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22:28:24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인컨챔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에 대한 내용은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00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RAW White Logo.png 파일:Smackdown_LOGO--c8e0b09904cb1356d309a8ea2acb0422.png
파일:wwe_world_heavyweight_championship_belt__2023__png_by_darkvoidpictures_dg1bfj2-pre.png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파일:wwe_womens_world_championship_belt_by_darkvoidpictures_dg1bfwd-fullview.png
위민스 월드 챔피언십
파일:wwe_undisputed_championship_2024_render_by_vlysyuk_dh8ynen-fullview.png
통합 WWE 챔피언십
( WWE 챔피언십 &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
파일:wwe_womens_championship_belt__2023__png_by_darkvoidpictures_dg685pz-pre.png
WWE 위민스 챔피언십
파일:custom_2019_wwe_intercontinental_championship_v3_by_constantinehb_ddzcb1q-fullview.png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파일:wwe_united_states_chapionship_belt__2020__png_by_darkvoidpictures_deac2hg-pre.png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파일:wwe_women_s_united_states_championship_by_vlysyuk_diiybty-fullview.png
WWE 위민스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파일:wwe_world_tag_team_championship_2024_render_by_vlysyuk_dh8yngq-fullview.png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파일:wwe_tag_team_championship_by_vlysyuk_dhab7zk-fullview.png
WWE 태그팀 챔피언십
파일:NXTonCW--0f06792893241464479338f55596a5bf.png
파일:wwe_nxt_championship_belt__2024__png_by_darkvoidpictures_diaokcj-414w-2x.png
NXT 챔피언십
파일:wwe_nxt_womens_championship_belt__2024__png_by_darkvoidpictures_diaokay-414w-2x.png
NXT 위민스 챔피언십
파일:nxt_north_american_championship_png_by_darkvoidpictures_dc8cz6r-pre.png
NXT 노스 아메리칸 챔피언십
파일:nxt_women_s_north_american_championship_belt_png_by_darkvoidpictures_dhmzx2i-pre.png
NXT 위민스 노스 아메리칸 챔피언십
파일:nxt_tag_team_championship_2017_png_by_ambriegnsasylum16_db4l6by-fullview.png
NXT 태그팀 챔피언십
파일:wwe_nxt_uk_heritage_cup_png_by_darkvoidpictures_deac2g2-375w-2x.png
NXT 헤리티지 컵 챔피언십
브랜드 통합 챔피언십
파일:wwe_womens_tag_team_championship_belt_png_by_darkvoidpictures_dd019kw-pre.png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파일:WWE_Speed_logo.png
파일:wwe_speed_championship_belt_by_vlysyuk_dhc6pgi-fullview.png
WWE 스피드 챔피언십
파일:wwe_women_s_speed_championship_by_vlysyuk_dibxtp2-fullview.png
WWE 스피드 위민스 챔피언십
같이보기: 폐지된 타이틀 · 비공식 타이틀 }}}}}}}}}
파일:custom_2019_wwe_intercontinental_championship_v3_by_constantinehb_ddzcb1q-fullview.png
<colbgcolor=#EB1926><colcolor=white> 현재 타이틀 명칭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현재 챔피언 브론 브레이커
챔피언 등극일 2024년 10월 21일
WWE RAW
이전 챔피언 제이 우소
단체 WWE
소속 브랜드 WWE RAW
이전 타이틀 명칭 WWF 인터컨티넨탈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WF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벨트 창설일 1979년 9월 15일
{{{#!folding 【 기록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EB1926><colcolor=white> 초대 챔피언 팻 패터슨
최다 획득 챔피언 크리스 제리코 9회
최장기간 챔피언 군터 666일
최단기간 챔피언 크리스 제리코 7분 39초
최고령 챔피언 릭 플레어 56세
최연소 챔피언 제프 하디 23세
최중량급 챔피언 빅 쇼 200kg
최경량급 챔피언 레이 미스테리오 79kg }}}
1. 개요2. 역사3. 벨트 디자인 변천사
3.1. 커스텀 벨트
4. 역대 챔피언 목록5. 역대 토너먼트 경기

[clearfix]

1. 개요

WWE의 2선급 챔피언십.

2. 역사

1979년 6월 19일에 WWF 노스아메리카 챔피언십을 따낸 팻 패터슨은, 같은 해 9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가상의 토너먼트[1]에서 우승해서 존재하지도 않은 WWF 사우스아메리카 챔피언십도 따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북미와 남미, 두 대륙의 챔피언십을 통합하여 "인터컨티넨탈(대륙간) 챔피언십"으로 바꿔부른 것이 시작이다. 각본용 벨트로 시작했지만 어찌저찌하여 정규 타이틀로 정착되었다.

2002년 7월 21일 쯤에 랍 밴 댐이 유로피언 타이틀을 통합했고 2002년 8월 26일, 역시 랍 밴 댐이 하드코어 타이틀을 통합했다.

2002년 10월 20일,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트리플 H가 노머시 2002에서 인터콘티넨탈 챔피언 케인을 꺾고 2관왕이 되면서 일시적으로 챔피언십이 소멸했으나 2003년 5월경 RAW 공동 단장인 오스틴에 의해 RAW 소속으로 다시 부활했다. 부활 후 첫 챔피언십은 저지먼트 데이 2003에서 배틀로얄 방식으로 열렸고 초대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이었던 팻 패터슨이 최종 우승자에게 벨트를 수여했다.[2]

한동안 디자인이 검은 가죽으로 바탕을 이룬 형태였는데, 코디 로즈가 자신은 브렛 하트, 스톤콜드 스티브 오스틴 등의 전설적인 레슬러들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면서 이전에 사용하던 챔피언십을 현대적으로 리파인한 디자인으로 바꿨다.

한편 US 챔피언십과 함께 점점 위상이 내려간 벨트이기도 한데, 예전에는 WWE 챔피언 바로 밑의 단체의 2인자 격인 위용이 있는 벨트였으나 한때는 인컨챔은 타이틀을 가진 챔피언이 제대로 이기는 경기가 없는 상황도 펼쳐졌다. 급기야는 루크 하퍼같이 챔피언이 된 뒤 한번도 못이기다 타이틀을 빼앗기는 어이없는 경우가 생기기도 했다.

또한 한때는 워커의 벨트라는 인식이 있었는데, 이는 역대 인컨챔중 경기력이 훌륭한 워커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마초맨 랜디 새비지 리키 스팀보트만 해도 당시 경기력이 출중한 두 명의 혈투가 메인 이벤트인 호건 대 안드레보다 더 호평을 받을 정도였으며, 이후에도 미스터 퍼펙트, 브렛 하트, 숀 마이클스, 스티브 오스틴, 크리스 제리코, 크리스 벤와, 골더스트, 크리스찬, 돌프 지글러 등 경기력이 돋보이는 선수들이 많이 거쳐간 벨트이기도 하다. 이는 WWF/WWE 챔피언이 경기력보다 단체의 흥행을 주도할 수 있는 선수들이 주로 가져가 왔다는 측면과 대비되는 부분으로,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은 '경기력'으로 그 권위를 지켜왔던 시절이 분명 있었으며, WWE의 2선급 타이틀 푸쉬 정책에 따라 같은 2선급 타이틀인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과 함께 타이틀의 위상이 오른 적도 있다.

브렛 하트 오웬 하트 형제, 더스틴 로즈 코디 로즈 형제는 이 챔피언쉽을 형제가 모두 차지한 경력이 있다.

커트 헤닉 커티스 액슬 부자, 리키시 제이 우소 부자는 이 챔피언싑을 부자가 모두 차지한 경력이 있다.

16년 7월 기준 위상은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과 비슷하지만 약간 더 높은 하이 미드 카더급의 위상이다.

2016년 7월 드래프트 당시 챔피언 미즈가 스맥다운의 지명을 받아 스맥다운의 서브 타이틀이 되었다.

2017년이 되고 RAW의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과 함께 새로운 디자인의 벨트가 준비 중이라는 뉴스가 떴다. ##

2017년 4월 10일 RAW에서 진행된 2017 WWE 슈퍼스타 셰이크업을 통해 챔피언 딘 엠브로스가 RAW로 이적하면서 자연스럽게 타이틀도 RAW로 넘어오게 된다.

레슬매니아 33 이후로 파트 타이머인 브록 레스너 WWE 유니버설 챔피언으로 군림한 시절에는 RAW의 넘버원 타이틀은 넘버원 타이틀 답지 않게 일년에 3, 4번 정도 밖에 방어전이 열리지 않았다. WWE 세그먼트 도중에도 농담삼아 이제 RAW의 넘버원 타이틀은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이다라는 말이 나왔고 팬들 사이에서도 이제 진짜 인컨챔이 넘버원 타이틀 아니냐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2019년 4월 16일 2019 WWE 슈퍼스타 셰이크업을 통해 현 챔피언인 핀 밸러 스맥다운으로 이적하며 스맥다운의 챔피언십이 되었으며, 11월 22일 새미 제인에 의해 새로운 디자인의 타이틀이 공개되었다.

2023년 4월 28일 WWE 드래프트를 통해 챔피언인 군터 RAW로 이적하면서 다시 RAW의 챔피언십이 되었다.

2023년 9월 4일 채드 게이블의 가족들이 왔었던 RAW의 메인 이벤트에서 군터 채드 게이블의 최장기록을 위한 마지막 타이틀전에서 명경기 끝에 승리 하였고, 3일 뒤인 9월 7일 오후 3시 기준[한국시간]으로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보유 최고기록인 홍키 통크 맨'454일'을 뛰어넘어 해당 타이틀의 최장기록 보유자가 되었다.[4]

3. 벨트 디자인 변천사

파일:external/www.cultofwhatever.com/wwe-ic-belt-2.jpg 파일:Original_WWF_IC_Belt.webp 파일:Muraco_IC.webp 파일:Ic_green.webp
1979 1980~1983 1983~1984 1984~1985[5]
파일:IntercontinentalTitle.webp 파일:WWF_Intercontinental_Championship_1997-1999.webp 파일:WWF_Intercontinental_Championship_1999.webp 파일:Intercontinental_Championship_oval.webp
1985~1998[6] 1998~ 1999[7] 1999~2002[8] 2002~2011[9]
파일:WWE_IC_white_strap.webp 파일:WWE_Intercontinental_Championship_2014.webp 파일:_Intercontinental_Title_Belts_1920x1080_updated--7d94c38bf0d90f5cb2f3bad36490dd70.png 파일:custom_2019_wwe_intercontinental_championship_v3_by_constantinehb_ddzcb1q-fullview.png
2011~2014[10] 2014~2019[11] 2019~2024[12] 2024~[13]

3.1. 커스텀 벨트

파일:SaxHY27.webp 파일:WWF_RepIC_YelBeltMain.2_Edited.jpg 파일:Classicicbluemid.webp 파일:602_400x274_wwe-ic-belt-11.webp
프로토타입 1989~1990[14] 1993[15] 1996[16]

4. 역대 챔피언 목록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현재 챔피언이나 최다 횟수 및 최장 보유 기간 등 중요한 부분에만 '''강조''' 표시.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브랜드 색상은 처음 획득한 시점에서 소속된 브랜드 기준.
<rowcolor=white> # 이름 챔피언 횟수 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
이벤트 비고
1 팻 패터슨 1회 1979년 9월 1일 (233일) N/A
2 켄 파테라 1회 1980년 4월 21일 (231일) 하우스 쇼
3 페드로 모랄레스 1회 1980년 12월 8일 (194일) 하우스 쇼
4 돈 무라코 1회 1981년 6월 20일 (156일) 하우스 쇼
5 페드로 모랄레스 2회 1981년 12월 23일 (425일) 하우스 쇼
6 돈 무라코 2회 1983년 1월 22일 (385일) 하우스 쇼
7 티토 산타나 1회 1984년 2월 11일 (226일) 하우스 쇼
8 그렉 발렌타인 1회 1984년 9월 24일 (285일) 메이플리프 레슬링
9 티토 산타나 2회 1985년 7월 6일 (217일) 하우스 쇼
10 랜디 새비지 1회 1986년 2월 8일 (414일) 하우스 쇼
11 리키 스팀보트 1회 1987년 3월 29일 (65일) WWF 레슬매니아 3
12 홍키 통크 맨 1회 1987년 6월 2일 (454일) 슈퍼스타즈 오브 레슬링
13 얼티밋 워리어 1회 1988년 8월 29일 (216일) WWF 섬머슬램(1988)
14 릭 루드 1회 1989년 4월 2일(148일) WWF 레슬매니아 5
15 얼티밋 워리어 2회 1989년 8월 28일 (216일) WWF 섬머슬램(1989)
- 공석 - 1990년 4월 1일 WWF 레슬매니아 6 [17]
16 미스터 퍼펙트 1회 1990년 4월 23일 (126일) 슈퍼스타즈 오브 레슬링 [18]
17 텍사스 토네이도 1회 1990년 8월 27일 (84일) WWF 섬머슬램(1990)
18 미스터 퍼펙트 2회 1990년 11월 19일 (280일) 슈퍼스타즈 오브 레슬링
19 브렛 하트 1회 1991년 8월 26일 (144일) WWF 섬머슬램(1991)
20 마운티 1회 1992년 1월 17일 (2일) 하우스 쇼
21 로디 파이퍼 1회 1992년 1월 19일 (77일) WWF 로얄럼블(1992) [19]
22 브렛 하트 2회 1992년 4월 5일 (146일) WWF 레슬매니아 8
23 브리티시 불독 1회 1992년 8월 29일 (59일) WWF 섬머슬램(1992)
24 숀 마이클스 1회 1992년 10월 27일 (202일) 새터데이 나잇 메인이벤트
25 마티 자네티 1회 1993년 5월 17일 (20일) WWF RAW
26 숀 마이클스 2회 1993년 6월 6일 (113일) 하우스 쇼
- 공석 - 1993년 9월 27일 N/A [20]
27 레이저 라몬 1회 1993년 9월 27일 (198일) WWF RAW [21]
28 디젤 1회 1994년 4월 13일 (138일) 슈퍼스타즈 오브 레슬링
29 레이저 라몬 2회 1994년 8월 29일 (146일) WWF 섬머슬램(1994)
30 제프 제럿 1회 1995년 1월 22일 (94일) WWF 로얄럼블(1995)
- 공석 - 1995년 4월 26일 하우스 쇼 [22]
31 제프 제럿 2회 1995년 4월 26일 (23일) 하우스 쇼 [23]
32 레이저 라몬 3회 1995년 5월 19일 (2일) 하우스 쇼
33 제프 제럿 3회 1995년 5월 21일 (23일) 하우스 쇼
34 숀 마이클스 3회 1995년 7월 23일 (91일) WWF 인 유어 하우스 2: 더 럼버잭스
35 딘 더글라스 1회 1995년 10월 22일 (10분) WWF 인 유어 하우스 4: 더 그레이트 화이트 노스 [24]
36 레이저 라몬 4회 1995년 10월 22일 (91일) WWF 인 유어 하우스 4: 더 그레이트 화이트 노스
37 골더스트 1회 1996년 1월 21일 (71일) WWF 로얄럼블(1996)
- 공석 - 1996년 4월 1일 WWF RAW [25]
38 골더스트 2회 1996년 4월 1일 (83일) WWF RAW
39 아메드 존슨 1회 1996년 6월 23일 (50일) WWF 킹 오브 더 링(1996)
- 공석 - 1996년 8월 12일 WWF RAW [26]
40 마크 메로 1회 1996년 9월 23일 (28일) WWF RAW [27]
41 헌터 허스트 헴즐리 1회 1996년 10월 21일 (115일) WWF RAW
42 락키 마이비아 1회 1997년 2월 13일 (74일) RAW 목요일 특집
43 오웬 하트 1회 1997년 4월 28일 (97일) WWF RAW IS WAR
44 스티브 오스틴 1회 1997년 8월 3일 (36일) WWF 섬머슬램(1997) [28]
- 공석 - N/A N/A [29]
45 오웬 하트 2회 1997년 10월 5일 (35일) WWF 인 유어 하우스 18: 배드 블러드 [30]
46 스티브 오스틴 2회 1997년 11월 9일 (29일) WWF 서바이버 시리즈(1997)
47 락키 마이비아 2회 1997년 12월 8일 (265일) WWF RAW IS WAR [31]
48 헌터 허스트 헴즐리 2회 1998년 8월 30일 (40일) WWF 섬머슬램(1998)
- 공석 - N/A N/A [32]
49 켄 샴락 1회 1998년 10월 12일 (125일) WWF RAW IS WAR [33]
50 발 비너스 1회 1999년 2월 14일 (29일) WWF 인 유어 하우스 27: 세인트 발렌타인 데이 매서커 [34]
51 제시 제임스 1회 1999년 3월 15일 (14일) WWF RAW IS WAR
52 골더스트 3회 1999년 3월 29일 (14일) WWF RAW IS WAR
53 갓파더 1회 1999년 4월 12일 (43일) WWF RAW IS WAR
54 제프 제럿 4회 1999년 5월 31일 (60일) WWF RAW IS WAR [35]
55 에지 1회 1999년 7월 24일 (1일) 하우스 쇼
56 제프 제럿 5회 1999년 7월 25일 (2일) WWF 풀리 로우디드(1999)
57 딜로 브라운 1회 1999년 7월 27일 (26일) WWF RAW IS WAR [36]
58 제프 제럿 6회 1999년 8월 22일 (56일) WWF 섬머슬램(1999) [37]
59 차이나 1회 1999년 10월 17일 (56일) WWF 노 머시(1999) [38]
60 크리스 제리코 1회 1999년 12월 12일 (22일) WWF 아마겟돈(1999)
- 크리스 제리코
차이나
2†회 2000년 1월 3일 (20일) WWF RAW IS WAR [39]
61 크리스 제리코 2회 2000년 1월 23일 (35일) WWF 로얄럼블(2000) [40]
62 커트 앵글 1회 2000년 2월 27일 (35일) WWF 노 웨이 아웃(2000) [41]
63 크리스 벤와 1회 2000년 4월 2일 (30일) WWF 레슬매니아 16 [42]
64 크리스 제리코 3회 2000년 5월 4일 (6일) WWF SMACKDOWN
65 크리스 벤와 2회 2000년 5월 8일 (43일) WWF RAW IS WAR
66 리키시 1회 2000년 6월 22일 (14일) WWF SMACKDOWN
67 발 비너스 2회 2000년 7월 6일 (54일) WWF SMACKDOWN
68 차이나 2회 2000년 8월 27일 (8일) WWF 섬머슬램(2000) [43]
69 에디 게레로 1회 2000년 9월 3일 (78일) WWF RAW IS WAR [44]
70 빌리 건 1회 2000년 11월 23일 (19일) WWF SMACKDOWN
71 크리스 벤와 3회 2000년 12월 10일 (42일) WWF 아마겟돈(2000)
72 크리스 제리코 4회 2001년 1월 21일 (72일) WWF 로얄럼블(2001)
73 트리플 H 3회 2001년 4월 3일 (7일) WWF SMACKDOWN
74 제프 하디 1회 2001년 4월 10일 (6일) WWF SMACKDOWN [45]
75 트리플 H 4회 2001년 4월 16일 (34일) WWF RAW IS WAR
76 케인 1회 2001년 5월 20일 (37일) WWF 저지먼트 데이(2001) [46][47]
77 알버트 1회 2001년 6월 28일 (27일) WWF SMACKDOWN [B]
78 랜스 스톰 1회 2001년 7월 23일 (27일) WWF RAW IS WAR
79 에지 2회 2001년 8월 19일 (35일) WWF 섬머슬램(2001)
80 크리스찬 1회 2001년 9월 23일 (28일) WWF 언포기븐(2001)
81 에지 3회 2001년 10월 21일 (15일) WWF 노 머시(2001) [C]
82 테스트 1회 2001년 11월 5일 (13일) WWF RAW
83 에지 4회 2001년 11월 18일 (63일) WWF 서바이버 시리즈(2001) [50]
84 윌리엄 리갈 1회 2002년 1월 20일 (56일) WWF 로얄럼블(2002)
85 랍 밴 댐 1회 2002년 3월 17일 (35일) WWF 레슬매니아 18 [51]
86 에디 게레로 2회 2002년 4월 21일 (36일) WWF 백래쉬(2002)
87 랍 밴 댐 2회 2002년 5월 27일 (63일) WWE RAW [52]
88 크리스 벤와 4회 2002년 7월 29일 (17일) WWE RAW [53]
89 랍 밴 댐 3회 2002년 8월 25일 (22일) WWE 섬머슬램(2002) [54]
90 크리스 제리코 5회 2002년 9월 16일 (14일) WWE RAW
91 케인 2회 2002년 9월 30일 (20일) WWE RAW
92 트리플 H 5회 2002년 10월 20일 WWE 노 머시(2002)
- 일시 폐지 - 2002년 10월 20일 WWE 노 머시(2002) [55]
93 크리스찬 2회 2003년 5월 18일 (50일) WWE 저지먼트 데이(2003) [56] [57]
94 부커 T 1회 2003년 7월 7일 (34일) WWE RAW
95 크리스찬 3회 2003년 8월 10일 (50일) 하우스 쇼 [58]
96 랍 밴 댐 4회 2003년 9월 29일 (28일) WWE RAW [C]
97 크리스 제리코 6회 2003년 10월 27일 (7분 39초) WWE RAW [60]
98 랍 밴 댐 5회 2003년 10월 27일 (48일) WWE RAW [61]
99 랜디 오턴 1회 2003년 12월 14일 (210일) WWE 아마겟돈(2003) [62]
100 에지 5회 2004년 7월 11일 (57일) WWE 벤전스(2004)
- 공석 - 2004년 9월 6일 WWE RAW [63]
101 크리스 제리코 7회 2004년 9월 12일 (37일) WWE 언포기븐(2004) [C]
102 셸턴 벤자민 1회 2004년 10월 19일 (244일) WWE 타부 튜즈데이(2004) [65]
103 칼리토 1회 2005년 6월 21일 (90일) WWE RAW [66]
104 릭 플레어 1회 2005년 9월 19일 (155일) WWE 언포기븐(2005) [67]
105 셸턴 벤자민 2회 2006년 2월 20일 (69일) WWE RAW
106 랍 밴 댐 6회 2006년 4월 30일 (15일) WWE 백래쉬(2006)
107 셸턴 벤자민 3회 2006년 5월 15일 (42일) WWE RAW
108 쟈니 나이트로 1회 2006년 6월 26일 (98일) WWE RAW
109 제프 하디 2회 2006년 10월 2일 (35일) WWE RAW
110 쟈니 나이트로 2회 2006년 11월 6일 (7일) WWE RAW
111 제프 하디 3회 2006년 11월 13일 (98일) WWE RAW [68]
112 우마가 1회 2007년 2월 19일 (56일) WWE RAW
113 산티노 마렐라 1회 2007년 4월 16일 (77일) WWE RAW [69]
114 우마가 2회 2007년 7월 2일 (62일) WWE RAW
115 제프 하디 4회 2007년 9월 3일 (190일) WWE RAW
116 크리스 제리코 8회 2008년 3월 10일 (111일) WWE RAW
117 코피 킹스턴 1회 2008년 6월 29일 (49일)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2008)
118 산티노 마렐라 2회 2008년 8월 17일 (85일) WWE 섬머슬램(2008) [70]
119 윌리엄 리갈 2회 2008년 11월 10일 (70일) WWE RAW [71]
120 CM 펑크 1회 2009년 1월 19일 (49일) WWE RAW [B]
121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1회 2009년 3월 9일 (27일) WWE RAW [73]
122 레이 미스테리오 1회 2009년 4월 5일 (63일) WWE 레슬매니아 25 [74]
123 크리스 제리코 9회 2009년 6월 7일 (21일) WWE 익스트림 룰즈(2009) [75]
124 레이 미스테리오 2회 2009년 6월 28일 (68일) WWE 더 배쉬 [76]
125 존 모리슨 3회 2009년 9월 4일 (100일) WWE SMACKDOWN
126 드류 맥킨타이어 1회 2009년 12월 13일 (161일) WWE TLC(2009) [77]
127 코피 킹스턴 2회 2010년 5월 23일 (75일) WWE 오버 더 리미트(2010) [78]
128 돌프 지글러 1회 2010년 8월 6일 (154일) WWE SMACKDOWN
129 코피 킹스턴 3회 2011년 1월 7일 (77일) WWE SMACKDOWN
130 웨이드 바렛 1회 2011년 3월 25일 (86일) WWE SMACKDOWN
131 이지키엘 잭슨 1회 2011년 6월 19일 (54일) WWE 캐피톨 퍼니쉬먼트 [79]
132 코디 로즈 1회 2011년 8월 12일 (233일) WWE SMACKDOWN [80]
133 빅 쇼 1회 2012년 4월 1일 (28일) WWE 레슬매니아 28 [81]
134 코디 로즈 2회 2012년 4월 29일 (21일) WWE 익스트림 룰즈(2012)
135 크리스찬 4회 2012년 5월 20일 (64일) WWE 오버 더 리미트(2012)
136 미즈 1회 2012년 7월 23일 (85일) WWE RAW : 1000회 특집 [82]
137 코피 킹스턴 4회 2012년 10월 17일 (74일) WWE 메인이벤트
138 웨이드 바렛 2회 2012년 12월 29일 (99일) WWE RAW
139 미즈 2회 2013년 4월 7일 (1일) WWE 레슬매니아 29 [83]
140 웨이드 바렛 3회 2013년 4월 8일 (69일) WWE RAW [84]
141 커티스 액슬 1회 2013년 6월 16일 (155일) WWE 페이백(2013) [85]
142 빅 E 랭스턴 1회 2013년 11월 18일 (167일) WWE RAW
143 배드 뉴스 바렛 4회 2014년 5월 4일 (57일) WWE 익스트림 룰즈(2014) [86]
- 공석 - 2014년 6월 30일 WWE RAW [87]
144 미즈 3회 2014년 7월 20일 (28일) WWE 배틀그라운드(2014) [88]
145 돌프 지글러 2회 2014년 8월 17일 (36일) WWE 섬머슬램(2014)
146 미즈 4회 2014년 9월 21일 (1일)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2014)
147 돌프 지글러 3회 2014년 9월 22일 (56일) WWE RAW
148 루크 하퍼 1회 2014년 11월 17일 (27일) WWE RAW
149 돌프 지글러 4회 2014년 12월 14일 (22일) WWE TLC(2014) [C]
150 배드 뉴스 바렛 5회 2015년 1월 5일 (83일) WWE RAW [90]
151 대니얼 브라이언 1회 2015년 3월 29일 (43일) WWE 레슬매니아 31 [91]
- 공석 - 2015년 5월 11일 WWE RAW [92]
152 라이백 1회 2015년 5월 31일 (112일)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15)
153 케빈 오웬스 1회 2015년 9월 20일 (84일)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2015)
154 딘 앰브로스 1회 2015년 12월 13일 (64일) WWE TLC(2015)
155 케빈 오웬스 2회 2016년 2월 15일 (48일) WWE RAW [93]
156 잭 라이더 1회 2016년 4월 3일 (1일) WWE 레슬매니아 32 [94]
157 미즈 5회 2016년 4월 4일 (188일) WWE RAW [95]
158 돌프 지글러 5회 2016년 10월 9일 (38일) WWE 노 머시(2016) [96]
159 미즈 6회 2016년 11월 15일 (60일) WWE SMACKDOWN LIVE : 900회 특집
160 딘 앰브로스 2회 2017년 1월 3일 (152일) WWE SMACKDOWN LIVE [97]
161 미즈 7회 2017년 6월 4일 (169일) WWE 익스트림 룰즈(2017)
162 로만 레인즈 1회 2017년 11월 20일 (63일) WWE RAW
163 미즈 8회 2018년 1월 22일 (76일) WWE RAW : 25주년 특집
164 세스 롤린스 1회 2018년 4월 8일 (71일) WWE 레슬매니아 34
165 돌프 지글러 6회 2018년 6월 18일 (62일) WWE RAW
166 세스 롤린스 2회 2018년 8월 19일 (119일) WWE 섬머슬램(2018)
167 딘 앰브로스 3회 2018년 12월 16일 (29일) WWE TLC(2018)
168 바비 래쉴리 1회 2019년 1월 14일 (34일) WWE RAW
169 핀 밸러 1회 2019년 2월 17일 (22일)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19)
170 바비 래쉴리 2회 2019년 3월 11일 (27일) WWE RAW
171 핀 밸러 2회 2019년 4월 7일 (98일) WWE 레슬매니아 35 [98]
172 나카무라 신스케 1회 2019년 7월 14일 (201일) WWE 익스트림 룰즈(2019)
173 브론 스트로우먼 1회 2020년 1월 31일 (37일) WWE SMACKDOWN
174 새미 제인 1회 2020년 3월 8일 (65일)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20) [99]
- 공석 - 2020년 5월 12일 - [100]
175 AJ 스타일스 1회 2020년 6월 12일 (70일) WWE SMACKDOWN [101]
176 제프 하디 5회 2020년 8월 21일 (37일) WWE SMACKDOWN
177 새미 제인 2회 2020년 9월 27일 (89일) WWE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2020) [102]
178 빅 E 2회 2020년 12월 25일 (107일) WWE SMACKDOWN
179 아폴로 크루즈 1회 2021년 4월 11일 (124일) WWE 레슬매니아 37 NIGHT 2
180 나카무라 신스케 2회 2021년 8월 13일 (189일) WWE SMACKDOWN
181 새미 제인 3회 2022년 2월 18일 (14일) WWE SMACKDOWN [103]
182 리코셰 1회 2022년 3월 4일 (98일) WWE SMACKDOWN
183 군터 1회 2022년 6월 10일 (666일) WWE SMACKDOWN [104] [기록]
184 새미 제인 4회 2024년 4월 6일 (119일) WWE 레슬매니아 XL NIGHT 1
185 브론 브레이커 1회 2024년 8월 3일 (51일) WWE 섬머슬램(2024)
186 제이 우소 1회 2024년 9월 23일 (28일) WWE RAW
187 브론 브레이커 2회 2024년 10월 21일 ([dday(2024-10-21)]일) WWE RAW

5. 역대 토너먼트 경기

# 연도 대회명 (챔피언십) 우승자
1 1990 WWF 인터컨티넨탈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토너먼트 미스터 퍼펙트
2 1996 WWF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토너먼트 마크 메로
3 1997 오웬 하트
4 1998 켄 샴락
5 2010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토너먼트 코피 킹스턴
5 2020 AJ 스타일스
# 연도 대회명 (No. 1 컨텐더) 우승자
1 2008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No.1 컨텐더 토너먼트 CM 펑크
2 2014 배드 뉴스 바렛
3 2022 스맥다운 월드컵 토너먼트 리코셰
4 2024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No.1 컨텐더 토너먼트 제이 우소

[1] 기믹 상의 발언일 뿐 실제로는 열리지 않았다. [2] 이때 참가자는 부커 T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인터컨티넨탈 챔피언 보유 기록이 있는 선수들이었다. 헌데 아이러니한 것은 부커 T를 지목한 것이 당시 RAW 공동GM이었던 스티브 오스틴인데 이들은 2001년에 찰지고 찰진 대립을 하던 사이였다는 것이다. 심지어 치프 몰리도 발 비너스 기믹으로 다시 참전할 정도이다.Hello~ Ladys~ [한국시간] 9월 8일 새벽 4시 기준 [4] 단 이 기록은 1회 최장 보유 기간이며 총합 기간을 따지면 페드로 모랄레스가 가장 오랫동안(617일) 인터컨티넨털 챔피언을 보유했었지만 군터가620일을 찍으면서 총합 기간도 군터가 가장 오래 보유했다 [5] 티토 산타나와 그렉 더 해머 발렌타인의 벨트 [6] 애티튜드 시대 이전에 사용하던 디자인으로 일명 레지 팍스(Reggie Parks) 벨트. 벨트 제작자인 레지 팍스가 제작한 벨트들. WWF 챔피언십 벨트도 이 시기에는 레지 팍스가 만들었다. 이쪽도 WWF 마크가 붉은 색이 되었다가 금색이 되었다가, 가죽의 색도 흰색, 하늘색, 금색 등으로 바뀌었고, 플레이트의 크기도 초기보다는 조금 작아지기도 하는 등 사소한 변화가 많았다. 1997년 12월에 스티브 오스틴이 더 락에게 벨트를 뺏어서 강에 갖다버리기도 했다. [7] 레슬매니아XIV 이후 레지 팍스와의 관계가 끝난 다음에 제작한 벨트. 이쪽도 2,3 번의 자잘한 변화가 있었다. [8] 돋을 새김형태였던 WWF 로고를 스크래치 형태로 변경한 버전. 앞의 1998년 벨트 사진이 작게 나왔지만 W형태가 굵직한 선으로 이루어져 있던 것이 날려쓴 듯한 모양으로 변했음을 알 수 있다. [9] WWF가 WWE가 되면서 F를 떼어낸 이 시기를 상징하는 변화를 거친 버전. 아래에 있던 챔피언이라는 글자를 위로 올리고, 대신 하단 플레이트에 여백을 두어서 챔피언의 이름을 새길 수 있도록 바뀌었다. 코디 로즈가 바꾸기 전에 계속 사용했던 디자인. [10] 코디 로즈표 벨트의 최초 디자인. 벨트 제작자 J-MAR의 디자인. 코디 로즈가 기존 벨트 디자인을 이 디자인으로 바꿨을 때 현장 반응 뿐 아니라 인터넷 팬들 사이에서도 큰 호평이 잇따랐고 마리텔에 유병재가 출연해 본인의 레플리카 벨트들을 생방송 시청자들에게 보여줬을 때도 이 챔피언 벨트 디자인이 가장 예쁘다는 칭찬을 받았다. 특유의 화이트-골드톤 디자인에 원래부터 멋있었던 플레이트 디자인 덕인 듯. [11] 바로 위 벨트의 디자인이 TV를 탄 이후 그걸 레지 팍스가 다시 손을 본 것. 플레이트 표면을 매끈하게 밀어버리고, WWE 마크를 갈아치우고, 벨트의 가죽을 이전 보다 크게 만들었다. WWE 마크가 새로 변경된 뒤에도 큰 변화 없이 유지. 19년 11월에 새미 제인이 챔피언인 나카무라 신스케에게 변경된 벨트를 선물하기 전까지 사용했다. [12] 나카무라 신스케가 챔피언이던 때 당시 나카무라의 매니저로 활동하던 새미 제인이 들고 나와서 사용한 벨트. WWE 챔피언십과 위민스 챔피언십 벨트처럼 사이드 플레이트에 선수를 상징하는 문양을 새겨서 끼울 수 있는 벨트로 변경되었다. [13] 제이 우소가 챔피언에 등극한 이후부터 사용하는 벨트. 기존 벨트와 기본적인 디자인에 차이는 없으나 메인 플레이트의 지구본이 파란색으로 칠해졌다는 차이점이 있다. [14] 얼티밋 워리어 전용 벨트. [15] 숀 마이클스 전용 벨트. [16] 골더스트 전용 벨트. [17] 레슬매니아 6에서 워리어가 호건을 이기고 WWF 챔피언으로 등극하면서 공석 처리. [18] 8인 토너먼트 결승에서 티토 산타나에게 승 [19] 로디 파이퍼가 획득한 처음이자 마지막 싱글 타이틀 [20] 숀 마이클스가 30일동안 방어전을 치르지 않아 공석 처리. 챔피언은 등극 후 또는 방어전 후 30일 내로 방어전을 치러야 하며 치르지 않으면 타이틀을 반납해야 한다는 규칙이 있다. [21] 최초 TV 방영된 경기에서 래더매치가 열린 그 경기이다. 래더매치 자체가 하트 던전에서 유래된 것이고, WWE 최초의 래더매치는 브렛 하트의 고안으로 하우스쇼에서 브렛 하트가 가졌는데, 최초의 래더매치란 수식어가 숀과 레이저 라몬에게 가자 브렛 본인은 불쾌해했다. 레이저 라몬은 릭 마텔을 꺾고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에 등극하나 갑자기 전 챔피언인 숀 마이클스가 돌아와 자신이 진정한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이라고 말하며 대립. 이후 래더매치에서의 혈투 끝에 레이저 라몬이 승리하여 진정한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이 누구인지 확실하게 각인시켰다. [22] 밥 할리와의 경기 중 논란의 여지를 남겨 공석 처리. [23] 공석 처리 당일 밥 할리를 상대로 재경기를 치러 타이틀 획득. [24] 숀의 부상으로 타이틀을 수여받았으나 얼마 가지 못하고 레이저 라몬과의 경기에서 뺏긴다. [25] 사비오 베가와의 경기 중 논란의 여지를 남겨 공석 처리. [26] 아메드 존슨이 신장에 문제가 생겨 타이틀을 반납함으로서 공석 처리 [27]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파룩을 꺾고 승리 [28] 이 경기에서 오스틴이 오웬 하트의 파일 드라이버를 잘못 맞고 치명적인 목부상을 당했다. [29] 오스틴의 목부상으로 타이틀을 반납하면서 공석 처리. [30]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파룩을 이기고 획득. [31] 오스틴이 "챔피언십 안할거면 반납하라"는 빈스 맥마흔의 닦달에 먹고 떨어지라는 듯이 락에게 타이틀을 던져서 락이 챔피언 등극. 그런데 하필 오스틴이 타이틀을 도둑질해 바다에 던져버리는 사태도 벌어져 한동안 벨트 없는 챔피언 신세가 되기도 했다. 보유 기간 WWF 레슬매니아 14에서 켄 샴락을 상대로 방어전을 치르던 중 켄 샴락에게 탭아웃을 하고 타이틀을 뺏겨야 했으나 켄 샴락이 경기 종료 후에도 앵클락을 풀지않고 오히려 심판들을 공격하여 켄 샴락의 실격패가 선언되었고 그 덕에 락이 타이틀을 방어했다. 결국 이때 켄 샴락이 획득한 기록은 인정되지 않았다. [32] 헴즐리의 무릎 부상으로 인해 공석 처리. [33]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엑스팍을 이기고 획득. [34] 빌리 건이 특별 심판으로 있었다. [35] 이후 사고로 죽은 오웬 하트의 이름을 외치며 그를 추모했다. [36] 지난 풀리 로디드 99에서 WWE 유로피언 챔피언십 벨트를 차지해 이로 인해 2개의 타이틀을 가지게 된다. [37] 딜로 브라운의 유로피언 타이틀까지 획득. [38] 영국 맨체스터에서 개최. 굿 하우스 키핑 매치로 진행되었고 여기서 승리하여 최초의 여성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이 된다. [39] 1999년 12월 28일 스맥다운에서 더블 핀폴로 처리되었고, 결국 최초로 공동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이 되는 사태가 벌어진다. [40] 하드코어 할리까지 참여한 트리플 쓰렛 매치에서 승리. [41] 이 때 커트 앵글은 유로피언 타이틀까지 보유하고 있었다. [42] 크리스 제리코, 커트 앵글이 참여한 3판 2선승 트리플 쓰렛 매치에서 획득. 벤와가 앵글을 먼저 커버하면서 인터컨티넨탈 타이틀을 따냈다. [43] 에디 게레로와 팀을 맺어 발 비너스 & 트리쉬 스트래터스에 맞섰고 에디와 발 비너스가 장외에서 싸우는 동안 트리쉬에게 프레스 슬램을 먹이고 커버하여 획득. [44] 커트 앵글까지 참여한 트리플 쓰렛 매치에서 승리 [45] 제프 하디, 최연소 인터컨티넨탈 챔피언 등극. [46] 케인, 그랜드슬램 달성. [47] 체인 매치로 진행되었다. [B] 노 DQ 매치로 진행되었다. [C] 래더매치로 진행되었다. [50] 이 당시 에지 테스트에게 타이틀을 뺏기고 U.S 타이틀을 보유한 상태였으며 에지가 테스트를 꺾으면서 이 시기 U.S 타이틀은 인터컨티넨탈 타이틀과 통합되어 사라진다. [51] 이후 RVD가 RAW로 드래프트되면서 벨트는 RAW 소속이 된다. [52] 획득 시기에 유로피언 타이틀은 인터컨티넨탈 타이틀과 통합되어 사라진다.(당시 유로피언 챔피언 : 제프 하디) [53] 이로 인해 인터컨티넨탈 타이틀이 스맥다운으로 넘어갔으나 던 마리의 행정착오였음이 밝혀져 8월에 재경기를 가지게 된다. [54] 던 마리의 행정착오로 경기가 다시 성사되었고 여기서 타이틀을 획득하여 인터컨티넨탈 타이틀은 RAW에 남게 된다. 또한 획득 시기에 하드코어 타이틀은 인터컨티넨탈 타이틀과 통합되어 사라진다.(당시 하드코어 챔피언 : 타미 드리머) [55]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은 일시적으로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폐지된다. [56] 당시 공동 단장인 오스틴에 의해 부활하였고 전 인터컨티넨탈 타이틀 보유자(크리스 제리코, 크리스찬, 랍 밴 댐, 케인, 발 비너스, 랜스 스톰, 테스트) 및 부커 T가 참여한 배틀로얄에서 우승. [57] 타이틀은 초대 인터컨티넨탈 챔피언 팻 패터슨이 수여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경기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본래 우승은 부커 T였지만 심판이 쓰러져 있는 틈을 이용해 크리스찬이 팻 패터슨을 공격해 타이틀을 강탈하였고 그걸로 부커 T에게 벨트 샷을 날린 뒤 심판이 다시 일어난 순간에 맞춰 부커 T를 아웃시킴으로서 승자로 인정되었다. [58] 부커 T의 부상으로 인해 타이틀 변동 [C] 래더매치로 진행되었다. [60] 에릭 비숍이 심판을 방해했고 그 사이에 월스 오브 제리코를 걸어 승리 [61] 위 경기 직후 스티브 오스틴에 의해 재경기가 시작되었고 이 때는 스틸 케이지 매치로 진행되었다. [62] 특별 심판 : 믹 폴리. [63] 에지의 부상으로 인해 공석 처리 [C] 래더매치로 진행되었다. [65] 팬들의 투표로 도전자로 지명. 이 외 후보는 바티스타, 조나단 코치맨, 크리스찬, 라이노, 메이븐, 윌리엄 리갈, 허리케인, 타이슨 톰코, 타지리, 스티비 리차드, 발 비너스, 로지, 척 팔럼보, 로드니 맥. [66] 스맥다운에서 데뷔하자마자 US 챔피언을 따낸 것처럼 RAW로 이적하자마자 타이틀 획득. [67] 릭 플레어, 트리플 크라운 달성 및 최고령 챔피언 등극 [68] 영국 맨체스터에서 개최되었다. [69]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되었다. 이 당시 산티노 마렐라는 일반 관중이었고 빈스의 지목으로 우마가의 도전자가 된다. 노 홀드 바드 매치로 진행. 바비 래쉴리의 도움을 얻어 타이틀 획득하였다. [70] 베스 피닉스와 팀을 맺어 코피 킹스턴 & 미키 제임스에 맞섰다. 이 경기는 승리한 팀이 상대의 타이틀을 독식하는 규칙이 걸려있었고 베스 피닉스가 우먼스 챔피언 미키 제임스를 커버하여 승리함으로서 산티노 마렐라 베스 피닉스는 각각 인터컨티넨탈 타이틀과 우먼스 타이틀을 획득했다. [71] 윌리엄 리갈의 고향인 영국 맨체스터에서 열렸다. [B] 노 DQ 매치로 진행되었다. [73] JBL, 그랜드슬램 달성. [74] 레이 미스테리오, 트리플 크라운 달성 및 최경량 챔피언 등극. 이후 레이 미스테리오가 스맥다운으로 드래프트되면서 벨트는 스맥다운 소속이 된다. [75] 크리스 제리코, 최다 획득 기록 갱신. 덤으로 여기서 레이 미스테리오의 마스크까지 벗겨냈다. [76] 레이 미스테리오는 자신의 마스크를 걸고 (레이 미스테리오가 지면 마스크를 벗어야하는)마스크 vs 타이틀 매치를 치렀고 여기서 크리스 제리코를 꺾어 마스크를 지키고 동시에 타이틀도 획득했다. [77] 사실 중간에 해고당하고 타이틀이 박탈되었으나 빈스 인 더 뱅크빈스의 편지를 들이대서 복직 후 타이틀 유지. [78] 경기 후 드류 맥킨타이어가 인정할 수 없다며 다시 내놓으라고 롱 단장에게 생떼를 부리지만 매트 하디의 난입으로 말아먹었다. [79] 이로 인해 웨이드 바렛의 코어는 사실상 해체된다. [80] 이 시기에 벨트의 디자인이 옛 디자인과 흡사하게 변경.(위 사진) [81] 빅 쇼, 그랜드슬램 달성 및 최중량 챔피언 등극. 레슬매니아에서의 연패를 깸과 동시에 데뷔 11년만에 첫 인터컨티넨탈 타이틀을 획득. [82] 브렛 하트의 감독 하에 경기가 치러졌다. [83] 프리쇼로 진행되었다. WWE 섬머슬램(2012)에 이어 또한번 프리쇼에서 타이틀이 변동되는 장면이 나왔다. [84] WWE 레슬매니아 29가 열린 다음날에 재경기를 가져 승리했다. [85] 웨이드 바렛, 미즈가 참여한 트리플 쓰렛 매치에서 승리. WWE 최초로 부자가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에 등극했다. [86] 웨이드 바렛에서 배드 뉴스 바렛으로 기믹을 바꿨다. [87] 배드 뉴스 배럿의 어깨 부상으로 공석처리되었다. [88] 공석인 챔피언을 가리기 위한 19인 배틀로얄에서 승리 [C] 래더매치로 진행되었다. [90] 3판 2선승제 경기에서 승리 [91] WWE 레슬매니아 31에서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으로 열린 대니얼 브라이언 VS 배드 뉴스 바렛 VS 돌프 지글러 VS 스타더스트 VS 루크 하퍼 VS 알 트루스 VS 딘 앰브로스간의 7인 래더매치에서 승리하며 챔피언에 등극했다. [92] 대니얼 브라이언이 부상으로 인해 반납하였다. [93] 딘 앰브로스, 돌프 지글러, 스타더스트, 타일러 브리즈가 참여한 5인 매치에서 승리 [94] 케빈 오웬스, 새미 제인, 돌프 지글러, 스타더스트, 신 카라, 잭 라이더, 미즈가 참여한 7인 래더 매치에서 승리 [95] 이후 미즈가 스맥다운으로 드래프트되면서 벨트는 스맥다운 소속이 된다. [96] 돌프 지글러는 패배하거나 DQ승을 거둬도 커리어 은퇴한다라는 조항을 걸고 경기를 했다. [97] 이후 딘 앰브로스가 RAW로 드래프트되면서 벨트는 RAW 소속이 된다. [98] 이후 핀 밸러가 스맥다운으로 드래프트되면서 벨트는 스맥다운 소속이 된다. [99] 나카무라 신스케, 세자로, 새미 제인이 3대1 핸디캡 매치로 브론 스트로우먼에게 도전하였고 새미 제인이 브론 스트로우먼을 커버하면서 혼자 챔피언으로 인정된다. [10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WWE 쇼에 불참해도 된다고 WWE에서 직원 및 소속 선수들에게 통보했고, 새미 제인은 스맥다운 촬영에 불참하기 시작한다. 이에 WWE가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을 공석처리 하였다. [101] 2020년 5월 15일 스맥라운에서부터 드류 굴락, 대니얼 브라이언, 일라이어스, 킹 코빈, AJ 스타일스, 나카무라 신스케, 제프 하디, 셰이머스가 공석이 된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을 차지하기 위한 8강 토너먼트에 참가했다. 그리고 2020년 6월 12일 스맥다운에서의 결승전에서 AJ 스타일스 대니얼 브라이언을 이기고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에 등극한다. [102] 8월 28일 스맥다운에서 코로나로 인해 활동이 잠시 중단되어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을 박탈당한 새미 제인이 인터컨티넨탈 챔피언 제프 하디의 앞에 똑같은 챔피언 벨트를 들고 나와 복귀하였으며, 자신이 여전히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이라고 떠벌리고 다녔다. 이후 삼자간의 대립으로 이어졌으며, WWE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2020)에서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으로 열린 AJ 스타일스 VS 제프 하디 VS 새미 제인간의 트리플 쓰렛 래더 매치에서 승리하며 챔피언에 등극했다. [103] 실제 획득일은 2022년 2월 11일 스맥다운이며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22)로 인하여 사우디아라비아로 출국한 관계로 2022년 2월 18일자 스맥다운을 11일날 미리 한번에 녹화를 했다. [104] 이후 군터가 RAW로 드래프트되면서 벨트는 RAW 소속이 된다. [기록] 現 인터컨티넨탈 타이틀 단일 최장기간 보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