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5 21:23:09

2022년 파키스탄 폭우 사태

파키스탄 대홍수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30><tablebgcolor=#030> 파일:생선뼈.png 2022년 식량·에너지 위기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인문적 요인 <colbgcolor=#ffffff,#1f2023>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2년 대러시아 경제제재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 · 미국-중국 무역 전쟁 · 물류 대란 · 각국의 수출 규제( '식량 보호주의' 확산) · 원자재 가격 인상 · 신냉전
자연적 요인 2022년 남아시아 폭염 · 2022년 서유럽 폭염 · 2021년 북아메리카 서부 폭염 · 2022년 아프리카 가뭄 · 2022년 파키스탄 폭우 사태 · 2022년 중부권 폭우 사태 · 2021년 중국 허난성 폭우 사태 · 2021년 독일·베네룩스 폭우 사태 ·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 2020-2021년 대한민국 AI 유행 · 힌남노 · 2023년 1월 유럽 이상 고온 ·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국내 영향 식품 유통 관련 문제 · 윤석열 정부의 지지율 하락세 · 2022년 식용유 대란 · 소확행, 무지출 챌린지 가성비 중심의 식품 유행( 당당치킨) · 금리 상승에 따른 경제활동의 축소 · 외식물가 역대 최고치 경신( 2022년 프랜차이즈 치킨 가격 논란) · 스마트팜 · 김장 가구 감소 · 탄소 중립 캠페인 · 2023년 난방비 대란
세계 영향 2022년 페루 시위 · 기준금리 상승세 및 '킹달러' · 엔저 현상 · 2022년 스리랑카 경제위기 · 프로틴플레이션 · 5월 이란 시위 · 9월 이란 시위 · 이라크 반정부 시위 · 2022년 몰도바 에너지 위기 · 대체 식품, 대체에너지 연구의 증가( GMO, 식용곤충, 신재생에너지) ·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간 양극화 · 동아프리카 기근 위기 · 인플레이션 감축법 · 2022년 흑해 항로 협상 · 2022년 요르단 시위 · 애그플레이션 · 2022년 아이티 위기
}}}}}}}}} ||
2022년 파키스탄 폭우 사태
پاکستان میں سیلاب 2022ء
2022 Pakistan floods
<colbgcolor=#bc002d><colcolor=#fff> 발생일 2022년 6월 14일 ~ 2022년 10월
발생 위치
파키스탄 발루치스탄, 길기트 발티스탄, 펀자브 주 남부, 신드, 카이베르파크툰크와
유형 폭우, 홍수
원인 몬순
인명피해 <colcolor=#fff><colbgcolor=#bc002d> 사망 1,717명[1]
부상 12,867명
실종 집계중
이재민 3,300만 명(추산)[2]
재산 피해 300억 달러 이상(추산)[3][4]

파일:파키스탄 홍수.jpg

1. 개요2. 원인 및 피해 현황3. 대응 및 반응4. 기타

[clearfix]

1. 개요


2022년 6월 14일부터 파키스탄에 쏟아지고 있는 폭우 및 홍수 사태. 전국토의 1/3이 잠겨 지형이 바뀌는 수준이었다. 피해는 2010년 파키스탄 홍수보다도 컸으며 2021년 독일·베네룩스 폭우 사태, 2022년 중부권 폭우 사태 등과 마찬가지로 기후위기에서 비롯된 자연재해이다. #

2. 원인 및 피해 현황

파일:pakistan_flood_oli_2022.jpg
NASA 위성에서 촬영한 파키스탄 신드 북부 홍수 전(8월 4일)과 후(8월 28일) 비교 출처

원래 인도 파키스탄 등 남아시아 지역에서는 6~9월 사이 몬순으로 우기가 오고, 따라서 비가 내리는 것 자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하지만 2022년에는 평년보다 2 ~ 3배[5]가 더 많은 강수량을 기록하면서 파키스탄 남부 지방에 대규모의 홍수가 발생해 남부 지역, 특히 신드 발루치스탄초토화되다시피 하였고, 이에 파키스탄 정부에서도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이재민이 무려 3천만 명이 발생하였다. #

이렇게 기록적인 홍수가 발생한 이유로는 2022년 3 ~ 5월에 있었던 2022년 남아시아 폭염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특히 파키스탄은 5월 14일 자코바바드에서 무려 51.0℃를 경신한 바가 있다. 따뜻한 공기는 습기를 흡수해서 비를 내리게 하는데, 이때의 뜨거운 공기가 많은 습기를 흡수했고, 결국 이것이 폭우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

안 그래도 파키스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방역 등으로 경제난을 겪고 있었는데, 자그마치 수백억 달러가 넘는 재산피해를 입게 된 이 홍수로 치명타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설상가상으로 농작물들까지 막대한 피해를 입어서[6] 당장 먹을 식량까지 걱정해야 할 판이 되었다. 이미 파키스탄 현지에서는 양파 토마토[7] 가격이 40%나 급등하는 등 식량난의 조짐이 벌어지고 있으며, 거기에 10월부터 밀을 파종해야 하는데, 홍수로 밀 파종마저 어려워져 밀 농사까지 망치게 된 상황이라고 한다. # 그리고 인플레이션은 더욱 심각해져서 일부 지역의 경우 채소 가격이 500%나 급등했다고 한다. #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파키스탄의 154개 행정구역 중 75%인 116곳이 이번 폭우로 피해를 봤다."고 밝혔다. #

파키스탄이 이번 폭우로 입은 경제적 손실이 무려 300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안토니우 구테흐스 UN 사무총장이 밝혔다. #

2022년 10월 초반에 폭우는 사실상 종결되었지만 침수는 여전한 상태이다. 전술했듯 10월부터 시작되는 밀 파종도 불가능하게 되어 올해 밀 농사를 망치게 되는 등 피해는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다.

거기에 학교만 무려 24,000곳이 침수되거나 파괴되어서 안 그래도 열악한[8] 파키스탄의 교육 상황을 더 악화시키고 있다고 한다. #

또한 피해규모는 계속 커지고 있어 추산액이 400억 달러까지 불어났다는 말까지 나왔다. #

3. 대응 및 반응

파키스탄 정부는 앙숙인 인도에서 채소 등 식량의 수입을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또한 트위터로 희생자들에 대한 애도를 표했다. #

대한민국 정부도 파키스탄에 3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결정하였다. # 이후 10월 6일, 170만 달러를 추가로 지원하기로 결정해 총 지원금은 200만 달러로 늘어났다. #

셰리 레흐만 기후장관은 비가 그칠 때쯤이면 "파키스탄의 4분의 1, 혹은 3분의 1이 물에 잠겨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 위성사진으로 확인한 결과 3분의 1이 물에 잠긴 것이 사실로 확인되었다. #

4. 기타

현재 지구온난화와 직결되는 탄소, 화석연료 배출 규모에서 파키스탄이 차지하는 비중은 세계 전체의 0.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런 파키스탄에서 이처럼 전례없는 기후 재난이 발생한 것을 두고 "선진국들이 일으키는 기후위기에 후발 국가들이 더 치명적인 피해를 입고 있다."는 비판 및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 #

10월 2일 이후로 물이 빠지기 시작하면서 종결되기 시작했으나 여전히 수인성 전염병은 계속 유행중이다. 11월이 되도 물이 완전 빠지려면 몇 주, 최대 몇 개월은 걸릴 것으로 보고있다. #

이재민들이 대피소에서 생활하다 어렵사리 귀향하기 위해 탄 버스에서 화재가 발생해 18명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참사도 벌어졌다. #

홍수가 발생한지 1년도 채 되지 않은 2023년 3월부터 5개월만에 홍수가 재발하였으며 7월까지 전국적으로 159명이 사망하였다.


[1] 관련기사 [2] 2022년 기준 파키스탄 인구(2억 3,582만 명)의 무려 14%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수치다. [3] 300억 달러는 파키스탄의 2022년 GDP(3,765억 달러)의 8%에 육박하는 막대한 금액이며, 2022년 8월 19일 기준 파키스탄의 외환보유고인 약 78억 달러보다 4배나 많다. [4] 2022년 10월 29일 세계은행의 추산. # 총 피해액과 경제적 손실이 모두 150억 달러에 육박한다고 한다. [5] 가장 피해가 심각한 신드 주의 경우에는 무려 평년의 8배의 강수량을 기록한 곳도 있다고 한다. [6] 면화만 140만 에이커(약 5,600㎢)가 초토화되었고, 대추야자도 제주도 전체 면적을 능가하는 70만 에이커(약 2,800㎢)가 초토화되었다고 한다. #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피해 규모가 더욱 커지고 있어서 전국적으로는 무려 남한 면적의 78%에 달하는 2,100만 에이커의 농경지가 침수되었다고 하며, # 소 등의 가축들의 피해도 엄청나 무려 2,600만 마리의 소가 홍수로 폐사했다는 추산까지 나올 정도다. [7] 양파와 토마토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비롯한 남아시아 지역에서 거의 필수적으로 밥상에 올라가는 채소이기 때문에 이들의 물가가 크게 오르면 서민들의 가계에 큰 타격을 받는다. 이들 국가들에서 가장 흔한 식품 중 하나인 커리에 쓰이는 중요한 재료이기 때문이다. [8] 2019년 기준으로 파키스탄 인구의 42% 가량이 문맹일 정도로 심각하다고 한다. 인도, 방글라데시의 문맹률이(각각 2018/2022년 기준) 25%라는 것을 감안하면 매우 심각한 수준인 셈. 심지어 나이지리아, 아이티도 문맹률이 40%를 밑도는 상황이다.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