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1 12:51:14

우도 폰 보이르슈


파일:슈츠슈타펠 문장.svg 친위대의 장성급 지휘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친위대(나치 독일)/국가지도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Reichsf%C3%BChrer-SS_Collar_Rank.svg.png 파일:투명.png
친위대 국가지도자
Reichsführer-SS
]]
일반
친위대
율리우스 쉬렉 | 에어하르트 하이덴 | 하인리히 힘러 | 카를 항케
[[친위대(나치 독일)/최상급집단지도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SS-Oberstgruppenf%C3%BChrer_Collar_Rank.svg.png 파일:투명.png
친위대 상급대장
Oberstgruppenführer
]]
일반
친위대
쿠르트 달루게질서경찰 총수 | 프란츠 슈바르츠
무장
친위대
파울 하우서 | 요제프 디트리히기갑
[[친위대(나치 독일)/상급집단지도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SS-Obergruppenf%C3%BChrer_Collar_Rank.svg.png 파일:투명.png
친위대 대장
Obergruppenführer
]]
일반
친위대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P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루돌프 헤스 | 오토 디트리히 | 발터 부흐 | 볼프 하인리히 그라프 폰 헬도르프P | 리하르트 발터 다레 | 마르틴 보어만 | 막스 아만 | 구스타프 아돌프 셸P | 에른스트 빌헬름 볼레 | 아르투어 그라이저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아우구스트 아이그루버 | 알베르트 포르스터 | 우도 폰 보이르슈P | 울리히 그라이펠트P | 율리우스 샤우프 | 빌헬름 슈투카르트 | 빌헬름 케플러 | 프리츠 자우켈 | 필리프 보울러 | 카를 필러 |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 콘라트 헨라인 | 한스 라머스 | 헤르베르트 바케
무장
친위대
에른스트 칼텐브루너P | 고틀로프 베르거 | 아르투어 플렙스 | 요시아스 추 발데크피르몬트P | 쿠르트 폰 고트베르크P | 마티아스 클라인하이스터캄프 | 베르너 로렌츠P | 베노 마르틴P | 막시밀리안 폰 헤르프 | 발터 슈미트 | 발터 크뤼거 | 프리드리히 크뤼거P | 아우구스트 프랑크P | 아우구스트 하이스마이어P | 알프레트 뷔넨베르크질서경찰 총수 | 에르빈 뢰제너P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에른스트 하인리히 슈마우저P | 에리히 폰 뎀 바흐-첼레프스키P | 오스발트 폴 | 리하르트 힐데브란트P | 테오도어 아이케 | 파울 샤르페 | 페케테헐미-체이드네르 페렌츠 | 루스커이 예뇌 | 펠릭스 슈타이너 | 프리드리히 예켈른P | 빌헬름 레디스P | 빌헬름 비트리히 | 빌헬름 코페P | 카를 구텐베르거P
카를 볼프 | 카를 오베르크P | 카를 폰 에버슈타인P | 카를 헤르만 프랑크P | 한스 라우터P | 한스-아돌프 프뤼츠만P | 한스 위트너 | 헤르베르트 오토 길레
[[슈츠슈타펠/계급#집단지도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SS-Gruppenf%C3%BChrer_Collar_Rank.svg.png 파일:투명.png
친위대 중장
Gruppenführer
]]
일반
친위대
하인리히 뮐러P | 아우구스트 폰 마이츠너P | 야코프 슈포렌베르크P | 오딜로 글로보츠닉P | 요한 라텐후버P | 빌헬름 그림P | 카를 클라우베르크
무장
친위대
그러시 요제프 | 게오르크 뢰르너 | 루돌프스 방게르스키스 | 헤르만 페겔라인 | 헤르만 프리스 | 카를 겐츠켄 | 카를 게프하르트 | 카를 브란트 | 카를 프리드리히 그라프 폰 퓌클러-부르크하우스P | 리하르트 글뤽스 | 베르너 오스텐도르프 | 위르겐 슈트로프P | 하인츠 라이네파르트P | 하인츠 라머딩 | 헬무트 폰 판비츠
특수
작전집단
아르투어 네베P | 오토 올렌도르프P
[[슈츠슈타펠/계급#여단지도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SS-Brigadef%C3%BChrer_Collar_Rank.svg.png 파일:투명.png
친위대 소장
Brigadeführer
]]
일반
친위대
에른스트 폰 바이츠제커 | 요제프 뷜러 | 율리우스 쉬렉 | 발터 셸렌베르크P | 울리히 그라프 | 프란츠 요제프 후버P | 페르디난트 폰 자메른 프랑케네크P | 카를 마리아 빌리구트
무장
친위대
구스타프 롬바르트 | 레옹 드그렐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 실베스터 슈타들러 | 오토 쿰 | 이반 코노노프 | 쿠르트 마이어 | 빌헬름 몽케 | 프리츠 비트 | 하인츠 하르멜
특수
작전집단
에리히 나우만P | 오토 라슈P | 카를 에버하르트 쇤가르트P | 프란츠 발터 슈탈레커P | 프란츠 직스 | 하인츠 요스트P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윗 첨자P : 질서경찰 계급 겸임
{{{#!wiki style="margin: -6px -5px; font-size: 0.8em; color: #FFF" ※ 둘러보기 }}}
}}}}}}}}} ||
파일:보이르슈.jpg
이름 Udo Gustav Wilhelm Egon von Woyrsch
우도 구스타프 빌헬름 에곤 폰 보이르슈
출생 1895년 7월 24일, 독일 제국 슐레지엔주 슈바노비츠
(現 폴란드)
사망 1984년 1월 14일, 서독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비베라흐안데어리스
복무 슈츠슈타펠 (1930년 ~ 1945년)
무장친위대 (1945년)
최종계급 슈츠슈타펠 대장 (상급집단지도자)
질서경찰 대장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1. 개요2. 초기 행적3. 나치당 입당과 슈츠슈타펠 가입4. 제2차 세계 대전5. 전후 재판과 행적

[clearfix]

1. 개요

파일:보이르슈2.jpg
우도 폰 보이르슈 (Udo von Woyrsch)
나치 독일의 친위대 대장이다.

2. 초기 행적

독일 제국 프로이센령이던 슐레지엔의 슈바노비츠[1]에서 보이르슈는 군인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친척중, 레무스 폰 보이르슈는 독일제국군의 원수였다. 사립학교를 졸업한 뒤 베를린의 리히터페르데 사관학교에 입학해 제1차 세계 대전때 소위로서 종군해 병참부대와 기관총 부대, 기병부대 등에서 근무하여 패전 당시 중위계급으로 1, 2급 철십자 훈장을 받았다. 독일의 패전 후 실레지아의 국경부대에 배속했던 보이르슈는 1920년 10월에 제대하여 부동산을 경영했다.

3. 나치당 입당과 슈츠슈타펠 가입

1923년에 아버지가 사망하면서 가문의 토지를 상속받아 관리하게 되었는데 1929년 10월 1일 나치당에 입당한 후 1930년 6월 10일 나치 친위대에 가입했다. 1934년 장검의 밤 사건당시 라이벌이던 친위대 상급대령 에밀 젬바흐를 처형하였는데 1935년 1월 1일부터 친위대 대장으로 승진했다.

4. 제2차 세계 대전

파일:우도 폰 보이르슈.jpg
1935년 1월부터 1940년 4월에 걸쳐 하인리히 힘러의 개인참모로 일했던 보이르슈는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한 후인 1939년 9월부터 10월에 걸쳐 폴란드령이었던 서 프로이센에서 아인자츠그루펜을 지휘해 유대계 주민과 반독주의자를 총살했다. 1940년 4월부터 1944년 2월까지 엘베의 친위대 및 경찰고급지도자를 역임했다. 1941년 질서경찰 대장으로 승진한 보이르슈는 마르틴 무치만과의 갈등으로 1944년 2월 친위대 및 경찰지도자의 직위에서 해임되어 후임으로 루돌프-헤르만 폰 알펜슬레벤이 임명되었다. 힘러의 지시에 따라 직위에서 해임된 보이르슈는 자신의 영지로 추방되었다가 1945년 1월 무장친위대에 입대하여 민간인 송환 업무를 맡았다.

5. 전후 재판과 행적

파일:전후 보이르슈.jpg
전후의 우도 폰 보이르슈
1945년 영국군에 체포되어 뉘른베르크 의사 재판의 피고 중 한명인 요아힘 므루고프스키에 대한 진술서를 작성했다. 이후 1948년 재판에서 징역 20년형을 선고받은 보이르슈는 1952년에 석방되었다가 1957년 장검의 밤 사건 관련 혐의로 다시 재판에 세워졌지만 1960년에 석방되어 1984년에 사망했다.
[1] 현재의 폴란드