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0 20:23:15

이성림(고려)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문하시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colcolor=#373a3c,#ddd> 광평시중
김행도 | 박질영 | 류덕영 | 공훤 | 왕철 | 권직
문벌귀족기
(981~1170)
문하시중
최승로 | 박양유 | 한언공 | 김승조 | 최숙 | 류윤부 | 위수여 | 유진 | 최사위 | 유방 | 강감찬 | 서눌 | 황주량 | 최제안 | 최충 | 이자연 | 김원충 | 왕총지 | 김원정 | 박성걸 | 최유선 | 이정 | 문정 | 이정공 | 소태보 | 최사추 | 위계정 | 윤관 | 김경용 | 이위 | 김인존 | 이공수 | 김부식 | 김약온 | 임원후 | 왕충
무신정권
(1170~1270)
정중부 | 두경승 | 이의민 | 조영인 | 최충헌 | 이항 | 이연수 | 김취려 | 최종준 | 최항 | 김준 | 이장용
원 간섭기
(1270~1356)
김방경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김방경 | 류경 | 송송례 | 원부 | 허공 | 김방경 | 홍자번 | 조인규 | 홍군상 | 홍자번 | 홍규 | 홍자번 | 조인규 | 정가신 | 조인규 | 김혼 | 송분 | 홍자번 | 설공검 | 염승익 | 송분 | 한희유 | 한강 | 한희유 | 송분 | 홍자번 | 한희유 | 채인규 | 한희유 | 안향 | 한희유 | 한희유 | 김혼 | 정인경 | 최유엄 | 김지숙 | 최유엄 | 최유엄 | 이혼 | 류청신 | 홍규 | 류청신 | 권부 | 김이용 | 김이용 | 민지 | 배정 | 김태현 | 윤보 | 최유엄 | 김심 | 민지 | 김이 | 김이 | 윤석 | 정방길 | 윤석 | 김심 | 한악 | 윤석 | 강융 | 권한공 | 조적 | 한악 | 윤석 | 채하중 | 이능간 | 기철 | 채하중 | 한종유 | 왕후 | 김륜 | 김영후 | 김영후 | 인승단 | 노책 | 김영돈 | 왕후 | 노책 | 노책 | 손수경 | 손수경 | 이암 | 이제현 | 손기 | 송서 | 조일신 | 정천기 | 송서 | 조일신 | 이제현 | 조익청 | 홍빈 | 조익청 | 인승단 | 채하중 | 염제신 | 염제신 | 류탁 | 채하중 | 채하중 | 이제현 | 홍언박 | 홍언박 | 윤환
여말선초
(1356~1392)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홍언박 | 윤환 | 이제현 | 염제신 | 염제신 | 이암 | 홍언박 | 류탁 | 류탁 | 김일봉 | 김일봉 | 경복흥 | 경복흥 | 류탁 | 경복흥 | 김보 | 이춘부 | 이인임 | 이춘부 | 이인임 | 윤환 | 경복흥 | 염제신 | 경복흥 | 이인임 | 윤환 | 이인임 | 홍영통 | 이자송 | 조민수 | 임견미 | 최영 | 이성림 | 임견미 | 이성림 | 이인임 | 이성림 | 반익순 | 반익순 | 이성림 | 최영 | 이성계 | 최영 | 우현보 | 조민수 | 이성계 | 이색 | 이성계 | 이림 | 심덕부 | 이성계 | 정몽주 | 이성계 | 이성계 | 심덕부 | 배극렴 | 이성계
고려 국왕 · 무신정권 집권자
고구려 (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 좌우보 · 상좌평)
신라 ( 대보 · 시중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임시정부 국무총리 · 대한민국 국무총리
}}}
}}}}}}}}}
고려 문하좌시중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
이성림
李成林
<colbgcolor=#fedc89><colcolor=#670000> 출생 ?
사망 1388년
시호 충렬(忠烈)[1]
본관 경주 이씨
이름 이성림(李成林)
관직 문하좌시중
1. 개요2. 생애3. 가계

[clearfix]

1. 개요

수문하시중, 좌시중[A], 우시중[A] 등을 역임한 고려 후기의 문신이다. 경주 이씨 이암공파(怡庵公派)의 파조 가락군(駕落君) 이관(李琯)의 장남 이수득(李壽得)의 장남이고, 염흥방의 이부형이다.

2. 생애

1363년(공민왕 12) 감찰집의(監察執義)로 있으면서 신축호종공신(辛丑扈從功臣) 1등(1363)에 책록되었고, 1365년(공민왕14) 서해도 순문사, 군부 판서, 1367년(공민왕 16) 동북면 도순문사, 1368년(공민왕 17) 양광도 도순문사, 1373년(공민왕 22) 서해도 도순찰사[4]를 지냈다. 1384년(우왕 10) 수문하시중을 지냈고, 1386년(우왕 12) 숙녕옹주가 헌비(憲妃)[5]로 봉해지고 숙녕부(肅寧府)가 설치되자 우시중으로서 백관을 인솔하여 헌비의 궁궐에 하례를 드렸다. 1387년(우왕 13) 수상직인 좌시중[A]에 이르렀다. 1388년(우왕 14) 정월 우시중으로 있던 중 염흥방, 임견미의 일파로 몰려 하옥된 후 일가친척이 몰살당했다.[7] 소위 무진피화 또는 정월지주(正月之誅)라고 하는 사건이다. 얄궂은 것은 이성림은 경주 이씨 이암공파(怡庵公派)의 파조 이관(李琯)의 손자로서 그의 이부동생 염흥방의 가노 이광이 밀직부사(密直副使) 조반의 토지를 빼앗은 것이 무진피화의 발단이었는데, 조반은 경주 이씨 직장공파(直長公派) 파조인 이양오(李養吾)[8]의 사위였다는 것이다. 먼 인척[9]간의 분쟁으로 일가가 몰락한 것이다.

3. 가계


[1] 일부 족보의 기록이다. 무진피화(戊辰被禍)를 당했는데 시호가 내려졌을지 의문이 든다. 다만 최영이 무진피화에 대해 지나쳤다고 후회했다는 기록은 있다. [A] 고려의 최고 관직은 광평시중, 문하시중, (도)첨의중찬, 도첨의시중, 도첨의정승 등으로 이어진다. 도첨의정승은 다시 우정승과 좌정승으로 나뉘었는데 상우(尙右) 원칙을 취해 우정승이 좌정승보다 높은 고려 최고 관직이었다. 이후 관제 개편으로 최고 관직으로 다시 문하시중을 두었고, 문하시중은 다시 문하좌시중과 문하우시중으로 나뉘었는데 이때는 상좌(尙左) 원칙을 취해 문하좌시중이 문하우시중보다 높은 최고 관직이었다. 이후 관제 개편으로 문하좌시중은 문하시중으로, 문하우시중은 수문하시중으로 하였다. [A] [4] 고려 후기 왕명으로 지방에 파견되어 군사에 관한 업무를 처리하던 임시 관직이다. 재상급 고위 관료들이 주로 도순찰사라는 관직명으로 파견되었다. [5] 우왕의 제7비. 어머니는 이인임의 노비로, 그녀 역시 이인임의 노비 출신이었다. [A] [7] 이성림은 염흥방의 이부형이다. 이성림의 모 안동 권씨가 염흥방의 부 염제신에게 재가하였다. [8] 이길상(李吉祥)의 아들이다. 이길상의 장남 이양오(李養吾)는 직장공파(直長公派)의 파조, 차남 이존오(李存吾)는 석탄공파(石灘公派)의 파조, 3남 이존중(李存中)은 진사공파(進士公派)의 파조, 4남 이존사(李存斯)는 교감공파(校勘公派)의 파조이다. 이존오의 아들이 조선 태종 묘정 배향공신 이래(李來)이다. [9] 이성림은 이총섬(李寵暹)의 장남 이춘정(李春貞)의 9대손이고, 조반의 장인 이양오는 이총섬의 차남 이춘림(李春林)의 9대손으로, 이성림과 이양오는 20촌형제간이 된다. 따라서 분쟁의 당사자인 염흥방과 조반은 알고 보면 21촌 인척간이었던 것이다. [10] 경주 이씨 이암공파(怡庵公派)의 파조. [11] 駕落君. [12] 찬성(贊成). 상서(尙書) 이순목(李淳牧)의 아들이다. 족보에는 이순목이 이존순(李存淳)으로 오기되어 있다. [13] 判密直司事. 족보에는 관직명을 밀직(密直)이라고만 기록하고 있는데, 고려사에 판밀직사사 홍징(洪徵)을 밀직이라고 부르는 것을 보면 판밀직사사의 약칭인 듯하다. 판밀직사사는 밀직사의 으뜸벼슬인 종2품 판사이다. [14] 贈侍中. 안동권씨 성화보에는 검교시중(檢校侍中)으로 되어 있다 [15] 辰韓國大夫人 安東權氏. [16]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도첨의정승(都僉議政丞). 아버지는 첨의평리 권책(權頙). 부인은 평강 채씨로 첨의시랑 찬성사 채모(蔡謨)의 딸이다. 장남은 화원군(花原君) 권중달(權仲達), 차남은 검교영의정부사(檢校領議政府事)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권중화(權仲和)이다. [17] 윤안적(尹安樀; 적(樀)자의 좌변은 禾 또는 衤으로 되어 있음). 우대언(右大言)을 지냄. 부친은 첨의정승(僉議政丞) 영평군(鈴平君) 윤보(尹珤)이다. 고려사에 서신(徐信)이 이성림(李成林)의 동서라고 하였다. 파평 윤씨 족보에 보면, 윤안적의 장녀는 시중(侍中) 이성림(李成林)에게, 차녀는 밀양 박씨 낭장(郎將) 박경무(朴敬茂)에게, 3녀는 목사(牧使) 서신(徐信)에게 출가한 것으로 되어 있다. [18] 昌化君夫人 慶州李氏. [19] 청주 한씨. 아버지는 판후덕부사(判厚德府事) 한수(韓脩), 조부는 호부상서(戶部尙書) 한공의(韓公義). 초배인 창화군부인 경주 이씨와의 사이에서 1녀를 두었으나 부인과 사별하였다. 재배인 청풍도사(淸風都事) 송신의(宋臣議)의 딸 창화군부인 청풍 송씨(昌化夫夫人 淸風 宋氏)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이 사헌부감찰 증 영의정 한기(韓起, 1393~1429)이다. 한기의 아들이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영의정 한명회(韓明澮, 1415~1487)이다. 한기와 한명회는 각각 이성림의 외손자뻘, 진외증손뻘이나 혈연관계는 없다. [20] 藝文春秋館大學士. [21] 성주 이씨. 이향(李向)의 아들. 검교 시중 이인복(李仁復, 1308~1374)의 손자. 이인복의 동생, 즉 종조할아버지가 문하시중 이인임이다. [22] 三司右使. 삼사의 정2품 우사. [23] 밀양 박씨(密陽 朴氏). [24] 郎將. [25] 이천 서씨(利川 徐氏). [26] 原州牧使. [27] 異父. 어머니 안동 권씨가 염제신의 둘째부인으로 재가하였다. [B] 서원(파주) 염씨(瑞原(坡州) 廉氏). [29] 曲城府院君. [B] [31] 瑞城君. [32] 按廉使. [B] [34] 瑞城君. [35] 三司左使. 삼사의 정2품 좌사. [B] [37] 同知密直司事. 밀직사(密直司)의 종2품 동지사(同知事). [38] 大提學. 보문각(寶文閣), 우문관(右文館)의 정2품 대제학. 진현관(進賢館)의 종2품 대제학. [39] 남양 홍씨. 날짜는 음력. 아버지는 남양군(南陽君) 홍주(洪澍)이고, 어머니는 청주 한씨(淸州 韓氏)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우정승(右政丞) 한악(韓渥)의 딸이다. 조부는 남양군(南陽君) 삼사사(三司使) 홍융(洪戎)이며, 증조부는 남양부원군(南陽府院君) 첨의중찬(僉議中贊) 홍규(洪奎; 초명은 홍문계(洪文系))이다. 조부 홍융의 장남이 부친 홍주이고, 차남이 문하시중(門下侍中) 홍언박(洪彦博)이다. 증조부 홍규의 3녀가 충선왕 제4비 순화원비(順和院妃)이고, 5녀가 충숙왕 제4비 명덕태후(明德太后)이다. [40] 唐山君. [41] 判密直司事. 밀직사의 으뜸벼슬인 종2품 판사. [42] 홍징의 장남으로 1380년 문과 급제. [43] 홍징의 차남으로 1383년 문과 급제. [44] 典法佐郞. [45] 鏡城節制使. [46] 僉知中樞院事. [47] 知中樞府事. [48] 적모 남평 문씨(南平 文氏) 소생인 이복형 홍귀동, 홍일동과 달리 춘섬(春蟾)으로 널리 알려진 서모 옥영향(玉英香)의 소생이다. [49] 郡事. [50] 佐郞. [51] 사헌부(司憲府)의 종2품 관직. [52] 장흥 임씨. [53] 門下評理. 문하부의 종2품 재상직. [54] 경주 정씨. 우왕의 친척이라 하여 무진피화에서 살아남았다. 이성계 일파에 가담한 공으로 조선 개국 이후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고 계림군(鷄林君)에 봉해졌다. 좌참찬(左參贊),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등을 지냈다. [55] 典法判書. [56] 예안 이씨. [57] 民部尙書. 고려 초에 민관(民官)이었던 것을 995년(성종 14) 상서호부(尙書戶部)로 고치고, 문종 때 관제를 정하여 관원으로 판사, 상서, 지부사, 시랑, 낭중, 원외랑을 두었다. 1275년(충렬왕 1) 상서호부를 판도사(版圖司)로 고치고, 관원으로 판서, 총랑, 정랑, 좌랑을 두었다.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이 다시 민조(民曹)로 고쳤으나,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이 다시 민부(民部)로 고치면서 삼사(三司)·군기(軍器)·도염원(都鹽院)을 병합시켰다. 관원으로는 전서, 의랑, 직랑, 산랑을 두었다. 이후 판도사(版圖司)로 고쳤고, 1356년(공민왕 5) 다시 호부(戶部)로 고치고, 관원으로 상서, 시랑, 낭중, 원외랑을 두었다. 1362년(공민왕 11) 다시 판도사(版圖司)로 고치고, 판서, 총랑, 정랑, 좌랑을 두었다. 1369년(공민왕 18) 다시 민부(民部)로 고치고, 상서, 의랑, 직랑, 산랑을 두었다. 1372년(공민왕 21) 다시 판도사(版圖司)로 고치고, 다시 판서, 총랑, 정랑, 좌랑을 두었다. 1389년(공양왕 1) 호조(戶曹)로 고쳤다. # 이복득(李福得)에 대한 기록은 족보에만 있다. 그가 민부상서(民部尙書)를 지낸 것이 맞다면 1369년~1372년 사이에 역임한 것이 된다. [58] 시랑(侍郞). [59] 中郞將. [60] 判書. 족보에는 기록되어 있으나, 고려사 등에는 기록이 없다. [61] 광주 김씨(光州 金氏). [62] 禮曹判書. [63] 함안 윤씨. [64] 온양 방씨. [65] 軍器尹. [66] 한양 한씨. [67] 漢陽府院君. [68] 左政丞. [69] 안동 권씨. 부친은 검교시중(檢校侍中) 권고(權皐). [70] 門下贊成事. [71] 永嘉府院君. [72] 檢校佐政丞. [73] 吉昌君. [74] 議政府贊成事. 의정부의 종1품 찬성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