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3 19:59:34

인더스강

인더스 강에서 넘어옴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한반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한반도
갑천 · 경안천 · 고덕천 · 공릉천 · 광주천 · 굴포천 · 금강 · 금호강 · 길안천 · 남강 · 남대천 · 남한강 · 낙동강 · 내성천 · 논산천 · 달천 · 대동강 · 대령강 · 대전천 · 대종천 · 동강 · 동진강 · 두만강 · 례성강 · 만경강 · 미호강 · 무심천 · 밀양강 · 반포천 · 병성천 · 보성강 · 보통강 · 복하천 · 북한강 · 산지천 · 삽교천 · 서강 · 섬강 · 성천강 · 소양강 · 서낙동강 · 섬진강 · 수영강 · 수원천 · 신천 · 안성천 · 안양천 · 압록강 · 양산천 · 양재천 · 영산강 · 예성강 · 온천천 · 요천 · 왕숙천 · 왕피천 · 임진강 · 임천강 · 장자강 · 재령강 · 정안천 · 주천강 · 창릉천 · 천안천 · 청계천 · 청미천 · 청천강 · 탄천 · 탐진강 · 태화강 · 팔거천 · 평창강 · 한강 · 한탄강 · 형산강 · 흑림강 · 홍제천 · 홍천강 · 황강 · 황룡강 · 황구지천 · 회야강 · 회천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006fb9><colcolor=#fff> 아시아
중국 황하 · 황수이강 · 웨이허강 · 펀허강 · 호타하 · 장강 · 야룽강 · 민강 · 자링강 · 한수 · 회하 · 황푸강 · 주강 · 타림강 · 하이허강 · 요하 · 송화강 · 눈강 · 목단강 · 헤이룽강
일본 지쿠고강 · 요시노강 · 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나가라강 · 구즈류강 · 기소강 · 덴류강 · 후지강 · 사가미강 · 아라카와강 · 도네강 · 시나노강 · 아가노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강 · 사로베츠강
대만 지룽강 · 아이허
동남아시아 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에야와디강 · 똔레쌉 · 똔레산강 · 카푸아스강 · 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남아시아 갠지스강 · 인더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서아시아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중앙아시아 추강 · 일리강
카프카스
쿠라강 · 테차강 · 알라자니강 · 엔구리강 · 리오니 강
북아시아 · 몽골 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유럽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강 · 마른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강 · 론강 · 가론강 · 에브로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강 · 엘베강 · 오데르강 · 비스와강 · 이손초강 · 부크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강 · 다우가바강 · 드니프로강 · 네바강 · 모스크바강 · 바트강 · 베저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강 · 옴강 · 레크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강 · 남부크강 · 사바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강 · 블타바강 · 빌렌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강 · 마리차강 · 머지강 · 메드웨이강 · 세번강 · 트렌트강 · 네카어강 · 모젤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강 · 도루강 · 후카르강 · 알리에강 · 도르도뉴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타인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아프리카
나일강 · 오렌지 강 · 나이저강 · 산카라니강 · 바니강 · 잠베지강 · 콩고강 · 투겔라강 · 오카방고강 · 메제르다강 · 인키시강 · 산쿠루강 · 카사이 강 · 움폴로지 강 · 움짐쿨루 강 · 아와시강 · 제네일강 · 소바트강 · 마레브강 · 웨비 주바강 · 흑나일강 · 청나일강 · 백나일강 · 바니강 · 감비아 강 · 세네갈강 · 쉐벨강 · 바로강 · 림포포강 · 쿠네네강 · 유멘지강 · 베시보카강 · 베누에강 · 마남볼로강 · 마니아강 · 망고키강 · 마하지로강 · 음타타강 · 우방기 강 · 웨드몰우야강 · 사나가 강 · 샤리강 · 로곤강 · 팬데강 · 오순강 · 이모강 · 베냉강 · 이호시강 · 쿠안자 강 · 크로스강 · 크왕고강 · 아바강 · 세이브강 · 볼타강 · 사비강 · 카제라강 · 올리펀츠강 · 레드 볼타강 · 코모에강 · 루앙와강 · 코마티강 · 오구에강 · 그루트강 · 유엘르강 · 조만다오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아메리카
세인트로렌스강 · 세인트모리스강 · 미시시피강 · 미주리강 · 아칸소강 · 허드슨강 · 애서배스카강 · 포위니고우강 · 비버강 · 가즈강 · 콜링강 · 매켄지강 · 스네이크강 · 서스캐처원강 · 서스쿼해나강 · 포토맥강 · 델라웨어강 · 해리슨강 · 프레이저강 · 콜로라도강 · 콜럼비아강 · 유콘강 · 리오그란데강 · 아마존강 · 벨리제강 · 오리노코강 · 마그달레나강 · 마데이라강 · 상프란시스쿠강 · 아푸레강 · 카로니강 · 카우카강 · 아라우카강 · 토칸틴스강 · 네그루강 · 혼도강 · 발사스강 · 코아토사코알코스강 · 믹스테코강 · 옐로스톤강 · 사말라강 · 칙소이강 · 우수미친타강 · 메타강 · 비오비오강 · 마라논강 · 마이포강 · 마포초강 · 이타타강 · 우카얄리강 · 라플라타강 · 트루폴트루폴강 · 톨텐강 · 마울레강 · 파라나강 · 친치페강 · 파라과이강 · 레르마강 · 스와니강 · 로아강 · 샌페드로강 · 베르가라강 · 부에노강 · 도라도강 · 필코마유강 · 살라도강 · 둘체강 · 페티코디악강 · 리메이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남극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오세아니아
머레이강 · 달링강 · 허트강 · 머럼비지강 · 브리즈번강 · 와레고강 · 랑가티케이강 · 왕가누이강 · 통가리로강 · 와이아푸강 · 카와라우강 · 카와티리강 · 마타우강 · 와이로아강 · 와이아우강 · 와이마카리리강 · 와이카토강 · 침부강 · 투아강 · 키코리강 · 라무강 · 호키티카강 · 히피 강 · 벌러강 · 폭스강 · 핀콜강 · 야테강 · 푸리나강 · 푸라리강 · 와투트강 · 애들러강
남극
오닉스강 · 알프강 }}}}}}}}}}}}
<colbgcolor=#006fb9><colcolor=#fff> 국가하천
인더스 강
دریائے سندھ | Indus river
파일:indus river.jpg
길이 2,900km
유역면적 1,165,500km²

1. 개요2. 유역
2.1. 권역별 설명
3. 역사4. 언어별 명칭

[clearfix]

1. 개요

파일:ㅇㄷㅅㄹㅂ.jpg

티베트 고원에서 발원하여 파키스탄의 중앙을 관통하는 거대한 이다. 인더스 문명의 발상지이다. 인더스는 (그리스식 인도스가 와전된) 영어식 표현으로, 현지 우르두어 / 힌디어로는 신두 혹은 신드라 부른다. 인도, 힌두, 신드 등의 단어가 유래한 강으로, 사실상 인도의 정체성이 담긴 강이다.

2. 유역

파일:파키스탄 인더스.jpg

인더스 강의 유역은 중국 히말라야 북쪽, 티베트 남서쪽 카일라스 산맥 북쪽 사면 ~ 인도, 파키스탄 분쟁지역 카슈미르 지방의 북부 ~ 라다크 산지 ~ 펀자브 평원 ~ 파키스탄 남부 ~ 아라비아 해까지 해당된다.

2.1. 권역별 설명

파일:인더스 강.jpg
발원지 근처의 모습
파일:파키스탄 인도 강.jpg

* 상류 : 길기트 발티스탄, 라다크, 잠무 카슈미르 지역. 고산 사이의 협곡을 따라 흐르며, 물빛이 청록색으로 맑다. 티베트 문화와 인도 문화의 접점으로,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한다. 7세기 고선지 장군이 도달한 바 있다. 카슈미르 분쟁과 함께 인더스 상류에 대한 다툼 역시 치열하다.
파일:펀잡 파키.jpg
  • 중상류 : 펀자브 지역. 5갈래의 하천들 중 본류는 가장 서쪽을 흐른다. 젤룸, 라비, 술테즈 강과 차례대로 합류한 체납 강이 우치 부근에서 인더스 본류와 합류한다. 파키스탄의 주요부. 1960년 인도의 자와할랄 네루 총리와 파키스탄의 아윱칸 대통령은 카라치에서 인더스 강물 조약 (IWT)을 체결하여 강들의 물 관리 문제에 합의하였다. 그 결과 서쪽 강들인 인더스 본류, 체납, 젤룸 강은 파키스탄이 관할하고 베아스, 라비, 술테즈 강은 인도가 관리하기로 합의하여 분리 독립 후 이어지던 양국 간의 수자원 확보 전쟁은 일단락되었다. 관리국은 관리하는 강의 물 80%를 점유하고, 20%는 상대국에 보낸다. 하지만 강들의 상류를 점유한 인도가 파키스탄 대홍수 시에 수문을 개방하는 등의 행보를 보여 파키스탄이 반발하고 있다.
파일:파키스탄 인더스 1.jpg

* 중하류 : 신드 북부 지역. 주요 도시는 수쿠르. 하나로 합쳐진 인더스 강이 속도를 늦추며 흐르는 파키스탄의 곡창 지대. 인더스 문명의 핵심부로, 모헨조다로 유적이 이곳에 있다. 2022년 파키스탄 대홍수 시에 가장 큰 피해를 입었고, 강 주변에 여러 개의 호수가 생겨났다.
파일:파키스탄 델타.jpg
  • 하류 : 신드 남부 지역. 하이데라바드를 지난 인더스는 갯벌과 맹그로브 숲으로 구성된 델타 (삼각주)를 이루며 인도양으로 합류한다. 삼각주 서쪽 해안에 형성된 도시가 파키스탄의 최대도시 카라치이다. 일부 물줄기는 인도령 구자라트의 쿠치 습지와 만으로도 흘러든다.

3. 역사

일찍이 개발되었으며 하류 주변의 토지는 비옥하지만 연간 강수량이 500mm 이하이고 기후 또한 건조한 아열대기후이기 때문에 기근이 잦았다. 위성 지도를 보면 녹음이 가득한 갠지스 강 유역과 달리 (펀잡 아래의) 인더스 강 동쪽에는 거대한 타르 사막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인더스 강은 크게 북쪽의 펀자브와 남쪽의 신드 지방으로 구분할 수 있고, 간다라 카슈미르 지방에도 걸쳐 있다. 인더스 문명기 강을 따라 모헨조다로, 하라파, 돌라비라 등의 도시가 세워진 선진 지역이다. 전통적으로 인더스는 페르시아 / 유목 문명과 인도 문명의 접점이었다.

아케메네스 제국, 셀레우코스 왕조, 파르티아, 사산 제국이 인더스 강 서안까지 영토를 영유하였고 알렉산드로스 대왕 역시 인더스 강까지 원정한 후 돌아갔다. 헬레니즘기에는 인도-그리스 왕국이 세워졌었고, 백훈족 (에프탈)이나 인도-스키타이 등 유목 세력이 지배하기도 하였다. 종교적으로는 고대에는 불교, 중세 초엽에는 힌두교가 번성하였다. 그러다 8세기 초엽 신드 지방이 우마이야 왕조령이 되었고, 10-12세기에는 술탄 마흐무드 무함마드 고리 등 튀르크-아프간계 왕조들이 힌두쿠시 산맥을 넘어 남하하며 이슬람화가 시작되었다.

13-18세기에는 델리 술탄국 무굴 제국이 펀자브의 라호르를 중심으로 세워져 이슬람화가 가속화되었고, 18세기에 이르면 인더스 강 유역의 주민 2/3 이상이 무슬림이었다. 17세기 들어 펀자브를 중심으로 신흥종교 시크교가 세력을 떨쳤고, 19세기 시크 왕국을 세웠으나 영국에 복속되었다. 이어진 인도령 영국기에 강 유역에 대규모 관개 공사가 시행되었고, 20세기에 이르러 완성한 신드 수쿠르 을 통해 유역의 · 목화 · 사탕수수 등의 생산을 크게 안정시켰다. 2022년 파키스탄 대홍수 시에 범람하여 큰 피해를 야기하였다.

인더스강 유역이 건조해져서 아리아인들의 공격을 못 막고 문명의 쇠퇴가 일어났다는 시각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작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에서 세수 비중으로는 이곳이 메소포타미아+ 이집트를 합친 것보다 생산력이 높았다. 지금도 인더스 강 유역은 파키스탄 인구 1억명 이상을 먹여살리는 곳이며 갠지스강 유역보다도 생산력이 높다. 애초에 인도 북부는 생산력으로는 굉장히 비옥한 곳이다.

다만 인더스강 유역이 이후 역사에서 잘 부각되지 않은 이유는 기근이 자주 일어나는 것도 원인이지만 무역 루트도 그렇고 정치적 중심지에서 밀려나면서 부의 집중이 일어나지 않게 된 영향이 크다. 인더스만이 아니라 대다수 지역에서도 잘 사는 곳은 생산량이 높은 곳이 아니라 그 생산된 부가 집중되는 곳이다. 전근대 시기엔 대체로 정치적 중심지가 이 부의 집중지가 되곤 했다.

4.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우르드어 دریائے سندھ (다리야이 신드)
신드어 سنڌو درياھ (신두 다리야)[1]
펀자브어 دریاۓ سندھ (다리야 신드)[샤무키]
ਸਿੰਧ ਦਰਿਆ (시다 다리야)[구르무키]
산스크리트어 सिन्धु (sindhu, 신두)
힌디어 सिन्धु नदी (신두 나디)
페르시아어 رود سِند (루드 신드)
𐏃𐎡𐎯𐎢𐏁 (hiⁿduš, 힌두시)[4]
아랍어 نهر السند (나흐르 앗-신드)
파슈토어 ّآباسن (아바신)
티벳어 སེང་གེ།་གཙང་པོ (셍게 추)
러시아어 Инд (인트)
그리스어 Ινδός ποταμός
Ἰνδός (Indos, 인도스)( 고전 그리스어)
영어 The Indus (River)
이탈리아어 Indo
포르투갈어 O Rio Hindus
베트남어 Sông Ấn / 滝印
일본어 インダス
중국어 [ruby(印度河, ruby=Yìndùhé)], [ruby(印度斯河, ruby=Yìndùsī Hé)]
한국어 인더스 강 (Indus江)

인더스 강이라는 이름은 산스크리트어 신두(सिन्धु, sindhu)에서 나왔는데 이 자체가 강이라는 의미이다. 황하, 장강과 어원이 유사한 셈. 더불어 이 신두라는 이름이 페르시아, 고대 그리스를 거쳐 유럽으로 전해지면서 나라 이름 India의 유래가 되었고, 한자문화권에도 전해져서 인도라는 이름으로 정착했다. 그러나 인도 제국의 서북부가 파키스탄으로 독립한 이후 인더스 강 본류의 대부분은 인도를 지나지 않는다. 상류 극히 일부분[5]과 몇 개의 지류만이 인도와 파키스탄의 분쟁지역인 카슈미르를 지날 뿐이다.[6]

그외에 라다크 티베트에서는 '사자의 강'이란 의미인 셍게 참포라 부르고, 길기트 발티스탄에서는 겜트수 혹은 추포라 부른다. 파슈툰인들은 닐랍 / 셰르다리야로도 부른다. 신디어로는 신두와 함께 메흐란, 푸랄리, 사무다르 등으로도 부른다.

[1] 아무다리야, 시르다리야할 때 그 다리야 맞다 [샤무키] [구르무키] [4] 고대 페르시아어 [5] 힌두교 성지가 위치한다 [6] 인도 국명의 유래인 하천인지라 인도에서도 매우 소중히 생각하며, 인도가 절대 카슈미르를 포기하려 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가 카슈미르의 인더스 상류를 지키려 하는 것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