 · 안경수 · 윤웅렬 · 윤치호 · 이하영 · 민상호 · 김홍륙 · 임최수 · 이도철 · 남만리 · 이규홍 | |
친일 내각 | 김홍집 · 유길준 · 어윤중 · 김윤식 · 조희연 · 장석주 · 정병하 · 서광범 · 김종한 | ||
기타 인물 |
카를 베베르 ·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 |
||
관련 장소 | 아라사공사관 (주한러시아공사관) · 미국공사관 (주한미국공사관) · 경복궁 | ||
기타 | 한러관계 · 조선 · 대한제국 · 러시아 제국 · 미국 · 일본 제국 · 독립협회 | }}}}}}}}} |
[1]
아관파천 문서 참고.
[2]
이로 보아 1884년
퍼시벌 로웰과 함께
화계사로 놀러갔던 '정 사관'도 이 사람일 가능성이 있다.
당시 화계사에서 로웰이 찍은 사진이 남아있으며, 여기서는 사관 이시렴(사진 우측 둘째)과 최경석(우측 첫째)은 식별되나 정병하도 여기에 포함되어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당시 로웰과 동행했던 인원은 최경석, 이시렴, 정 사관, 윤치호와 그의 비서격 역할을 한 사서기(司書記), 기생 4명, 그 외 놀이패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사진 속 인물이 총 4명이고 모두 사대부의 복식을 하고 있는 점을 보면, 인물의 중요도로 유추했을 경우 사진 나머지 인물들은 왼쪽부터 윤치호와 정병하로 추정된다. 중앙은 로웰이 마음에 들어한 기생이다.
[3]
고종이 아관파천을 계획하면서 지방에 있던 근왕파 성향이 강한 보부상을 서울로 불러들였다.
[4]
도주하였지만 고종이
고영근을 보내 죽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