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c09300><colbgcolor=#fff> 상징 | <colcolor=#000,#fff> 국가 · 국기 · 국장 · 수련 · 초원수리 |
역사 | 역사 전반 · 고대 이집트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 파티마 왕조 · 맘루크 왕조 · 이집트 왕국 · 2011 이집트 혁명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외교 | 외교 전반 · 이집트 아랍 공화국 여권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 BRICS | |
경제 | 경제 전반 · 이집트 파운드 · 넥스트 일레븐 | |
국방 | 이집트군 · 육군 · 해군 · 공군 · 방공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바스부사 · 몰로키야(음식) · 하맘 마슈위)· 이집트 음악 · 이집트 미술 · 이집토마니아 ·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 · 카이로 박물관 · 이집트 대박물관 | |
인물 | 네페르티티 · 아케나톤 · 투탕카멘 · 람세스 2세 · 클레오파트라 7세 · 히파티아 · 바이바르스 · 메흐메트 알리 · 가말 압델 나세르 · 안와르 사다트 · 호스니 무바라크 · 무함마드 무르시 · 압델 파타 엘 시시 · 하산 알 반나 · 사이드 쿠틉 · 모하메드 살라 | |
지리 | 나일강 · 시나이 반도 · 사하라 사막 · 홍해 | |
민족 | 이집트인( 방글라데시계 · 아르메니아계) | |
종교 | 이집트 신화 · 콥트 정교회 · 수니파 · 살라피즘 | |
언어 | 고전 이집트어 · 콥트어 · 이집트 아랍어 | |
문자 | 이집트 상형문자 · 콥트 문자 · 아랍 문자 | |
관광 | 이집트/관광 · 철도 환경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 |
이집트군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مصرية |
}}} | |||
이집트 육군 | 이집트 해군 | 이집트 공군 | 이집트 방공군 |
이집트 해군 القوات البحرية المصرية Egyptian Navy |
|
이집트 해군기 | |
모토 | |
명예, 지식, 희생(الشرف، العلم، الفداء) | |
창설년도 | 1922년 |
국가 | 이집트 |
주임무 | 이집트 영해 수호( 지중해, 홍해) |
소속 | 이집트군 |
명령체계 | 이집트 국방부 |
이집트 해군본부 | |
하부조직 | 해양경비대, 해군항공대 |
군종 | 해군 |
전력 | 18,000명 / 함선 319여척 / 비행기 21기 |
본부 |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
색상 | 빨간색, 검은색, 흰색, 파란색 |
참전 |
중동전쟁 ┗ 제1차 중동전쟁 ┗ 제2차 중동전쟁 ┗ 제3차 중동전쟁 ┗ 제4차 중동전쟁 |
지휘 | |
해군사령관 | 아흐마드 칼레드 하산(أحمد خالد حسن) 중장 |
해군참모장 | 애슈라프 메가헤드(أشرف عطوة) 소장 |
외부링크 | |
- |
[clearfix]
1. 개요
이집트의 해군.2. 상세
이집트 해군은 중동 및 아프리카에서 가장 강한 해상 전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중해에서는 지중해에 주둔한 미 해군과 이탈리아 해군에 뒤이은 수준으로 튀르키예 해군과 맞먹는 정도이다.
이집트는 이집트 문명의 발생지로써 역사처럼 해군의 역사도 엄청나게 길다. 하지만 현재의 이집트 해군의 전신을 그 어마어마한 피라미드를 건립하던 시기까지로 볼 수는 없으며, 대영제국 치하의 이집트로 볼 수 있다. 물론, 명목상으론 이집트 문명 시기부터 그 기원으로 본다.
이집트 해군은 고속정과 호위함이 많으며, 호위함이 주 전력이다. 이렇게 말하면 구축함 1척 없는 영세 해군처럼 보이지만, 그 호위함이라는 게 6,000톤급 대형함들로, 사실상 구축함과 순양함급 함정도 프리깃이란 분류로 통합해 쓰고 앞의 두 용어는 안 쓰는 추세인 유럽 해군의 분류를 따른 것이지 결코 무슨 울산급 같은 소형함만 잔득 가진 게 아니다.
아랍 지역 해군들 중 가장 강력한 전력을 가지고 있고, 수십년간 대립했고 현재도 견제중인 이스라엘 해군을 압도하는 수준이다. 이스라엘군 역시 이집트 해군을 대수상전에서 격퇴하는 것은 사실상 포기했고, 잠수함과 특수부대, 이스라엘 공군의 공대함 전력에 의존하고 있다.
3. 전력
현대의 이집트 해군 군함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colcolor=#c09300><colbgcolor=#000> 잠수함 | 849급, S41급 | ||
고속정 | 601급, 609급, 633급, 라마단급, 아메드 파델급, 에자트급, 옥토버급, 사이클론급 | |||
초계함 | 샤밥 미스르, 알 놀급, 엘 수에즈급, 엘 파테급 | |||
호위함 | 자피르급R, 도미야트급, 샤름 엘세이크급, 타히야 미스르급, 알 갈라라급, 알 아지즈급 | |||
구축함 | 모하마드 알리 엘 케비르급R | |||
상륙함 | <colbgcolor=#000> LPH | 기말 압델 나세르급 | ||
소해함 | 가르비아급, 기자급, 알 파루크급 | |||
군수지원함 | 샬라틴급R, 할라이브급, 아부 심벨급 | |||
훈련함 | 타릭급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집트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이집트 해군의 상륙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가말 압델 나세르급 | LHD | 프랑스 | 2척 | - | - | |
이집트 해군의 호위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알 갈라라급 | 호위함 | 이탈리아 | 2척 | - | - | |
타히야 미스르급 | 호위함 | 프랑스 | 1척 | - | - | |
알 아지즈급 | 호위함 | 독일 / 이집트 | 3척 | - | 1척 | 2척 추가 도입 옵션 존재 |
샤름 엘세이크급 | 호위함 | 미국 | 4척 | - | - | |
도미야트급 | 호위함 | 미국 | 2척 | - | - | |
이집트 해군의 초계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엘 파테급 | 초계함 | 프랑스 / 이집트 | 4척 | - | - | |
엘 수에즈급 | 초계함 | 스페인 | 2척 | - | - | |
샤밥 미스르급 | 초계함 | 대한민국 | 1척 | - | - | |
이집트 해군의 고속정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에자트급 | 미사일 고속정 | 미국 | 4척 | - | - | |
아메드 파델급 | 미사일 고속정 | 러시아 | 5척 | - | - | |
옥토버급 | 미사일 고속정 | 이집트 | 6척 | - | - | |
라마단급 | 미사일 고속정 | 영국 | 6척 | - | - | |
633급 | 미사일 고속정 | 소련 | 9척 | - | - | |
609급 | 미사일 고속정 | 중국 | 6척 | - | - | |
601급 | 미사일 고속정 | 독일 | 5척 | - | - | |
사이클론급 | 고속정 | 미국 | 3척 | - | - | |
이집트 해군의 잠수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S41급 | SSK | 독일 | 4척 | - | - | 2척 추가 도입 옵션 존재 |
849급 | SSK | 중국 | 4척 | - | - |
4. 기타
2010년, 이집트 해군은 터키군과 합동훈련을 하였다. #2018년 8월 이집트 해군은 홍해에서 영국, 프랑스 해군과 함께 합동훈련을 했다. #
2019년 2월에 이집트 해군은 지중해에서 프랑스 해군과 합동훈련을 했다. #
2020년 1월 4일 이집트 해군은 지중해에서 대규모 상륙작전 훈련을 했다. #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세계의 해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navy> 동아시아 | 대한민국 | 북한 | 중국 | 대만 | 일본(준군사조직) |
동남아시아 | 인도네시아 | 태국 | 베트남 | 말레이시아 | 필리핀 | 싱가포르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이란 | 카타르 | |
중앙아시아 | 투르크메니스탄 | |
유럽 | 프랑스 | 영국 | 이탈리아 | 스페인 | 그리스 | 독일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스웨덴 | 핀란드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포르투갈 | 폴란드 | 루마니아 | 튀르키예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벨기에 | 슬로베니아 | 몬테네그로 | |
아메리카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페루 | 볼리비아 | 칠레 | |
북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동아프리카 | 소말리아 | |
서아프리카 | 나이지리아 | |
남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앙골라 | |
오세아니아 | 호주 | 뉴질랜드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국가의 해군만 링크. 그 외 각국 해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